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日本語 English

【생물학】 6강. 신호전달

 

6강. 신호전달(signaling, signal transduction)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개요 [본문]

2. 변환 [본문]

3. 수용 1. G 단백질 짝지움 수용체 [본문]

4. 수용 2.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 [본문]

5. 수용 3. 세린/트레오닌 인산화효소 수용체 [본문]

6. 수용 4. 세포질 수용체 [본문]

7. 수용 5. 이온채널 수용체 [본문]

8. 수용 6. 부착 수용체 [본문]

9. 수용 7. 기타 수용체 [본문]

10. 신호전달 증진제 [본문]

11. 신호전달 억제제 [본문]


a. 세포예정사


 

1. 개요 [목차]

⑴ 생명 활동은 약 200-300개의 핵심 생물학적 경로로 구성돼 있음

⑵ 과정

1단계. 수용

2단계. 변환 : 인산기 연쇄전달을 통한 신호증폭이 대표적

3단계. 반응 : 핵에서의 반응은 유전자와 관련 있고 세포질에서의 반응은 단백질과 관련 있음

⑶ 특징

① 특이성 : 리간드 특이성

② 통합성

③ 증폭성 : 반응 증폭

④ 민감 소실 / 적응

⑤ 교신

⑷ 상위(epistatis)

신호전달에서의 상위 : 마지막에 작용하는 신호일수록 상위에 있다고 함

유전법칙에서의 상위 : 먼저 작용하는 유전자가 상위에 있다고 함

 

 

2. 변환 [목차]

⑴ 개요

경우 1. 신호 단백질의 Ser, Thr에 signal이 붙는 경우 : -OH기가 있어서 가능

 Src

○ FAK

○ JAK 

 PTP

STP

경우 2. 신호 단백질의 Tyr에 signal이 붙는 경우 : -OH기가 있어서 가능

경우 1 경우 2가 동시에 일어나지는 않음

경우 3. CheA

 histidine kinase

serin / threonine 경로에 관여하지 않음

 종류 1.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① 개요

○ 공통 원리 : MAPKKK → MAPKK → MAPK 

핵 근처에 있음

1-1. ERK1/2(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모듈 : 포유동물 MAPK cascade

○ 1st. 성장인자, 분열인자

2nd. MAPKKK 단계 : A-Raf, B-Raf, C-Raf

○ 3rd. MAPKK 단계 : MKK1/2

○ 4th. MAPK 단계 : ERK1(MAPK3), ERK2(MAPK1)

○ 5th. 증식, 분열, 분화

1-2. JNK(c-Jun N-terminal kinase) / p38 모듈 : 포유동물 MAPK cascade

○ 1st. 스트레스 자극

○ 2nd. MAPKKK 단계 : MEKK1/4, ASK1/2, MLK1/2/3

○ 3rd. MAPKK 단계 : MKK3/6, MKK4, MKK7

○ 4th. MAPK 단계 : p38α/β/γ/δ, JNK1/2/3

○ 5th. 세포자연사, 염증반응, 세포 분화, 세포 분열 정지

1-3. ERK5 모듈 : 포유동물 MAPK cascade 

○ 1st. 형태 자극

○ 2nd. MAPKKK 단계 : MEKK2/3

○ 3rd. MAPKK 단계 : MKK5

○ 4th. MAPK 단계 : ERK5

○ 5th. 내피세포 루멘 형성

1-4. 효모 MAPK cascade

○ α-factor 페로몬 → Ste11 → Ste7 → Fus3 → 세포 분열 정지, 짝짓기

○ 굶주림 → Ste11 → Ste7 → Kss1 → 필라멘트 신장

○ 고장액 → Ssk2/22 → Pbs2 → Hog1 → 글리세롤 합성

○ 저장액 → Bck1 → MKK1/2 → Mpk1 → 세포벽 리모델링

○ 영양 결핍 → Cak1 → Smk1 → 감수분열, 포자형성

종류 2. CDK(cyclin-dependent kinase)

 기능 : 세포주기의 조절 

종류 및 관련 조절자

 cyclin A, B, D, E

○ CDK 1, 2, 4, 6, 

○ MPF, CDC, CDI, APC

myc

○ p53, p21, mdm

○ Bax, cytochrome C, Caspase

○ Rb, E2F

○ WEE1, CDC25

종류 3. NF-κB 경로 

① 1st. NF-κB는 평소에는 세포질에서 Iκ-B 단백질과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 

Iκ-B는 NF-κB가 핵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함

② 2nd. TNF-α trimer와 같은 신호 분자가 수용체에 결합

③ 3rd. IKK(inhibitor kappa kinase)가 활성화 

4th. 세린-트레오닌 인산화효소인 RIP가 활성화 

5th. Iκ-B가 세포질에서 활성화되어 분해됨

⑥ 6th. NF-κB는 Iκ-B와 분리되어 핵으로 이동

⑦ 7th. NF-κB는 대식세포의 염증반응과 관련된 단백질을 생산

○ 대식세포는 염증성 M1 타입과 항염증성 M2 타입이 있음

○ NF-κB는 대식세포들이 M1 타입으로 전환되도록 함 

종류 4. mTOR(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① 효모에서부터 진화론적으로 보존된 세린/트레오닌 인산화효소

② rapamycin에 의해 억제됨

PI3K → Akt → mTOR → 세포분열, 세포증식, 세포생존, 혈관신생, 영양소 섭취, 에너지 생산

종류 5. GSK3

⑺ 종류 6. CLK

 

 

3. G단백질 짝지움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 [목차]

전체 구조도

 

G 단백질 짝지움 수용체 전체 구조도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 G 단백질 짝지움 수용체 전체 구조도]

 

구성 1. 막수용체 (GPCR)

세포막 수용체 중 가장 다양

② 구조 : 세포막을 7회 관통함 (7TM, 7 trans-membrane). 즉, α 나선이 7개 있음 

③ 5번째 관통부위와 6번째 관통부위에 G 단백질이 부착해 있음

구성 2. G 단백질(G protein)

① 위치 : GPCR의 5번째 관통부위와 6번째 관통부위에 붙어서 세포질에 노출돼 있음

② 기능 : GTP를 GDP로 바꾸는 역할

GPCR에 의해 활성화된 뒤 2차 신호를 형성하는 효소를 활성화하여 신호전달에 기여

○ GTP와 결합하면 active, GDP와 결합하면 inactive

○ PKA, PKC, PKG 등 2차 신호 활성화, 직접 이온 통로 개방 (후각) 혹은 폐쇄

○ 직접 이온 통로를 개방하는 것과 후각이 예민한 것은 관련이 있음

구조 : Gα, Gβ, Gγ 등 세 개의 단위체가 존재함

○ Gβ, Gγ 소단위체는 항상 붙어다님 

○ GPCR에 의해 αβγ 결합체에 붙어 있던 GDP가 떨어져 나가고 α와 βγ 결합체가 분리되면서 G 단백질이 활성화됨

○ βγ 결합체는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C)와 PLC(phospholipase C)를 활성화시킴

α 소단위체의 종류는 다음과 같음

종류 1.s (stimulatory) :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C) 활성화

 1st. G단백질이 GPCR로 이동하여 활성화

○ 2nd. G단백질의 αs 소단위체가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C)를 활성화

○ 3rd. AC는 ATP를 cAMP로 전환

 4th. cAMP는 PKA를 활성화하여 인산화 연쇄반응을 개시함

 종류 2. i (inhibitory) :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C) 억제

 1st. GPCR에 의해 βγ 결합체가 α 소단위체로부터 분리됨

 2nd. αi 소단위체는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C)를 억제 

 3rd. down-signaling이 진행

 무스카린성 수용체를 구성함

 종류 3. Gq : PLC(phospholipase C) 활성화

 1st. 신호물질이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에 결합하면 인지질 가수분해효소 C(PLC)를 활성화시킴

 2nd. 이노시톨 인지질 PIP2PLC에 의해 DAG(diacylglycerol)와 이노시톨 IP3로 분해됨

 3rd. DAG와 IP3 각각은 모두 2차 전달자로 작용하여 서로 다른 경로를 활성화

 4th. IP3는 세포질로 빠르게 확산하여 Ca2+을 저장하고 있는 활면소포체막의 IP3-gated channel의 리간드로 작용하여 소포체에서 세포질로 Ca2+을 이동시킴

 5th. 방출된 칼슘은 칼모듈린과 결합하거나 2차 신호 전달자로 작용하여 PKC(protein kinase C) 및 다른 단백질을 활성화시킴. DAG 또한 단백질 인산화효소 활성에 관여함

 6th. G 단백질의 α 소단위체는 GTP 가수분해효소 활성을 가져 GTP를 GTP + Pi로 가수분해하여 신호전달을 자발적으로 멈출 수 있음 

종류 4.t 

종류 5.O :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C) 억제

종류 6.olf :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C) 활성화

종류 7. Gg

종류 8. G11 : PLC(phospholipase C) 활성화

종류 9. G12,13 

구성 3. small GTPase

 G 단백질과 기능은 같으나 크기가 작음 : G 단백질의 약 1/10 정도

 예 1. rho : 세포막 수용체를 세포골격에 붙여서 세포의 모양 및 이동을 조절

예 2. Ras (rat sarooma)

 타이로신 인산화효소에 의해 활성화되는 GPCR로 신호전달경로에 관여

○ MAPK를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

○ 정상 기능 : 세포 증식, 세포 분화, 세포 생존

○ Ras는 다시 H-Ras, K-Ras, N-Ras 등으로 구분

 Ras 유전자는 원종양 유전자 중 하나 

예 3. ARF1, ARF6 : autophagosome 초기 형성과 관련

구성 4. 관련 조절자

PKA(phosphokinase A)

cAMP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는 serine / threonine kinase

○ PKA는 ligase에 작용하여 지방산을 산화시킴

PKC(phosphokinase C)

○ DAG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는 키나아제

○ 글리코겐 합성효소 등을 인산화시킴

PKG(phosphokinase G)

 PKG에 의해 K+ 채널 개방, Ca2+ 채널 닫음

 cAMP : 2차 전령

 cAMP를 조절하는 G 단백질도 있음

○ 세로토닌에 의해 cAMP가 100배 이상 증가하기도 함

○ adenyl cyclase : ATP를 cAMP로 만듦

○ PDE(phosphodiesterase) : cAMP를 분해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 AC)

○ AC는 ATP를 cAMP로 전환함

○ cAMP는 직접적으로 Ser/Thr 인산화효소의 일종인 PKA를 활성화 : 주로 골격근에서 이루어짐

○ AC로부터의 신호가 사라지면 인산이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cAMP가 AMP로 전환됨

○ Gαs : adenyl cyclase 활성화

○ Gαi : adenyl cyclase 저해

포스포라이페이스 C(phospholipase C, PLC) : 인지질 가수분해효소 C라고도 함

칼모듈린(calmodulin) : Ca2+ 결합단백질

 세포 밖 Ca2+ / 세포 내 Ca2+ = 10,000

○ 식물, 균류, 원생동물에 이르기까지 확인된 모든 진핵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함

Ca2+과 결합하면 그 구조가 바뀌어서 세포 내의 다양한 단백질들과의 결합이 가능해짐

○ 특히 Ca2+/칼모듈린-의존적 인산화효소(CaM-kinase)가 칼모듈린에 의해 활성화되면 특정 단백질들을 인산화시킴으로써 세포의 다른 반응에 영향을 미치게 됨

○ 예 : NO 

PIP2 : phosphatidyl inositol 4,5-bisphosphate

DAG : diacylglycerol

IP3 : inositol triphosphate 

 GAP(GTPase accelerating protein) 

Ras에 의한 Gα의 GTPase 기능을 도움

○ G 단백질을 비활성화

 GEF(guanine-nucleotid exchange factor)

Ras와 GTP의 결합을 촉매

G단백질의 재활성화를 도움

○ GDP → GTP (즉, 새로운 GTP를 가져옴)

 예 1. 글리코겐 분해 조절 : cAMP 

 

아드레날린 신호전달계의 모식도
출처 : 2004 MEET/DEET 자연과학 I

Figure. 2. 아드레날린 신호전달계의 모식도]

 

 1st. 에프네프린(아드레날린)이 GPCR의 일종인 에프네프린 수용체에 결합

 2nd. G단백질이 GPCR로 이동하여 활성화됨

 3rd. G단백질의 αs 소단위체가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C)를 활성화

 4th. AC는 ATP를 cAMP로 전환

 5th. cAMP는 PKA를 활성화하여 인산화 연쇄반응을 개시함

 6th. 인산화 연쇄반응은 최종적으로 glycogen phosphorylase를 활성화하여 글리코젠을 가인산분해시킴

 7th. 포도당 생성 

예 2. 무스카린성 수용체(metabotropic acetylcholine receptor)

① 개요

○ 모든 부교감 절후신경 섬유의 말단시냅스에서 발견

뇌, 심장, 평활근에서도 발견

○ GPCR, 동방결절에는 분포하나 심장근 근섬유에는 존재하지 않음 

○ 무스카린(muscarine)에 반응함

종류 1. M1, M2, M5 : 흥분성 수용체

종류 2. M3, M4 : 억제성 수용체

메커니즘

○ 1st. Gαi가 활성화됨 

○ 2nd. 아세틸콜린(Ach)이 무스카린성 수용체에 결합하면 βγ 소단위가 α 소단위로부터 분리됨

○ 3rd. αi 소단위체는 아데닐산 고리화효소를 불활성화함 : s 단백질과 길항작용

○ 4th. G 단백질의 β-γ 복합체가 K+ 이온채널에 결합함으로써 K+가 세포 밖으로 확산 : 심장 박동수 저하

③ 예시

예 1. 부교감신경에서 발견되는 아세틸콜린 수용체

예 2. 심장세포와 부교감신경 연접에 다수 존재함

예 3. 일산화질소(NO)와 혈관이완모형

④ 억제제

아트로핀 : 무스카린성 독극물 해독제, 교감신경 항진

사린, DIFP, 타분 : 아세틸콜린 에스터레이스의 공유결합성 억제제

예 3. 아드레날린 수용체(에피네프린 수용체, adrenergic receptor, adrenoceptor

카테콜아민 호르몬,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베타 차단제, β2 작용제, α2 작용제가 결합함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주로 소동맥에 위치하고 위치에 따라 기능과 종류가 다소 다름

 간세포 : 에피네프린 β 수용체 → 혈당량 증가

○ 골격근 혈관 : 에피네프린 β 수용체  혈관 확장

○ 장 혈관 : 에피네프린 α 수용체 → 혈관 축소

○ 심장근 및 기타 평활근 소동맥 : 에피네프린 β 수용체 → 소동맥 이완 → 혈류 증가 → 심장근 및 기타 평활근 수축

○ 내장근 소동맥 : 에피네프린 α 수용체  소동맥 수축 → 내장근에 가는 혈류 감소 → 내장근 이완

③ 총 9개의 하위 유형이 있음 : α1A, α1B, α1D, α2A, α2B, α2C, β1, β2, β3

α1은 Gαq protein과 coupled 돼 있음. 내장기관에 혈액을 공급하는 소동맥에 분포

α2는 Gαi protein과 coupled 돼 있음

β는 모두 Gαs protein과 coupled 돼 있음

○ β1 : 심장에만 있음. 동방결절과 심실근에 분포

○ β2 : 근골격계 혈액 공급하고 소동맥에 분포

β2와 β3는 Gαi protein과도 coupled 돼 있음

예 4. G 단백질 기능 억제

① 콜레라 독소 : AB 독소

1st. AB 중 B는 GPCR과 반응하고 A는 세포 내로 들어감

○ 2nd. GPCR은 s를 활성화시킴

○ 3rd. GαsADP-ribose와 반응하여 GTPase 활성 감소

○ 4th. GTPase의 활성 감소는 아데닐산 고리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

○ 5th. 아데닐산 고리화 효소는 ATP로부터 cAMP를 생성시킴

○ 6th. cAMP는 PKA를 증가시킴

○ 7th. PKA에 의해 ATP가 CFTR 통로의 R domain에 붙어 채널을 개방

○ 8th. Cl-의 방출이 증가하고 삼투현상으로 인해 물의 방출이 증가해 설사, 탈수가 유발됨

② 백일해 독소

1st. ADP-ribose와 Gi가 반응하여 Gi의 활성이 감소함

○ 2nd. 아데닐산 고리화효소의 활성이 증가함

○ 3rd. cAMP가 증가하여 감염세포에서 화학 주성물질의 분비가 감소함

○ 4th. 면역세포의 유인이 감소하여 감염이 증가하고 호흡기 질환이 유발됨

예 5. 기타 GPCR의 예시

갈색지방 내 노르에피네프린 수용체

간상세포의 트랜스듀신

후각신경세포

 소마토스타틴 수용체 : SSTR1 ~ SSTR5

FSH 수용체

성게 발생 과정 중 다수정 완만 방지 기작 

 

 

4. 티로신 인산화효소 수용체(tyrosine kinase receptor, receptor tyrosine kinase, RTK) [목차]

구성 1. RTK

① TKD : tyrosine kinase domain

구성 2. 관련 조절자

rho : 세포막 수용체를 세포골격에 붙여서 세포의 모양 및 이동을 조절

② Ras (rat sarooma)

 타이로신 인산화효소에 의해 활성화되는 GPCR로 신호전달경로에 관여

○ MAPK를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

○ 정상 기능 : 세포 증식, 세포 분화, 세포 생존

○ Ras는 다시 H-Ras, K-Ras, N-Ras 등으로 구분

 Ras 유전자는 원종양 유전자 중 하나 

③ PI3K(PI3-kinase) : PI(4,5)-P2을 PI(3, 4, 5)P3로 만들어 PDK1, Akt가 결합하게 함

JAK-STAT : STAT1,2, SH2가 관여함

MAPK

Src family

FAK  

⑧ myc 

 메커니즘

1st. 리간드 결합 : 성장인자와 수용체가 결합

2nd. 자가인산화 : 각 수용체는 상대편 티로신에게 인산기를 전달해 주면서 스스로 인산화할 수 있음

ATP binding site를 가지고 있으므로 ATP를 이용하여 인산화

3rd. GRB2와 같은 매개 단백질이 결합하여 Sos 인자를 찾게 됨

Sos 인자 : GEF로 작용하여 Ras에서 GDP를 분리시키고 GTP를 결합시켜 활성화

GEF(guanine-nucleotid exchange factor) : G단백질의 재활성화를 도움. GDP → GTP (즉, 새로운 GTP를 가져옴)

4th. Sos 인자는 Ras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Ras는 Raf를 활성화

성장인자와 결합하는 거의 모든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는 Ras 단백질을 활성화시킴

5th. Raf는 MEK 인산화과정을 촉매

Raf는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

6th. MEK 인산화과정 중 MAPK가 활성화된 뒤 핵 안으로 이동

 MAPK : 순서대로 반응하고 ERK라고도 함

ERK1/2 : GRB2 / SOS를 피드백 억제

7th. 비활성 전사인자였던 myc 전사인자가 활성화되고 사이클린 D가 생성됨

8th. 위와 같은 신호전달은 티로신 탈인산화효소에 의해 인산화된 부위의 인산기를 떼어냄으로써 중지됨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 

① imatinib (Glivec)

 dasatinib (Sprycel)

 sunitinib (Sutent)

 nilotinib (Tasigna)

 sorafenib (Nexavr)

temsirolimus (Torisel)

⑦ nintedanib : 폐섬유증 치료제

pirfenidone : 폐섬유증 치료제

예 1.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구성 1. EGFR

○ ErbB1 또는 HER-1이라고도 함

○ 구조 : 170 kDa 당단백질

이 중 단백질은 118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1개의 폴리펩타이드 

○ 초기 전구체는 12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1개의 폴리펩타이드 

 대장암의 60 ~ 80%가 EGFR을 과발현

구성 2. EGF

○ 구조 : 6 kDa. human EGF는 5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됨 

EGFR 신호전달 경로

○ 1st. EGF와 EGFR이 결합하면 구조의 변화를 일으켜 TKD가 활성화

○ 2nd. phosphorylated EGFR로부터 다음과 같은 종류의 signialing protein이 결합

종류 1. SH2(src homology-2) : SH2의 아미노 말단이 티로신의 sequence를 인식

종류 2. Shc의 PTB(phosphotyrosine binding) domain : PTB 도메인의 카르복시 말단이 결합

○ 3rd. 주요 downstream signaling

○ Ras → Raf → ERK

○ PI3K → Akt → mTOR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3. EGFR 신호전달 경로]

 

④ 양성피드백 조절자

○ ERBB 리간드 : TGFα, HB-EGF 등은 위 신호전달 경로 후 발현이 증가

⑤ 음성피드백 조절자

○ DEP(density-enhanced phosphatase-1)

○ SOCS5(cytokine signaling-5)

⑥ 억제제

○ gefitinib (Iressa) : EGFR-TKI(EGFR-tyrosine kinase inhibitor)를 억제하는 항암제. FDA-approved 

○ erlotinib (Tarceva)

cetuximab (Erbitux) : FDA-approved

IgG1 isotype

○ binding site : Q384, Q408, H409, K443, K465, I467, S468, F352, D355, P387

○ immunogenic activity가 있음

panitumumab (Vectibix) : FDA-approved 

gG2 isotype

binding site : P349, P362, D355, F412, I438

○ immunogenic activit가 없음 

○ lapatinib (Tyverb) : TKD를 억제하여 downstream signalling을 직접 억제. FDA 승인

afatinib : tyrosine-kinase domain을 억제하여 downstream signalling을 직접 억제. FDA 승인

 sapitini

예 2. HER2 (erbB-2) : CD340, Neu, Erbb2 (rodent), ERBB2 (human)이라고도 함

구조 (세포 외) Ⅰ - Ⅱ - Ⅲ - Ⅳ - 세포막 통과 부분 - TKD (세포 내)

Ⅱ : dimerization domain

기능

HER2가 과발현되면 자가인산화(auto-phosphorylation)로 인해 세포 과다 증식 : 나쁜 예후, 종양형성 등을 유도함

○ ovarian cancer case의 15-40%에서 과발현됨

메커니즘 : PI3-kinase signalling을 이용함

④ 양성피드백 조절

○ ERBB2 : 한 번 활성화되면 그 이후의 활성화가 용이함

○ ERBB2를 포함하는 heterodimer

○ ERBB 리간드 : TGFα, HB-EGF 등은 위 신호전달 경로 후 발현이 증가

⑤ 억제제 

pertuzumab : Ⅱ를 억제하여 수용체의 dimerization을 억제. FDA 승인

○ trastuzumab, margetuximab : Ⅳ을 억제. ADCC와 관련. FDA 승인

○ trastuzumab emtansine (T-DM1) : trastuzumab에 항암제를 결합시킨 약제. FDA 승인

trastuzumab deruxtecan : trastuzumab에 항암제를 결합시킨 약제. FDA 승인

○ lapatinib : TKD를 억제하여 downstream signalling을 직접 억제. FDA 승인

afatinib : TKD를 억제하여 downstream signalling을 직접 억제. FDA 승인

 neratinib : TKD를 억제하여 downstream signalling을 직접 억제. FDA 승인

sapitinib

CI-1033

예 3. HER3 (erbB-3)

① 억제제 : sapitinib

예 4. IGF-1R (insulin-like growth factor receptor)

① 구조

○ extracellular ligand-binding domain : 두 개의 α 소단위체가 존재함

○ transmembrane domain

○ cytoplasmic domain : 두 개의 β 소단위체가 존재함

○ 총 3개의 이황화결합이 있음 : α-α, α-β, α-β

○ β 소단위체는 티로신 인산화효소로 기능함

② IGF-1R은 IGF-1과 IGF-2를 리간드로 올 수 있음

③ IGF-1R이 활성화되면 다음 세 신호전달 경로가 작동함

○ STAT3

○ PI3K → AKT (PTE가 억제함) → mTOR → S6K

○ GRB2 → Ras / Raf → MEK → MAPK

④ IGF-1R은 악성 종양을 유발시킴

⑤ 억제제 : AXL1717, linsitinib (현재 3상 진행중)

예 5. IR (insulin receptor)

① 구조

○ extracellular ligand-binding domain : 두 개의 α 소단위체가 존재함

○ transmembrane domain

○ cytoplasmic domain : 두 개의 β 소단위체가 존재함

○ 총 3개의 이황화결합이 있음 : α-α, α-β, α-β

○ β 소단위체는 티로신 인산화효소로 기능함

실험 : HepG2 등의 암세포에서는 IGF-1R과 IR 모두 과발현되어 IGF-1R/IR heterodimer를 형성함

○ IGF-1R homodimer : IGF-1과 IGF-2를 리간드로 올 수 있음

○ IR homodimer : IGF-2와 인슐린이 리간드로 올 수 있음

○ IGF-1R/IR heterodimer : IGF-1, IGF-2, 인슐린이 리간드로 올 수 있음

○ IGF-1R/IR heterodimer는 리간드 결합 부위가 넓기 때문에 항암제 감수성이 큼

○ anti-IGF1R antibody는 IGF-1R/IR heterodimer에 의존하는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음

예 6. Bruton's tyrosine kinase : 이를 타겟팅하는 약제로 ibrutinib이 있음

 

 

5. 세린/트레오닌 인산화효소 수용체 [목차]

종류 1. TGF-β 수용체

① 1st. TGF-β1 리간드와 TGF-βRⅡ 수용체가 결합하여 TGF-βRⅠ을 형성

② 2nd. TGF-βRⅠ은 Smad2, Smad3를 활성화 : 이 과정은 Smad7에 의해 억제

③ 3rd. 활성화된 Smad2, Smad3는 Smad4와 결합하여 전사인자로 작용

④ 기능 : 상처 회복, 혈관 신생, 면역 조절, 암 형성에 관여

 

 

6. 세포질 수용체 [목차]

개요

 결합 : 소수성 리간드 (예 : 스테로이드 호르몬)

 위치 : 세포질 내

 기작 : 직접 핵속으로 유입 → 전사인자

예 1. PPAR

① 구조 : A/B 영역 (N-말단) + C 영역 (진화적으로 보존된 DNA 결합 영역) + E 영역 (호르몬이 결합하는 C-말단)

종류 1. PPARα : 간, 골격근, 신장, 심장, 혈관에 많고 지방, 연골에 적음

종류 2. PPARβ/δ : 전신에 걸쳐 발현되고 뇌, 위, 결장에서 비교적 높게 발현

종류 3. PPARγ : 포유류의 지방 조직, 혈관 평활근, 심장근에서 발현. 세포분열을 조절하는 중요한 전사인자

2. 프로스타글란딘 수용체(PtgR)

① 프로스타글란딘 : 염증반응(열 발생), 점막 형성, 두통 야기, 혈액 응고, 평활근 수축 (여성 자궁수축)

② 프로스타글란딘은 거의 모든 세포에서 만들어지고 분자 구조가 불안정하여 국소조절자로 작용

③ 대식세포 등의 면역세포가 염증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프로스타글란딘을 이웃 세포의 세포질로 이동하도록 함

3. 에스트로겐 수용체(ER, estrogen receptor) 

지용성 호르몬 

○ 경로 : 혈장 운반단백질에 결합하여 조직까지 이동 → 세포질 내 수용체 → 유전자 발현

○ 필요할 때마다 합성 후 분비

○ 스테로이드 호르몬, 티록신, 일산화질소(NO), 부신피질 호르몬 

② 유전적 경로 : 에스트로겐이 ERα 또는 ERβ와 결합한 뒤 target DNA 내 ERE 또는 AP-1에 작용하여 전사 활성

③ 비유전적 경로 : 에스트로겐 + ERα / ERβ 또는 에스트로겐 + GPR30이 MAPK, cAMP를 포함하는 신호전달계를 작동

 4. 그렌자임(granzyme)

① 단백질 분해효소의 일종으로 세포 내 섭취를 통하여 감염세포 내로 유입

② 표적세포 내에 아톱토시스를 유도하여 핵과 세포질을 조각냄

 5. cGAS-STING pathway

① 1st. dsDNA(double-strand DNA)와 cGAS(cyclic GMP-AMP synthase) 효소가 결합

② 2nd. dsDNA-cGAS 복합체가 cGMP와 결합

○ ENPP1에 의해 결합이 억제됨

③ 3rd. dsDNA-cGAS-cGMP 복합체가 STING(stimulatory of interferon gene)을 활성화

STING : TMEM173, MPYS/MITA/ERIS라고도 함. STING1 gene에 의해 암호화돼 있음

④ 4th. 활성화된 STING은 골지체로 이동

⑤ 5th. TBK1/IRF3, IKK-IκB 신호전달이 활성화

⑥ 6th. 최종적으로 IFN-β와 IL-6 사이토카인 방출

⑦ 기능 

내재성 면역반응 : 이 경로에 의해 세포가 세포 내 pathogen에 의해 감염된 경우 type I interferon이 생성

감염 세포의 감염원이 인접 세포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 

 

 

7. 이온채널 [목차]

⑴ 리간드 의존성 이온채널

①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icotinic receptor, nAhR) : ionotropic acetylcholine receptor라고도 함

○ 개요

자율 신경절, 신경-근육 이음부, 중추신경계 등에서 발견

동방결절, 심장근 근섬유에 존재하지 않음

흥분성 수용체로 빠른 신경전달을 가능하게 함

○ 아세틸콜린이 결합하면 Na+과 K+이 모두 투과할 수 있는데 이때 Na+의 투과성이 더 커서 탈분극이 일어남

니코틴에 반응하기 때문에 니코틴성 수용체라는 이름이 붙음

○ 구조 : pentamer

○ muscle-type : (α1)2β1δε 또는 (α1)2β1δγ

○ ganglion-type : (α3)2(β4)3

○ heteromeric CNS-type : (α4)2(β2)3

○ further CNS-type : (α3)2(β4)3

○ homomeric CNS-type : (α7)5

○ 종류

○ N1 수용체 : 근신경 접합부에 위치함

○ N2 수용체 : 뇌, 수상돌기, 교감신경에 존재함

○ 예시

○ 활동전위 생성에 관여하는 나트륨 채널

골격근에 위치하는 아세틸콜린 수용체

○ 억제제

 사린, DIFP, 타분 : 아세틸콜린 에스터레이스의 공유결합성 억제제

○ 큐라레 : 니코틴성 수용체를 닫아버림. 골격근 이완제

② Na+ 채널

○ 식물의 튜브 크라렌 : 기질 의존성 나트륨 통로 저해제로 작용

⑵ 전압의존성 이온채널 (예 : 축삭)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 : 전압 의존성 Na+ 통로의 비가역적 저해제로 작용

② 테트라에틸암모늄(tetraethyllammonium) : 전압 의존성 K+ 통로를 차단

보톡스 : 근신경접합부에서 전압 의존성 Ca2+ 통로 차단 →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분비 방해 → 근육 마비

⑶ 기계적 자극 의존성 이온채널

청각수용기

평형감각수용기

피부감각수용기 

 

 

8. 부착 수용체 [목차]

종류 1. 인테그린(integrin)

① 1st. Src, PYK2, FAK, SOS, GRB2, RACK1

② 2nd. Rac + GTP 

③ 3rd. PAK

④ 4th. Raf1, MEK1

⑤ 5th. Erk1/2, MSK1/2

⑥ 6th. Fos, Ets, Elk, HIF1, STAT3, CREB, c-Jun 

 

 

9. 기타 수용체 [목차]

⑴ TNF 수용체 

① TNFR

TNFR1 : 염증반응, 세포예정사와 관련. 55 kDa

TNFR2 : 항염증반응과 관련. 75 kDa

이밖에도 염증반응을 수행하는 비슷한 구조의 수용체가 TNFR superfamily를 구성함 (예 : Fas 수용체)

② TNF(tumor necrosis factor)

TNF-α : 막에 있는 mTNF-α와 물에 녹아 있는 형태인 sTNF-α가 있음

TNF-β

③ 세포사멸 신호전달 경로

○ TNFR → TRADD → FADD → Caspase 8 → Caspase 3 → apoptosis

○ TNFR → TRADD TRAF2 → clAPS → apoptosis

○ TNFR → TRADD → TRAF2 → MEKK1/4 → MEKK4/7 → JNK → apoptosis

○ 1st. Fas 또는 TNF가 수용체와 결합

○ 2nd. CASP8(caspase 8)과 adaptor가 결합하여 DISC 형성

○ 3rd. DISC는 caspase 3을 활성화

○ 4th. CASP3(caspase 3) 세포사멸을 일으킴

세포생존 및 염증반응 신호전달 경로

○ TNFR → TRAF2 → MEKK1/4 → MEKK4/7 → JNK → AP-1 → inflammation & survival

○ TNFR → TRAF2 → ASK1 → MEKK4/7 → JNK → AP-1 → inflammation & survival

○ TNFR → TRAF2 → RIP → MEKK3/6 → MAPK → inflammation & survival

○ TNFR → TRAF2 → NIK → IKK → NF-κB → inflammation & survival

○ TNFR → TRAF2 → RIP → IKK → NF-κB → inflammation & survival

톨 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

① TLR의 종류

TLR-1 : multiple triacyl lipopeptide

TLR-2 : lipoteichoid acid. 내재적 면역을 활성화

TLR-3 :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dsRNA 인식

TLR-4 : 그람음성균이 가지고 있는 LPS(lipopolysaccharide) 인식

TLR-5 : 원핵생물 편모의 단위체인 플라젤린(flagellin) 인식

TLR-6 : multiple diacyl lipopeptide

TLR-7 : single-stranded RNA

TLR-8 : small synthetic compound, single-stranded RNA

TLR-9 : 메틸화되지 않은 CG 서열(CpG DNA)과 oligodeoxynucleotide DNA 인식

경로 1. MyD88-dependent pathway 

○ 개요 : 신호전달을 통한 메커니즘 경로. NF-κB를 활성화시킴. TNF-α와 IL-1β를 증가시킴

TLR → MyD88 → TRAF6 → NF-κB NF-κB가 핵 내로 이동

○ TLR → MyD88 → TRAF6 MAPK → AP-1 

경로 2. TRIF-dependent pathway 

○ 개요 : 엔도좀을 통한 메커니즘 경로

TLR → TAM, TRIF IRF3 → IRF3가 핵 내로 이동 → type I IFN

TLR TAM, TRIF   TRAF6 → NF-κB → NF-κB가 핵 내로 이동

TLR → TAM, TRIF → TRAF6 MAPK → AP-1

⑶ notch signaling 

① 기능 : 세포 운명 결정, 세포 분열, 세포 분화, 세포 사멸 등

포유류는 4종류의 notch 수용체를 가지고 있음 : NOTCH1, NOTCH2, NOTCH3, NOTCH4

⑷ Wnt signaling : Frizzled receptor와 관련

⑸ Hedgehog signaling

enzyme-coupled receptor

경우 1. 수용체 자체에 촉매 domain이 있는 경우

경우 2. 조효소가 도와주는 경우

③ 두 경우 모두 ECR의 dimerization을 일으켜 신호를 전달하게 함

⑺ AGE-RAGE

⑻ Rap1

⑼ NOD-like receptor

⑽ YAP/TAZ signaling

⑾ hippo signaling

⑿ FGFR pathway

⒀ E-cadherin-integrin pathway

 

 

10. 신호전달 증진제 [목차]

AMPK : A769662

 

 

11. 신호전달 억제제 [목차]

⑴ mTORC1 inhibitor : rapamycin (sirolimus)

 MEK1/2 inhibitor : trametinib (Mekinist), cobimetinib, refametinib

 ERK1/2 inhibitor : MK-8353, SCH772984

AKT1/2 inhibitor : MK-2206

⑸ MAPK9 inhibitor : AS602801

 PI3K inhibitor : LY294002, taselisib, alpelisib, MK-2206, idelalisib (CAL-101), dactolisib (BEZ-235), everolimus, pictilisib (GDC-0941), apitolisib (GDC-0980)

IκB inhibitor : Bortezomib

sPLA2-IIa inhibitor : cFLSYR, c(2NapA)LS(2NapA)R

AMPK inhibitor : dorsomorphin

인산화 신호전달 억제제 : lapatinib

PARP1/2 inhibitor : olaparib

PLK4 inhibitor : CFI400945

p38 inhibitor : VX-745

CHEK1/2 inhibitor : AZD-7762

 CHEK1-selective inhibitor : SAR-020106, rabusertib

CHEK2-selective inhibitor : CCT-241533

 BRAF inhibitor : dabrafenib, vemurafenib (Zelboraf), PLX4720

 JNK inhibitor : JNK-IN-8

 WEE1, PLK1 inhibitor : MK-1775

 BCL2, BCL-XL, BCL-W inhibitor : navitoclax

⒆ TGF-βR inhibitor : RepSox

⒇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 : imatinib (Glivec), dasatinib (Sprycel), sunitinib (Sutent), nilotinib (Tasigna), sorafenib (Nexavr), temsirolimus (Torisel)

 

입력: 2021.01.24 23:48

수정: 2022.06.13 1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