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경제사】 8강. 후발성의 이득

 

8강. 후발성의 이득

 

추천글 : 【경제사】 경제사 목차 


1. 캐치업 [본문]

2. 독일은 왜 영국을 앞서는가 [본문]


 

1. 캐치업(catch-up) : 후발성의 이득으로 후진국이 선진국을 따라 잡는 것 [목차]

⑴ 그레이트 다이버젼스(great divergence) : 산업혁명 직후 선진국과 후진국의 경제적 격차가 벌어짐

⑵ 그레이트 컨버젼스(great convergence) : 1990년대 중반 이후 선진국과 후진국의 경제적 수준이 수렴함

⑶ 원인 1. 기술 이전

① 1945년 이전 : 선진국들은 후진국 사람들이 기술을 배우러 오는 것에 대해 경계

② 1945년 이후 : 선진국들이 후진국 사람들이 기술을 배우러 오는 것에 대해 우호적

○ 계기 1. 마샬 플랜(Marshall plan) : 냉전 체계가 들어섬에 따라 미국은 황폐화된 선진국들을 재건하기 시작

○ 계기 2. 미국은 친미 라인을 형성시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함 

○ 계기 3. 기술의 표준화와 리더십

③ 현재 두뇌 유출, 자본 유출을 막는 움직임도 있음 

○ 특히 보호적이고 방어적인 태도로 바뀌는 데 있어 중국이 크게 관여함 

○ 예 : 5G에 대해서는 중국의 역량이 세계 최고 수준에 달함

⑷ 원인 2. 구조 변화에 의한 수렴

① 선진국에서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에서의 생산성은 균형 잡혀 있음

② 후진국은 자원을 재배치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

③ 위의 경우 제도가 도와주어야 함

⑸ 원인 3. 레닌의 논리 

① 선진국은 자본이 많고 이윤이 낮으며, 후진국은 자본이 없고 이윤이 많으므로 선진국에서 후진국으로 자본 이동

② 제국주의를 정당화하는 논리

⑹ 레닌의 논리에 대한 반박 

① 반박 1. 루카스에 따르면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자본이 이동할 수 있음 (e.g., 선진국의 기술 탈취)

② 반박 2. 집적효과, 규모의 경제로 자본이 많으면 이윤이 높을 수 있음 

 

 

2. 독일은 왜 영국을 앞섰는가 [목차]

⑴ 캐치업의 메커니즘이 작동했을 수 있음

⑵ 영국의 특수성 

① 영국은 대영제국 이후 유럽의 병자로 취급되었으나 유럽연합의 회원국이 되자 잘 살기 시작함 

② 인적자본 측면 : 경제 성장에는 물적자본보다 인적자본이 중요함

○ 영국은 19세기 말 하드 사이언스, 즉 자연과학보다 경제학을 중심으로 학문이 발전함

○ 영국은 금융이 발전하였으므로 고이자율 정책을 펼쳤는데, 이는 자본 투자가 필요한 제조업을 억제함 

○ 1970년대에야 비로소 영국은 자연과학에 대해 대대적인 투자를 시작함 

③ 물적자본 측면 

요인 1. 영국은 면방직 공업을 중심으로 산업화를 진행함 : 20세기 입장에서 면방직 공업은 사양 산업이었음

○ (참고) 방적 : 면화에서 면사를 만드는 것. 40 ~ 50배 이상의 생산성 향상에 관여함

○ (참고) 방직 : 면사에서 면포를 만드는 것. 저임금 노동이면 경쟁해 볼만 함

○ (참고) 방적 토포 : 수방적기를 이용하여 영국산 면사로부터 면포를 만드는 것 

요인 2. 19세기 후반 영국은 홈 바이어스가 없었음

○ 19세기 말 영국은 전 세계 금융의 중심이었음 

○ 홈 바이어스 : 국내 시장에 대한 정보가 많이 있는 것

○ 당대 영국 신문은 미국 국제수익률, 아르헨티나 국제수익률 등의 정보만 있었음

○ 절반 정도가 해외 국채에 대한 정보로서 정작 국내 시장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음 

○ 피용자당 자본스톡 : 1917년 영국은 미국의 1/3, 1950년 60%였음 

⑶ 독일의 특수성

① 1873-1973 전 기간동안 독일의 경제성장률은 영국보다 높았고, 미국보다도 높았음

② 인적자본 측면 : 경제 성장에는 물적자본보다 인적자본이 중요함

요인 1. 독일은 19세기 말 공대가 잘 나가는 등 자연과학이 강했음

요인 2. 독일은 독점적 카르텔 기업이 많았음

○ 완전 경쟁 체계에서는 이윤이 0이므로 기술 개발을 할 수 없음

○ 독과점 체계에서 다른 기업의 진입을 억제하기 위한 초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기술개발이 활발함 

요인 3. 영국과 달리 독일이나 스칸디나비아에 있던 산업별 노조는 기술 개발에 유리함

○ (참고) 기업별 노조 : 일본식 모델. 한국도 이를 따름

③ 물적자본 측면 

요인 1. 독일은 중화학 공업을 바탕으로 산업화를 진행함 : 중화학 공업은 계속해서 발전할 수 있음 

요인 2. 독일의 은행은 중화학 공업에 투자될 수 있는 흐름 (canal)

○ (참고) 한국도 R&D 투자가 굉장히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

⑷ (참고) 미국

① 인적자본 측면 

요인 1. 미국은 문자해독률과 취학률, 인적자본 투자 모두 좋았음 

요인 2. 미국은 기술자가 경영도 하는 형태가 많음

○ (참고) 1930년 전만 하더라도 화이트 칼라가 블루 칼라를 고용하는 경우가 많았음

② 물적자본 측면

 미국은 중화학 공업을 바탕으로 산업화를 진행함 : 중화학 공업은 계속해서 발전할 수 있음 

⑸ (참고) 왜 공업은 대규모 경영으로 발전하는데, 농업은 가계단위 생산으로 남았는가?

① 농업  

○ 자연이 생산의 조건과 속도를 지시

○ 농업 노동은 감시하기 어려움 ( 수확 때까지 평가하기 어려움)

② 공업 

○ 인간의 독창성에 의해서만 제한되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가 더 큼

○ 작업 노력을 감시하는 것이 더 쉬움

 

입력: 2020.07.11 1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