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日本語 English

【해석학】 20강. 미분방정식의 해의 존재성

 

20강. 미분방정식의 해의 존재성

 

추천글 : 【해석학】 해석학 목차 


풀이가 궁금하시면 답변 바랍니다.


1. Banach 고정점 정리 [본문]

2. 적분방정식과 고정점의 연관성 [본문]

3. 벡터함수에 관한 미분방정식으로의 확장 [본문]


 

1. Banach 고정점 정리 [목차]

 

⑴ g : [a, b] → [a, b]가 연속함수이고 0 < K < 1이 있어 각 x ∈ (a, b)에 대해 g'(x)가 존재하여 |g'(x)| ≤ K라 하자. 이때 x = g(x)인 유일한 x ∈ [a, b]기 존재한다. 실제로 임의의 x0 ∈ [a, b]에 대해 xn+1 = g(xn), n ≥ 0이라 정의하면 수열 (xn)은 고정점 x로 수렴한다. 또한 

 

 

가 성립한다.

 

예제 :

 

 

가 함수 

 

 

의 고정점임을 이용하여 |r - x| ≤ 0.01인 유리수 r을 찾으시오.

 

 

2. 적분방정식과 고정점의 연관성 [목차]

 

⑴ 예제 : 연속함수 f : (a, b) × ℝ → ℝ, (x0, y0) ∈ (a, b) × ℝ 그리고 함수 y : (a, b) → ℝ에 대해 다음이 동치임을 보이시오.

 

① y(x0) = y0이고 각 x ∈ (a, b)에 대해 y'(x)가 존재하여 y'(x) = f(x, y(x))이다.

 

② y는 연속이고 각 x ∈ (a, b)에 대해 

 

 

이다.

 

예제 : f : ℝ × ℝ → ℝ이 f(x, y) = 2y이고 x0 = 0, y0 = 1일 때 y(0) = 1이고 y'(x) = f(x, y(x))를 만족하는 함수 y : ℝ 

→ ℝ가 다음 함수열의 극한으로 얻어짐을 보이시오.

 

 

예제 : B = {y : (a, b) → ℝ | y는 유계이다}이고 y ∈ B에 대해 

 

 

라 하자. 다음을 보이시오.

 

① y, z ∈ B, c ∈ ℝ이면 y + z, cy ∈ B이다.

② y, z ∈ B, c ∈  때 다음과 같다.

○ 

 

 

이다.

 

 

이다.

○ 

 

 

이다.

③ y, y1, y2, ··· ∈ B이고 

 

 

이며 각 y1, y2, ···가 연속이면 y도 연속이다.

 

예제 : B가 위와 같다고 하자. B의 부분집합 S를 S = {y ∈ B | y는 연속이고 α ≤ y ≤ β}라 하자. 함수 G : S → S와 상수 0 < K < 1가 있어 모든 y, z ∈ S에 대해 

 

 

가 성립한다면 G(y) = y인 유일한 y ∈ S가 존재함을 보이시오.

 

예제 : (x0, y0)을 원소로 하는 직사각형 (a, b) × (c, d) 위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f(x, y)가 연속인 편미분 

 

 

를 갖는다고 하자. 이때 다음을 만족하는 h > 0가 존재한다.

 

① (x0 - h, x0 + h) ⊆ (a, b)이다.

② y(x0) = y0이고 각 |x - x0| < h에 대해 (x, y(x)) ∈ (a, b) × (c, d)이며 y'(x)이 존재하여 y'(x) = f(x, y(x))를 만족하는 함수 y : (x0 - h, x0 + h) → ℝ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예제 : 미분방정식 y'(x) = [y(x)]2 - x, y(1) = 0이 유일한 해를 갖는 구간 (1 - h, 1 + h)를 하나 구하시오.

 

 

3. 벡터함수에 관한 미분방정식으로의 확장 [목차]

 

예제 : 벡터함수 x : [a, b] → ℝn, x(t) = (x1(t), ···, xn(t))에 대해 미분과 적분을 

 

 

및 

 

 

로 정의하자. 이때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들을 기술하고 증명하시오. 또한 

 

 

를 확인하시오. 여기서 |(a1, ···, an)| = max{|a1|, ···, |an|}이다.

 

예제 : R = (c1, d1) × ··· × (cn, dn) ⊆ ℝn이고 (t0, x0) ∈ (a, b) × R라 하자. 연속함수 f: (a, b) × R → ℝn가 연속인 편미분 

 

 

를 갖는다고 하자. 이때 다음 방정식 x(t0) = x0, x'(t) = f(t, x(t))이 유일한 해를 갖는 구간 (t0 - h, t0 + h)가 존재함을 보이시오.

 

입력 : 2020.01.18 0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