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日本語 English

【생물학】 16강. 소화계

 

16강. 소화계(digestive system)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음식처리의 주요 단계 [본문]

2. 1단계 : 구강, 인두, 식도 [본문]

3. 2단계 :[본문]

4. 3단계 : 소장, 이자, 간, 쓸개 [본문]

5. 4단계 : 대장 [본문]

6. 영양분의 흡수 [본문]

7. 식욕 조절 호르몬 [본문]

8. 소화계 질환 [본문]


 

1. 음식처리의 주요 단계 [목차]

4가지 주요 단계

섭취(ingestion) : 먹는 행위

부유물 섭식자(suspension feeder) : 액체 속의 부유물을 먹는 동물(예 : 혹등고래)

기질 섭식자(substrate feeder) : 기질(자기가 사는 환경)을 먹는 동물(예 : 쐐기벌레, 구더기)

액체성 섭식자(fluid feeder) : 체액을 먹는 동물 (예 : 모기)

덩어리 섭식자(bulk feeder) : 상대적으로 큰 음식 조각을 먹는 동물(예 : 비단뱀)

소화(digestion) : 몸이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분자로 음식물을 잘게 부수는 과정

연동운동(물리적 소화) : 소화관 벽의 평활근이 규칙적으로 수축하여 만들어 낸 파동으로 음식을 미는 작용

분절운동(물리적 소화) : 크기가 큰 음식의 경우는 평활근의 규칙적인 수축으로 음식물이 쪼개짐

화학적 소화 : 효소가수분해과정을 통해 고분자를 단량체로 분해

흡수(absorption) : 아미노산, 단당류 등을 흡수하는 과정

배설(excretion) 및 배출(elimination) : 소화되지 않은 물질이 소화구획 밖으로 나가는 과정

고분자를 바로 사용할 수 없는 이유

세포 내 흡수 : 고분자는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음

종 특이성

동물의 몸을 구성하는 고분자들은 음식의 고분자와 일치하지 않음

○ 하지만 모든 개체는 자신의 고분자를 만드는 데 같은 종류의 단량체 이용

면역 반응

소화구획에 따른 소화의 분류

① 소화구획 : 특성화된 구획에서만 음식을 소화하여 자가소화의 위험을 줄임

세포내 소화(intracellular digestion)

○ 식포 : 가자 간단한 소화 구획, 식포가 리소좀과 융합하여 소화가 일어남

○ 음세포 작용, 식세포 작용

○ 해면동물 : 음식을 세포내 소화를 통해 소화

세포외 소화(extracellular digestion)

○ 동물의 외부와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획에서 일어나는 것

○ 세포내 소화보다 더 큰 음식을 소화할 수 있음

○ 위수강(gastrovascular cavity)

소화와 몸 전체로의 영양분 분배 기능 수행

편형동물에서 관찰

○ 히드라, 위수강 벽의 위수강 상피의 분비샘에서 소화효소 분비

○ 소화되지 않은 물질은 입과 항물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유일한 구멍으로 배출

○ 완전소화관(complete digestive tract), 영양관

음식은 한 방향으로만 이동

○ 단계적인 방식으로 소화·흡수 가능

○ 먼저 먹은 음식이 완전히 소화되기 전에 다른 음식을 먹을 수 있음

척추동물 소화관의 조직층 

① 구조 : 점막층, 점막하조직, 점막하조직신경망, 2층의 평활근 세포층, 

 소화관은 대개 종주근은 수축해 있고, 환상근은 이완돼 있어 소화관 층의 표면적을 늘림

③ 내부 환상근 : 분절 운동, 역류 방지

④ 외부 종주근 : 연동 운동

 

척추동물 소화관의 조직층
출처: 강신성, 안태인, 인체생리학 10판, 지코사이언스, 2008년, p.589.

Figure. 1. 척추동물 소화관의 조직층]

 

 

2. 1단계 : 구강, 인두, 식도 [목차]

치아 : 저작운동 (물리적 소화)

육식동물 : 날카로운 앞니와 송곳니 발달, 뾰족한 작은 어금니와 어금니는 음식을 부수고 절단

초식동물 : 질긴 식물을 씹기 위해 넓고 이랑 모양의 표면을 가진 이

잡식동물 : 덜 특수화된 치열을 가짐

사람의 치아 : 에나멜층, 상아질층, 치수공간

음식을 먹기 전에도 신경반사나 학습을 통해 침샘에서 분비

침샘

샘꽈리세포(acinar cell)에서 침 분비

혀밑샘, 귀밑샘, 턱밑샘 각 1쌍으로 총 3

침 분비 경로 : 음식물 혀의 미뢰 감각신경 연수 운동신경 침분비

침의 성분

음식물에 수분 공급

뮤신(mucin) : 윤활유 역할, 음식물을 미끄럽게 하여 잘 삼킬 수 있도록 함

중탄산염(HCO3-) : 입안의 산을 중성화(완충용액) 치아 썩는 것 방지

라이소자임(lysozyme)

○ 펩티도글리칸의 β 1→4 결합을 분해

○ 펩티도글리칸은 진정세균의 세포벽의 주요 성분

아밀레이스

 다당류(맛 ×) → 엿당(단맛)

○ 녹말의 글리코시드 결합을 불규칙적으로 가수분해와 엿당과 덱스트린으로 분해

○ 지방산 : 침을 약산성 환경으로 만듦, 세균 전파 억제

○ 구강 라이페이스(lipase)

신생아라면 아직 소화효소가 미숙하기 때문에 구강 라이페이스에 의해 지방 분해 가능

IgA : 기생충 등을 제거하는 항체

④ 침 분비 조절

○ 자율신경 중추인 연수가 조절

○ 교감신경은 침 분비 억제, 부교감 신경은 침 분비 촉진

○ 교감신경은 침 분비를 억제하므로 침의 점성 증가

음식물을 삼키는 과정

1st. 사람이 음식을 삼키지 않을 때 : 식도의 괄약근 수축, 후두개 올라감 기도 열림, 식도 닫힘

2nd. 음식물의 덩어리가 인두에 도달 시 구개반사(삼킴반사, 연하반사)가 일어남

○ 후두 : 호흡관의 위쪽 부위

후두가 위로 움직이면서 후두개를 넘어뜨림 기도의 입구인 성대문에 후두덮개가 닫힘(기도 닫힘)

식도의 괄약근이 이완 식도 열림

○ 연수가 조절함

3rd. 음식물이 식도로 들어간 후 후두는 밑으로 움직이고 호흡관이 열림

목젖이 올라가 음식물이 거꾸로 가는 것 방지

4th. 근육 수축의 물결(연동)은 덩어리를 식도 밑으로 움직여 위에 도달하도록 함

식도 : 연동운동, 분절운동, 점액(윤활유 역할)

상부식도 괄약근(= 식도상부 괄약근) : 골격근, 구개반사(삼킴 반사)

하부식도 괄약근(= 식도하부 괄약근, 분문 괄약근) : 평활근, 연동운동

횡격막 아래에 있어 위와 동일한 복강압 하에서 조절

○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

평소에는 식도 하부가 닫혀있다가 음식물이 식도 하부 괄약근을 자극하면 반사적으로 식도 하부가 열림

임신 후반에는 복강이 밀려나면서(흉강 방향으로) 증가된 복강압이 위를 압박하여 식도 하부가 열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

가슴앓이 : 하부 식도 괄약근 조절 불량 위액 역류로 식도 손상 궤양

구토

 연수 : 구토 중추

독성 물질에 대한 본능적 보호 기능

위나 소장의 팽창, 장 벽, 뇌의 화학적 수용기 자극, 두부 회전 시 구토반사 작동

○ 위의 출구가 막히고 입구가 느슨해 지면서 음식물이 역류하게 됨

구토는 식도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위의 pH를 높여 소화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게 함

 

 

3. 2단계 : 위 [목차]

⑴ 구조

 

위의 구조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2. 위의 구조]

 

① 근육으로 이루어진 주머니 모양의 기관

② 위에서 식도 쪽으로 연결된 부분을 분문부, 십이지장 쪽으로 연결된 부분을 유문부라고 함

③ 단백질 분해 효소인 펩신과 강산인 염산에 대해 위벽 세포를 보호하는 방법

○ 뮤신에 의한 보호막 형성

○ 위벽 상피세포는 밀착연접(tight junction)을 형성하여 위벽 내부 보호

○ 세포 손상이 심하므로 기저세포의 빠른 분열로 손상된 세포를 복구, 3일마다 복구 가능

○ 비활성 상태로 가수분해효소 분비 (예 : 펩시노겐, 트립시노겐, 키모트립시노겐)

④ 위장근의 구조 : 점막층 - 점막하층 - 환상근 - 종주근 - 장막층

○ 점막하층 : 정맥, 동맥 등 혈관 분포. 헬리코박터균이 주로 서식

○ 장막층 : 장간막을 통해 복막에 연결

○ 미주신경 : 장신경총을 조절하는 외인성 신경

⑵ 기능 : 저장 (2 ~ 3 L), 소화, 방어 역할

① 저류시간 : 탄수화물 < 단백질 < 지질

② 저류시간이 긴 지질은 소화를 억제하는 역할

③ 흡수 : 알코올

⑶ 기계적 소화 : 연동운동, 혼합운동

① 연동운동 : 카잘세포(Cajal cell)가 자체적으로 박동을 생성하여 평활근 운동 촉진

② 음식물에 의해 위가 팽창할수록 위의 기계적 소화 촉진

화학적 소화 (2 L/day) : 위액(gastric juice)에 의해 단백질이 분해

① 위액분비 : 음식물 → 위벽자극 → 가스트린 분비 → 혈액 → 위샘자극 → 위액분비

펩시노겐

엔도펩티데이스 : 단백질 내부의 펩티드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폴리펩티드로 분해

○ 펩시노겐의 최적 pH는 2

주세포에서 펩시노겐 분비, 펩시노겐은 염산에 의해 펩신으로 활성화됨

펩신은 다시 펩시노겐을 활성화 (자가 촉매, 양성피드백)

○ 펩신은 Phe, Trp, Tyr의 N 말단을 인식하여 아미노기 쪽의 펩티드 결합만 분해

염산(HCl)

○ 기능 : 단백질의 3차 구조를 파괴하여 소화를 용이하게 함

부세포(벽세포) 막에 있는 H+-K+-ATPase 능동수송으로 H+, 수동수송으로 Cl- 수송하여 염산이 분비

○ Cl-/HCO3- 공동수송 : 2차 능동수송, Cl-를 혈관으로부터 유입, HCO3-를 혈관으로 유출

○ H+/Cl- 공동수송 : 1차 능동수송, 위로 분비

○ 결과 : 위 내강 산성화, 혈액 pH 상승

위액을 pH 1 ~ 3으로 유지 조직 분해, 병원체 제거

활성화 기능 : 펩시노겐을 펩신으로 활성화, 프로레닌을 레닌으로 활성화

○ 알칼리 파도 : 악어나 뱀 등은 포식 후 과다한 산 분비로 혈액의 pH가 0.5 ~ 1.0이 상승하는 현상, 식곤증의 원인

○ 음식물에 단백질 함량이 많을수록 산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므로 염산 분비 촉진

점액

점액세포에서 분비되는 당단백질(뮤신), 세포, 염분, 물의 혼합물

○ 기능 : 위벽 보호, 윤활유 역할

위 상피세포는 3일마다 한 번씩 재생되어 위벽 보호

위궤양

헬리코박터균이 분비한 암모니아는 위산으로부터 살아남게 해줌

○ 암모니아는 추가로 뮤신의 작용을 방해하여 위궤양을 일으킴

가스트린

위의 유문부에 물리적, 화학적(단백질, 펩티드) 자극이 가해지면 유문부에 있는 G세포가 가스트린을 분비

가스트린, 히스타민, 부교감신경 : 위액 분비 촉진

⑥ 소마토스타틴

○ 기능 : 과도한 위액 분비 억제

○ D 세포가 분비

○ 소마토스타틴은 이밖에도 GH 억제, TSH 억제 등 다양한 기능이 있음

⑦ 프로레닌 : 레닌은 우유 단백질인 카제인을 응고시켜 소화되기 쉽게 함, 젖먹이의 위액에 있음

⑧ 뮤신 : 점액분비세포에서 분비, 염산과 펩신으로부터 단백질로 이루어진 위벽 보호

산성유미즙(암죽) : 위액과 부분적으로 소화된 위속 음식물이 혼합된 산성 액체, 유문을 지나 십이지장으로 이동

위의 운동성

평활근의 연속적인 수축과 이완으로 산성 유미즙을 형성

유문괄약근 : 위와 십이지장 사이에 위치, 유문반사 작용

닫히는 경우 : 십이지장이 팽창, 산성도, 지방, 고장액 엔테로가스트론, 장거리 반사, 단거리 반사 유문괄약근 이완 억제 소화효율 극대화

열리는 경우 : 십이지장 내 내용물이 알칼리성이 되면(십이지장 내 소화과 완료되면) 유문이 반사적으로 열림

엔테로가스트론(소장 호르몬의 총칭)에 의한 조절 

장거리 반사 :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단거리 반사 : 장신경총이 관여

위산분비 조절 3단계 : 위의 뇌상과 장상

 

위산분비 조절 3단계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3. 위산분비 조절 3단계]

 

① 제1 활성단계

○ 1st. 음식 내 아미노산이 G 세포 자극

○ 2nd. G 세포는 가스트린을 분비

○ 3rd. 가스트린은 혈액을 통해 이동한 뒤 위벽의 벽세포 자극

○ 4th. 벽세포는 HCl을 분비하여 위의 pH를 낮춤

② 제2 활성단계

○ 1st. 연수가 미주신경을 자극

○ 2nd. 미주신경(부교감신경)이 아세틸콜린을 분비하여 G 세포와 창자 크롬친화성 유사세포 자극

○ 3rd. 창자 크롬친화성 유사세포는 히스타민을 분비하여 벽세포 자극

○ 4th. 벽세포는 HCl을 분비하여 위의 pH를 낮춤

③ 억제단계

○ 1st. 위의 pH가 너무 낮아지는 경우 D 세포를 자극

○ 2nd. D 세포는 소마토스타틴을 혈액으로 분비

○ 3rd. 소마토스타틴은 혈액을 통해 이동한 뒤 위벽의 벽세포 자극

○ 4th. 벽세포는 가스트린 분비 감소

⑺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H. pylori, helicobacter pylori)

① 산을 중화시키는 점액을 분비하여 강산 조건인 위에서 생존

② 이 세균이 붙어 있는 위벽에는 뮤신이 덮지 못하므로 위벽이 손상되어 위궤양이 될 수 있음

⑻ 반추동물의 위

① 혹위(반추위) : 장내 공생 미생물이 셀룰라아제 합성

② 벌집위 : 장내 공생 미생물이 셀룰라아제 합성

③ 겹주름위(천엽, 처녑) : 물 흡수

④ 주름위(막창) : 소화작용

 

 

4. 3단계 : 소장, 이자, 간, 쓸개 [목차]

소장

음식 고분자의 가수분해와 영양분의 흡수가 대부분 일어나는 장소

연동운동, 분절운동, 화학적 소화 모두 수행

○ 연동운동 : 위에서처럼 카잘세포에 의해 수행됨

소장 융털돌기

 

소장 융털돌기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4. 소장 융털돌기]

 

점막 주름 : 소장은 어느 정도 종주근이 수축된 상태로 점막의 표면은 주름짐 (×3)

융모 : 각 주름의 표면을 확대하면 융모라는 돌기 구조를 확인할 수 있음 (×10)

미세융모 : 융모의 상피세포

○ 털연변부(brush border)에서 각종 가수분해 효소가 고정·분비

각 융모 위에는 당질피질(glycocalyx)의 가닥들이 돌출됨(×20), 표면적 300 ㎡

소장 융털돌기 : 흡수 표면적 극대화, ×600

십이지장 (25 cm)

장액 : 소장벽에 있는 장샘에서 분비 →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소장에 흡수될 수 있도록 기본 단위로 최종 분해

○ 엔테로키나아제 : 소장 상피세포막에 존재

○ 트립신 : 이자에서 트립시노겐으로 분비, 엔테로키나아제에 의해 트립시노겐이 트립신으로 활성화

○ 키모트립신 : 이자에서 키모트립시노겐으로 분비, 트립신에 의해 키모트립시노겐이 키모트립신으로 활성화

○ 카르복시펩티다아제 : 이자에서 pro-카르복시펩티다아제로 분비, 키모트립신으로 인해 pro-카르복시펩티다아제를 카르복시펩티다아제로 활성화

○ 말타아제 : 엿당 → 포도당 + 포도당

수크라아제 : 설탕 → 포도당 + 과당

○ 락타아제 : 젖당 → 포도당 + 갈락토오스

○ (디)아미노펩티다아제, 디펩티다아제, 카르복시펩티다아제 : 폴리펩티드, 트리펩티드, 디펩티드 → 아미노산

뉴클레아제 : DNA, RNA → 뉴클레오티드

점액 : 내강 내용물의 유연성 유지 (윤활유 역할)

산성 유미즙이 이자, , 담남, 소장 자신의 분비샘 세포에서 나온 소화효소와 섞여 소 화가 일어나는 장소

공장, 회장 (260 cm) : 영양분, 물 흡수

○ 공장 : N-펩티다아제 분비

○ N-펩티다아제 : 처음부터 활성형이며 단백질의 아미노 말단을 인식하여 절단하는 엑소펩티다아제

○ 약 90%의 수분은 소장에서 흡수

이자(췌장) (pancreas)

위치 : 위 바로 밑에 있는 큰 샘으로 내분비선, 외분비선(총담관과 연결, 1.5 L/day) 모두 존재

② 이자액 분비 : 위의 산성음식물 → 십이지장벽 자극 → 세크레틴 분비 → 혈액 → 이자샘 자극 → 이자액 분비

○ 세크레틴 : 이자액 분비 촉진 호르몬

가수분해효소

아밀레이스 : 탄수화물 가수분해 효소

○ 엔도펩티다아제 : 단백질 내부 가수분해 효소, 트립신, 키모트립신 등

○ 엑소펩티다아제 : 단백질 외부 가수분해 효소, 카르복시펩티다아제 등

○ 공장에서 분비되는 N-펩티다아제도 엑소펩티다아제

트립신 : 십이지장에서 엔테로키나아제가 트립시노겐을 트립신으로 활성화

키모트립신 : 십이지장에서 트립신이 키모트립시노겐을 키모트립신으로 활성화

카르복시펩티다아제 : 십이지장에서 키모트립신이 pro-카르복시펩티다아제를 카르복시펩티다아제로 활성화

지방 가수분해 효소 : 라이페이스

핵산 가수분해효소 : RNase, DNase

○ 엘라스테이스 : 엘라스틴 분해 효소

중탄산염 이온(HCO3-) : 쓸개즙과 함께 암죽의 pH중화시킴, 관세포에서 분비

위산으로 인한 손상 대비 : 십이지장 궤양은 웨궤양의 10

소장의 효소들은 중성이나 약알칼리 pH에서 최적으로 작용하게 됨

○ 중탄산염 이온 물질수송

○ 1차 능동수송 : 나트륨-칼륨 펌프에 의해 나트륨 이온 농도 구배 형성

○ 2차 능동수송 : 수소이온이 소장의 분비세포에서 혈액 쪽으로 이동할 때 나트륨 이온이 같이 이동

○ 2차 능동수송 : 염소 이온은 나트륨 이온과 같이 이동

○ 중탄산 이온은 염소이온 공동 수송체에 의해 촉진확산

 

중탄산염의 이동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5. 중탄산염의 이동]

 

(liver)

① 구조

 

간의 구조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6. 간의 구조]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7. 간의 3영역

 

Zone 1. periportal zone : 높은 산소 포화도, 포도당 신생합성, 콜레스테롤 생합성, 요소 생합성, 베타 산화, 알부민 발현 

Zone 2. 중간엽 영역(midlobular zone, intermediate zone)

Zone 3. pericentral (centrilobular) zone : 해당과정, 지질 합성, 글루타민 생합성, 쓸개즙 생합성, 시토크롬 P450에 의한 해독, β-카테닌 / Wnt 신호전달

② 구성

유형 1. 간세포(hepatocyte) : 60-80 %

유형 2. 비실질세포(non-parenchymal cell) : 20-40%

○ 내피세포 : 약 50%

○ Kupffer cell : 20%

쓸개 세포 : 5%

○ 간 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 : 8%

림프구 : 25%

자연살상세포(NK) : 31%

 B 세포 : 6%

 수지상세포(DC) : < 1%

T 세포 : 63%

 CD4+ T 세포

CD8+ T 세포

타입 I NKT 세포

CD1d-dependent NKT 세포

TCRγδ T 세포 

③ 외분비 기능 : 담즙(쓸개즙), 중탄산염 분비

담즙(쓸개즙, bile) : 쓸개에 저장

○ 콜레스테롤로부터 담즙 합성 (0.5 L/day)

○ 황록색의 액체

간관을 통해 쓸개에 전달되며, 쓸개에서 담총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이동

○ 담총관 괄약근은 흡수기에 이완, 흡수후기에 수축

○ 음식물이 십이지장벽 자극 → 콜레시스토키닌 분비 → 혈액 → 쓸개자극 → 쓸개즙 분비

○ 주요 구성물질 : 물, 담즙염, 담즙산, 콜레스테롤, 담즙색소

○ 쓸개즙의 특징 : 소화효소 ×, 지방 소화 도움, 음식물 부패방지, 염기성

○ 담즙염의 85%는 회장에서 재흡수, 10%는 결장에서 재흡수

중탄산염 : 위에서 소장으로 들어온 염산의 중화

 내분비

생장호르몬 인자 IGF-1 분비로 세포분열 촉진

비타민 D의 활성화

안지오텐지노겐 분비 : 신장의 염분 재흡수 조절

사이토카인 분비

 혈당조절

○ 혈당이 낮을 때 : 포도당 신생합성(gluconeogenesis)

혈당이 높을 때 : 글리코젠 합성

지질 대사 : β 산화, 지질단백질 합성, 콜레스테롤 합성

 단백질 대사

요소 합성

○ 혈장 단백질 합성

○ 혈액응고 관련단백질 : 피브리노겐, 헤파린(혈액응고방지), 프로트롬빈

○ 알부민, 무기염류, 지방산 등 : 여러가지 운반 역할 및 혈장 삼투압 조절 역할

○ 호르몬 결합 단백질

○ 탈아미노 반응

배설 기능

배설 : 오래된 적혈구 파괴, 빌리루빈(담즙색소) 분비, 생성 및 흡수된 유기물 분해, 금속을 답즙으로 배설

배 시기에는 적혈구 생성도 담당

⑨ 배출 기능

○ bile canaliculi를 통해 고형물을 창자로 배출함 

해독작용 : 활면소포체에서 주로 분해

○ 약물 제거

○ 카탈라아제에 의해 과산화수소 제거

○ 오르니틴 회로 : 암모니아를 요소로 전환

○ 예 : cyt p450 (특히 활면소포체(SER)에 많음)

혈액 응고 : 헤파린 합성(혈액 응고 방지), 프로트롬빈, 피브리노겐 등 혈액 응고요소 생성

⑫ 발열기능 : 왕성한 물질대사로 다량의 열을 방출, 간접적 체온조절

⑬ 간 관련 질환

○ 지방간(fatty liver) : 비알콜성 지방간(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MASH) 등

○ 간섬유증(liver fibrosis)

○ 간염(hepatitis) : 급성 간부전 등

○ 급성 간부전(ALF, acute liver failure) : 아세트아미노펜(APAP)에 의한 ALF가 전체 ALF의 40%를 차지

○ 대한민국 기준, B형 간염이 C형 간염보다 더 많음

○ 서양 기준, C형 간염이 B형 간염보다 더 많음

간경변(cirrhosis)

간세포암(HCC, hepatocellular carcinoma) : 간염에서 간경변을 거쳐 간암으로 발달하는 경로가 많음

원인 1. B형 간염 바이러스 : 70% 이상

원인 2. C형 간염 바이러스 : 10%

원인 3. 알코올성 간염 : 5 ~ 10%

○ 위 수치는 한국 기준

○ 담관염(cholangitis)

담낭(쓸개)

평소에는 담즙을 저장하다가 십이지장에 지질이 들어오면 담즙 분비

유화 작용 

 담즙은 친수성과 소수성 성질을 동시에 가짐 (양친매성)

○ 그 결과 담즙은 지질을 작은 미셀 입자(micells)로 만들어 라이페이스에 대한 노출 표면적을 증가시킴

 

담낭의 작용
출처: 강신성, 안태인, 인체생리학 10판, 지코사이언스, 2008년, p.592,594.

Figure. 8. 담낭의 작용]

 

담즙염 재순환(95%) : 회장(소장의 뒷부분)에서 흡수되어 재순환되고, 5%가 변으로 유실

담석

 담즙을 구성하는 담즙염, 콜레스테롤, 인지질 등은 불용성, 미셀 상태로 존재

콜레스테롤 양 과다 or 담즙 색소의 침전 담즙이 용출되어 담석 형성

여성은 남성에 비해 2배 빈발 (성호르몬 영향)

황달

담도 폐색 : 혈중 빌리루빈 축적으로 피부, 눈동자에 황색 (황달)

용혈성 황달 : 간 질환으로 적혈구 파괴, 담낭으로 빌리루빈 분비가 비정상일 때

엔테로가스트론 분비에 의한 조절 : 십이지장에서 일어남

 

엔테로가스트론 분비에 의한 조절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9. 엔테로가스트론 분비에 의한 조절]

 

세크레틴 : 산에 반응, 췌장 중탄산 분비 촉진으로 중화작용, 가스트린 분비 억제

○ 1st. 위에서 내려온 산성 유미즙이 십이지장벽 자극 : 십이지장벽의 세포에서 혈액으로 세크레틴 분비

○ 2nd - 1st. 세크레틴이 혈액을 타고 돌다가 위벽을 자극 → 위액 분비 감소

○ 2nd - 2nd. 세크레틴이 이자를 자극 → 이자액(NaHCO3 함량 多) 분비 촉진 → 산성 유미즙 중화

○ 간질액으로부터 H+, Na+를 혈액으로 배출 → 혈액은 pH 감소

○ 위는 혈액의 pH를 높이므로 십이지장에서의 pH 감소를 상쇄

○ 3rd. 유문이 닫힘 →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더 이상 산성 유미즙이 유입되지 않음

콜레시스토키닌(CCK) : 지방에 반응. 췌장 분비 및 담즙분비 촉진으로 지방 소화

○ 1st. 위에서 내려온 지방산이 십이지장벽 자극

○ 2nd. 십이지장벽의 세포에서 혈액으로 CCK 분비

○ 3rd - 1st. CCK가 위벽을 자극 → 위액 분비 감소

○ 3rd - 2nd. CCK가 이자를 자극 → 이자액(소화 효소 함량 多) 분비 증가

○ 3rd - 3rd. 담낭 자극 → 담즙 분비 → 지방 유화

GIP, VIP, GLP-1 : 단당류와 지방이 만드는 소장 내 높은 삼투 농도에 반응, 위산 분비 억제

○ 1st. 위에서 내려온 유미즙이 십이지장벽 자극

○ 2nd. 십이지장벽의 세포에서 위억제펩티드(GIP) 분비

○ 3rd - 1st. GIP가 위벽을 자극 → 위액 분비 감소

○ 3rd - 2nd. GIP가 장샘을 자극 → 장액 분비 촉진

3rd - 3rd. GIP가 이자를 자극 → 인슐린 분비 촉진

⑹ 장신경총에 의한 소화기능 조절

장신경총에 의한 조절
출처: 서울대학교 생물학(안태인 교수님) 강의자료

Figure. 10. 장신경총에 의한 조절]

 

① 기본적으로 소화의 조절은 자율신경계의 중추인 연수에서 조절

② 조건반사 : 대뇌의 영향, 경험이 있는 경우

③ 무조건반사 : 음식물이 위벽에서 압력을 가하여 위가 팽창하면

○ 감각신경 → 연수 → 미주신경 → 주세포, 부세포 자극 → 위액 분비

○ 감각신경 → 연수 → 미주신경 → G세포 자극 → 가스트린 분비

 

 

5. 4단계 : 대장 (1.5 m) [목차]

구성 : 결장, 맹장, 직장

결장(colon)

○ 약 1.5 m

○ 물·이온 흡수, 소화되지 않는 물질로부터 반고체의 변을 만드는 장소

○ 7 L의 액체가 매일 소화관으로 분비, 약 90 %가 재흡수

○ 물의 능동수송에 대한 기전이 없음 → 소금 등의 이온을 내강 밖으로 펌핑하여 생긴 삼투압으로 물의 재흡수 유도

○ 맹장으로 연결되는 쪽의 T자 형태의 접합부에서 소장과 연결

맹장(cecum)

소화에는 관여하지 않음

면역계와 관련하여 충수가 관여

○ 충수(appendix) : 맹장 중 손가락 모양으로 튀어나온 부분, 면역반응에 일부 관여

초식동물은 셀룰로오스를 소화시키기 위해 맹장을 비롯해 소화관 내에 수많은 공생 미생물이 서식하는 특별한 방을 가지고

직장(rectum)

○ 대변이 배설될 때까지 저장되는 곳

○ 결장의 끝 부분

○ 결장과 항문 사이에 2개의 괄약근 존재, 하나는 불수의근이고 다른 하나는 수의근임

내 세균

① 장내 세균은 총 100조 개 정도 : 성인의 세포의 개수와 맞먹음

② 장내 세균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인체의 면역세포의 70%가 존재함

③ 종류

 유해균

 유익균

 중간균 : 유익균과 유해균 중 더 많은 것과 유사하게 작용

예 1. 대장균

비타민 K, 비타민 B7 (비오틴), 비타민 B9을 생산하므로 항생제 과량 섭취 시 비타민 결핍

무산소 대사작용을 하면서 부산물로 메탄, 황화수소 가스 생산

○ 물을 제외한 대변 무게의 1/3을 차지

○ 호수·강에서 발견되는 대장균은 정화되지 않은 하수로 인한 오염의 지표

○ 대장균 O157(E. coli O157)은 유해균에 속함

예 2. 유산균 

괄약근 : 결장과 항문 사이에 2개 존재

내항문괄약근 : 불수의근

외항문괄약근 : 수의근 

배변

배변 : 장관 벽 신축에 대한 척수 반사, 비어 있는 직장에 변이 들어가면 반사 시작

설사 : 하부 소화관 감염과 신경자극이 원인, 탈수증 야기, 혈중 염분 불균형으로 심장수축 교란

변비 : 식이섬유(예 : 셀룰로오스) 섭취가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됨

④ 방귀 : 암모니아, 메탄 가스, 질소, 황화수소, 벤조피렌, 스카톨 (냄새 주범)

⑤ 대변의 상당 부분이 세균, 대변의 색깔은 적혈구 분해산물인 빌리루빈의 색깔

젖당 비내성(유당불내증)

 

 

6. 영양분의 흡수 [목차]

 

영양분의 흡수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11. 영양분의 흡수

 

대부분 소장의 점막을 통해 흡수하고 점막하 조직에 있는 혈관, 림프관을 통해 이동

소장의 점막세포끼리는 데스모좀, 밀착결합으로 연결 : 소화산물이 세포 간 틈으로 이동 방지, 막단백질 이동 방지

위에서의 흡수 : 알코올과 소량의 약물

대장에서의 흡수 : 물과 무기염류 흡수

아미노산, 단당류 : Na+과 공동으로 2차 능동수송

 

아미노산&#44; 단당류의 흡수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12. 아미노산, 단당류의 흡수]

 

과당은 포도당과 달리 처음부터 촉진확산으로 흡수

소장 융모 모세혈관 간문맥(hepatic portal vein) 간정맥 하대정맥 → 우심방 → 온몸

○ (참고) 심장에서 직접 간으로 이르는 혈관인 간동맥과 간문맥은 완전히 다름

○ 간에서 다양한 대사 기능 : 혈당량 조절

○ 혈액이 몸을 순환하기 전에 유해 성분 제거

○ 단당류, 아미노산, 무기염류, 수용성 비타민 등 수용성 영양소는 주로 소장의 모세혈관으로 흡수

③ 아미노산 vs 디펩티드, 트리펩티드

○ 아미노산 : 나트륨과 공동수송으로 소장상피세포로 흡수

○ 디펩티드, 트리펩티드 : 수소이온과 공동수송으로 소장상피세포로 흡수

지질 : 확산에 의해 흡수

 

지질의 흡수
출처 : 2018 변리사 1차 자연과학 25번

Figure. 13. 지질의 흡수]

 

① 지질의 흡수

1st. 유화 : 지방덩어리는 담즙산염(쓸개즙)에 의해 지방입자로 유화

○ 담즙산염은 간에서 생성

○ 담즙산염은 계면활성제의 일종이기 때문에 지방입자 유화 활성이 있음

○ 담즙산염은 재순환됨

○ 2nd. 라이페이스 활성 : 췌장에서 분비된 라이페이스는 미셀입자를 모노글리세리드와 유리지방산로 분해

3rd. 지질 흡수 : 모노글리세리드, 유리지방산은 확산을 통해 흡수

4th. 지방합성 : 모노글리세리드는 활면소포체의 지방합성 효소에 의해 트리글리세리드로 재합성

5th. 유미입자 : 혈장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콜레스테롤과 단백질과 결합한 형태로 소낭을 통해 배출

○ 유미입자는 수용성

○ 6th. 유미입자는 소낭을 통해 배출

○ 7th. 유미입자가 모세혈관 막을 통과하기에 너무 크므로 융모 중앙의 유미관(lacteal)으로 수송

유미관 : 림프계의 일부

유리지방산은 베타 산화를 거친 뒤 세포호흡에 이용됨

○ 디글리세리드의 형태로 소장 융모에 흡수될 수도 있음

② 암죽관 → 림프관 → 가슴관 → 좌쇄골하정맥 → 상대정맥 → 우심방 → 온몸

○ 지방산, 글리세롤, 지용성 비타민, 콜레스테롤 등 지용성 용양소는 주로 암죽관으로 흡수

○ 혈청알부민은 혈장 내 지방산의 이동을 도움

지질단백질 : 지질을 중심에 두고 단백질로 둘러쌓여 물에 녹을 수 있게 된 입자

○ 지방 자체는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단백질과 복합체를 형성해야 혈액 내에서 이동할 수 있음

○ 구성 : 아포지질단백질(Apo, apolipoprotein), 인지질, 콜레스테롤,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glycerol), 단백질

○ 지질 단백질의 종류

 

지질 단백질의 종류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4. 지질 단백질의 종류]

 

종류 1. 킬로미크론(chylomicron)

○ 가장 큼

기능 1. 지방에서 생성되어 간, 골격근, 암죽관으로 지방을 전달

기능 2. 지방분해 효소 활성 조절

○ 중성지방의 함량이 가장 많음

○ 아포 지단백질 중 B-48과 ApoC, ApoE를 주로 가지고 있음

○ core lipid : dietary triglycerid

○ 합성 장소 : 창자

종류 2.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low density lipoprotein)

기능 1. 혈류를 통해 간에서 각 조직으로 지방을 전달 : 혈중 콜레스테롤의 60%를 수송함

기능 2. 수용체 매개 엔도사이토시스

○ 콜레스테롤 함량이 가장 많음

○ 동맥경화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어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도 불림

ApoB-100, ApoE 단백질이 표면에 있는 게 특징 : LDL 수용체는 ApoB-100을 인식함

○ core lipid : endogenous cholesterol ester

○ LDL은 주로 혈관 조직의 내막 세포를 타겟팅함

○ 합성 장소 :

종류 3.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high density lipoprotein)

○ 각 조직과 세포로부터 지방을 모아 간으로 전달 → 담즙을 통해 배설

○ 콜레스테롤 제거에 관여하여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도 불림

○ 밀도가 가장 큼

○ core lipid : endogenous cholesterol ester

○ 합성 장소 : 간, 창자

종류 4. VLDL(very low density lipoprotein), IDL(intermediate density lipoprotein)

○ 킬로미크론과 LDL의 중간 형태

○ 아포 지단백질 중 ApoB-100, ApoC, ApoE를 주로 가지고 있음

기능 1. 지방분해 효소 활성 조절

○ core lipid : endogenous triglycerid

○ 합성 장소 :

○ LDL / HDL ratio : 높으면 동백경화. 3.5가 정상수치

가족성 이상지질혈증(가족성 콜레스테롤혈증, FH, familiar hypercholesterolmia)

○ 상염색체 돌연변이로 발생한 유전병

○ 1st. LDL 수용체가 없기 때문에 IDL intake에 이상이 생김

○ 2nd. 혈액 내 LDL이 쌓이면서 oxLDL로 산화함

○ 3rd. 대식세포가 oxLDL을 uptake하면서 거품세포(foam cell)가 됨

○ 4th. 거품세포는 혈관에서 플라크를 형성하여 동맥경화를 일으킴

○ 태어날 때부터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으며 어릴 때 심혈관 질환을 앓게 됨

○ 혈중 LDL이 증가하여 간세포로의 LDL 흡수가 증가하여 ApoB의 생산이 증가함

○ 혈장의 LDL 콜레스테롤 수준이 정상인의 4배 

○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유발

○ 대부분 20세가 되기 전에 사망

무기물 : 능동수송

 예 : 나트륨 운반 수송체, 칼슘 운반 수송체, 철 운반 수송체

② 코발라민(비타민 B12)의 흡수

○ 1st. 위의 펩신으로 「비타민 B12 + 합토크린 복합체」 분리

○ 2nd. 췌장 분해효소로 비타민 B12와 합토크린 분리

○ 3rd. 위의 벽세포에서 내인자 분비

○ 4th. 십이지장에서 비타민 B12와 내인자 결합

○ 5th. 회장 말단부에서 「비타민 B12 + 내인자」를 수용체 매개 내포작용으로 흡수 : ATP 사용 

⑸ 비타민 : 능동수송

⑹ 물 : 약 90 % 정도가 소장, 결장(대장의 일부)에서 흡수

⑺ 소장 상피세포와 연접

① 밀착연접 : 융모 바로 아래에서 내강과 혈관 사이로 물질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

② 부착연접 : 데스모좀과 헤미데스모좀은 세포-세포 및 세포-기질 간 결합을 중간섬유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유지함

③ 간극연접 : 인접한 세포들 사이로 이온이나 작은 물질의 이동을 가능케 함

 

 

7. 식욕 조절 호르몬 [목차]

⑴ 개요

① 식욕조절 호르몬은 모두 neuropeptide Y에 작용

② neuropeptide Y는 폭식을 초래

⑵ 렙틴(leptin)

① 지방세포에서 생성

② 지방조직이 증가하면 혈액 내 농도가 높아져 뇌에서 식욕 억제

렙틴 실험

Ob 단백질 : 렙틴 단백질

Db 단백질 : 렙틴에 대한 식욕 조절 중추 세포막 수용체

ob/ob 생쥐 : 지방세포에서 렙틴이 분비되지 않아 비만해짐

db/db 생쥐 : 정상 생쥐보다 렙틴을 많이 분비하나 뇌의 렙틴 수용체가 작동하지 않아 비만해짐

○ 응용 : 두 마리의 생쥐의 혈관을 연결하여 일정 시간 후 생쥐의 표현형 변화를 물어볼 수 있음

: ob/ob, Db/Db × Ob/Ob, db/db : ob/ob, Db/Db 생쥐는 정상이 되고 Ob/Ob, db/db 생쥐는 여전히 비만

⑶ PYY

① 식후 소장에서 생성

식욕 억제제로 그렐린과 반대 작용

⑷ 인슐린(insulin)

① 췌장(이자)에서 분비

 뇌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는 기능 수행

⑸ 콜레시스토키닌(CCK)

① 십이지장에 음식물이 들어왔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

기능 1. 식욕 억제 : 미주신경의 축삭말단에 작용하여 뇌에 포만감 신호를 보냄

기능 2. 위액 분비 억제

기능 3. 소화효소 분비 촉진

기능 4. 담즙 분비 촉진

⑹ 그렐린(ghrelin)

① 위벽에서 분비, 식욕 촉진

② 식사시간이 다가올 때 허기짐을 느끼도록 하는 신호 중의 하나

③ 체중을 감량하고 다이어트 중인 사람에게서 그렐린의 농도가 증가 → 허기짐 발생

 

 

8. 소화계 질환 [목차]

 비만(obesity)

① 건강 체지방 평가

과체중 : 정의가 없으며 시대·문화 특수적

여자는 생식력을 위해 남성보다 많은 체지방 요구

여성 : 22% (12 ~ 32 %)

남성 : 14 % (3 ~ 29%)

골격이 클수록, 나이 많을수록 체지방 증가

체중 지표(BMI) : 체중(kg) ÷ (신장(m))2. 완전하지 않은 기준

저체중 : 18.5 미만

정상 : 18.5 ~ 24.9

과체중 : 25.0 ~ 29.9

비만 : 30 이상

 비만의 원인 : 비만은 생활방식과 유전 모두에 영향을 받음

지방세포 유형에 따른 비만의 분류 

○ 지방세포 증식형 : 지방세포의 크기는 정상이지만 지방세포의 수가 많아지는 유형

○ 체중을 감량하여도 증가된 지방세포의 수가 줄어들지 않음

○ 그 결과 재발하기 쉽고 중등도 이상의 고도 비만이 되는 경우가 많음

지방세포 비대형 : 지방세포의 수는 정상이나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유형

○ 체중을 감소시키면 지방세포의 크기가 줄어듦

○ 어른에서의 비만 : 지방세포 비대형

○ 지방세포 혼합형 : 지방세포 수도 증가하고 지방세포의 크기도 커지는 유형

○ 체중을 감량하여도 증가된 지방세포의 수가 줄어들지 않음

○ 그 결과 재발하기 쉽고 중등도 이상의 고도 비만이 되는 경우가 많음

○ 소아·청소년에서의 비만 : 지방세포 혼합형

피하지방

○ 지방이 가장 먼저 저장되는 장소

○ 피하공간이 부족해지만 복부와 내장에도 지방이 쌓임 → 복부지방, 내장지방, 지방간

○ 대사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짐

관련 합병증

당뇨병 

인슐린 : 췌장의 베타세포가 생산하며, 다른 세포들의 포도당 흡수 촉진 호르몬 

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성) : 비만과 무관, 유전적으로 췌장 베타세포가 없어 인슐린 생산 불가

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성) : 인슐린 반응 이상, 비만과 유관, 보통 성인에서 발생, 식습관과 운동으로 조절

고혈압 : 높은 혈압

 수축기 : 심장이 수축할 때의 혈압

이완기 : 심장이 이완할 때의 혈압

정상 혈압 : 120/80

고혈압 : 지속적으로 140/90 이상

 심장마비 : 관상동맥 막힘에 의해 갑작스러운 심장 근육 혈류 차단

뇌졸중(발작) : 뇌동맥 막힘 또는 파열로 갑작스러운 뇌 혈류 차단

동맥경화

① 콜레스테롤 : 세포막과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성

LDL(저밀도 지질단백질) : 간에서 합성, 음식  조직으로 콜레스테롤 운반

HDL(고밀도 지질단백질) : 조직  간으로 콜레스테롤 운반 (for 담즙으로 배설)

② 콜레스테롤은 혈액에서 지방단백질에 의해 운반되며, 동맥에 축적되어 동맥경화 야기

식욕 조절 장애

식욕감퇴증

자체 기아, 체중을 의식한 식이 장애

심장근을 아사시킬 수 있으며 불규칙한 박동 야기

에스트로겐을 차단하여 월경 중지, 불임 위험

골다공증 위험 증가

식욕 과욕증

폭식 후 하제 사용

위 파열 위험, 위산으로부터 치아 및 잇몸 문제, 탈수

영양불균형

① 영양부족상태

○ 섭취하는 열량이 만성적으로 부족한 상태로 필요한 화학적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적게 공급함으로써 발생

○ 저장된 클리코겐, 지방, 단백질 분해 → 근육 크기가 줄고 뇌에서 단백질 부족 현상이 나타남

○ 예 : 가뭄, 전쟁, 에이즈 유행이 있는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는 약 2억 명이 충분한 영양 섭취 불가

○ 예 : 신경성 거식증(강박적인 단식)

② 영양과다

○ 동물에 에너지 요구량보다 더 많은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3대 영양소를 글리코겐이나 체지방으로 저장
○ 동면동물에게 중요 

③ 영양실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필수영양소가 부족한 상태

예 1. 비타민 A 결핍 → 베타 카로틴 공급으로 해결 (황금쌀)

예 2. 인이 부족한 토양에서 자란 식물을 뜯어 먹을 경우 → 초식동물 뼈가 쉽게 부러짐

예 3. 필수아미노산이 충분히 들어있지 않은 식이 → 단백질 결핍증

쿼시오카(콰시오커, kwashiorkor) : 극심한 단식으로 인한 단백질 결핍증

알부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 → 조직세포의 물의 양 증가 → 부종 발생 

 탄수화물 → 아세틸 coA → 지방산 합성

○ 증상

근육 빈약

성장 장애

신경 장애

소화 장애

손발이 꼬임

피부 부스럼

머리털도 갈색으로 변하고 자라지 않음

부종

 마라스무스(marasmus) : 단백질, 열량 결핍증

 이유기와 유아기의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

 피부와 머리털, 간 기능은 비교적 정상이나 주름이 많음

 피부와 뼈만 남아있는 상태로 심하게 목이 마름

염증성 장질환(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크론병(Crohn's disease)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관 전체에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

② 대장염(colitis)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③ 위궤양 

 헬리코박터균이 분비한 암모니아는 위산으로부터 살아남게 해줌

○ 암모니아는 추가로 뮤신의 작용을 방해하여 위궤양을 일으킴

소화불량 

원인 : 위산과다

간 질환

① 지방간(fatty liver) : 비알콜성 지방간(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MASH) 등

② 간섬유증(liver fibrosis)

간염(hepatitis) : 급성 간부전(acute liver failure) 등

 간경변(cirrhosis)

 간세포암(HCC, hepatocellular carcinoma)

⑥ 담관염(cholangitis)

위암(gastric cancer)

① 매년 1,080,000 명이 위암으로 진단되고, 760,000 이상이 위암으로 사망함 

탈장(hernia) : 장기가 비정상적으로 돌출된 상태 

종류 1. 서혜부 탈장(groin area hernia)

종류 2. 복벽 탈장(ventral hernia)

2-1. 절개창 탈장(inciosional hernia)

2-2. 배꼽 탈장(umbilical hernia)

2-3. 명치 탈장(epigastric hernia)

2-4. hypogastric hernia

종류 3. 대퇴부 탈장

 

입력: 2015.07.16 11:24

수정: 2022.05.19 1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