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日本語 English

【한국사】 한국 문화사 종합

 

한국 문화사 종합

 

추천글 : 【한국사】 한국사 목차 


1. 교육 [본문]

2. 종교 [본문]

3. 역사 [본문]

4. 예술 [본문]


 

1. 교육 [목차]

⑴ 고구려

① 중앙 : 태학 (소수림왕)

② 지방 : 경당 (장수왕, 평양, 문 + 무) 

⑵ 백제 : 교육기관의 직접적인 증거는 없으나 높은 교육수준을 엿볼 수 있음

① 오경, 의, 역 등에 대한 박사가 존재

② 왕인 : 논어, 천자문을 일본에 전달

③ 부여의 사택지적비는 높은 수준을 반영

⑶ 신라

① 임신서기석 : 신라의 두 화랑이 학문에 전념할 것을 맹세한 내용

암기팁 : '신' 자가 들어가니까 신라와 관련 있는 것으로 암기 (사실 한자는 다름)

② 세속오계 : 원광이 화랑에게 가르쳐 준 다섯 개의 가르침

⑷ 통일 신라

① 국학 : 신문왕 때 설치. 유학을 보급

 설총 : 6두품 출신의 설총이 신문왕에게 〈화왕계〉를 올림. 이두를 정리함 

③ 강수 : 외교 문서 작성

④ 김대문 : 자주, 주체를 나타내는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를 집필

⑤ 최치원 : 〈토황소격문〉, 〈계원필경〉 저술. 진성여왕에게 시무 10여 조를 발해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음

⑸ 발해

① 주자감 : 최고 교육기관

⑹ 고려

① 성종

○ 중앙 : 국자감

○ 유학부 : 명경과, 제술과

○ 기술학부 : 잡과, 승과 (단, 무과는 전쟁터에서 배울 수 있으므로 없음)

○ 지방 : 향교

② 광종 : 쌍기를 등용하여 과거제 시행

③ 문벌귀족

○ 사학 12도 : 최충(해동의 공자)의 9재학당 = 문헌공도

○ 관학 진흥책 : 양현고 (장학기금), 전문7재

④ 무신정권

○ 유학 ↓

⑤ 권문세족

○ 안향 : 성리학 소개

○ 신진사대부 : 이제현 - 이색 - 정몽주, 정도전

○ 이제현 : 만권당 〈역옹패설〉

⑺ 조선

① 15세기 : 혁명파 사대부 → 훈구

○ 중앙 관학

○ 성균관 (고등) : 대사성, 명륜당 (교육), 대성전 (제사). 소과에 합격한 생원, 진사에게 입학 자격이 부여됨

○ 4부 학당 (중등) 

○ 지방 관학

○ 향교 (중등) : 교수, 훈도 파견. 전국의 모든 군현에 하나씩 파견

○ 문자

○ 태종 : 주자소, 계미자

○ 세종 : 갑인자, 〈훈민정음〉, 용비어천가

○ 문학

○ 〈금오신화〉 : 김시습, 최초 한문소설

② 16세기 : 온건파 사대부 → 사림

○ 지방 사학

○ 서원 = 교육 + 제사

○ 이황 

○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 동방 주자

○ 사단칠정논쟁 (기대승) 

○ 예안향약 → 도산서원

○ 일본에 성리학 전파

○ 이이

○ 〈동호문답〉, 〈성학집요〉

○ 현실 개혁 → 10만 양병설, 수미법

○ 문학

○ 〈관동별곡〉, 〈사미인곡〉 : 정철 (가축옥사), 가시문학

③ 실학

○ 중농학파 (경세치용 학파) : 토지를 분배하여 자영농 육성을 주장

○ 유형원 〈반계수록〉 : 균전론 (신분차이 ○)

○ 이익 〈성호사설〉 : 한전론 (영업전), 6좀 (양반, 과거, 노비, 승려, 미신, 게으름)

○ 한전론 : 영업전 외 토지에 대해서만 매매를 허용한다는 제도

 암기팁 : 이익은 '이익'과 관련 있다고 이해 

○ 정약용 〈경세유표〉, 〈흠흠신서〉, 〈목민심서〉

○ 여전론 : 공동소유, 공동경작 → 노동량에 따라 분배

○ 정전제 : 공동경작

○ 중상학파 (이용후생 학파, 북학파) : 토지 생산력 ↑, 상공업 ↑, 청문물 수용을 주장

○ 유수원 〈우서〉 : 사농공상을 버리고 직업적 평등을 주장

○ 홍대용 〈임하경륜〉, 〈의산문답〉 : 문벌제 반대, 혼천의, 지전설, 무한우주론

암기팁 : 홍대용의 'ㅎ'과 혼천의의 'ㅎ'이 겹침

〈의산문답〉 : 문답의 형식으로 무한우주론을 주장하여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비판

○ 박지원 〈열하일기〉 : 수레, 선박, 화폐

○ 박제가 〈북학의〉 : 수레, 선박, 소비론

⑻ 개항기

① 개화기

○ 사학 : 원산학사

○ 공교육 : 동문학 (외국어)

② 동도서기

○ 원산학사 → 선교사 (배제, 이화)

○ 동문학 → 육영공원 (헤이그 특사에 도움을 준 헐버트, 1886년에 세운 최초의 근대식 학교)

③ 광무개혁

○ 육영공원 → 교육입국조서 : 2차 갑오개혁

○ 소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외국어학교

④ 애국계몽운동

○ 선교사 → 민족지도자 (오산 이승훈, 대성 안창호)

⑤ 국어

○ 국문연구소 : 학부. 주시경, 지석영 (종두법)

○ 신소설 : 은세계 (→ 원각사), 금수회의록

○ 신체시 : 해에게서 소년에게 (최남천)

 

 

2. 종교 [목차]

 고구려

도교 : 사신도

② 불교 : 소수림왕 때 전진을 통해 불교 수용

○ 불상 : 금동 연가 7년맹 여래 입상

○ 불탑 : 익산 미륵사지 석탑 (무왕, 목탑 → 석탑),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평제탑)

⑵ 백제

① 도교 : 산수무늬 벽돌, 금동대향로 (부여)

② 불교 : 침류왕 때 동진을 통해 불교 수용

○ 불상 :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백제의 미소)

○ 불탑 : 경주 분황사 석탑 (모전탑)

⑶ 신라

① 도교 : 신채호 선생은 화랑도를 낭가사상의 증거로 생각

② 불교 : 법흥왕 때 이차돈을 희생시켜 불교 수용

○ 불상 : 경주 배동 석조 여래 삼존 입상

③ 불탑 : 황룡사 9층 목탑 (자장의 권유로 선덕여왕 때 축조. 고려 몽골 침입 때 없어짐)

⑷ 통일신라

① 통일신라 전기

원효 : 무애가, 일심, 아미타 (정토종), 화쟁 = 원융회통, 〈십문화쟁론〉, 〈대승기신론〉

○ 아미타, 정토 신앙은 내세적 : 아미타 부처를 믿으면 ('나무아미타불') 극락을 갈 수 있다는 사상

○ 의상과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으나 해골물 일화로 인해 다시 돌아옴 

의상 : 관음, 화엄종(일즉다 다즉일), 〈화엄일승법계도〉, 부석사

○ 당나라에서 화엄종을 연구하고 돌아와 10여 개의 사찰을 건립하고 화엄의 교종을 확립

관음 신앙은 현세적 : 관음 부처를 믿으면 ('관세음보살') 현세가 성공할 수 있다는 사상 

혜초 : 〈왕오천국천전〉 (여행기)

○ 불상 : 석굴암 본존불

○ 불탑 : 경주 불국사 3층 석탑 (= 석가탑, 무영탑), 다보탑, 감은사지 3층 석탑 (신문왕이 문무왕을 기려 축조)

○ 목판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현존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

② 통일신라 후기

 풍수지리, 선종 ↑ : 호족들의 사상적 기반이 됨. 9산선문 (호족 후원)

○ 양양 진전사지 3층 석탑 (조각)

○ 승탑 증가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 승탑 

⑸ 발해

① 불상 : 이불병좌상 (고구려와의 연관성이 돋보임)

② 불탑 : 영광탑

⑹ 고려

① 불교

○ 호족 시기

○ 척불 유행 : 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여래 좌상

○ 대형석불 :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안동 이천 마애 여래 입상, 파주 용미리 마애 입불 입상

○ 불탑 : 여주 고달사지 석탑, 국박 정토사 흥법국사승탑

태조 : 훈요 10조에 연등회, 팔관회를 언급

○ 광종 : 균여의 〈보현십원가〉, 향가

○ 성종 : 최승로의 시무 28조로 인해 연등회, 팔관회 폐지

○ 문벌귀족 시기

의천 (문종의 아들) : 천태종 (국청사, 불교 교단을 합침), 교선통합 (교관겸수), 〈교장〉 

○ 신라를 계승한 불화 : 영주 부석사 소조 아미타 여래 좌상

○ 불탑 : 다각다층석탑 → 월정사 8각 9층 석탑 (석조 보살좌상)

권문세족 시기

○ 지눌 : 조계종, 선교통합, 결사 (수선사 → 송광사) 

○ 혜심 : 유·불일치설 

○ 요세 : 법화신앙, 백련결사

○ 불화 : 아미타래영도, 수월관음도 → 지배층 소원, 천산대렵도 - 공민왕

○ 불탑 : 경천사지 10층 석탑 (원의 영향), 원각사지 10층 석탑 (조선)

② 풍수지리

○ 호족 시기 : 서경길지설 (훈요10조, 북진정책)

○ 문벌귀족 시기 :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 문벌귀족 시기 말기 : 남경길지설

○ 조선 건국 : 한양 천도

⑺ 조선

① 불교 

○ 숭유억불 : 도첩제, 교단 정리 (세종)

○ 〈석보상절〉 : 수양대군

○ 간경도감 : 세조

⑻ 개항기

① 천도교 : 동학으로부터 발전. 만세보를 발행하여 민중 계몽에 앞장섬 

② 대종교 : 나철. 단군

③ 유교 : 박은식. 〈유교구신론〉 → 양명학

④ 불교 : 한용운. 〈불교유신론〉

⑤ 천주교 : 조·프 조약 (1886) 체결 이후 포교

 

 

3. 역사 [목차]

⑴ 고구려

① 이문진 : 영양왕 때 역사서인 〈유기〉 100권을 정리하여 〈신집〉 5권을 편찬

⑵ 백제

① 고흥 : 근초고왕 때 역사서인 〈서기〉를 편찬  

⑶ 신라

① 거칠부 : 진흥왕 때 역사서인 〈국사〉를 편찬

고려

① 실록, 구삼국사

② 김부식 〈삼국사기〉 

○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가장 오래된 역사서

○ 유교 사관에 입각하여 기전체 형식으로 구성

기전체 : 본기, 세가, 지, 표, 역전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채워 넣음

③ 〈해동고승전〉 : 각훈

④ 〈동명왕편〉 : 이규보가 고구려에 관하여 저술

⑤ 〈삼국유사〉 : 일연, 민간설화 (군위). 불교사를 중심으로 고대의 민간 설화를 수록

⑥ 〈제왕운기〉 : 이승휴. 단군부터 충렬왕까지의 역사를 서사시로 서술

⑦ 〈사략〉 

⑸ 조선

① 조선 전기

〈고려국사〉 : 정도전

○ 〈고려사〉 : 기전체

○ 〈고려사절요〉 : 편년체

○ 〈실록〉 : 편년체. 춘추관. 세계기록유산

○ 〈동국통감〉 : 고조선 ~ 고려. 통사

○ 〈동문선〉 : 서거정이 집필. 시문집

② 조선 후기

○ 안정복 〈동사강목〉 : 정통성. 고조선 ~ 고려

○ 한치윤 〈해동역사〉 : 외국 문헌 인용. 고조선 ~ 고려

○ 김정희 〈금석과안록〉 :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증명. 추사체, 세한도 (제주)

○ 이종휘 〈동사〉 : 고구려. 만주로 시야 확대

○ 유득공 〈발해고〉 : 남북국 시대. 만주로 시야 확대

○ 이긍익 〈연려실기술〉 : 조선사

⑹ 개항기

① 위인전, 각국 흥망사

② 신채호 〈독사신론〉 : 민족주의 사학 방향

 

 

4. 예술 [목차]

⑴ 고려

① 공예

○ 문벌귀족 시기 : 나전칠기, 순청자

○ 권문세족 시기 : 상감청자, 분청사기, 은입사

② 인쇄

○ 호족 시기 : 초조대장경 목판

○ 문벌귀족 시기 : 상정고금예문 활판

○ 무신정권 시기 : 재조대장경(= 팔만대장경) 목판 - 경남 합천 해인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권문세족 시기 : 직지심체요절 (현존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 - 청주 흥덕사

⑵ 조선

① 음악

〈악학궤범〉 : 성종. 음악 이론

② 공예

○ 분청사기 : 15세기

○ 백자 : 16세기

③ 회화

○ 15세기

○ 고사관수도 : 강희안 

○ 몽유도원도 : 안평대군의 꿈. 안견

○ 16세기 : 상당히 단순함

 사군자 : 매난국죽. 16세기

○ 초충도 : 신사임당

○ 조선 후기

○ 진경산수화 : 겸재 정선.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 풍속화 :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강세황 ('영통동구도' → 서양화 기법), 장승업

○ 민화 : 까치와 호랑이

○ 추사체 : 김정희 '세한도'

판소리 : 조선 후기. 창 + 사설. 신채효가 정리

탈춤 : 탈, 산대놀이

⑥ 문학 : 조선 후기

○ 한글소설 : 〈홍길동전〉, 〈춘향전〉, 〈심청전〉 → 책쾌, 전기수라는 직업이 등장

○ 사설시조 : 형식 파괴

○ 박지원 〈양반전〉, 〈허생전〉, 〈호질〉 : 정조의 '문체반정'으로 억제하려고 했음

○ 중인 : 시사조직

 

입력: 2022.04.02 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