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생물학】 6-1강. 세포예정사

 

6-1강. 세포예정사

 

추천글 : 【생물학】 6강. 신호전달


1. 세포 사멸 [본문]

2. 세포 생존 [본문]


 

1. 세포 사멸(cell death) [목차]

⑴ 개요

NCCD(Nomenclature Committe on Cell Death)에서 세포사멸을 엄격하게 분류하기보다 연속적인 사이클로 설명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 주요 세포사멸의 서브루틴]

 

② 형태적 특징에 근거하여 기존에는 세포예정사, 자가포식, 괴사가 주로 연구됐음

③ 형태적 특징 , 생화학적 특징 , 기타 특징

④ 정상세포, 세포예정사(apoptosis), 괴사(necrosis) 비교

 

Figure. 2. 정상세포, 세포예정사, 괴사 비교

 

 종류 1. 세포예정사(apoptosis, programmed cell death, type I cell death) 

① 특징 

세포와 세포핵의 부피 감소

pyknosis : 염색체 응축 

apoptotic body의 형성 : 작은 소낭과 유사하게 생김

세포골격의 분해

미토콘드리아 구조에 큰 변화는 없음

bleb 형성, 즉 막이 변형

○ 초기예정사 : phosphatydil serine이 세포 밖으로 노출되는 등 막의 비대칭성이 파괴됨 

○ 후기예정사 : 막에 구멍이 생김, 괴사와 유사 

karyorrhexis : 세포 내의 DNA가 규칙적으로 단편화. 전기영동에서 DNA의 절편화가 관찰됨

 식세포작용 O 

주변 세포에 피해를 주지 않음 

서서히 진행

ATP가 사용됨

Caspase에 의한 신호전달 기작 有

신호전달 1. 외부 신호에 의한 세포예정사 (extrinsic apoptosis) 

 1st. Fas 또는 TNF가 수용체와 결합

 2nd. CASP8(caspase 8)과 adaptor가 결합하여 DISC 형성

 3rd. DISC는 caspase 3을 활성화

4th. CASP3(caspase 3)은 세포사멸을 일으킴

신호전달 2. 내부 신호에 의한 세포예정사 (intrinsic apoptosis)

 1st. 내부 신호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있는 Bax, Bak가 올리고머가 되도록 함

 2nd. 올리고머는 포린을 형성하여 막간공간의 cyt c를 세포질로 유출시킴

 3rd. cyt c는 Apaf-1과 결합하여 CARD(caspase recrutment domain)를 형성함

 4th. CARD는 세포사멸을 일으킴

 MOMP, CASP3 등이 추가적으로 관여 

 주요 유전자

○ Fas

○ Caspase : 아폽토시스 개시 및 세포 내 성분 소화. 외부 신호에 의한 세포 예정사 기전과 관련. 세포사멸 촉진

p53 : 세포사멸 촉진 

○ Bax : 세포사멸 촉진

Cyt c : 세포사멸 촉진 

○ CAD : 세포사멸 촉진 

○ DISC : 세포사멸 촉진 

Bcl-2 : 세포사멸 억제

 분석 방법

○ annexin-V staining : 인지질의 비대칭성이 깨진 세포막의 바깥쪽의 포스파티딜 세린에 대한 staining assay

○ TUNEL assay (terminal transferase dUTP nick-end labeling) : apoptosis로 분해되는 dsDNA를 측정하는 assay

○ γ-H2AX assay : DNA 이중나선 결합의 파괴 여부를 보여주는 assay

○ Calcein-AM assay : live cell이 많으면 신호가 크게 나옴

○ PI(propium assay) : dead cell이 많으면 신호가 크게 나옴

○ Ki-67 assay : Ki-67은 cell proliferation marker로 쓰임

○ DAPI : DNA 부홈의 AT region에 결합. apoptosis marker로도 사용

 CD8-PD1 : 높을수록 apoptosis가 많이 일어남을 의미

○ caspase 3/7 : apoptosis marker

○ PARP cleavage : apoptosis marker

○ 8-OHdG (8-hydroxy-2’-deoxyguanosine) : DNA oxidative marker

○ CC3(cleaved caspase 3) staining : apoptosis assay

⑥ 예시

단세포 생물의 경우 드묾 : 단, 효모 콜로니 등에서 세포예정사가 발견된 사례가 있음

○ 주로 발생과정에서 관찰됨

○ 올챙이의 변태 과정에서 꼬리의 사라짐

 종류 2. 자가포식(autophagy-dependent cell death; ADCD, type II cell death)

① 특징

DMA(double-membraned autolysosome)의 형성

DMA : macroautophagy, microautophagy, chaperone-mediated autophagy 등

리소좀 활성이 증가함

② 신호전달 

○ mTOR, Beclin-1, p53 신호전달 경로

③ 주요 유전자

○ ATG5

ATG7

LC3

Beclin-1

DRAM3

TFEB

종류 3. 괴사(necrosis, type III cell death)

① 특징

원형질막이 파열되면서 내부 효소가 흘러나옴 : 주변 세포에 피해를 줌

세포질과 세포소기관이 부풀어 오름

moderate chromatin condensation 

ATP 수치가 떨어짐

 염증반응이 일어남

식세포작용 없음

리소좀 작용 없음

 ATP 미사용 

Caspase에 의한 신호전달 기작 無

 갑작스럽게 진행

② 신호전달 

○ TNFR1-RIP1/RIP3-MLKL 관련 신호전달 경로

○ PKC-MAPK-AP-1 관련 신호전달 경로

○ ROS 관련 대사 조절 신호전달 경로 

③ 주요 유전자 

○ RIP1

RIP3 

종류 4. 페롭토시스(ferroptosis)

특징

미토콘드리아 막의 밀도가 증가된 작은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 크리스테의 감소 또는 소멸

미토콘드리아 외막의 파괴

철 축적

lipid peroxidation : 특히 세포막 

신호전달 

 Xc-/GPX4, MVA, sulfur 전달 경로 

○ P62-Keap1-NRF2 경로 

○ p53/SLC7A11, ATG5-ATG7-NCOA4 경로  

○ p53-SAT1-ALOX15 경로  

○ HSPB1-TRF1, FSP1-COQ10-NAD(P)H 경로 

주요 유전자

 GPX4

TRF1

SLC7A11

NRF2

NCOA4

p53

HSPB1

ACSL4

FSP1 

④ 페롭토시스 유도제 

erastin

piperazine erastin

imidazole ketone erastin

sulfasalazine

sorafenib

glutamate

(1S, 3R)-RSL3

 C' dots & amino acid starvation

FPEF

FeGd-HN@Pt@LF/RGD2

ZVI

DGU:Fe/Dox

FeCo-DOX@MCN

MON-p53

⑤ 페롭토시스 억제제

liproxstatin-1

기타 종류 

accidental cell death (ACD) : 급격한 외부 충격

anoikis : 인테그린 결실

③ autosis : Na+/K+-ATPase에 의존하는 자가포식의 한 종류

④ cellular senescence : SASP(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의 분비가 특징

cell scorch death

copper-induced cell death

efferocytosis : phagocyte가 관여

entotic cell death : actomycin-dependent cell-in-cell internalization이 관여

 immunogenic cell death (ICD)

lysosome-dependent cell death (LDCD) : primary LMP, cathepsin, MOMP, caspase 등이 관여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MPT)-driven necrosis

mitotic catastrophe

NETotic cell death

parthanatos : PARP1 hyperactivation이 관여

 pyroptosis : 염증성 세포 사멸 중 하나. gasermin protein family에 의한 membrane pore가 특징

 

 

2. 세포 생존(cell survival) [목차]

예 1. 식세포의 세포예정사 억제

식세포는 이물질을 만나면 예정사가 안 됨 : 면역반응을 수행하기 위함

톨 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

TLR-1 : multiple triacyl lipopeptide

TLR-2 : lipoteichoid acid. 내재적 면역을 활성화

TLR-3 :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dsRNA 인식

TLR-4 : 그람음성균이 가지고 있는 LPS(lipopolysaccharide) 인식

TLR-5 : 원핵생물 편모의 단위체인 플라젤린(flagellin) 인식

TLR-6 : multiple diacyl lipopeptide

TLR-7 : single-stranded RNA

TLR-8 : small synthetic compound, single-stranded RNA

TLR-9 : 메틸화되지 않은 CG 서열(Cp DNA)과 oligodeoxynucleotide DNA 인식

NF-κB 신호전달 

 

NF-κB와 Iκ-B 실험 (웨스턴 블롯 결과)
출처 : 2020 MEET/DEET 자연과학 I

Figure. 3. NF-κB와 Iκ-B 실험 (웨스턴 블롯 결과)]

 

○ 1st. NF-κB는 평소에는 세포질에서 Iκ-B 단백질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

○ Iκ-B는 NF-κB가 핵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함

○ 단백질 X는 Iκ-B를 지칭함

○ 2nd. 지질다당체(LPS) 등과 TLR(toll-like receptor)이 결합

○ 3rd. TNF-α trimer가 수용체에 결합

○ 4th. IKK(inhibitor kappa kinase)가 활성화

○ 5thIκ-B는 세포질에서 활성화되어 분해됨

○ 프로테아좀 저해제 처리 시 NF-κB가 Iκ-B와 분리되지 않았기에 Iκ-B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분해됨을 알 수 있음

○ 6th. NF-κB는 Iκ-B와 분리되어 핵으로 이동

○ 7th. NF-κB는 대식세포의 염증 반응과 관련된 단백질을 생산

○ 대식세포는 염증성 M1 타입과 항염증성 M2 타입이 있음

○ NF-κB는 대식세포들이 M1 타입으로 전환되도록 함 

경로 1. MyD88-dependent pathway

○ 개요 : 신호전달을 통한 메커니즘 경로. NF-κB를 활성화시킴. TNF-α와 IL-1β를 증가시킴

○ TLR → MyD88 → TRAF6 → NF-κB → NF-κB가 핵 내로 이동

○ TLR → MyD88 → TRAF6 → MAPK → AP-1

경로 2. TRIF-dependent pathway

○ 개요 : 엔도좀을 통한 메커니즘 경로

○ TLR → TAM, TRIF → IRF3 → IRF3가 핵 내로 이동 → type I IFN

○ TLR → TAM, TRIF → TRAF6 → NF-κB → NF-κB가 핵 내로 이동

○ TLR → TAM, TRIF → TRAF6 → MAPK → AP-1

예 2. immediate early stress response

① stress → ASK-1 (= MAP3K5) → JNK p38MAPK → ATF2 JUN FOS → 핵 내부  AP-1 (activator protein 1)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4. immediate early stress response]

 

예 3. heat shock response (unfolded protein response)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5. heat shock response]

 

① stress → proteotoxic stress (소포체) → PERK, ATF6, HSF1, XBP1 → 핵 내부 → ATF4, ATF6, HSF1, XBP1

예 4. anti-oxidant response 

① stress → NFE2L2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6. anti-oxidant response]

 

예 5. inflammatory response

① stress, hypoxia → NF-кB → 핵 내부 → NF-кB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7. inflammatory response]

 

예 6. hypoxic response

① stress, hypoxia → HIF-1α → 핵 내부 → HIF-1α, HIF-1β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8. hypoxic response]

 

입력: 2019.03.14 21:19

수정: 2022.06.13 1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