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강. 세포예정사
추천글 : 【생물학】 6강. 신호전달
1. 세포 사멸(cell death) [목차]
⑴ 개요
① NCCD(Nomenclature Committe on Cell Death)에서 세포사멸을 엄격하게 분류하기보다 연속적인 사이클로 설명
② 형태적 특징에 근거하여 기존에는 세포예정사, 자가포식, 괴사가 주로 연구됐음
③ 형태적 특징 ■, 생화학적 특징 ■, 기타 특징 ■
④ 정상세포, 세포예정사(apoptosis), 괴사(necrosis) 비교
Figure. 2. 정상세포, 세포예정사, 괴사 비교
⑵ 종류 1. 세포예정사(apoptosis, programmed cell death, type I cell death)
① 특징
○ ■ 세포와 세포핵의 부피 감소
○ ■ pyknosis : 염색체 응축
○ ■ apoptotic body의 형성 : 작은 소낭과 유사하게 생김
○ ■ 세포골격의 분해
○ ■ 미토콘드리아 구조에 큰 변화는 없음
○ ■ bleb 형성, 즉 막이 변형
○ 초기예정사 : phosphatydil serine이 세포 밖으로 노출되는 등 막의 비대칭성이 파괴됨
○ 후기예정사 : 막에 구멍이 생김, 괴사와 유사
○ ■ karyorrhexis : 세포 내의 DNA가 규칙적으로 단편화. 전기영동에서 DNA의 절편화가 관찰됨
○ ■ 식세포작용 O
○ ■ 주변 세포에 피해를 주지 않음
○ ■ 서서히 진행
○ ■ ATP가 사용됨
○ ■ Caspase에 의한 신호전달 기작 有
② 신호전달 1. 외부 신호에 의한 세포예정사 (extrinsic apoptosis)
○ 1st. Fas 또는 TNF가 수용체와 결합
○ 2nd. CASP8(caspase 8)과 adaptor가 결합하여 DISC 형성
○ 3rd. DISC는 caspase 3을 활성화
○ 4th. CASP3(caspase 3)은 세포사멸을 일으킴
③ 신호전달 2. 내부 신호에 의한 세포예정사 (intrinsic apoptosis)
○ 1st. 내부 신호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있는 Bax, Bak가 올리고머가 되도록 함
○ 2nd. 올리고머는 포린을 형성하여 막간공간의 cyt c를 세포질로 유출시킴
○ 3rd. cyt c는 Apaf-1과 결합하여 CARD(caspase recrutment domain)를 형성함
○ 4th. CARD는 세포사멸을 일으킴
○ MOMP, CASP3 등이 추가적으로 관여
④ 주요 유전자
○ Fas
○ Caspase : 아폽토시스 개시 및 세포 내 성분 소화. 외부 신호에 의한 세포 예정사 기전과 관련. 세포사멸 촉진
○ p53 : 세포사멸 촉진
○ Bax : 세포사멸 촉진
○ Cyt c : 세포사멸 촉진
○ CAD : 세포사멸 촉진
○ DISC : 세포사멸 촉진
○ Bcl-2 : 세포사멸 억제
⑤ 분석 방법
○ annexin-V staining : 인지질의 비대칭성이 깨진 세포막의 바깥쪽의 포스파티딜 세린에 대한 staining assay
○ TUNEL assay (terminal transferase dUTP nick-end labeling) : apoptosis로 분해되는 dsDNA를 측정하는 assay
○ γ-H2AX assay : DNA 이중나선 결합의 파괴 여부를 보여주는 assay
○ Calcein-AM assay : live cell이 많으면 신호가 크게 나옴
○ PI(propium assay) : dead cell이 많으면 신호가 크게 나옴
○ Ki-67 assay : Ki-67은 cell proliferation marker로 쓰임
○ DAPI : DNA 부홈의 AT region에 결합. apoptosis marker로도 사용
○ CD8-PD1 : 높을수록 apoptosis가 많이 일어남을 의미
○ caspase 3/7 : apoptosis marker
○ PARP cleavage : apoptosis marker
○ 8-OHdG (8-hydroxy-2’-deoxyguanosine) : DNA oxidative marker
○ CC3(cleaved caspase 3) staining : apoptosis assay
⑥ 예시
○ 단세포 생물의 경우 드묾 : 단, 효모 콜로니 등에서 세포예정사가 발견된 사례가 있음
○ 주로 발생과정에서 관찰됨
○ 올챙이의 변태 과정에서 꼬리의 사라짐
⑶ 종류 2. 자가포식(autophagy-dependent cell death; ADCD, type II cell death)
① 특징
○ ■ DMA(double-membraned autolysosome)의 형성
○ ■ DMA : macroautophagy, microautophagy, chaperone-mediated autophagy 등
○ ■ 리소좀 활성이 증가함
② 신호전달
○ mTOR, Beclin-1, p53 신호전달 경로
③ 주요 유전자
○ ATG5
○ ATG7
○ LC3
○ Beclin-1
○ DRAM3
○ TFEB
⑷ 종류 3. 괴사(necrosis, type III cell death)
① 특징
○ ■ 원형질막이 파열되면서 내부 효소가 흘러나옴 : 주변 세포에 피해를 줌
○ ■ 세포질과 세포소기관이 부풀어 오름
○ ■ moderate chromatin condensation
○ ■ ATP 수치가 떨어짐
○ ■ 염증반응이 일어남
○ ■ 식세포작용 없음
○ ■ 리소좀 작용 없음
○ ■ ATP 미사용
○ ■ Caspase에 의한 신호전달 기작 無
○ ■ 갑작스럽게 진행
② 신호전달
○ TNFR1-RIP1/RIP3-MLKL 관련 신호전달 경로
○ PKC-MAPK-AP-1 관련 신호전달 경로
○ ROS 관련 대사 조절 신호전달 경로
③ 주요 유전자
○ RIP1
○ RIP3
⑸ 종류 4. 페롭토시스(ferroptosis)
① 특징
○ ■ 미토콘드리아 막의 밀도가 증가된 작은 미토콘드리아
○ ■ 미토콘드리아 크리스테의 감소 또는 소멸
○ ■ 미토콘드리아 외막의 파괴
○ ■ 철 축적
○ ■ lipid peroxidation : 특히 세포막
② 신호전달
○ Xc-/GPX4, MVA, sulfur 전달 경로
○ P62-Keap1-NRF2 경로
○ p53/SLC7A11, ATG5-ATG7-NCOA4 경로
○ p53-SAT1-ALOX15 경로
○ HSPB1-TRF1, FSP1-COQ10-NAD(P)H 경로
③ 주요 유전자
○ GPX4
○ TRF1
○ SLC7A11
○ NRF2
○ NCOA4
○ p53
○ HSPB1
○ ACSL4
○ FSP1
④ 페롭토시스 유도제
○ erastin
○ piperazine erastin
○ imidazole ketone erastin
○ sulfasalazine
○ sorafenib
○ glutamate
○ (1S, 3R)-RSL3
○ C' dots & amino acid starvation
○ FPEF
○ FeGd-HN@Pt@LF/RGD2
○ ZVI
○ DGU:Fe/Dox
○ FeCo-DOX@MCN
○ MON-p53
⑤ 페롭토시스 억제제
○ liproxstatin-1
⑹ 기타 종류
① accidental cell death (ACD) : 급격한 외부 충격
② anoikis : 인테그린 결실
③ autosis : Na+/K+-ATPase에 의존하는 자가포식의 한 종류
④ cellular senescence : SASP(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의 분비가 특징
⑤ cell scorch death
⑥ copper-induced cell death
⑦ efferocytosis : phagocyte가 관여
⑧ entotic cell death : actomycin-dependent cell-in-cell internalization이 관여
⑨ immunogenic cell death (ICD)
⑩ lysosome-dependent cell death (LDCD) : primary LMP, cathepsin, MOMP, caspase 등이 관여
⑪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MPT)-driven necrosis
⑫ mitotic catastrophe
⑬ NETotic cell death
⑭ parthanatos : PARP1 hyperactivation이 관여
⑮ pyroptosis : 염증성 세포 사멸 중 하나. gasermin protein family에 의한 membrane pore가 특징
2. 세포 생존(cell survival) [목차]
⑴ 예 1. 식세포의 세포예정사 억제
① 식세포는 이물질을 만나면 예정사가 안 됨 : 면역반응을 수행하기 위함
② 톨 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
○ TLR-1 : multiple triacyl lipopeptide
○ TLR-2 : lipoteichoid acid. 내재적 면역을 활성화
○ TLR-3 :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dsRNA 인식
○ TLR-4 : 그람음성균이 가지고 있는 LPS(lipopolysaccharide) 인식
○ TLR-5 : 원핵생물 편모의 단위체인 플라젤린(flagellin) 인식
○ TLR-6 : multiple diacyl lipopeptide
○ TLR-7 : single-stranded RNA
○ TLR-8 : small synthetic compound, single-stranded RNA
○ TLR-9 : 메틸화되지 않은 CG 서열(Cp DNA)과 oligodeoxynucleotide DNA 인식
③ NF-κB 신호전달
Figure. 3. NF-κB와 Iκ-B 실험 (웨스턴 블롯 결과)
○ 1st. NF-κB는 평소에는 세포질에서 Iκ-B 단백질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
○ Iκ-B는 NF-κB가 핵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함
○ 단백질 X는 Iκ-B를 지칭함
○ 2nd. 지질다당체(LPS) 등과 TLR(toll-like receptor)이 결합
○ 3rd. TNF-α trimer가 수용체에 결합
○ 4th. IKK(inhibitor kappa kinase)가 활성화
○ 5th. Iκ-B는 세포질에서 활성화되어 분해됨
○ 프로테아좀 저해제 처리 시 NF-κB가 Iκ-B와 분리되지 않았기에 Iκ-B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분해됨을 알 수 있음
○ 6th. NF-κB는 Iκ-B와 분리되어 핵으로 이동
○ 7th. NF-κB는 대식세포의 염증 반응과 관련된 단백질을 생산
○ 대식세포는 염증성 M1 타입과 항염증성 M2 타입이 있음
○ NF-κB는 대식세포들이 M1 타입으로 전환되도록 함
④ 경로 1. MyD88-dependent pathway
○ 개요 : 신호전달을 통한 메커니즘 경로. NF-κB를 활성화시킴. TNF-α와 IL-1β를 증가시킴
○ TLR → MyD88 → TRAF6 → NF-κB → NF-κB가 핵 내로 이동
○ TLR → MyD88 → TRAF6 → MAPK → AP-1
⑤ 경로 2. TRIF-dependent pathway
○ 개요 : 엔도좀을 통한 메커니즘 경로
○ TLR → TAM, TRIF → IRF3 → IRF3가 핵 내로 이동 → type I IFN
○ TLR → TAM, TRIF → TRAF6 → NF-κB → NF-κB가 핵 내로 이동
○ TLR → TAM, TRIF → TRAF6 → MAPK → AP-1
⑵ 예 2. immediate early stress response
① stress → ASK-1 (= MAP3K5) → JNK p38MAPK → ATF2 JUN FOS → 핵 내부 → AP-1 (activator protein 1)
Figure. 4. immediate early stress response
⑶ 예 3. heat shock response (unfolded protein response)
Figure. 5. heat shock response
① stress → proteotoxic stress (소포체) → PERK, ATF6, HSF1, XBP1 → 핵 내부 → ATF4, ATF6, HSF1, XBP1
⑷ 예 4. anti-oxidant response
① stress → NFE2L2
Figure. 6. anti-oxidant response
⑸ 예 5. inflammatory response
① stress, hypoxia → NF-кB → 핵 내부 → NF-кB
Figure. 7. inflammatory response
⑹ 예 6. hypoxic response
① stress, hypoxia → HIF-1α → 핵 내부 → HIF-1α, HIF-1β
입력: 2019.03.14 21:19
수정: 2022.06.13 13:42
'▶ 자연과학 > ▷ 일반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물학】 암세포 휴면 상태(cancer cell dormancy) (0) | 2022.06.18 |
---|---|
【생물학】 6강. 신호전달 (0) | 2022.06.13 |
【생물학】 31강. 생식계 (2) | 2022.06.06 |
【생물학】 30-1강. 성병 (0) | 2022.06.06 |
【생물학】 헤모글로빈 (0) | 2022.05.23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