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日本語 English

【집단행동과학】 신념의 힘

 

신념의 힘

 

추천글 : 【집단행동과학】 집단행동과학 목차 


 

출처 : DALL·E

 

Reynolds 박사는 집단행동에는 세 가지 규칙이 있다고 말했다.

 

1) 분리 : 지나치게 모여 있는 곳은 피한다. (short range repulsion)

2) 정렬 : 인접한 개체들의 평균 방향을 응시한다.

3) 응집 : 인접한 개체들의 평균 위치로 이동한다. (long range attraction)

 

요약하면, 사람, 새, 물고기 등의 개체는 주위의 개체에 영향을 받아 평균적으로 행동하되, 그들과 적당 거리를 유지한다.

 

이 포스팅에서는 어떤 집단 내에 자신의 신념대로만 살아가는 개체가 단 하나 있을 때,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집단 내 모든 개체의 신념이 그 개체와 같은 신념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단 다소 추상적일 수 있는 개념인 '신념'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화살표의 방향으로 나타내려고 한다. 그런데 모든 집단에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자신의 신념대로만 살아가는 개체가 모집단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다른 개체와 상호작용을 할 수 없을 때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개체가 어떤 순간에도 주위에 하나 이상의 이웃 개체가 존재해야 하며, 이를 연결성(to be jointly connected)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이러한 성질은 수학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ref) 인간은 끊임없이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고, 또 그래야 하는 동물이므로 인간 집단에서의 연결성은 당연해 보인다.     

 

번째 입자의 이웃의 집합 Ni(t)를 시간 t에서 i 번째 입자와 반경 r 이내에 있는 입자들의 집합으로 정의하자. 단, 시간 t는 음이 아닌 정수이고 자기 자신은 이웃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또한 θi(t)를 시간 t에서 [0, 2π)의 구간에 놓이는, 방향을 나타내는 값으로 정의하자. 그러면, 규칙 2)에 의해 다음 식을 찾을 수 있다. 

 

 

i 번째 입자의 t + 1번째 방향은 i 번째 입자의 이웃과 자신의 방향의 평균값이다. ni(t)를 Ni(t)의 원소 개수라고 정의할 때, θi(t)r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위 식을 행렬로 나타내기 위해 몇 가지 정의를 하자. 우선 Ƥ의 부분집합인 p{1, 2, … , n}를 꼭짓점으로 하고, 만약 i번째 입자와 j번째 입자가 이웃 관계라면 선분 (i, j)가 그려져 있는 그래프를 p라고 정의하자. (단, 그래프는 시간에 따라 계속 변한다는 사실에 주의한다.) 또한 i 행, i 열이 ni(t)인 대각행렬을 Dp라고 정의하자. 마지막으로 i 번째 입자와 j 번째 입자 간 이웃관계의 여부와 i 행 j 열의 성분과 대응되는 인접행렬(adjacency matrix)을 Ap이라고 정의하자. 단, Dp와 Ap는 그래프 p에 대한 행렬이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이때 θ는 열 벡터이고 σ(t)는 시간 t와 그래프 를 대응시키는 함수(즉, 사상)이다. 그런데 σ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인자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추이 분석은 비교적 용이하나, 수렴성을 연구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초등적인 증명은 어려워 보인다.

 

대각행렬의 역행렬은 각 대각선 성분들을 역수로 취해 주면 된다. 따라서 정의한 바에 따르면 Fp는 정사각행렬이고, 모든 성분이 음이 아니다. 또한 직관적으로 Fp1 = 1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단, 1n 개의 원소를 가진 열벡터이다.) 이러한 성질들을 만족하는 행렬을 stochastic하다고 말한다. 또한 정사각행렬이고, 모든 성분이 음이 아니며, 어떤  1에 대하여 Mm의 모든 성분이 양수가 되는 m이 존재하는 행렬 M을 primitive하다고 말한다. 연결성이 보장돼 있는 (Ap + I)는 primitive한데, 이는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 가능하다. (IDp)-1는 대각행렬이고, 대각행렬과 어떤 행렬의 곱은 교환법칙이 가능하므로 Fp도 또한 primitive하다. 만약 어떤 n × n 행렬이 primitive하면, 모든 성분이 양수인 고유벡터는 절대값이 가장 큰 고유값과 대응되고, 나머지 n - 1개의 고유값의 절대값이 그 고유값보다 작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ref) 따라서 stochastic하고, primitive한 행렬은 값이 1인 고유값 1개를 가지고, 나머지 n - 1개의 고유값은 (-1, 1)의 원소가 되는데, 이러한 행렬을 ergodic하다고 한다. 열 벡터로 표현된 i 번째 고유벡터를 vi, 그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를 λi고 할 때 ergodic한 행렬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이때, c는 행 벡터이다. 이제 Wolfowitz's theorem을 소개한다. 유한집합 {M1, M2, … Mm}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임의로 뽑은 Mi(k)에 대하여 Mi(1)×Mi(2)× … ×Mi(j), j < infinite가 항상 ergodic하다고 하자.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

 

 

모든 형태의 I + Ap를 표현할 수 있는 유한집합 {IAp(1), IAp(2)… , IAp(m)}을 찾을 수 있단 사실은 당연하다. 그런데 그 집합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임의로 뽑은 I + Ap(k)에 대하여 (IAp(1))×(I + Ap(2))× … ×(I + Ap(j)), j < infinite가 항상 primitive함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I + Ap와 똑같은 수만큼 존재하는 모든 형태의 Fp를 표현할 수 있는 유한집합 {Fp(1)Fp(2)… Fp(m)}을 찾을 수 있단 사실도 당연하다. 그런데 임의로 뽑은 Fp(k)에 대한 Fp(1)×Fp(2)× … ×Fp(j), j < infinite는 적당한 대각행렬과 primitive한 행렬의 곱이므로 이도 또한 primitive하다. 그런데 임의로 뽑은 F p(k)에 대한 Fp(1)×Fp(2)× … ×Fp(j), j < infinite은 아주 쉽게 stochastic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ergodic하다. 따라서 Wolfowitz's theorem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이때 p를 시간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기 위해 σ(t)로 표시했다. 이때 θ(t)의 점화식을 이용하면 θ(t)가 수렴하는 벡터를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열 벡터 1(0)는 모든 성분의 값이 같다. 따라서 모든 개체의 신념이 수렴했음을 확인하였다. 만약 집단 내에 신념이 절대로 변하지 않는 단 하나의 개체가 있다면 어떨까? 위의 증명은 Reynolds가 제시한 모델보다 더 포괄적이어서 그 상황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론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어쨌든 모든 개체의 신념은 수렴해야 한다. 따라서 당연히 그 하나의 개체가 가지고 있는 신념대로 모두가 바뀔 것이다. 예로부터 신념이 강한 사람이 줄곧 세상을 (좋든 나쁘든) 바꾸곤 했는데, 이러한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에 동화하려는 인간의 기본적인 속성을 극복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다. 세상을 바꾸고 싶은가? 그렇다면 절대로 휘둘리지 않는 강한 신념을 가져라!      

 

입력: 2016.06.30 1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