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日本語 English

【생물학】 2강. 세포 이론

 

2강. 세포 이론(cell theory)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개요 [본문]

2. 구조 1. 내막계 [본문]

3. 구조 2. 물질대사 세포소기관 [본문]

4. 구조 3. 넓은 의미의 세포골격 [본문]

5. 구조 4. 세포질 [본문]


 

1. 개요 [목차]

⑴ 세포 : 모든 생물의 기능적, 구조적 단위

⑵ 세포 이론(cell theory) 

George Palade : 세포생물학의 아버지. 전자현미경을 직접 개발

내용 1. 모든 생명체는 세포로 구성

세포 : 생명현상이 일어나는 계. 세포막으로 둘러싸인 계

세포는 세포소기관들로 구성

세포소기관은 공통적인 생체 고분자로 구성

 내용 2. 모든 세포는 세포로부터 옴

○ 예외 : 화학진화론

⑶ 세포의 개수

① 인간의 몸은 약 260 종류의 세포로 구성

② 성인의 몸은 약 100조 개의 세포로 구성

⑷ 세포의 크기

① 증가 요인 :포의 크기는 세포활동을 위한 DNA, 단백질 등을 담기 위해 충분히 커야 함

② 감소 요인 (표면-부피가설) : 세포 활동의 효율(∝ 표면적 ÷ 부피)을 높이기 위해 충분히 작아야 함

③ 실제 세포의 크기는 증가 요인과 감소 요인의 균형점(trade-off)에서 결정됨

⑸ 세포의 종류 : 원핵세포(prokaryotic cell)와 진핵세포(eukaryotic cell)

원핵세포 : 박테리아, 남조류 등

지구상에서 가장 처음 나타난 세포 유형

○ 직경 : 약 1 ㎛ ~ 10 ㎛

공통 1. 세포막, 유전체, 리보솜 존재

공통 2. 선모, 편모, 세포벽, 세포벽을 둘러싼 캡슐이 있음

차이 1. 막성 소기관이 없음

차이 2. 진정한 핵을 갖고 있지 않음. 대신 핵양체(nucleoid)가 있음

차이 3. E. coli 등의 대부분의 원핵세포는 1개의 원형 DNA를 가짐 : 일부는 여러 개의 원형 DNA를 가짐

진핵세포 : 동물세포, 식물세포, 균류, 대부분의 조류 등

○ 직경 : 약 10 ㎛ ~ 100 ㎛

○ 동물세포는 원형이고 식물세포는 사각형임

공통 1. 세포막, 유전체, 리보솜 존재

공통 2. 일부가 섬모, 편모, 세포벽, 세포벽을 둘러싼 캡슐을 가짐

차이 1. 핵과 막에 싸여 있는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음

차이 2. 핵막이 있음

차이 3. 여러 개의 선형 DNA로 구성돼 있음

⑹ 세포의 종류 : 동물세포와 식물세포

 

  동물세포 식물세포
중심립 중심립 존재 (운동 담당) 중심립 없음
액포 액포 없음 액포가 30% 부피를 차지
미토콘드리아 1000 ~ 3000개 100 ~ 200개
엽록체 없음 있음
세포벽 없음 있음

 

Table. 1. 동물세포와 식물세포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구조
출처: 김재근 외 4인, 생활속의 생명과학, 바이오사이언스, 2011년, p.46.

Figure. 1.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구조]

 

세포의 구조

① 내막계(endomembrane)

② 물질대사 세포소기관

③ 넓은 의미의 세포골격

세포질(cytoplasm)

 

 

2. 구조 1. 내막계(endomembrane) [목차]

원형질막(세포막, plasma membrane or cell membrane

① 구성 : 지질, 단백질

② 기능 : 물질 수송, 형태 유지, 신호 전달, 근육 수축, 신경 충격

막의 구조 : 인지질 머리 - 소수성 꼬리 + 소수성 꼬리 - 인지질 머리

인지질 이중층의 자발적 막 형성 : 인산 머리는 물과 닿는 표면으로, 소수성 꼬리는 막의 안으로 향함

유동모자이크 모델

○ 막단백질 분자들이 인지질의 유동적인 이중층에 실려서 움직이는 모자이크

○ FRAP 실험과 FLIP 실험에 의해 밝혀짐

○ 막의 좌우이동은 105 ~ 107 번/s

막 투과성

비전하성, 지용성 물질은 확산

선택적 투과성(selective permeability) : 수용성 분자

○ 이유 : 소수성 꼬리가 인지질 머리보다 길어 친수성 분자에 비해 소수성 분자는 단순확산을 통해 세포막 통과

유동성 요인 1. 변이온도(Tm)

○ 경직된 상태의 세포막이 유동적인 상태로 급작스럽게 변하는 온도

○ 겔-졸 변환과 관련 있음

유동성 요인 2. 세포골격에 부착된 막단백질의 이동 제한 (예 : 카베올린)

 유동성 요인 3. 밀착연접으로 막단백질의 이동 제한

유동성 요인 4.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 온도가 높을 때는 인지질이 활발히 운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온도가 낮을 때는 인지질이 응집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막의 유동성 유지에 도움, 친수성 물질 투과 ×

온도에 따라 인지질 내 불포화 지방산(유동성)의 함량 및 지방산 길이(유동성)를 변화시켜 유동성 조절

 

Table. 2. 인지질 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

 

인지질의 비대칭성 : 활면소포체에서 만들어진 인지질 소낭은 비대칭성이 없음. 소낭이 원형질막과 결합 후 flippase와 floppase에 의해 비대칭성이 만들어짐

flippase : 바깥층에서 안쪽층으로 인지질의 이동을 돕는 효소

floppase : 안쪽층에서 바깥층으로 인지질의 이동을 돕는 효소

인지질의 비대칭성의 예시

비대칭성이 깨지면 세포자살 신호전달이 일어남. 이를 위해 flip-flop 현상이 관여

소포체의 막 신장 메커니즘에도 flippase 관여

세포막 고정법 실험(patch clamp method)

 살아있는 세포의 세포막에 패치를 붙여서 전기 생리학을 연구하는 데 사용하는 기술

핵(nucleus)

구성 1. 핵막(nuclear envelop) : 이중막. 선택적 투과성이 있는 핵공이 많음

핵막의 외막은 소포체와 연결, 내막은 중간섬유로 골격 유지

핵공 : 8량체 통로. 뉴클레오티드, 아미노산, 포도당 등 단량체는 자유롭게 이동

구성 2. 핵질(nucleoplasm)

구성 3. 인(nucleolus) : 염색질이 모여 있는 부분

○ rRNA 합성, telomerase 합성, 리보솜 소단위체의 조립 장소

○ 막이 없음. 진하게 보임

핵 내부 중 가장 쉽게 관찰되는 구조

리보솜(ribosome)

모든 세포에서 발견

단백질 합성을 위한 작업대

자유 리보솜(free ribosome)과 부착 리보솜(bound ribosome)으로 분류됨

소포체(ER, endoplasmic reticulum) : 핵막과 연결된 채로 세포질로 뻗어 있는 막으로 된 큰 네트워크

조면소포체(rough ER, RER) : 리보솜이 박혀 있는 소포체. 단백질을 분비함

vesicle의 budding이 일어나는 부분은 리보솜이 없이 매끈

기능 1. 소낭 및 세포막 형성

기능 2. 1차 당화 : N-당화(N-linked protein glycosylation). 아스파라긴 등이 관여

○ 예 : 만노오스, 혈액형

기능 3. 소포체 신호 서열 제거 : 소포체에 단백질이 배달되기 전에 이뤄지나 일반적으로 조면소포체의 역할로 봄

기능 4. 이황화 결합

활면소포체(Smooth ER, SER) : 리보솜이 없는 소포체

기능 1. 지질·인지질 합성, 지방산 길이 연장, 지방산 불포화

○ 보통 포화지방에서 불포화지방으로 합성

○ 후기 단계의 활면소포체는 스테롤을 합성

기능 2. 칼슘 저장(Ca2+ 펌프) 및 방출(IP3 dependent Ca2+ channel)

○ 예 : 근소포체(SR, sarcoplasmic reticulum)

기능 3. cytochrom p450 : 독성 제거. 지용성 물질에 -OH기를 붙여 세포외 방출. OH기는 반응성을 높임

기능 4. 혈당량 조절 : glycogen phosphorylase

기능 5. 포도당 신생합성 : glucose-6-phosphatase (간에만 있음)

알코올 분해와 숙취

골지체(Golgi apparatus) : 적혈구에는 없음

구조

시스터나(cisternae) 구조 : CGN(cis-Golgi network) + medial + TGN(trans-Golgi network)

한쪽 면은 계속 받기만 하는 부분(cis). 다른쪽 면은 계속 소낭을 보내는 부분(trans)

② 형성

○ cisternal maturation model : 골지체의 trans 부분은 사라지고 cis trans가 됨. 소포체로부터 온 소낭이 cis가 됨

○ vesicular transport model : 크기가 작은 물질은 골지체 진화를 거치지 않고 소낭을 통해 직접 운반되므로 빠름

분비방식

constitutive secretory pathway : 연속적으로 분비. 세포막 단백질 및 세포외기질 (예 :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signal mediated secretory pathway : 호르몬에 의해 분비되는 단백질

리소좀 경로(lysosome pathway)

기능 1. 단백질 분류 : 리소좀

기능 2. 세포 내 목적지로 분비

기능 3. 단백질 절단 → 단백질에 활성 부여 : 인슐린 절단, 소화효소 절단

기능 4. 2차 당화 : O-당화(O-linked protein glycosylation). 세린, 트레오닌이 관여

○ O-당화의 예 : O-GlcNAcylation

○ 생성물의 예 : 중심단백질과 콘드로이틴 황산염, 케라틴 황산염

기능 5. 식물세포에서 펙틴 및 헤미셀룰로오스 합성

○ 셀룰로오스는 식물세포막에 있는 셀룰로오스 synthase에 의해 생성

기능 6. 유미입자 생성

기능 7. 기타 번역 후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황화(O-sulfation)

○ 인산화(phosphorylation)

리소좀(용핵소체, lysosome) 

① 약 50여 종 이상의 산성 가수분해효소가 담긴 단일막 소포

○ lipofuscin 등

식물세포에는 리소좀이 없으며 액포가 대신함

② 기능

○ 표적 분자들, 손상된 수용체, 손상된 세포소기관 소화

자살캡슐(suicide capsule)이라고 불리는 이유

 1st. 조면소포체에서 미성숙 리소좀 분해효소 표면에 mannose라는 5탄당이 붙음(당화). flippase 관여

 2nd. 미성숙 리소좀 분해효소가 골지체 cis로 이동

 3rd. 골지체에서 mannose가 UTP에 의해 인산화되어 M-6-ⓟ(mannose-6-phosphate)가 됨

 4th. M-6-ⓟ가 골지 trans에 도달하면 M-6-ⓟ가 막 표면의 M-6-ⓟ 수용체와 결합

M-6-ⓟ가 수용체에 결합하면 가수분해효소를 리소좀 내로 유인

 5th. 당단백질이 소낭에 싸인 뒤 세포막으로부터 나온 성숙 엔도좀(endosome)과 결합

엔도좀 : 내포작용이 일어나는 소낭. H+ pump를 가짐

○ 단백질에 M-6-ⓟ를 표지하는 효소에 문제가 생기면 리소좀으로 산성 가수분해효소를 보낼 수 없음

 6th. 리소좀 완성 : H+ pump가 작동하여 내부 pH가 5가 되면 M-6-ⓟ가 수용체로부터 유리

 7th. 식균작용(phagocytosis)에 의해 세균 등이 세포 내로 들어와 식포(phagosome)를 형성

 8th. 유기물이 담긴 식포와 리소좀이 만나 파고리소좀(phagolysosome)이 됨

○ 리소좀 내 가수분해효소가 유기물을 모두 분해

소좀 내 낮은 pH가 가수분해를 도움

 9th. 남은 찌꺼기들은 외포작용(exocytosis)에 의해 세포 밖으로 버려짐

 저해제

○ Mannan : mannose receptor-mediated endocytosis 저해제

○ bafilomycin : lysosomal inhibitor

 리소좀 질병

○ 원리 : 리소좀 내 분해효소 ↓ → 분해물질 축적 → 리소좀 내 농도 ↑ → 물 유입 → 용혈 → 주변 세포에 피해

예 1. 테이삭스병(Tay-Sachs' disease) : 신생아가 눈이 멀거나 귀가 들리지 않음

예 2. 폼페병(Pompe's disease) : 근육에서 발생

예 3. 통풍 : 요산과 관련

액포(vacuole)

① 특징 

 리소좀과 기능/기원이 같아 골지체에서 생성됨

식물세포에만 있음 

가수분해보다 재활용에 초점

식물세포에는 리소좀이 없으며 액포가 대신함 

종류 1. 식포

종류 2. 수축포(contractile vacuole) : 원생동물은 내부의 물을 배출하기 위해 수축포를 가지고 있음

종류 3. 중심액포 : 물, 색소, 소화효소, 독, 노폐물을 포함한 다양한 분자 저장. 내부 압력을 유지하여 식물의 지지 도움

⑻ 퍼옥시좀(peroxisome) : 과산화수소를 분해하여 산소 라디칼이 생기는 것을 방지

① 약 50여 종의 효소를 보유한 단일막 소포, 글리콜산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도 함유

② 생성 : 소포체로부터의 소포로부터 생성. 골지체는 퍼옥시좀을 생성하지 않음

효소

○ 초과산화물제거효소(SOD, superoxide dismutase) : 2O2- + 2H+ → O2 + H2O2

카탈라아제(catalase) : 2H2O2 → 2H2O + O2. 다른 세포소기관에는 없음

④ 반응

○ ROS(reactive oxygen species) : 산소로부터 만들어지는, 반응성이 강한 화학종

○ radical : superxoide(O2·-), hydroxyl radical (·OH)

○ nonradical : singlet oxygen (1O2), hydrogen peroxide (H2O2)

ROS cascade reaction

 

ROS cascade reaction
출처 : 서울대학교 임상단백질체학(Eugene C. Yi 교수님)

Figure. 2. ROS cascade reaction]

 

○ O2 + e- → O2·-

○ 2H+ + 2O2·- → H2O2 + O2 

○ H2O2 + e- → HO- + ·OH

○ 2H+ + 2e- + H2O2 → 2H2

○ Fenton reaction : 철 이온은 ROS를 생성시킬 수 있음

○ Fe2+ + H2O2 → Fe3+ + HO● + OH-

○ Fe3+ + H2O2 → Fe2+ + HOO● + H+

○ HO + HOO● + H2O → 2H2O2

○ Haber Weiss reaction : 촉매량의 free iron ion이 있으면 다음 반응이 일어남

 

 

⑤ 기능

○ 지방산 산화

○ H2O2 제거

동물세포 : 베타산화의 25-50 %가 퍼옥시좀, 나머지는 미토콘드리아 막간공간

○ 간에는 다른 세포에 비해 퍼옥시좀이 많음

식물세포 : 베타산화의 100%가 퍼옥시좀

⑧ Zellweger syndrome : empty peroxisome이 다수 발견

⑼ 글리옥시좀(glyoxisome)

① 발아 전 혹은 발아 중인 종자에만 존재 하는 퍼옥시좀으로 보유 효소가 다름

② 퍼옥시좀과 글리옥시좀

빛이 있는 광합성 가능 환경에서 퍼옥시좀으로 존재

빛이 없는 광합성 불가능 환경에서 글리옥시좀으로 존재

글리옥시산 회로 : 배젖의 지방산을 당으로 전환하는 대사 경로

⑽ 메소좀(mesosome)

① 박테리아에만 존재하는 기관

② 세포막의 일부가 원형질에 함입되어 이루어진 관 모양 혹은 자루 모양의 막 조직

⑾ 지방방울(lipid droplet, LD)

① phospholipid monolayer에 둘러싸여 있음

② 대체로 0.1-5 μm. 지방세포에서는 100 μm

③ 생성

LD 내 트리글리세리드의 생성 : ER에 있는 DGAT(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가 관여

LD 내 콜레스테롤 에스터의 생성 : ER에 있는 ACAT(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이 관여

④ 기능

○ lipid ester의 저장
○ lipotoxicity에 대한 방어적 기능
○ lipolytic activity : ATGL(adipose triglyceride lipase), HSL(hormone sensitive lipase), MAGL(monoacylglycerol lipase)가 관여함
○ protein degration을 방지하기 위한 보관 장소

○ hypoxia 상황에서 toxic한 포화지방산을 저장함 : 산소가 없으면 환원하므로. 즉, H를 얻고 산소를 잃음

⑤ 소멸

○ LAL(lysosomal acid lipase)

○ CMA(chaperon-mediated autophagy)

HSP70(heat shock protein 70) : HSP70에 의해 매개되는 lysosomal proteolysis 

○ LAMP-2A (lysosome-associated membrane protein 2A)

 

 

3. 구조 2. 물질대사 세포소기관 [목차]

⑴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 진핵세포의 에너지 생성 세포소기관

이중막 구조 : 외막과 내막, 막간 공간(intermembrane space)으로 구분

외막

○ 포린(열린 통로) 존재 : 5,000 Da보다 작은 물질(예 : 이온)은 자유롭게 드나듦

○ TOM, SAM(sorting and assembly machinery) 등이 존재

○ TSPO(translocator protein)

○ 콜레스테롤을 미토콘드리아 내부로 수송

○ 포르피린 이동, 헴 합성, 스테로이드 합성 등에 이용 

○ apoptosis, proliferation 등에 관여

신경 염증, 종양 등의 바이오마커로 사용되는 외막 막단백질

○ 막간 공간의 고농도의 H+는 포린으로 나가지 못함

내막

원핵생물의 원형질막과 유사

○ 카디오리핀 : 제한적 물질 수송. 막투과성을 낮춤. 주로 전자전달계가 존재하는 부분

○ 수송 단백질 종류 : H+-피루브산 정방향 공수송 (능동수송), H+-pi 정방향 공수송, 숙신산 운반체, ADP-ATP 역방향 공수송, 셔틀, ATPase, 시트룰린 및 오르니틴 (자유롭게 이동)

○ TIM, OXA(oxidase assembly) 등이 존재

기질(matrix)

미토콘드리아 DNA(환형), RNA, 리보솜(70S)

미토콘드리아 유전체학

○ 동물세포의 50-75 %의 β 산화가 일어남

크리스테(cristae) : 미토콘드리아 내부의 접힘 구조

⑥ 막간 공간(intermembrane space)

○ Mia40 등이 존재

⑦ 특징

 미토콘드리아는 스스로 증식할 수 있음

○ 미토콘드리아 내부로 단순확산 해서 들어오는 탄소는 12-C까지 가능함 

⑧ 기능

○ ATP 생성

○ 지방산 산화

○ 아세틸-CoA 생성

○ 케톤체 합성

⑵ 엽록체(chloroplast) : 동물세포에는 없음

이중막(외막, 내막), 막간 공간(intermembrane space)

스트로마(stroma)

엽록체 DNA(환형), RNA, 리보솜(70S)

세포질 단백질은 1차 신호단백질이 있어 스트로마로 이동 및 신호단백질 제거

그라나(granum) : 틸라코이드가 쌓여 있는(라멜라 구조) 부분

○ 스트로마 라멜라 : 틸라코이드에서 스트로마와 맞닿은 부분

○ 그라나 라멜라 : 틸라코이드에서 그라나와 맞닿은 부분 

틸라코이드(thylokoid) : 광합성이 일어나는 단위. 막에 카드오리핀 존재

세포질 단백질은 2차 신호단백질이 있어 틸라코이드막으로 이동 및 신호단백질 제거

○ ATP 합성효소는 미토콘드리아 내막, 틸라코이드막에 위치

미토콘드리아 : 염기성 환경 → 산성 환경으로 놓이면 ATP 합성 시작

엽록체 : 산성 환경 → 염기성 환경으로 놓이면 ATP 합성 시작

⑤ 기능

○ NADPH, ATP 생성

○ 포도당 합성

○ 지방산 합성

(참고) 엽록체 유전체학 

(참고) 백색체(leucoplast) : 엽록소 ×, 포도당 → 전분, 식물세포에 존재, 무나 파의 흰색 부분

⑧ (참고) 색소체(유색체, plastid)

○ 카로틴(오렌지색), 크산토필(노란색) 등 함유

○ 식물에만 존재; 당근, 고추, 토마토 등에 많이 분포

○ 지방산 합성, 5탄당 인산화경로가 일어남

⑶ 세포 분획법

① 세포파쇄액 → 핵 + 상층액 : 1000 g, 10분

② 핵을 제외한 상층액 → 엽록체 + 상층액 : 3000 g, 10분

③ 엽록체를 제외한 상층액 → 미토콘드리아 + 상층액 : 20000 g, 10분

 

세포 분획법
출처 : 2019년 7월 고3 이투스 전국연합 모의고사 생명과학II

Figure. 3. 세포 분획법]

A는 핵, B는 엽록체, C는 미토콘드리아

 

 

4. 구조 3. 넓은 의미의 세포골격 [목차]

세포골격(cytoskeleton) : 진핵생물에만 존재, 미세소관, 중간섬유, 미세섬유로 구분

 

세포골격의 3가지 종류

Figure. 4. 세포골격의 3가지 종류]

 

세포 내 세포골격의 배치

Figure. 5. 세포 내 세포골격의 배치]

 

미세소관(microtubule) : 직경 25 nm. 동물세포 및 식물세포에 존재

기능 : 세포의 모양 유지, 세포 수준 운동, 세포 내 수송 소낭

○ 중심립, 편모, 섬모

구성 1. 단위체 : α 튜불린, β 튜불린이 이량체를 구성함

○ (-) 말단 (음성말단) : α 튜불린으로 끝나는 지점

○ 순탈중합속도↑

○ (+) 말단 (양성말단) : β 튜불린으로 끝나는 지점

○ 순중합속도↑

첨가속도, 해리속도 모두 음성말단보다 빠름

○ 뉴런에서 신경 세포체가 (-) 말단, 축삭 말단이 (+) 말단

○ 구조 : 튜불린 이합체로 구성된 protofilament 13개가 실린더 구조를 이룸

구성 2. 모터 단백질 : 미세소관 위를 걸어다닐 수 있는 단백질

○ 디네인 : 중심체(중심립)에서 먼 지점에서 가까운 지점으로 운동, 핵에서 사용되는 단백질 수송

키네신 : 중심체(중심립)에서 가까운 지점에서 먼 지점으로 운동, 외분비 단백질 수송

○ 미오신

④ 중합실험 : 핵형성기(nucleation) - 신장기(elongation) - 안정기(steady state)

○ α 튜불린 : GTPase 활성

○ β 튜불린 : GTP 혹은 GDP가 결합할 수 있음

○ (+) 말단에 있던 β 튜불린의 GTP를 GDP로 분해하면서 새로운 β 튜불린 (GTP) - α 튜불린이 결합

○ GTP cap : (+) 말단의 β 튜불린은 GTP, 나머지 β 튜불린은 GDP 상태

○ 시간에 따른 미세소관 형성 : 튜불린 이량체, GTP, Mg2+를 재료로 함. 25,000 nm까지 신장 가능

 

미세섬유도 유사
출처 : 2018 MEET/DEET I

Figure. 6. 시간에 따른 미세소관 형성. 미세섬유도 유사]

 

○ 트레드밀 현상(treadmiling) : (-) 말단은 짧아지고 (+) 말단은 길어지는 것

○ 완전분해 : 미세소관 GTP 가수분해는 가끔씩 끝에 GDP가 결합된 소단위 노출

○ 활성 증가 : GTP, γ 튜불린

⑤ 장력-인장길이 실험 

○ catastrophe

○ rescue 

종류 1. 중심립(centriole)

○ 원핵생물, 균류, 식물세포에는 없음. 구체적으로 왜 필요한지 밝혀지지 않음

○ 구: 9개의 미세소관 트리플렛, 술통 모양의 고리

중심체 : S기에 2개가 되어 수직으로 붙어 있게 됨 → 미세소관이 길이 신장을 하여 방추사 형성

기저체 : 중심립의 형태가 변화된 것. 9개의 미세소관 트리플렛(triplets). 길이신장을 통해 편모, 섬모 형성

편모(flagellum), 섬모(cilium) : 9 + 2 더블렛(doublets)

○ 기능 : 세포의 운동, 용액의 이동

원리 : 한 더블렛에 고정된 디네인이 인접한 다른 더블렛 위를 걸으면 두 더블렛은 휘게 됨

 

진핵생물의 편모 및 섬모의 횡단면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7. 진핵생물의 편모 및 섬모의 횡단면]

 

진핵생물의 편모 운동의 원리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8. 진핵생물의 편모 운동의 원리]

 

원발성 섬모 운동 이상증 (primary ciliary dyskinesia)

○ 유전적으로 섬모가 없어서 호흡 기도 상 섬모의 운동이 결여된 증상

○ 호흡 기능에 지장이 생김

○ (참고) 원핵생물의 편모 : 수소 이온 농도 기울기에 의한 회전력으로 움직임

○ ATPase와 유사한 기작

폭은 진핵생물의 편모의 1/10 정도

진핵생물과 달리 원형질막으로 덮여 있지 않음

진핵생물처럼 튜불린이 아닌 플라젤린(flagelin)으로 구성

원핵생물의 편모의 구조 및 원리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9. 원핵생물의 편모의 구조 및 원리]

 

⑦ microtubule destabilizing agent : 미세소관이 합성될 때 미세소관을 불안정하게 하여 미세소관 기능을 저해

○ vinca alkaloid : vinblastine, 빈크리스틴(vincristine), vinorelbine, vindesine, vinflunine

○ 콜히친(colchicine) : 식물 품종개량을 위한 다배체 생성에 사용. 호중구를 억제하기 때문에 항암제로 사용하지 못함

⑧ microtubule stabilizing agent : 미세소관이 제거될 때 미세소관을 안정하게 하여 미세소관 기능을 저해

○ 택솔(taxol) : pacific yew tree에서 추출. 항암제로 사용

○ paclitaxel, docetaxel, eleutherobins, epothilones, laulimalide, sarcodictyins

⑨ microtubule breaking agent

○ 노코다졸(nocodazole) : 미세소관을 파괴

중간섬유(intermediate filament) : 직경 8 ~ 12 nm

기능

○ 세포 모양 유지 및 세포소기관 위치 고정 : 핵라민 등

데스모좀(desmosome) : 세포와 세포의 결합을 통해 세포를 지지

○ 헤미데스모좀(hemidesmosome) : 세포와 ECM의 결합을 통해 세포를 지지

○ 동물세포에만 존재

② 단위체

○ 구조 : N-말단 + α 나선+ C-말단, 32개의 단위체가 한 필라멘트를 형성

○ 세포의 종류에 따라 중간섬유는 특정 단백질을 함유함

종류 1. 핵 라민 : 핵막 구조 유지

동물세포의 경우 핵막하층은 라민(lamin)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음

많은 원생생물, 균류, 식물의 핵막 안쪽 표면은 라민과 관련 없음

핵라민은 핵의 위치를 고정시킴

종류 2. 케라틴(keratin) : 세포질에서 관찰. 표피세포에 많음

○ 케라틴 중간섬유가 피부 표피의 기저층에서 표피와 진피를 연결하여 진피를 보호함

○ 피부, 머리카락, 손톱 등은 대부분 케라틴으로 채워진 죽은 세포들로 되어 있음

종류 3. 비멘틴(vimentin) : mesenchymal cell에 많아 마커로 사용됨 

종류 4. desmin : 근육세포에 많음

종류 5. 신경 섬유 : 뉴런 축삭에서 관찰

종류 6.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 교세포(glial cell)에 많음

특징 1. 파괴되지 않음 : 세포분열, 수포성 박리증은 예외

특징 2. 중간섬유의 안정화에 칼슘이 관여

⑤ 장력-인장길이 실험

○ catastrophe

○ rescue 

미세섬유(microfilament) : 직경 7 nm

① 액틴 미세섬유와 미오신 미세섬유로 구성됨

○ 액틴 미세섬유 : 세포 단백질의 10 ~ 15%를 차지함

○ 미오신 미세섬유 : 훨씬 적게 함유

② 기능 : 근육세포뿐만 아니라 비근육세포에서도 기능을 수행함

○ 세포의 모양 유지 : 원형질막 아래에 집중 위치. 주로 카드헤린과 액틴 미세섬유의 부착과 관련

○ 세포 표면과 핵 사이의 신호 전달 : 주로 인테그린과 액틴 미세섬유의 부착과 관련

○ 밀착연접, adhesion belt, focal contact 등

○ 세포분열 시 중심체를 고정함

○ 근육 액틴 필라멘트 : ATP 사용. 운동성 단백질인 미오신이 액틴과 연결

○ 비근육성 세포 운동 : 아메바 위족운동 등

1st. 아메바의 내부는 졸(sol) 상태, 외부는 겔(gel) 상태

2nd. 아메바는 위족을 형성하려는 방향으로 내부 액체를 흘린 뒤 겔화(gelation)

3rd. 위족 형성 반대 방향으로는 액틴이 수축하여 바닥으로부터 탈착

○ 식물 원형질 유동

○ 동물세포 분열 수축환

구성 1. 단위체 : 액틴 단량체

○ (-) 말단 (음성말단) : 순탈중합속도↑

○ (+) 말단 (양성말단) : 순중합속도↑. 첨가속도와 해리속도 모두 음성말단보다 빠름

미세섬유는 액틴 소단위체 2개가 꼬인 구조를 이루어 37 nm의 반복주기로 2중 나선을 형성함

구성 2. 핌브린(fimbrin) : 액틴과 액틴 사이를 연결 → 장력에 강하고 탄성이 적어짐

○ 예 : 소장 융모는 액틴에 의해 형성

⑤ 중합실험 : 핵형성기(nucleation) - 신장기(elongation) - 안정기(steady state)

1st. ATP와 결합한 G-actin이 액틴 미세섬유(F-actin)의 양성말단에 가서 붙음

○ 2nd. ADP와 결합한 G-actin의 경우 단량체 사이의 결합이 약하여 중합체로부터 쉽게 분리

○ 3rd. 분리된 ADP 결합 G-actin은 ADP가 분리되고 ATP가 결합하면서 새로이 액틴 미세섬유에 결합

○ 중합실험 : 핵이 있으면 초기 중합속도가 빠름

 

미세섬유 중합실험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0. 미세섬유 중합실험]

 

○ 임계농도(critical concentration) : 액틴 필라멘트와 평형을 이루는 G-actin의 농도

임계농도 이상에서 액틴 필라멘트가 형성될 수 있음

양성말단의 임계농도, 즉 양성말단의 중합 = 탈중합이 되는 G-actin의 농도(Cc+)는 낮음 (잘 붙음)

음성말단의 임계농도, 즉 음성말단의 중합 = 탈중합이 되는 G-actin의 농도(Cc-)는 높음 (잘 안 붙음)

G-actin의 농도가 Cc+ 보다 높고 Cc-보다 낮으면 양성말단은 순중합, 음성말단은 순탈중합

트레드밀 현상(treadmiling) : 위와 같은 농도에서 중합·탈중합으로 인해 미세섬유가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효과

 

트레드밀 현상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1. 트레드밀 현상]

 

⑥ 장력-인장길이 실험

○ catastrophe

○ rescue 

⑦ 중합 촉진·저해제

○ 중합 촉진 : 프로필린(profilin)

○ 중합 저해 : 티모신(thymosin), 사이토칼라신(cytochalasin)

○ 해체 저해 : 자스플라키놀리드(jasplakinolide)

⑸ 세포벽(cell wall)

식물과 세균 세포의 원형질막 외부에서 발견

다당류 셀룰로오스가 풍부

중력을 거슬러 꼿꼿이 서 있는 식물 몸체를 지지하는 기능

원형질 연락사(plasmodesmata)

○ 신호와 물질을 주고받을 수 있는 식물세포 간 결합(cell junction)

○ 원형질막이 연결돼 있음

○ 원형질 연락사를 통해 인접 세포로 식물 바이러스가 이동 

1차 세포벽 : 셀룰로오스 + 펙틴 + 헤미셀룰로오스

2차 세포벽 : 1차 세포벽 + 리그닌. 두꺼움

세포외 기질(ECM, extracellular matrix) : 동물세포에만 존재. 지지·부착·운동·조절 기능

① 기저판(basal lamina)

○ 상피세포들을 둘러싸는 판 모양의 구조물

○ 다중 결합 단백질인 laminin으로 주로 구성

콜라겐(교원질, collagen) : 세포들을 연결하는 튼튼한 섬유

○ 원생동물을 제외한 모든 동물에 존재 : 척추동물에서 1/3에 해당하는 단백질이 콜라겐

 형성 

1st. 원콜라겐(procollagen) 형태로 배출

○ 2nd. 원콜라겐 펩티데이스에 의해 아미노기 말단과 카르복실기 말단의 일부 아미노산이 잘림

○ 3rd. 교차결합한 뒤 비수용성의 복합체(콜라겐) 형성

○ 구조

100개 아미노산이 한 개의 α 체인 : 글리신, 프롤린, 하이드로프롤린으로 구성

○ 세 개의 α 체인이 3중 나선으로 혼합하여 고원분자를 형성 : 길이 280 nm, 지름 1.5 nm

○ 모든 α 체인의 세 번째 아미노산은 글리신 → 3중 나선에 필수적

○ 교원분자끼리 교차연결을 하여 원섬유 형성 : 성숙한 교원질일수록 많음

○ 원섬유가 모여 교원질 형성 : 직경 1 ~ 20 ㎛

○ 각 α 체인은 왼나선 : 원래 α 체인은 오른나선인데 특유의 아미노산 구성이 오른나선을 방해

○ 세 개의 α 체인으로 구성된 각 bundle은 오른나선 

○ 타입

타입 Ⅰ : 골세포(oesteocyte) 등이 분비. 건과 인대에서 발견

○ 타입 Ⅱ : 연골세포 등이 분비

○ 암세포의 콜라겐 

○ 정상 섬유아세포는 COL1A1, COL1A2를 모두 발현

○ 따라서 정상 섬유아세포가 만들어내는 콜라겐은 α1 체인 2개와 α2 체인 1개로 이루어져 있음 

○ 암종 섬유아세포에서는 COL1A1은 발현되는 반면 COL1A2는 DNA 메틸화에 의해 발현이 억제됨

○ 따라서 암종 섬유아세포가 만들어내는 콜라겐은 α1 체인 3개로만 구성되어 있음

③ 엘라스틴(탄력소, elastin)

○ 탄성, 구부림 등에 관여

○ 인대, 혈관벽, 허파조직, 표피, 힘중 등에서 관찰

○ 건과 사지의 인대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음

○ 황인대(ligamentum flavum)와 같은 탄력 인대에서 비율 상당함

인테그린(integrin) : 막관통 단백질

○ RGD 서열을 포함하는 인테그린 모티프를 통해 세포-기질 결합을 유도함

○ RGD : arginine - glycine - aspartic acid

○ 18개의 α 서브유닛과 8개의 β 서브유닛으로 구성돼 있고, 둘 다 여러 형태를 가지고 있음

 

출처 : Wikipedia

Table. 3. 인테그린의 서브유닛]

 

기능 1. 세포 외부의 피브로넥틴과 내부의 액틴 미세섬유와 결합하여 세포 고정

기능 1-1. 피브로넥틴과의 연결성

○ 피브로넥틴과 인테그린은 비공유결합으로 연결

가역적인 결합이므로 세포를 기저막에 부착시키거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때 관여

위족운동에서 바닥부착 관여

기능 1-2. 액틴과의 연결성 : 다수의 액틴과 연결되어 충격을 받으면 완충

기능 2. 세포 안의 변화를 세포 밖으로 전달해 주기도 함

○ 인테그린에 의한 신호전달

 

인테그린에 의한 신호전달

Figure. 12. 인테그린에 의한 신호전달]

 

피브로넥틴(fibronectin) : 인테그린과 결합. 신호전달에 관여

⑥ 비트로넥틴(vitronectin) : 콜라겐, 엘라스틴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 

⑦ transmembrane proteoglycan : 세포와 기질 간 흡착에 관여함

○ RGD 서열이 없고 친화성이 낮은 transmembrane 수용체와 transmembrane proteoglycan이 연결됨

○ transmembrane proteoglycan은 matrix proteoglycan, 콜라겐, 성장인자 등과 결합함

⑧ CAM(cell-cell adhesion molecule) : 세포와 세포 간 흡착에 관여함

○ Ca2+ independent

○ 예 : N-CAM은 Ig-superfamily CAM으로서 신경 세포에 작용함

카드헤린(cadherin) : 세포와 세포 간 흡착에 관여함

Ca2+ dependent

○ 이량체로 작용함

○ 예 : E-cadherin (epithelial cadherin)

 

CAM과 카드헤린의 비교

Figure. 13. CAM과 카드헤린의 비교]

 

당단백질(glycoprotein)

○ 세포-세포 인식에 중요

세포막의 외부쪽으로 노출 

예 1. 렉틴(lectin)

예 2. 셀렉틴(selectin)

예 3. 갈렉틴(galectin)

예 4.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

예 5. 뉴라미다아제(neuramidase) 

⑪ 라미닌(laminin)

○ basement membrane의 basal lamina에 존재하는 단백질

○ α chain, β chain, γ chain이 3개의 짧은 팔을 형성하여 ECM과 세포와의 결합을 가능케 함

⑫ 디스트로핀(dystrophin)

○ 근 세포막의 칼슘이온채널을 조절하는 6종 단백질과 세포골격 간의 연결 단백질

○ 액틴 필라멘트와 세포막의 당단백질을 연결시켜 근육세포의 구조를 안정화시킴

⑬ fibrillin 

⑭ tenascin 

 Matrigel

○ 세포의 분화, 형태 변화를 유도하는 상용화된 ECM

○ 상피세포나 내피세포 등에 격자무늬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함

연접(junction)

연접의 종류

Figure. 14. 연접의 종류]

 

종류 1. 밀착연접(tight junction)

기능 1. 세포와 물질들이 전혀 못 통과하도록 세포 사이를 꽉 붙임

기능 2. 막단백질의 편재화에도 관여 (예 : 소화관)

○ 이웃한 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transmembrane tight junctional protein이 연속적인 띠를 형성함 → 세포막 융합

종류 2. 부착연접(anchoring junction) : 세포골격을 통한 세포-세포, 세포-기질 간 결합을 형성함

○ intracellular attachment protein과 transmembrane linker glycoprotein으로 구성됨

종류 2-1. 중간섬유를 이용한 부착연접

종류 2-1-1. 데스모좀(desmomsome) : 세포와 세포 간 연접

강한 전단응력을 받아도 찢어지지 않도록 함 (예 : 피부, 근육)

플라크와 카드헤린이 관여

카드헤린 : 칼슘 이온에 의해 안정. N-카드헤린(신경), P-카드헤린(혈소판), E-카드헤린(피부)

케라틴 : 중간섬유. 플라크와 플라크를 잡아줌

○ 상피세포가 분화할 때 데스모좀도 함께 증가함

○ 특징 : 밀착연접과 달리 막의 융합이 일어나지 않음

종류 2-1-2. 헤미데스모좀(hemidesmosome) : 세포와 기질 간 연접

종류 2-2. 액틴 필라멘트를 이용한 부착연접

○ 세포와 세포 간 연접 : adhesion belt 등

○ 세포와 기질 간 연접 : focal contact 등

종류 3. communicating junction

종류 3-1. 간극연접(gap junction)

이웃한 세포의 세포막이 만나 원통형 구조를 형성함 : 원통형 단백질을 통하여 세포 간 연결통로를 형성

○ 세포막은 연결되지 않음

○ 기능 : 세포 간 물질 교환. 이온 등 오직 작은 분자만 해당

○ 코넥손(connexon) : 코넥손이라는 채널은 4-6개의 코넥신으로 구성됨

○ 코넥신(connexin) : 분자량이 24000 ~ 46000임

○ 간극연접은 코넥신 단백질의 구조적 변화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짐

○ 각 세포의 막에서 형성된 각 코넥손이 결합하면 두 세포의 세포질을 연결하는 통로가 됨

○ 전기적 시냅스에서도 간극연접을 찾아볼 수 있음

종류 3-2. 화학적 시냅스

종류 3-3. 원형질 연락사(plasmodesmata) : 식물세포에만 존재

 

 

5. 구조 4. 세포질 [목차]

기능 1. NADPH 생성 : 오탄당 인산 경로, C4 식물 등에서 말산이 NADPH가 되는 경로

기능 2. 지방산 합성

기능 3. 아이소프레노이드 및 스테롤 합성

 

입력: 2019.01.15 14:53

수정: 2020.05.02 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