▶ 자연과학/▷ 대수학

【선형대수학】 3강. 행렬식과 역행렬

초록E 2020. 4. 7. 21:05

3강. 행렬식과 역행렬

 

추천글 : 【선형대수학】 선형대수학 목차 


1. 행렬식 [본문]

2. 역행렬 [본문]

3. 크래머 공식 [본문]


 

1. 행렬식(determinant) [목차]

⑴ 치환의 정의 

① 치환(순열, permutation) : S = {1, 2, ···, n}의 치환이란 S에서 S로의 일대일 대응 함수 σ를 지칭함

○ 이때 함수를 간단히 (f(1), ···, f(n))으로 씀

○ 항등치환 : (1, 2, ···, n). 즉, f(i) = i인 경우

② 호환 : (f(1), ···, f(i), ···, f(j), ···, f(n))을 (f(1), ···, f(j), ···, f(i), ···, f(n))로 바꾸는 변환 

○ 즉, 호환은 치환의 정의역의 두 원소에서 서로의 치역을 맞바꾸는 것

○ (1, ···, n)에서 유한 번의 호환을 곱하면 임의의 치환을 만들 수 있음

③ 치환의 부호

○ 홀치환(기치환, odd permutation) : 홀수 개의 치환의 곱으로 항등치환을 만들 수 있는 치환

○ 짝치환(우치환, even permutation) : 짝수 개의 치환의 곱으로 항등치환을 만들 수 있는 치환

○ 치환 σ가 기치환인 경우 sgn(σ) = -1, 우치환인 경우 sgn(σ) = +1로 정의함

④ 대칭군의 기우성 : 짝치환이면서 홀치환일 수는 없음

○ 우선 f(0) = 0이라고 가정

○ 반전

○ α ≤ x ≤ β, f(x) > f(y)인 x의 개수를 M(k)α, β 혹은 반전이라고 정의 

○ 반전의 합

 

 

○ 정의

○ n1 : f(n) > f(a)이고 0 < n < i인 n의 개수

○ n2 : f(a) > f(n) > f(b)이고 0 < n < i인 n의 개수

○ n3 : f(b) > f(n)이고 0 < n < i인 n의 개수

○ n4 : f(n) > f(a)이고 i < n < j인 n의 개수

○ n5 : f(a) > f(n) > f(b)이고 i < n < j인 n의 개수

○ n6 : f(b) > f(n)이고 0 < n < i인 n의 개수

○ 상황 1. f(i) = a, f(j) = b인 경우 (단, f(a) > f(b)라고 가정)

 

 

Figure. 1. 치환의 첫 번째 상황

 

 

○ 상황 2. f(i) = b, f(j) = a인 경우 (단, f(a) > f(b)라고 가정)

 

 

Figure. 2. 치환의 두 번째 상황

 

 

○ 결론 : 치환은 기우성이 있음

 

 

⑵ 행렬식의 정의 : [A]j를 행렬 A의 j번재 열 벡터라 할 때,

성질 1. det[I] = 1 

② 성질 2. 치환의 부호와 관련된 성질

 

 

2-1. A = ([A]1, ···, [A]n)에서 [A]h = [A]k (1 ≤ h ≠ k ≤ n)이면 det(A) = 0 

성질 3. det(A) = det([A]1, ···, [A]n)은 각 열 벡터들에 관한 다중선형함수

 

 

3-1. A = ([A]1, ···, [A]n)에서 [A]i = 0이면 det(A) = 0 ( 0 + 0 = 0

3-2. 열에 대한 유용한 연산 : 전치행렬에서도 행렬식이 같으므로 행에 대한 연산도 허용됨

 

 

성질 1, 성질 2, 성질 3을 만족하는 유일한 함수는 다음과 같음

 

 

⑶ 행렬식의 계산 

① 2 × 2 행렬의 행렬식

 

 

② 3 × 3 행렬의 행렬식

 

 

③ 여인수 전개(cofactor expansion) : 소행렬식을 이용한 행렬식 계산

 

 

⑷ 행렬식의 응용

정리 1. n × n 행렬 A의 계수가 n보다 작으면 det(A) = 0임 

○ 이유 : 행렬식은 역행렬과 관련하여 유일근의 존재성을 암시하므로

② 정리 2. 전치행렬의 행렬식 : A가 n × n 행렬이면 det(At) = det(A)

정리 3. A, B가 n × n 행렬이면 det(AB) = det(A)det(B)

 

출처: 이미지 클릭

 

정리 4. X ∈ n, A ∈ r, D ∈ n-r, B ∈ r, n-r에 대해 다음이 성립함

 

 

정리 4-1. 

 

 

정리 4-2. n × n 행렬 A, B, C, D가 있을 때, |D| ≠ 0이고 CD = DC인 경우

 

 

정리 4-3. A ∈ r, B ∈ r, n-r, C ∈ n-r, r, D ∈ n-r에 대하여 다음 등식이 성립함

 

 

정리 5. xy가 모두 n차원 열벡터일 때 다음 등식이 성립함

 

 

정리 6. Vandermonde 행렬식 : 다음이 성립함

 

 

증명 

○ 주어진 행렬식은 다항식으로 표현됨 : 예를 들어, xn을 보면 그 다항식은 xn에 대하여 n-1차 이하 다항식

○ 특정 행벡터에서 다른 행벡터를 빼도 행렬식이 바뀌지 않는다는 사실을 주목

○ n번째 행과 1번째 행의 차에서 행렬식이 (xn - x1)을 인수로 가짐을 알고, 비슷하게 (xn - x2), ···, (xn - xn-1)을 인수로 가짐

○ 그러므로 그 다항식은 xn에 대하여 (xn - x1) ··· (xn - xn-1)와 같이 표현됨 : xnn-1이 포함된 항의 계수가 1임을 확인 

○ 일반화를 잃지 않고 xn-1, xn-2, ···, x1에 대하여도 비슷하게 표현됨을 알 수 있어 (준식)을 증명함

⑸ 행렬식의 용도

용도 1. 행렬식은 선형 변환에 의해 변형된 면적, 부피 등을 의미함 

 

Figure. 3. 2차원 선형변환의 행렬식과 넓이

 

용도 2. 주어진 행벡터 또는 역벡터들이 종속이면 행렬식이 0이고, 독립이면 행렬식이 0이 아님 (그 역도 성립)

경우 1. 종속인 경우 : 행렬식의 성질 2에 의해 행렬식이 0이 됨

경우 2. 독립인 경우

○ 가우스 소거법을 써서 역삼각행렬을 만들더라도 대각성분 중에 0인  게 나올 일이 없음

○ 그러한 역삼각행렬은 행렬식이 0이 아님이 자명

○ 가우스 소거법을 쓰는 과정에서 행렬식이 바뀌지 않음

○ 그러므로 주어진 행벡터 또는 역벡터들이 독립인 행렬은 행렬식이 0이 아님

용도 3. 역행렬의 존재성 : 행렬식이 0인 것과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필요충분조건

○ 행렬식 값이 변하지 않는 가우스 소거법으로 역행렬을 자동으로 찾아낼 수 있으므로 

용도 4. x-y 평면에서 (x1, y1)', (x2, y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

 

 

용도 5. v = (v1, v2, v3)와 w = (w1, w2, w3)의 외적(cross product)

 

 

용도 6. 론스키 행렬(Wronskian matrix)

 

 

용도 7. 야코비 행렬(Jacobian matrix) 

 

 

용도 8. 헤세 행렬(Hessian matrix) 

○ 2 × 2 행렬의 헤세 행렬

 

 

○ 3  ×3 행렬의 헤세 행렬

 

 

○ n × n 행렬의 헤세 행렬

 

 

용도 9. 휘켈 근사와 해밀토니안 

용도 10. 회전 및 반사 변환 

○ 회전 변환 : T: xy를 나타내는 행렬 RRTR = RRT = I (등거리), det(R) = 1인 경우

○ 반사 변환 : T: xy를 나타내는 행렬 RRTR = RRT = I (등거리), det(R) = -1인 경우 

물체의 충돌에 적용한 예제 

 

 

2. 역행렬(inverse matrix) [목차]

⑴ 정의 

 

 

⑵ 가역행렬(invertible matrix) : 역행렬이 존재하는 행렬

정리 1. A의 역행렬이 존재하면 그것은 유일함 

 정리 2. A가 가역행렬이면 A-1도 가역행렬임

 

 

정리 3. A, B가 가역행렬이면 AB도 가역행렬임 

 

 

정리 4. A가 가역행렬이면 cA도 가역행렬임

 

 

정리 5. 역행렬과 전치행렬

 

 

정리 6. det (Ak) ≠ 0 (단, A는 3 × 3 행렬)인 자연수 k가 존재하면 A는 가역행렬

 정리 7. (I - Ak) = O (단, A는 3 × 3 행렬이고 I는 단위행렬)인 자연수 k가 존재하면 A는 가역행렬 

정리 8. Av1 ∪ Av2 ∪ ··· ∪ Avk = ℝ3v1, v2, ···, vk가 존재하면 A는 가역행렬 

○ 이유 : rank (A) = 3이라는 의미이므로 

⑨ Avi ≠ O인 세 개의 직교벡터 v1, v2, v3가 있다는 사정만으로 A를 가역행렬로 볼 수 없음

○ 이유 : A에 의한 사상이 0이 아닌 하나의 벡터로만 가는 경우도 있기 때문

 

 

⑶ 역행렬의 계산 1. 삼각행렬로 변형하여 행렬식 구하기

① 행에 관한 기본 연산 : 역행렬을 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공

 

 

○ ⓐ A의 i 행 행벡터와 j 행 행벡터의 위치를 교환하는 기본연산은 C의 i 행과 j 행의 순서를 바꾼 것과 동일

○ ⓑ A의 i 행 행벡터에 c를 곱하는 기본연산은 C의 i 행에 c를 곱한 행렬과 같음

○ ⓒ A의 j 행 행벡터에 c를 곱하여 다른 i 행 행벡터에 더하는 기본연산은 C에 그러한 연산을 한 것과 동일

기본행렬(elementary matrix) : 단 한 번의 행에 관한 기본 연산을 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는 행렬

○ 1형 기본행렬(type 1 elementary matrix) : 첫 번째 기본연산()을 표현하는 행렬

○ 2형 기본행렬(type 2 elementary matrix) : 두 번째 기본연산(ⓑ)을 표현하는 행렬

○ 3형 기본행렬(type 3 elementary matrix) : 세 번째 기본연산(ⓒ)을 표현하는 행렬 

정리 1. 기본행렬들은 모두 가역행렬임

○ 1형 기본행렬의 역행렬은 자기 자신

○ 2형 기본행렬의 역행렬

 

 

○ 3형 기본행렬의 역행렬

 

 

정리 2. 모든 가역행렬은 기본행렬들의 곱으로 표시됨

 

 

정리 3. 모든 삼각행렬은 역행렬이 존재함

삼각행렬(triangular matrix) : 상삼각행렬(upper triangular matrix)이거나 하삼각행렬(lower triangular matrix)인 경우

○ n × n 삼각행렬 A는 기본행렬들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음

○ 우선 주어진 삼각행렬이 상삼각행렬이라고 가정

1단계. 단위행렬로부터 2행에 a12를 곱한 뒤 1행에 더함 

2단계. 1단계 이후 3행에 a13를 곱한 뒤 1행에 더하고, a23를 곱한 뒤 2행에 더함

3단계. 2단계 이후 4행에 a14를 곱한 뒤 1행에 더하고, a24를 곱한 뒤 2행에 더하고, a34를 곱한 뒤 3행에 더함

4단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주어진 상삼각행렬을 단위행렬로만 표현할 수 있음

○ 하삼각행렬도 동일한 과정을 거칠 수 있음

그러므로 삼각행렬은 역행렬이 존재하고 그 형태를 특정할 수 있음

역행렬의 계산 2. 수반행렬(adjoint matrix)

① A가 n × n 행렬일 때 A에서 i행과 j열을 없애고 나면 (n-1) × (n-1) 행렬을 얻음

 

 

② aij의 여인수(cofactor)

 

 

③ 라플라스 전개(Laplace expansion)

 

 

④ 수반행렬

 

 

⑤ 역행렬의 계산

 

 

역행렬의 계산 3. 프로그래밍 코드

파이썬 numpy 이용

 

import numpy as np

# 예시 행렬 A를 정의합니다.
A = np.array([
    [1, 2, 3],
    [4, 5, 6],
    [7, 8, 9]
])

# numpy.linalg.inv 함수를 이용해 역행렬을 구합니다.
try:
    A_inv = np.linalg.inv(A)
    print("A_inv (NumPy):")
    print(A_inv)
except np.linalg.LinAlgError:
    print("이 행렬은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파이썬 sympy 이용

 

import sympy

# 예시 행렬 A를 정의합니다.
A_sym = sympy.Matrix([
    [1, 2, 1],
    [0, 1, 2],
    [1, 2, 3]
])

# 행렬의 역행렬을 구합니다.
try:
    A_sym_inv = A_sym.inv()  # .inv() 메서드 사용
    print("A_inv (Sympy):")
    print(A_sym_inv)
except:
    print("이 행렬은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3. 크래머 공식(Cramer's rule) [목차]

⑴ A를 n × n 행렬, x = (x1, ···, xn)', b = (b1, ···, bn)'라 할 때, 연립방정식 Ax = b의 유일해 x0의 j번째 원소는 다음과 같음

 

 

⑵ 증명  

 

 

입력: 2020.04.22 09:51

수정: 2024.01.01 1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