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생물학】 15강. 면역학

 

15강. 면역학(immunology)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동물의 면역계 개요 [본문]

2. 선천성 면역 [본문]

3. 후천성 면역 : 항원과 림프구, MHC [본문]

4. 면역반응 개요 [본문]

5. 후천성 면역 : T 림프구 [본문]

6. 후천성면역 : B 림프구 [본문]

7. T 세포 vs B 세포 [본문]

8. 면역계 현상 [본문]


a. 미세세포 독성 실험


 

1. 동물의 면역계 개요 [목차]

선천성 면역(비특이적 면역) : 모든 동물이 보유

소수의 수용체군을 이용하여 특정 병원균의 그룹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특징을 인식함

신속하게 반응이 일어남

백혈구의 작용순서 : NK cell → 호중구 → 단핵구 → T 림프구

○ 인터페론, 면역글로불린이 NK cell보다 더 빠르게 작용

종류 : 장벽 방어, 내부 방어

장벽 방어 (1st line) : 피부, 점막, 분비액, 정상 플로라

내부 방어 (2nd line) : 식세포, 자연살생세포, 항외래 분자 단백질, 염증반응, 보체

후천성 면역(적응면역, 특이적 면역, 획득면역) : 척추동물만 해당

광대한 다양성을 가진 수용체를 이용하여 특정 병원균의 아주 특이적인 특징을 인식함

천천히 반응이 일어남

면역기억 : 후천성 반응은 느리므로 1차 면역 반응 이후 기억세포가 생겨 반응의 크기와 속도를 증대

1차 면역 반응 : 특정 항원에 대해 처음으로 노출된 경우

2차 면역 반응 : 특정 항원에 대해 두 번째로 노출된 경우

종류 : 세포성 면역, 체액성 면역

세포성 면역 : 세포독성 T 림프구가 체세포를 감염한 외래 분자에 대응

체액성 면역 : 항체가 체액을 감염한 외래 분자에 대응

능동면역과 수동면역

능동면역 = 후천적 면역

감염물질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되거나 백신접종을 통해 형성된 면역

백신 : 전염병에 대하여 인공적으로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생체에 투여하는 항원의 일종

○ 예 : 세균독소, 사멸세균, 미생물 성분, 비병원성 미생물 등

수동면역

특정 감염원에 면역된 개인으로부터 면역되지 않는 개인에게 항체나 세포를 전달함으로서 형성되는 면역

예 1. IgG :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

예 2. IgA : 모유를 통해 신생아에게 전달

예 3. 적아세포증 방지를 위한 항 D 항체 투여 

⑷ 사이토카인 :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화학물질

인터루킨(interleukin)

○ IL-1

○ 대식세포가 분비하여 Th1을 활성화

프로스타글란딘(PG)이라고도 함

○ IL-1β : pro-inflammatory chemokine

○ IL-2

○ Th1이 IFN-γ, TNF-β와 함께 분비하여 Tc를 활성화

○ CD4+ T lymphocyte marker

○ 백혈구를 조절함 

○ IL-3

○ 골수 줄기세포와 비만세포의 증식을 자극

○ IL-4

○ Th0를 Th2(체액성 면역 관여)로 분화

○ Th2가 B 림프구와 상호 분비하여 상호 활성화

○ 부가적으로 IgE 항체 생성 촉진

○ Tc 활성화

○ inflammatory marker로 쓰임

○ IL-5

○ Th2가 IL-4와 함께 B 림프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분비

○ Tc 활성화

○ 부가적으로 호산구의 분화를 촉진하고 호산구의 케모카인으로 작용

○ IL-6

○ Th2가 IL-4와 함께 B 림프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분비

○ T 림프구 활성화

○ macrophage marker 

○ pro-inflammatory cytokine 

○ anti-IL6R : tocilizumab (Actemra)

○ IL-8

○ pro-inflammatory chemokine

○ 호중구를 끌어들임

○ 마우스나 랫에서는 존재하지 않음 

○ IL-10

○ Th2가 IL-4와 함께 B 림프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분비

○ anti-inflammatory marker / chemokine

○ TGF-β1과 함께 Treg 조절에 중요하게 관여

○ IL-12

○ IFN-γ와 함께 Th0를 Th1으로 분화

○ Th1 : 세포성 면역 관여

○ dendritic cell marker, macrophage marker

○ IL-17A

○ M1 대식세포 분화에 관여

○ IL-23

○ TH17 분화에 중요하게 관여

② TNF(tumor necrosis factor)

○ TNF-α

혈관 투과성을 높여 염증반응을 야기함

○ NK cell marker 

○ proinflammatory cytokine 

○ inflammatory response marker

○ anti-TNF-α antibody : adalimumab (Humira), etanercept, infliximab, golimumab, certolizumab

○ TNF-β

③ 인터페론(interferon, IFN) 

IFN-α : pDC, 대식세포, 백혈구 등에 의해 분비되어 T 림프구, 자연살상세포 활성화

○ IFN-β-1a : 다발성 경화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사이토카인

IFN-γ : 대식세포를 활성화. CD8+ T cell marker

④ CD(clusters of differentiation)

면역세포의 셀 타입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 

GM-CSF : 호중구, 호산구 단핵구, 대식세포의 증식과 분화 촉진

C 단백질 (C-reactive protein; CRP)

○ 간에서 유래하는 acute-phase protein

○ 대식세포와 T 림프구에 의해 분비되는 IL-6에 의해 C 단백질의 분비가 증가함

○ C 단백질이 적을수록 예후가 양호함 (출처 : Circulation. 1999; 100:1958-1963)]

MPO(myeloperoxidase)

○ 병원체에 대한 방어작용을 수행

기타 사이토카인 

 

 

2. 선천성 면역 [목차]

방어벽 : 외부방어

피부, 곤충의 외골격, 내장 상피 : 1차적인 선천성 방어벽

병원체와 함께 이탈

피부 : 낮은 pH로 미생물 억제, 피부의 샘에서 세균의 생장 지연 화학물질 분비

정상 플로라(정상 세포총, normal flora)

병원체들과 서식지와 영양분을 경쟁하므로 선천성 방어에 기여

병원체에 독성이 있는 물질 분비

: 대장에 우점종인 대장균

점액물질

점액은 병원체를 가둠

리소자임 : 병원체에 독성이 있는 물질로 눈물, 코점액, 침 등에 포함

땀샘, 기름샘의 분비물은 산성 pH를 가짐

점액 배출(재채기, 기침) : 공기 중의 외래 분자를 점액으로 포획 섬모운동에 의해 호흡관을 통해 배출

소화기관 : (염산, 단백질 분해 효소), 소장(세균들이 밀집, 쓸개즙), 대장(대변과 함께 제거)

세포성 선천성 방어

체내로 침투한 병원균은 식세포 활성을 소유한 백혈구에 의해 제거

식세포의 종류

호염기성 : 히스타민 분비, T 림프구분화 촉진

호산성 : 항체로 도말된 기생충 죽임

호중성 : 항체로 도말된 병원체 죽임

비만세포 : 손상당할 때 히스타민 분비

단핵구(대식세포로 분화)

대식세포 : 오래된 세포 제거, 외래 분자 소화, 백혈구 생산 자극, T 림프구 활성화

수지상세포 : 식세포 작용 후 림프절로 이동하여 항원제시. T 림프구에게 항원제공

③ 대식세포의 종류

분류 1. 기능에 따른 분류 

1-1. M1 대식세포(M1 macrophage, clasically activated macrophage)

○ 염증성 세포(inflammatory cell) : 세포 사멸에 관여. anti-tumoral 

○ 연장인자(eloncation factor) : 장축과 단축의 비가 1 근처

○ M1 타입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 : TLR, TNF-α, IFN-γ, CSF2, LPS, STAT1, IRF5, IL-17A 

○ M1 타입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 : IL-6, IL-8, IL-23p40, TNF-α, IL-1β, IL-12p70, IL-12p40, IFN-γ

○ M1 타입의 유전자 마커 : HLA-DR, CD11c, CD86, iNOS, pSTAT1, IL-12, MHC-II, CD80, 27E10, CCL2, S100A8, S100A9

1-2. M2 대식세포(M2 macrophage, alternatively activated macrophage)

○ 항염증성 세포(anti-inflammatory cell) : 세포 치료에 관여. pro-tumoral 

○ 연장인자(elongation factor) : 장축과 단축의 비가 큼

○ M2 타입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 : IL-4, IL-10, IL-13, TGF-β, PGE2, STAT3, STAT6, IRF4 

○ M2 타입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 : IL-10

○ M2 타입의 유전자 마커 : CD68, CD163, CD204, CD206, VEGF, cMAF, ARG1, YM1, CCL20, CCL22, 1IDO1

○ TAM(tumor associated macrophage)의 대부분은 M2 macrophage

분류 2. 조직에 따른 분류 

○ 쿠퍼 성상세포(Kupffer cell) 

○ 간 모세혈관 안에 있는 대식세포 

○ 내재적 면역인 RES(reticuloendothelial system)와 관련

○ 혈관 내에 위치한 대식세포는 쿠퍼 세포가 유일함

○ splenocyte : 지라(spleen)에 위치

○ BMDM(bone-marrow-derived macrophage) : 뼈에 위치

○ dust cell : 폐에 위치

microglial cell : 뇌에 위치

○ TAM(tumor-associated macrophage)

 

M1-like TAM
M2-like TAM
immune activation (Th1 and NK) TNF-α, NO, IL-23, IFN-γ, MHC class II, IL-1β, CXCL10 angiogenesis VEGF, FGF, CXCL8, Tie2, hypoxia
phagocytosis of tumor cells   EMT(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TGF-β
apoptosis of tumor cells TNF-α, FasL immune suppression (Treg or Th2) PD-1, PD-L1, IL-10, TGF-β, IDO 1/2, arginase
tissue damage ROS, iNOS tissue remodeling metastasis MMPs, uPAR, cathepsins
maturation of APC IL-12 tumoral growth factors EGF, FGF, TGF-β, PDGF

Table. 1. M1-like TAM과 M2-like TAM

 

식세포에 의한 병원균 인식·제거 과정

TLR의 종류

TLR-1 : multiple triacyl lipopeptide

TLR-2 : lipoteichoic acid. 내재적 면역을 활성화

TLR-3 :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dsRNA 인식

TLR-4 : 그람음성균이 가지고 있는 LPS(lipopolysaccharide) 인식

TLR-5 : 원핵생물 편모의 단위체인 플라젤린(flagellin) 인식

TLR-6 : multiple diacyl lipopeptide

TLR-7 : single-stranded RNA

○ TLR-8 : small synthetic compound, single-stranded RNA

TLR-9 : 메틸화되지 않은 CG 서열(CpG DNA)과 oligodeoxynucleotide DNA 인식

1st. 식세포는 TLR(toll 유사 수용체, toll-like receptor)에 결합된 외래 분자를 흡입 (식세포작용)

2nd. TLR과 항원이 결합하면 염증반응과 관련된 사이토키닌이 분비

3rd. 병원균을 포함하는 식포와 리소좀이 융합

4th. 리소좀의 독성가스(아질산 등), 병원균 성분 분해효소(라이소자임 등)에 의해 식포 속의 외래 분자 제거

5th. 병원균 잔재는 세포외배출을 통해 배출

연살상세포(NK cell, natural killer cell)

MHC class Ⅰ이 발현 안 되는 세포를 인식하여 제거

MHC class Ⅰ 발현수준이 낮은 병든 세포, 암세포, 바이러스 감염세포 제거

○ MHC class Ⅰ 발현수준이 낮은 암세포는 증식 능력이 높음

○ MHC class Ⅰ 발현수준이 높은 암세포는 세포독성 T세포에 의해 살상

○ 살상 능력 : CTL > NK cell

ADCC(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 IgG, 퍼포린, 그렌자임과 관련이 있음 

○ 인터페론 α, β에 의해 활성화된 NK cell은 인터페론 γ 분비

내부 방어시스템 : 헤모구(곤충의 면역세포)

식세포 활성, 항외래 분자 펩티드(곰팡이, 세균 타깃) 합성 및 분비

페놀옥시다아제 효소 소유 페놀이 중합체 형성 기생충이나 상처조직에 침투 기생충이 다른 부위로 전파 억제

병원균의 종류에 따라 차별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남

예. 초파리 : 붉은 빵 곰팡이 감염 곰팡이 세포벽 일부와 곤충의 인식단백질의 결합 Toll 수용체 활성화 특정 항 외래 분자 펩티드 유도 및 분비

○ 그람음성균에만 존재하는 LPS(lipopolysaccharide)도 Toll 수용체의 표적이 됨

항외래 분자 단백질

보체단백질(complement) : 척추동물의 혈액에 존재하는 20여 종의 항외래 단백질군. 에서 생성

○ 메커니즘 : 세 종류가 있으나 모두 유사하게 MAC(membrane attack complex)를 형성

종류 1. classical pathway

종류 2. lectin-mannose pathway

종류 3. alternative pathway

기능 1. 중화반응(neutralization) : 항원이 숙주세포로 침투하지 못하게 함. 항원의 공격을 무력화

기능 2. 옵소닌화(opsonization) : 노출된 항체의 Fc 부위와 식세포의 Fc 수용체가 결합하여 식세포 작용 촉진

○ IgG가 관여

○ 항체의존성 세포 매개성 세포독성(ADCC)을 통해 세포 사멸 

○ 항원 표면이 소수성일수록 옵소닌의 흡착량이 많아짐 → RES(reticuloendothelial system)에 의해 걸러내어 짐

○ (주석) 옵소닌화는 aggregation과 비슷함

기능 3. 식세포 유도 : 보체단백질에 대한 주화성, 모세혈관 투과성 증대, 혈관 이완

기능 4. 호중구, 호염기구, 비만세포의 과립(예 : 히스타민) 분비 유도

기능 5. 보체계 : IgG, IgM이 보체계를 활성화하여 보체는 MAC를 형성하고 공격복합체(C5b ~ C9) 형성

○ 이를 CDC(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라고도  함

○ 보체계 활성화는 C1q, C1r, C1s 등에 의해 이루어짐

5-1. 퍼포린(perforin)

표적세포의 세포막에 구멍을 내는 분자

○ 암세포는 T세포가 분비한 퍼포린에 의해 세포막에 형성된 구멍을 ESCRT 복합체로 수리할 수 있음

5-2. 그렌자임(granzyme)

○ 단백질 분해효소의 일종으로 세포 내 섭취를 통하여 감염세포 내로 유입

표적세포 내에 아톱토시스를 유도하여 핵과 세포질을 조각냄

기능 6. 항체 활성화

기능 7. 항체 중 IgG, IgM은 보체단백질 활성화

인터페론 : 선천성 항바이러스 단백질

인터페론 α : 백혈구에서 생산, 자연살상세포 활성화

○ 인터페론 β : 섬유아세포에서 생산, 대식세포, 자연살상세포 활성화

○ IFN-β-1a : 다발성 경화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사이토카인

○ 인터페론 α, β

○ 1st.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

○ 2nd. 주위 세포에 인터페론 분비

○ 3rd. 인터페론이 바이러스 저항성 단백질 생성신호로 작용하여 주위 세포에서 바이러스 증식 억제

인터페론 γ : 면역림프구에서 생산, 세포독성 T 세포, 대식세포 활성화

○ 대식세포 활성화 디펜신 분비 및 식세포 활성 증가 외래 분자 제거

○ CD8+ T cell marker 

③ 키닌(kinin) : 혈관확장을 일으키는 강력한 펩티드

염증반응

염증반응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 염증반응]

 

반응순서

1st. 조직(주로 표피조직) 손상

2nd.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 분비,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PG(pyrogen) 분비

3rd. 히스타민의 작용 : 모세혈관 확장, 혈관투과성 증진, 상처부위로 혈류흐름 증가 (보체단백질 유입), 평활근 이완

4th. 프로스타글란딘 : 염증반응(열 발생), 점막 형성, 두통 야기, 혈액 응고, 평활근 수축 (여성 자궁수축)

○ 프로스타글란딘은 거의 모든 세포에서 만들어짐

○ 분자 구조가 불안정하여 국소조절자로 작용

cyclooxigenase → 아라키론산 활성화 → 프로스타글란딘 활성화

아스피린 : cyclooxigenase 억제 → 프로스타글란딘 억제

○ 아스피린은 비스테로이드 소염제(NSAID) 중 가장 대표적

아스피린 순작용 : 해열진통, 심장발작 예방, 혈전용해제

○ 아스피린 부작용 : 위궤양(점막 형성 관련), 수술 중 지혈이 안 돼 사망하는 경우, 위장 출혈, 뇌출혈

5th. 더 많은 식세포 유인, 호중구와 대식세포에 의해 외래 분자 제거

6th. 고름(백혈구, 세균의 시체) 축적 (식세포가 고름을 잡아먹기도 함)

7th. 염증 증상(발열, 홍조, 부종) 약화

○ T 세포 활성 촉진

○ 세포 내 화학반응 촉진

○ 혈장의 철분 농도를 감소시켜 박테리아 생장 억제

8th. 상처 회복

전신염증반응

내막염, 충수염 : 손상된 세포, 감염 미생물에서 골수에 호중구 생산을 증가시키는 물질 분비

열 발생 : 병원균 독소 대식세포가 PG 분비 시상하부 설정점 세균 증식 지연 및 체세포 대사 증진

패혈증 : 심한 고열, 저혈압 상태( 혈관팽창) 죽음

 

 

3. 후천성 면역:항원과 림프구, MHC [목차]

항원(antigen) : 림프구에 의해 특이적으로 인식되고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외래분자들

항원 결정소(에피톱, epitope) :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항원의 단편

하나의 항원에는 여러 에피톱이 존재

○ 반대로 항원과 결합하는 항체 결합부위를 파라토프(paratope)라고 함

특정 항원에 대해서 여러 종류의 항체 생성(다클론항체) 단일클론항체

조건

크기 : 1,000 Da 이하에서는 면역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음

항원 특이성 : 자기 분자와 유사한 분자는 선별과정에 의해 림프구가 인식하지 못함

항원 분해와 제시 과정 적합성 (예 : D-아미노산)

분류 1

○ 내부 항원 : 바이러스, cancer-specific antigen 등. MHC class Ⅰ에 의해 식별

○ 외부 항원 : 박테리아, 기생충 등. MHC class Ⅱ에 의해 식별

분류 2

○ 단백질 항원 : T 세포 의존적(MHC class Ⅰ과 관련). 2차 면역 가능. 항원성과 면역원성 보유

○ 비단백질 항원 : T 세포 비의존적. 항체와만 반응. 항원성만 보유

⑤ 합텐 vs 보강제

○ 합텐

○ 체내 단백질과 부착하여 항원성(체액성 면역성)을 제공하는 유기물

○ 체액성 면역은 일으키지만 세포성 면역은 일으키지 못함

○ 항체 매개성 과민반응 유발

○ 예 : 페니실린, 아스피린, 디니트로페놀

○ 보강제 :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을 모두 일으킬 수 있음

림프구 생성 : (난황 주머니의 줄기세포) (태아의 간) 골수의 조혈모세포 림프계모세포 각종 림프구

① 참고로 「 」는 발생 중에 일어나는 과정

자연살상세포 : 감염 세포 또는 암세포 공격 및 용해

○ 암세포 살상력은 Tc가 더 강함

③ B세포(B cells) : 형질세포 및 기억세포로 분화

형질세포(plasma cells) : 항체 분비

세포독성 T 림프구 (Tc, T cytotoxic lymphocytes) : 감염 세포 치사

 보조 T 림프구(Th, T helper lymphocytes) : 다른 림프구의 활성 보조

조절 T 림프구(Treg, T regulatory lymphocyte) : 다른 림프구의 활성 조절

림프기관 : 적혈구, 알부민은 림프기관으로 유입되지 않음

① 1차 림프기관 : 림프구의 수용체가 붙는 장소

흉선(가슴샘, thymus) : T 림프구는 골수에서 생성되고 흉선으로 이동 후 성숙

○ T 림프구의 어원은 thymus의 이니셜

골수(bone marrow) : 림프구 생산, B 림프구는 골수에서 생성되고 골수에서 성숙

○ B 림프구의 어원은 bone marrow의 이니셜

○ 태아의 간

② 2차 림프기관 : 림프구가 항원을 만나는 장소, 세포 저장·이물질 여과·감염시 염증반응

비장(spleen)

○ 편도선(adenoid)

○ 충수(appendix)

○ 기타 림프관, 림프절(lymph node) : 조직의 항원을 반응

③ 림프절의 구조

○ 유입 림프관, 유출 림프관, 배중심, 부피질영역

○ 림프절에서 T세포는 주로 배중심에 위치함

○ 활성화된 B세포는 부피질영역에서 형질세포로 분화함

④ 비장(spleen) : 가장 큰 림프절

○ 특징

○ 혈액을 저장하고 정제함

○ 고농도의 림프구와 항체가 존재

○ 성숙 림프구가 집합하는 장소

○ 전신성 감염에 반응

○ trabecule로 나눠진 여러 구획

○ 수질은 안쪽의 백색수질과 비교적 바깥쪽의 적색수질로 나뉨

○ 백색수질과 적색수질의 경계부분에 marginal zone이 있음

○ 적색수질(red pulp; RP) 

대식세포(오래된 적혈구 분해), 적혈구, 소수의 림프구 존재 

적혈구가 있어서 빨갛게 보임

H&E 염색에서 분홍색으로 나타남 ( 핵의 개수 ↓)

○ 백색수질(white pulp; WP)

B cell, T cell 등이 많음

측부혈관림프양막(PALS, periarteriolar lymphoid sheath) : 주로 T 림프구가 존재, 동맥 주변을 둘러쌈

○ H&E 염색에서 보라색으로 나타냄 ( 핵의 개수 ↑)

1st. 비장동맥으로 항원과 림프구 유입

○ 2nd. 변연부로 이동

○ 3rd. 항원을 변연부에서 수지상 세포가 섭식

○ 4th. PALS로 이동해서 T 세포에게 제시

○ 5th. Th cell 활성화

○ 6th. B cell과 함께 1차 여포로 이동

○ 7th. B cell이 중심부에서 성장하면 2차 여포로 분화

○ 변연부(marginal zone; MZ) : 림프구와 대식세포 존재

비장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2. 비장]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세포막에 존재하는 당단백질로 말단에 임의의 펩티드를 부착할 수 있어 항원 제시를 수행

주의 : 지질과 탄수화물은 MHC에 제시할 수 없음

 

출처 : 서울대학교 테라노스틱스 수업

Figure. 3. 주조직적합성 복합체의 종류]

 

MHC class

적혈구를 제외한 모든 세포가 제시

분해된 세포단백질 조각을 가지고 세포막으로 이동하여 Tc 세포에게 항원제시

정상 시 : 자기 펩티드를 항원제시

감염 시 : 비자기 펩티드(항원)도 항원제시 세포가 감염되었음을 인식(항원 인식)

○ 비자기 펩티드를 제시하는 경우 : 암세포, 바이러스

MHC class

식세포 활성이 있는 항원제시세포가 제시

항원제시세포(APC, antigen presenting cell) : B 세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 B 세포 : BCR과 특이적인 한 종류의 항원을 MHC class Ⅱ에 제시. Th2로부터 활성화

○ 대식세포, 단핵구 : 항원을 세포내 섭취. 여러 종류의 항원을 MHC class Ⅱ에 제시할 수 있음. Th1을 활성화

○ 수지상세포 : 세균 특이적 분자를 인식하면 이동성이 증가하여 림프절로 이동. T 림프구의 음성선택 시 항원제시. Th, Tc 활성화

○ 흉선 외피세포(thymic epithelial cell)

○ 그 밖에도 활성 T 세포, 미성숙 hematoblast, 일부 상피세포, 일부 암세포에서 HLA class Ⅱ가 존재함

리소좀에서 분해된 항원 제공을 Th 세포에게 제공

○ 비자기 펩티드를 제시하는 경우 : 박테리아, 기생충

MHC class

항원-항체 복합체와 작용하여 외래 세포를 용혈시키는 보체시스템의 단백질 중 일부

⑤ MHC 다형성(MHC polymorphism)

○ 인간 MHC 유전자 : 인체 백혈구 항원(HLA) 그룹, 6번 염색체 상에 위치, 공동우성 발현

 

human chromosome 6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4. human chromosome 6]

 

○ HLA(human leukocyte antigen)라고도 함

○ MHC class Ⅰ : HLA-A, HLA-B, HLA-C

○ MHC class Ⅱ : HLA-DR, HLA-DP, HLA-DQ

○ 쥐 MHC 유전자 : H-2 그룹

○ MHC class Ⅰ : H-2-K, H-2-D, H-2-L

○ MHC class Ⅱ : H-2-IA, H-2-IE

○ 각 MHC 좌위에 수백 개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있으므로 일란성 쌍둥이를 제외하고는 MHC 조합이 일치할 수 없음

○ MHC 제한에 따른 T 림프구 증식 실험 

○ 성숙한 적혈구에는 HLA 항원이 존재하지 않음

○ 수혈할 때 MHC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

⑸ MHC class Ⅰ 항원제시 메커니즘

① 1st. 일반세포가 내부 항원(예 : 바이러스, 암세포)을 프로테아좀에 의해 절편화

9 ~ 15개의 아미노산 가닥으로 분해

② 2nd. 조면소포체에서 MHC class Ⅰ 생성

③ 3rd. 항원이 TAP(transporter associated with antigen processing)를 통과하여 세포질에서 조면소포체로 이동

④ 4th. 조면소포체에서 펩티드-MHC 결합이 일어남

⑤ 5th. MHC class Ⅰ에 항원이 제시된 채로 세포막에서 발현

⑥ 6th. CD8+ T 세포에 의해 인지됨

MHC class 항원제시 메커니즘

① 1st. 항원제시세포가 외부 항원(예 : 박테리아, 기생충)을 흡수

○ 대식세포 : 음세포작용

○ B세포 : 수용체 매개 내포작용

② 2nd. 외부 항원은 엔도리소좀에 의해 절편화

12 ~ 15개의 아미노산 가닥으로 분해

③ 3rd. 조면소포체에서 MHC class 생성

④ 4th. 항원 절편 소낭에 MHC class 소낭이 합쳐져 엔도좀 소낭(리소좀의 일종) 형성

⑤ 5th. 엔도좀 소낭 펩티드-MHC 결합이 일어남

⑥ 6th. MHC class Ⅱ에 항원이 제시된 채로 세포막에서 발현

⑦ 7th. CD4+ T 세포에 의해 인지됨

 

MHC class Ⅰ 및 MHC class Ⅱ 항원제시 메커니즘
출처 : Melief et al., J. Clin. Invest. 2015

Figure. 5. MHC class Ⅰ 및 MHC class Ⅱ 항원제시 메커니즘]

  

⑺ cross-presentation : 에피톱이 MHC class Ⅱ로 가야 하는데 MHC class 으로 가는 현상

 

 

4. 면역반응 개요 [목차]

 

면역반응 개요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6. 면역반응 개요]

 

⑴ 1st. 항원 1차 노출

⑵ 2nd. 대식세포가 항원을 섭취한 뒤 MHC class 항원제시 → Th1 활성화

⑶ 3rd. B 림프구가 항원을 섭취한 뒤 MHC class Ⅱ 항원제시 → Th2 활성화

⑷ 4th. 수지상 세포가 항원을 섭취한 뒤 MHC class Ⅱ 항원제시 → Tc 활성화

⑸ 5th. Th1이 추가로 Tc를 활성화 → MHC class Ⅰ 항원인식으로 감염세포 식별 뒤 사멸

⑹ 6th. Th2는 다시 B 림프구를 활성화

⑺ 7th. 활성화된 B 림프구는 항체 생산

⑻ 8th. 항원 2차 노출

⑼ 9th. 기억세포를 거치므로 빠르게 진행됨

① Tc cell은 대식세포로부터 활성화된 기억 Th1이나 수지상 세포나 MHC class Ⅰ 항원제시 감염세포의 활성화 신호를 받자마다 세포성 면역반응 진행

○ ⑵ ~ ⑻에서는 기술되지 않았으나 Tc cell은 MHC class Ⅰ 항원제시 감염세포로부터도 활성화 신호를 받음

② B 림프구의 경우 기억 B 림프구가 항원과 결합하자마자 형질세포로 분화 (별도의 신호 불필요)

 

 

5. 후천성 면역 : T 림프구 (T cells, T lymphocytes) [목차]

TCR(T cell receptor) : T 림프구의 수용체, T 림프구의 막에 존재하여 MHC에 결합된 항원 펩티드 인식

형태 : I 자 모양

② 4차 구조 : α 사슬과 β 사슬이 이황화결합

③ 항원 결합 부위 : 1개, 항원의 1차 구조 인식

○ MHC 분자와 결합된 단백질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을 인식

○ 1차 구조를 인식하기 때문에 TCR은 열·pH에 강함

TCR은 CD 단백질과 협동해야 제시된 항원 인식이 가능

⑤ 「TCR + CD3 + CD247 : 신호전달 체계 작동

⑥ 「TCR + CD3 + CD247 + CD8 : MHC을 인식하는 보조단백질군

⑦ 「TCR + CD3 + CD247 + CD4 : MHC을 인식하는 보조단백질군

1st. 생성 : 골수에서 T cell 전구체 생성, 태아의 경우 간에서 생성

CD4-, CD8-, TCR-

⑶ 2nd. T cell 전구체는 흉선 피질로 이동

⑷ 3rd. 분화 : 흉선 피질에서 T cell 전구체가 immature naive T cell과 immature γδ T cell로 분화

3rd - 1st. RAG 유전자 발현 : 1회성

RAG 유전자는 T 세포와 B 세포에서만 발현되는 유전자

○ RAG(recombination activation gene) : 재조합 신호서열(RSS, recombination signal sequence)을 인식하는 재조합 효소

3rd - 2nd. 1차 분화 : T cell 전구체 (CD4-, CD8-, TCR-) → immature naive T cell 전구체 + immature γδ T cell

○ immature naive T cell 전구체 : CD4-, CD8-, TCR αβ-

○ immature γδ T cell : CD4-, CD8-, TCR γδ+

3rd - 3rd. immature naive T cell 전구체 → immature naive T cell (CD4+, CD8+, TCR αβ low)(이중양성)

3rd - 4th. 2차 분화

3rd - 4th - 1st. immature naive T cell : CD4+, CD8+, TCR αβ low → CD4+, CD8+, TCR αβ

3rd - 4th - 2nd. immature γδ T cell : 추가적으로 분화

4th. 1차 클론소실 : 양성선택(positive selection), 흉선 피질에서 일어남

① 4th - 1st. 흉선 상피세포가 제시한 자신의 MHC와 self peptide에 결합하지 못한 클론 사멸

self를 강하게 인식하더라도 일단 MHC 결합 능력 자체를 평가

MHC 형 : MHC에는 다양한 타입이 있으며, 타입이 다른 비자기 MHC 상에 제시된 항원은 인식할 수 없음

○ 장기이식 시 면역거부 현상은 MHC 형과 Th와 관련

4th - 2nd. MHC class Ⅱ와 결합한 immature naive T cell은 Th cell로 결정 (예 : CD4의 퇴화 결정)

○ immature naive Th cell : CD4+, CD8+, TCR αβ

4th - 3rd. MHC class Ⅰ과 결합한 immature naive T cell은 Tc cell로 결정 (예 : CD8의 퇴화 결정)

○ immature naive Tc cell : CD4+, CD8+, TCR αβ

immature naive Th cell과 immature naive Tc cell의 비율은 2 : 1 정도

⑹ 5th. 양성선택을 거친 mature naive Th와 mature naive Tc는 흉선 수질로 이동

⑺ 6th. 2차 클론소실 : 음성선택(negative selection), 흉선 수질에서 일어남

6th - 1st. 수지상세포가 MHC class Ⅱ에 제시한 self peptide를 강하게 인식시 세포자살 유도

6th - 2nd. self, nonself 구분 : 음성선택을 거친 immature naive Th와 immature naive Tc는 모두 비자기만 반응

③ 음성선택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면 자가면역 질환 

⑻ 7th. 성숙 : 흉선 수질에서 최종 성숙이 진행

① 7th - 1st. immature naive Th cell → mature naive Th cell

○ immature naive Th cell : CD4+, CD8+, TCR αβ

○ mature naive Th cell : CD4+, CD8-, TCR αβ

② 7th - 2nd. immature naive Tc cell → mature naive Tc cell

○ immature naive Tc cell : CD4+, CD8+, TCR αβ

○ mature naive Tc cell : CD4-, CD8+, TCR αβ

③ 7th - 3rd. immature γδ cell → mature γδ cell

○ γδ cell의 selection 기작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음

팁. 애써 성숙시키고 클론소실이 일어나면 에너지가 낭비되므로, 성숙은 가장 마지막 단계

⑼ 8th. mature T cell은 림프절로 이동

① mature naive Th cell은 Th0 상태로 림프절로 이동

보조 T 림프구(helper T cell)

림프절에서 수지상 세포가 naive Th를 활성화

helper T cell : 약 5 종류, 수지상세포가 삼킨 항원 종류에 따라 naive Th type을 결정하는 사이토카인 분비

○ helper T cell 0 (Th0)

○ IL-12나 IFN-γ에 의해 Th1으로 분화 : IL-2, 인터페론 γ 분비, 세포성 면역과 관련

○ IL-4에 의해 Th2로 분화 : IL-4 분비, 체액성 면역과 관련

helper T cell 1 (Th1) : CD4+ / CD25-

○ T-bet은 Th1 분화에 필수적임

○ IL-2, IL-10, IFN-γ, TNF-β 분비

1단계. 대식세포에 작용 : Th1이 대식세포의 항원제시 인식

2단계. 상호작용 : 대식세포는 IL-1으로 Th1 활성화, Th1은 IL-2, IFN-γ로 자가활성화 및 대식세포 활성화

3단계.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활성산소를 생성하여 세균 제거

○ Tc에 작용 : Th1이 Tc의 항원제시 인식 → IL-2, 인터페론 γ로 naive Tc 활성화

helper T cell 2 (Th2) : CD4+ / CD25-

○ IL-4, IL-5, IL-6, IL-13 분비

1단계. B cell에 작용 : Th1이 mature naive B cell의 항원제시 인식

2단계. IL-4로 B cell을 형질세포로 활성화, B cell도 IL-4로 Th2 활성화

suppressor T lymphocytes (T regulator lymphocyte) : CD4+ / CD25+

기능 1. 과도한 면역 반응 억제

기능 2. 림프구 발달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자기공격 림프구 억제, 비정상인 경우 자가면역질환

○ 억제 사이토카인 분비, 항원이 제거되면 모든 형질세포를 불활성화

보조 T 림프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은 후천성 면역에도 기여

○ 예 : 단핵구를 대식세포로 분화

○ 예 : 호중구의 식세포 활성 증진

항원제시세포가 제시한 항원을 인식하면 Th는 자기 자신에게 작용하는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세포분열 시작 (클론선택)

대부분 : 효과세포(effector cell)로 직접 면역반응에 참가

일부 : 기억세포(memory cell)로 같은 항원에 재노출 시 신속하고 강력한 반응 야기

하나의 보조 T 림프구로부터 유도된 기억세포는 모두 같은 TCR을 가짐

기억세포는 약간의 사이토카인만으로도 활성화되기 때문에 대식세포, B림프구가 Th 기억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음

세포독성 T 림프구(CTL, cytotoxic T lymphocyte, killer T cell)

① 림프절에서 수지상 세포와 Th1이 naive Tc 활성화 세포성 면역

1st. Th1이 내보내는 사이토카인(예 : IL-2)가 Tc를 최종 활성화

1st - 1st. naive Tc는 professional APC(주로 수지상세포)의 MHC class Ⅰ에 제시된 항원과 TCR이 결합

1st - 2nd. 추가로 APC의 세포막 표면의 CD80(B7-1) 또는 CD86(B7-2)와 Tc cell 표면의 CD28이 결합

1st - 3rd. Th1이 내보내는 사이토카인은 CD80 또는 CD86와 협력하여 naive Tc를 활성화

사이토카인 : 인터페론 γ, IL-2, 종양괴사인자(TLF-β)

○ (참고) 감염된 APC도 항원을 MHC class Ⅰ에 제시하지만 위와 같은 기작이 없으므로 활성화된 Tc가 제거

③ 2nd. 활성화된 Tc는 세포분열을 통해 대부분은 효과세포, 일부는 기억세포가 됨 (클론선택)

④ 3rd. 효과세포는 MHC class 으로부터 외부항원임을 인식(항원 인식)

⑤ 4th. Tc는 그 표적에게 결합한 채로 세포자살 유도, 세포사멸(퍼포린·그렌자임)

○ Fas : 세포막 수용체, FasL(Fas ligand)가 Fas에 결합 시 세포자살 유도

○ 문제 유형 : Fas 메커니즘과 세포사멸 메커니즘이 모두 억제되어야 Tc의 기능 억제

⑥ 5th. 같은 항원에 재노출 시 수명이 긴 기억세포가 신속하고 강력한 반응 야기

하나의 세포독성 T 림프구로부터 유도된 기억세포는 모두 같은 TCR을 가짐

⑿ 조절 T 림프구(Treg, regulatory T lymphocyte)

① CD4와 CD25를 발현

② Treg이 있으면 항체의 생산량이 줄어듦

③ 극심한 자가면역항체가 생성되는 경우를 대비한 생명보호기작이라고 할 수 있음

⒀ MHC 제한에 따른 T 림프구 증식 실험

 

골수 이식 수지상세포의 MHC 형 T 림프구 증식 여부
공여 생쥐의 MHC 형 수여 생쥐의 MHC 형
a × b a a 증식함
b 증식 안 함
a × b b a 증식 안 함
b 증식함
a b a 증식 안 함
b 증식 안 함

 

Table. 2. MHC 제한에 따른 T 림프구 증식 실험

 

① 과정

○ 1st. 골수 수여 생쥐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모든 림프구와 골수세포 제거

○ 2nd. 골수 수여 생쥐에게 골수세포 이식한 지 3개월 후 항원 주입

○ 3rd. 골수 수여 생쥐에게 항원 면역

○ 4th. 골수 수여 생쥐로부터 분리한 T 림프구를 제3의 생쥐로부터 분리한 수지상세포와 함께 배양

○ 5th. 배양액에 해당 항원을 넣고 T 림프구의 증식 여부 관찰

② 해석

○ a × b 골수를 이식받은 경우 a형 MHC 발현 T 림프구와 b형 MHC 발현 T 림프구가 존재

○ a형 골수를 이식받은 경우 a형 MHC 발현 T 림프구 존재

○ a형 수여 생쥐의 흉선상피 세포에는 a형 MHC만 발현

○ 양성선택 : a형 수여 생쥐의 경우 a형 MHC만 발현하는 T 림프구만 살림

○ 성숙 : a형 T 림프구는 a형 MHC를 발현하는 수지상세포를 만나야 성숙이 이루어짐

○ 정상 a형 MHC 발현 생쥐는 a형 상피세포와 a형 수지상세포를 발현

○ 정상 a × b형 MHC 발현 생쥐는 a형, b형 상피세포와 a형, b형 수지상세포를 발현

새로운 MHC형을 인지한 경우 외부 항원으로 취급하고 면역공격

 

 

6. 후천성면역 : B 림프구 (B cell; B lymphocyte) [목차]

BCR(B cell receptor) : B 림프구의 수용체

⑵ 항체(antibody) : BCR이 분리된 형태

형태 : Y 자 모양, 150 kDa, 10 nm

② 구성 : 무거운 사슬(중쇄, H, heavy chain) 2개 + 가벼운 사슬(경쇄, L, light chain) 2개

③ 4차 구조 : 사슬 간, 사슬 내 이황화 결합

④ 열 저항 : 항체는 일반적으로 56 ℃에서의 고온에도 충분히 안정 (보체는 그렇지 않음)

⑤ N 말단과 C 말단

○ N 말단 : 가변영역 혹은 Fab(fragment of antigen binding)

○ C 말단 : 불변영역 혹은 Fc(fragment of crystalizaiton). 아미노산 차이가 작고 찬 곳에 두면 결정화

○ 가변영역 중 항원과 결합하는 부분은 CDR(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 한 개의 항체는 2개의 Fab와 1개의 Fc가 이황화결합으로 연결돼 있음

○ C 말단은 대식세포와 결합할 수 있음

⑥ 항원 결합 부위 : 가변(V) 영역으로 항체 다양성의 핵심, 항원 결합 부위가 2개, 항원의 3차 구조 인식

○ BCR은 항원의 3차 구조를 인식하므로 열·pH에 약함

○ 항원-항체 간 결합력 : 비공유결합으로 약한 결합

⑦ 생물학적 기능부위 : 면역기능(보체 반응, 식균작용 등)과 관련된 일정(C) 영역

중쇄 C 영역의 종류에 따라 항체의 종류를 분류

⑨ 항체의 enzymatic digestion

○ pepsin digestion : F(ab')2 1개

○ mercaptoethanol reduction : H chain 2개 + L chain 2개

○ papain digestion : Fab 2개 + Fc 1개. Fab, Fc 각각 50 kDa 정도

⑩ 역사

○ 1890년 베링이 디프테리아 접종 흰쥐 실험을 통해 최초로 발견

○ 혈청을 전기영동하면 알부민, α 글로불린, β 글로불린보다 (-) 극쪽에 나타나므로 γ 글로불린(γ-globulin)으로 명칭

○ 면역작용을 나타내는 글로불린이라는 의미에서 면역 글로불린(immunoglobulin)이라고도 함

 

항체의 구조
출처 : 서울대학교 생물학(안태인 교수님) 강의

Figure. 7. 항체의 구조]

 

⑶ 1st. 생성 : 골수(bone marrow)에서 pro-B-cell이 생성

① 1st - 1st. 조혈모 세포 → 림프양 세포

② 1st - 2nd. 림프양 세포 → pro-B-cell : H 사슬 유전자의 부분 재조합

2nd. 유전자 재조합(체성 재조합)

항체 다양성 : 인간의 유전자(30,000)는 항체 다양성을 설명할 수 없음

유전자 재조합 : 가변부위 항체 유전자에서 잘라 잇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DNA를 얻는 과정

2nd - 1st. RAG 유전자 : 유전자 재조합을 위한 단백질을 생성

RAG(recombination activation gene) : 재조합 신호서열(RSS, recombination signal sequence) 인식 재조합 효소

2nd - 2nd. 중쇄 유전자 재조합 : 유전자 재조합은 중쇄에서 먼저 발생. V, D, J, C 분절의 조합

2nd - 2nd - 1st. D-J-Cμ-Cδ-Cε-Cγ-Cα DNA → V-D-J-Cμ-Cδ-Cε-Cγ-Cα DNA

2nd - 2nd - 2nd. 전사 : V-D-J-Cμ-Cδ-Cε-Cγ-Cα DNA → V-D-J-Cμ-Cδ-Cε-Cγ-Cα mRNA

2nd - 2nd - 3rd. 대체 스플라이싱 : V-D-J-Cμ-Cδ-Cε-Cγ-Cα mRNA → V-D-J-C mRNA

○ 대체 스플라이싱이 무작위적인 건 아니므로 아래 그림 예시에서 n × 30 × 6 가지가 가능

2nd - 3rd. 경쇄 유전자 재조합 : V, J, C 분절의 조합

2nd - 3rd - 1st. 전사 : V-J-C1-···-Cn DNA → V-J-C1-···-Cn mRNA

2nd - 3rd - 2nd. 대체 스플라이싱 : V-J-C1-···-Cn mRNA V-J-C mRNA

○ 아래 그림 예시에서 n × 6 가지가 가능

○ L 사슬에는 κ 또는 λ를 지니며 두 유형을 함께 가질 수는 없음

⑥ 2nd - 4th. 재조합 과정에서 DNA 첨가가 일어남

중사슬 : P 부위와 N 부위 DNA 첨가가 일어남

경사슬 : P 부위만 DNA 첨가가 일어남

2nd - 5th. 1회의 유전자 재조합 후 Rag 유전자 비활성화

 

중쇄 DNA와 경쇄 DNA
출처: 서울대학교 생물학(안태인 교수님) 강의

Figure. 8. 중쇄 DNA와 경쇄 DNA]

 

⑸ 3th. pro-B-cell → pre-B-cell : H 사슬 유전자의 재조합 완성

① pro-B-cell에서 유전자 재조합을 완료하면 미완성 BCR을 막에 발현

⑹ 4th. pre-B-cell → immature naive(미성숙한 미경험) B cell : L 사슬 유전자의 재조합

① pre-B-cell의 미완성 BCR 대신 IgM이 발현되며 immature naive B cell이 됨 

⑺ 5th. immature naive B cell → mature naive B cell(성숙한 미경험)

① 5th - 1st. 대체 스플라이싱 : 중쇄 mRNA에 기존에 포함되던 Cμ 대신 Cδ가 포함되도록 대체 스플라이싱

② 5th - 2nd. 기존 IgM 옆에 IgD가 추가로 발현

⑻ 6th. 음성 선택(negative selection) = 클론 소실

① 골수에서 자기(self) 펩티드를 항원으로 인식하는 mature naive B cell 제거

② 클론 사멸 : 해당 클론을 사멸

③ 클론 무감작 : 해당 클론의 수용체를 무능화

⑼ 7th. 음성 선택을 거친 mature naive B cell은 골수를 빠져나와 비장과 림프절로 이동

① BCR이 적은 B-1 subtype은 골수에 남아 있고, BCR이 많은 B-2 subtype이 비장으로 이동

② B-2 subtype 중 비장에 계속 남아 있는 분화 형태를 marginal B-cell이라고 함

③ B-2 subtype 중 비장을 떠나 림프절로 이동하는 분화하는 형태를 follicular B-cell이라고 함

팁. 음성 선택 후 림프절 이동을 암기!

⑽ 8th. 1차 클론 확장(clone expansion) : mature naive B cell 형질세포(plasma cell) + 기억세포(memory cell)

메커니즘 1. 선 항원접촉 T 림프구 의존성 활성화

출처 : 서울대학교 테라노스틱스 수업

Figure. 9. 선 항원접촉 T 림프구 의존성 활성화]

 

○ Ⅰ - 8th - 1st. mature naive B cell의 IgD가 항원 인식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

Ⅰ - 8th - 2nd. 외부 항원은 리소좀에 의해 절편화, 1차 구조로 바뀜

Ⅰ - 8th - 3rd. 조면소포체에서 MHC class Ⅱ 생성

Ⅰ - 8th - 4th. 항원 절편 소낭과 MHC class Ⅱ 소낭이 합쳐진 뒤 항원 절편이 MHC class Ⅱ에 결합

Ⅰ - 8th - 5th. 항원 제시

Ⅰ - 8th - 6th. mature Th2가 외부 항원임을 인지하면 사이토카인 IL-4를 분비

Ⅰ - 8th - 7th. 클론선택 : IL-4는 mature naive B cell을 활성화하여 급격히 세포분열 진행

Ⅰ - 9th. mature naive B cell 대부분은 형질세포, 일부는 기억세포가 됨

메커니즘 2. 후 항원접촉 T 림프구 의존성 활성화

○ Ⅱ - 8th - 1st. mature Th2 Mechanism Ⅰ에서 분비한 IL-4가 mature naive B cell 활성화

Ⅱ - 8th - 2nd. 활성화된 mature naive B cell의 IgD가 외부 항원과 결합

Ⅱ - 8th - 3rd. 클론선택 : 활성화된 mature naive B cell은 급격히 세포분열 진행

Ⅱ - 9th. mature naive B cell 대부분은 형질세포, 일부는 기억세포가 됨

메커니즘 3. T 림프구 비의존성 활성화

Ⅲ - 8th - 1st. mature naive B cell의 IgM이 외부 항원과 결합

예 1. 외래 다당류

2. unmethylated CpG DNA : PAMP(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 미생물 ↑. 척추동물 ↓ 

예 3. 나노 입자 : ABC(accelerated blood clearance)는 BALB/c nu/nu 마우스 (T cell deficient)에서는 관찰되지만 BALB/c SCID(T cell & B cell deficient)에서는 관찰되지 않음

Ⅲ - 8th - 2nd. IgM 분비 : 1차 면역반응에서 가장 먼저 분비되는 항체, 2차 면역반응에서 관여하지 않음

○ mature naive B cell은 막형 IgM만 생성 → 분비형 IgM 분비

○ 막형 IgM mRNA : s 부위가 제거되고 M1M2가 번역 시 주로 소수성 아미노산이 나타나 중심에 막관통 부위 형성

○ 분비형 IgM mRNA : 첫 번째 AAUAAA 서열이 인식되면서 절단되고 친수성의 s 부위가 번역됨

○ 분비형 IgM mRNA는 막관통 부위나 세포질 부위가 없어서 더 짧고 분비형이 됨

○ 특징

○ 1일 이내로 빠름 : T 림프구 의존성 활성화의 경우 수 일 정도 소요됨 

기억세포가 형성되지 않음

○ 생성된 항체가 T 림프구 의존성 활성화 시보다 친화성, 다양성 등이 떨어짐

9th - 1st. 중쇄 동형전환(class switching, isotope switching) : 2차 유전자 재조합

9th - 1st - 1st. 체성 재조합 : B cell의 항체 유전자 불변부위 부분에서 결손이 일어남

○ 보다 구체적으로 클래스 전환시 유전자 재조합으로 Cμ, Cδ 부위가 제거됨

○ 유전자 결손으로 막관통 부위나 세포질 부위가 짧아져서 항체가 분비형이 됨

9th - 1st - 2nd. 기존 B cell의 세포막에 있던 IgM이 장소에 따라 IgG, IgA, IgE로 변화

IFNγ는 IgG가 되도록 하고 TGFβ는 IgA가 되도록 함

③ 9th - 1st - 3rd. B cell은 형질세포로 기능. 항체가 보다 특화돼 있으므로 항원-항체 결합력 증가

○ (참고) 항원 결합 부위는 불변

 9th - 1st - 4th. 형질세포는 수일 내 사멸

중쇄 동형전환에는 AICDA 유전자 등이 관여

중쇄 동형전환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0. 중쇄 동형전환]

 

9th - 2nd. 체성 과변이(somatic hypermutation)

9th - 2nd - 1st. mature naive B cell 중 일부 세포에서 중쇄·경쇄 DNA의 가변영역에 점 돌연변이 발생

9th - 2nd - 2nd. 항원-항체 결합력이 증가, 기억세포로 기능

9th - 2nd - 3rd. 기억세포는 수 년 ~ 수십 년간 생존

⒀ 10th. 2차 면역 : 동일한 항원이 두 번째로 노출된 경우

① 10th - 1st. 기억세포의 BCR이 항원과 결합하자마자 급격한 세포분열 후 대부분 형질세포로 분화

10th - 2nd. 2차 면역은 1차 면역보다 상당히 빠르므로 Th가 거의 관여하지 않음

③ 10th - 3rd. 2차 면역에 참가한 기억세포가 3차, 4차 면역에도 참가하면서 면역력이 더 강화됨

○ 3차, 4차 면역에 참가 시 체성 과변이 축적으로 인해 항체-항원 친화도가 더 강화됨

⒁ 형질세포와 기억세포

① 형질세포(효과세포) : 분비형

항체를 분비하여 체액성 면역을 수행

일종의 수용성 BCR인 항체를 분비, 세포막에 BCR이 소량

분비된 항체는 면역반응을 유도한 동일 항원에만 특이적

항체 생산을 많이 하기 위해 조면소포체가 많이 발현

② 기억세포 : 부착형

항체의 종류

IgM : μ-중사슬, 부착형

5량체에서 각 단량체끼리는 J 사슬로 연결

1차 면역 반응 전 : B 세포막에 결합한 단량체 항원 수용체로 발현

1차 면역 : 형질세포에서 5량체로 분비, 큰 항원과 결합 (그 후 혈액 내 농도는 떨어짐)

○ 1차 면역반응에서 가장 먼저 배출되는 항체

보체 반응, 식세포 활성화, 응집반응, 중화반응에 가장 효과적

○ ABO식 혈액형 항체

IgD : δ-중사슬, 부착형

○ 단량체

항원에 노출된 적이 없는 미경험 B세포 표면에 존재

○ 항원자극에 의한 B세포의 증식 및 분화과정(클론선택)에서 항원수용체로 작동

IgG : γ-중사슬, 분비형

단량체

혈장에 유리 : 순환 항체의 약 80%

1, 2차 면역반응에서 가장 풍부한 항체 : 다른 분비형 항체에 비해 비교적 장기간 생존하기 때문

태반면역 : 태반을 통과하는 유일한 항체로서 태아에 수동면역 부여

항원의 중화 및 응집반응 촉진, 보체 반응, 대식세포 활성화, 옵소닌화 

IgG1, IgG2, IgG3, IgG4로 세분화

IgA : α-중사슬, 분비형

2량체 : 각 단량체끼리는 J 사슬(J-chain)로 연결

○ 주요 분비성 항체 : 침, 눈물, 호흡기관, 소화관의 점막, 모유

혈장 : 단량체로 발견

분비물(, 눈물, , 기관지) : 2량체(또는 4량체)로 발견

항원의 응집 및 중화를 통하여 점막 표면 보호

○ 모유를 통해 수동면역 부여

IgA1, IgA2로 세분화

IgE : ε-중사슬, 분비형

○ 단량체

피부, 위장관 및 호흡관 내면 : 형질세포에 의해 분비

혈청에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

알레르기 반응, 기생충 면역에 관여

○ 항체 매개성 과민반응(즉시형 과민반응) : 건초열(hay fever), 천식, 발진, 아나필락시스 쇼크

⑥ 종합

 

  IgM IgG IgA IgD IgE
함량 5-10 % 80 % 10-15 % 1 % 극소량
반감기(일) 5 7-23 5-6 2-8 1-5
분자량(M) 900,000 150,000 160,000 180,000 190,000
형태 1, 5량체 단량체 1~4량체 단량체 단량체
보체 활성 ++ +      
면역반응 1차 반응 2차 반응      

 

Table. 3. 항체의 종류

 

⒃ 항체에 의한 항원제거 기작

옵소닌화 : 항원에 달라붙어(꼬리표 역할) 식세포(호중구과 대식세포)의 식세포 활성이 높아짐

○ 이때 IgG가 가장 대표적으로 관여함

ADCC(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 옵소닌화로 인해 Tc NK cell 등에 의해 인식됨 

○ IgG 항체가 결합한 항원은 대식세포, 단핵구, NK cell에 의해 보다 쉽게 살해당함

○ FcγRII, FcγRIII 등이 관여함 

○ ADCP(antibody-dependent cellular phagocytosis)

 (참고) CDC(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

중화작용 : 항원에 결합함으로써 항원이 숙주세포에 침투하지 못하게 중화. 항원의 공격을 무력화

③ 응집반응 및 침전반응

○ 응집반응(agglutination) : 항원에 항체가 많이 달라붙게 되면 clump를 형성. 결국 phagocytosis의 타겟이 됨

○ 침전반응(precipitation) : 항원에 항체가 많이 달라붙게 되면 무거워져서 가라앉기도 함

보체계 활성화와 구멍 형성

○ CDC(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라고도 함

1st. 항체는 외래 세포 표면에 있는 항원과 결합하여 보체계를 활성화

○ 항체에 항원과 결합할 Fab와 보체계와 결합할 Fc가 모두 있어야 보체계 활성화 가능

2nd. 보체계가 활성화되면, 막공격복합체가 형성되어 외래세포의 세포막에 구멍을 냄

3rd. 막의 구멍으로 물과 이온이 세포 내로 유입되어 세포는 부풀고 내용물이 새어나가 결국 죽게 됨

⒄ 다클론항체와 단일클론항체

① 다클론항체

○ 여러 종류의 항체를 생산하는 B 림프구들의 집합

○ (참고) 한 B 림프구가 여러 항체를 생산하는 게 아니라 각기 다른 항체를 생산하는 림프구들이 모여 있다는 의미

② 단일클론항체

○ 단일 종류의 항체를 생산하는 B 림프구들의 집합

○ 1st. SC(spleen cell)을 추출 : B 림프구가 존재

○ 2nd. 하이브리도마 생성 : 불멸세포인 골수종 세포(myeloma cell; MC)를 융합

○ 3rd. 하이브리도마는 줄기세포가 되어 번식함 : 하이브리도마의 수가 늘어나면서 단일 종류의 항체를 대량 생산

○ 4th. HAT(hypoxanthine-aminopterin\x02thymidine) medium에 배양하여 살아있는 세포를 추출

○ SC가 분비하는 효소인 HGPRT(hypoxanthine-guanine phosphoribosyl transferase)가 있어야 생존 가능

5th. 예상 결과

case 1. SC, SC-SC : die naturally in culture

case 2. MC, MC-MC : die in selective HAT medium

case 3. heterokaryotic hybrid(SC-MC) : survive in HAT culture medium

3-1. non produce

3-2. non-specific Ab producer

3-3. specific Ab producer

⒅ 항체 약제

특징 1. 항체 약제는 혈중에 오래 돌기 때문에 가끔씩 처방해 줘도 됨

특징 2. 항체는 그 자체로 큰 편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일부분만을 약제로 사용함

○ Fab (50 kDa)

○ F(ab')2 (100 kDa)

○ monospecific Fab2 (100 kDa)

○ bispecific Fab2 (100 kDa)

○ trispecific Fab2 (150 kDa)

○ monovalent IgG (75 kDa)

scFv (25 kDa)

○ bispecific diabody (50 kDa)

○ trispecific triabody (75 kDa)

○ scFv-Fc (100 kDa)

○ minibody (75-80 kDa)

○ IgNAR (175 kDa)

○ v-NAR (15 kDa)

○ hcIgG (75 kDa)

○ VhH (15 kDa)

○ VH

○ scFv-CH

○ scFab

○ scFv-zipper

○ cf. IgG (150 kDa)

③ 명명법 : prefix + antibody target + antibody source + suffix 

예 1. Opdivo : nivo + l + u + mab

예 2. Keytruda : pembro + li + zu + mab 

antibody target

bone : -o(s)- 

cardiovascular : -c(i)-

○ immuno-modulating : -li- or -l-

○ inteleukin : -k(l)-

tumor : -t(u)-

virus : -v(l)-

antibody source 

humanization : 항체 약제가 사람 체내에서 면역반응을 유발하지 않도록 humanization을 해야 함

humanization의 종류  

fully human (100% human) : -u-, -su-

○ murine (0% human) : -o-. 사람에서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

○ rat (0% human) : -a-

chimeric (65% human) : -xi-

humanized (> 90% human) : -zu- 

humanization 방법

phage display

○ transgenic mouse

suffix 

○ -mab : monoclonal antibody 

○ -nib : tyrosine kinase inhibitor (예 : Lazertinib)

○ -cel : cell therapy (예 : Tisagenlecleucel)

항체 약제의 종류

⑧ 주요 항체 donor : abcam, cell signaling, thermo, santa cruz, Creative Biolabs 

  

 

7. T 세포 vs B 세포 [목차]

⑴ naive T cell은 비교적 매끈하지만 naive B cell의 표면은 거침( BCR ↑)

⑵ 항원수용체 다양성 기작

 

  T 세포 B 세포
가변영역 조합
(V-region assembly)
일어남
(유전자 재조합)
일어남
(유전자 재조합) 
연결다양성
(junctional diversity)
일어남
(α 사슬과 β 사슬의 연결)
일어남
(중쇄와 경쇄의 연결)
대체 스플라이싱
(alternative splicing)
일어나지 않음 일어남
(IgM → IgG)
중쇄 동형전환
(class switch recombination)
일어나지 않음 일어남
(2차 유전자 재조합)
체성과변이
(somatic hypermutation)
일어나지 않음 일어남
(점돌연변이)

 

Table. 4. 항원수용체 다양성 기작 비교

 

① 항체를 만드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 : 20,000개

② B세포와 T세포의 DNA 재배열로 수백만 ~ 1억 개의 항원수용체와 항체를 만들 수 있음

 

 

8. 면역계 현상 [목차]

활성 1. 감염성 질환

① 바이러스성 질환 등

백신 : B cell의 기억세포 형성

활성 2. 적아세포증

Rh식 혈액형 : 단백질 항원 면역기억세포를 형성하며, IgG 항체도 생성

RN(+) 형의 경우 D 항원을 가지고 있으며 항 D 항체를 생성하지 않음

③ 모체가 Rh(-)형인 경우 : 초기에 D 항원과 항 D 항체를 가지고 있지 않음

첫째 아이가 Rh(+)형인 경우 : 출산 시 작은 상처를 통해 태아의 혈액이 산모와 섞이면서 산모에게 Rh 항원에 대한 항체 생성

둘째 아이도 Rh(+)형인 경우 : 엄마의 IgG가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의 적혈구를 용혈

7개월 즈음과 출산 직후에 항 D 항체를 투여하면 면역기억세포 형성을 막을 수 있음

○ 항 D 항체가 대신 면역반응을 수행하므로 산모에게 항체가 생성되지 않음

○ 로감이 대표적인 항 D 항체

(주의 개념) ABO식 혈액형 : 다당류 항원

다당류이므로 면역기억세포를 형성하지 않으며, IgM 항체만 생성

IgM은 태반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혈액형이 다른 태아를 임신해도 해를 주지 않음

○ 항 A 항체, 항 B 항체는 각각 A 항원, B 항원이 없는 자가 유사한 세균에 감염되었을 때 생성되는 항체임

활성 3. 면역거부(immune rejection) 

① 이식면역학

○ 동종 이식 거부 반응의 특이성과 기억력

○ A의 조직을 B에 최초 이식 시 거부반응이 일어났다고 가정

○ A의 조직을 B에 2차 이식 시 1번째 이식보다 더 빨리 거부반응이 일어남

○ C의 조직을 B에 이식하면 B는 C에 대한 1차 면역반응 → A와 C를 다르게 인식

○ CD4 T 세포가 이식 거부반응에 중요한 역할

○ 동종이식의 성공률은 항원 유사성(조직 적합성)에 달려 있음, MHC 유전자가 그 중 가장 관련이 깊음

② 장기이식

수혜자의 Th cell과 Tc cell이 이식된 장기를 공격하는 현상

○ MHC형이 다른 장기를 항원으로 인식

○ 골, 힘줄, 인대, 연골, 정맥, 피부, 각막은 면역거부가 비교적 덜함

○ 형제 간 장기이식 성공률 = 동일한 6번 염색체를 가질 확률 = 25 % ≫ 부모-자식 간 장기이식 성공률

○ 일반적으로 수혜자에게 cyclosporin과 같은 면역억제제를 처리 후 장기이식

○ MHC형이 같더라도 성이 다르면 SRY의 특정 단백질(예 : smyc)이 항원으로 작용하여 면역거부 가능

미세세포 독성 실험(microcytotoxicity test)

③ 골수이식

○ 이식편대 숙주반응 : 공여자의 골수에 있었거나 새로 생성된 Th cell과 Tc cell이 수혜자의 장기를 공격

○ 대부분 환자가 이식편대 숙주반응을 겪으며, 30-50 %가 심각한 호소

○ 이식편대 숙주반응으로 인해 골수를 전처리, 즉 방사선 조사하여 림프구를 제거한 뒤 이식하기도 함

활성 4. 면역 과민반응

종류 1. type I hypersensitivity 

○ IgE-mediated 

○ 비만세포(mast cell), PBB(peripheral blood basophil) 등이 관여함

○ 증상 : allergic rhinitis ~ anaphylaxis

1-1. 알레르기(allergy) : 급성형 과민반응, 기생충 면역상당히 유사

1st. 알레르겐에 의한 최초 노출 → IgE 생성 및 Fc 부위가 비만세포·호염기구·호산구 수용체에 결합

○ 알레르겐(allergen) : 알레르기 유발원, 음식·꽃가루, 곤충독 등

○ 2nd. 동일 알레르겐에 2차 노출 → 비만세포·호염기구·호산구에 부착된 IgE알레르겐을 인식 및 결합

○ 3rd. 알레르기 결합 IgE 간 결합

○ IgE 이량체화가 있어야 알레르기 반응 가능

○ 항-IgE 수용체 항체도 두 항원결합부위가 동시에 IgE 수용체에 신호를 보내므로 알레르기 반응 가능

○ 4th. 비만세포의 탈과립화 현상 유도 →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세로토닌, 류코트리엔 등을 과다분비

○ 히스타민 : 기관지 평활근 수축, 혈관 평활근 이완 (혈관투과성 증대)

○ 칼슘 이온 유입이 있어야 탈과립화가 가능하므로 저칼슘혈증에서 알레르기 반응은 억제됨

○ 5th. 알레르기 증상(예 : 홍조, 천식, 염증반응)이 나타남

치료제. 에피네프린 : 알레르기 치료제, 떨어진 혈압 상승, 기도 이완

1-2. 지연성 과민반응 : 항원에 접촉한 후 몇 시간이 지나 나타나는 반응

1st. 항원 침입

○ 예 : 폐결핵균이 폐를 감염시킨 경우

○ 2nd. 대식세포와 Th1의 상호활성화 : 오래 걸리는 반응

○ 3rd. Th1이 Tc 활성화

○ 4th. Tc의 과활성

치료제. 코리티코스테로이드

1-3. 항체 매개성 과민반응 : 아나필락시스 쇼크(anaphylatic shock)

○ IgE가 대표적으로 관여

1st. 항원성을 제공하는 유기물질 (예 : 페니실린, 아스피린)이 혈액 내 유입

○ 2nd. 유기물질에 대한 항체 증가

○ 3rd. 2차 혈액 내 유입시 전신 알레르기 반응

○ 4th. 전신에 걸쳐 혈관 투과성 증대 및 평활근 이완 혈액이 조직으로 유출 가속화하여 혈압 감소

○ 5th. 급성 쇼크반응

○ 6th. 평활근 이완의 보상작용으로 다른 평활근 수축 → 기도 평활근 수축 → 호흡곤란

○ 예 : 페니실린

○ 페니실린은 β-락탐 고리를 가짐

○ β-락탐 고리는 비단백질로 면역원성이 없으나 체대 단백질과 공유결합하여 합텐 형성

○ 합텐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음

종류 2. type II hypersensitivity : non-IgE-mediated

2-1. 보체 침전 과민반응(complement activation-related pseudoallergy; CARPA)

○ 메커니즘 : 면역 복합체 → 보체 활성화 → 기저막에 침전. IgE는 관여하지 않음

○ 과민반응의 77%

○ 예 : RCM(radiocontrast media), 리포좀, 미셀, 택솔에서의 Cremophor EL (CrEL)

⑦ type I hypersensitivity와 type II hypersensitivity의 비교

 

출처 : J. Szebeni / Toxicology 216 (2005) 106–121

Table. 5. type I hypersensitivity와 type II hypersensitivity의 비교]

 

활성 5.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 클론소실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자기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전신홍반성 낭창

○ DNA, 핵단백질에 대한 항체 소유, 염증반응 유발, 항체를 과량 생산 하는 B세포 소유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머티즘)

○ 발병 : CTLA4(T 림프구가 자기항원과 반응하는 것을 억제하는 단백질) 활성이 낮아서 self를 인식하는 T 림프구가 관절 속으로 들어가 염증 초래

다발성 근경화증 (multiple sclerosis)

○ 발병 : T 림프구가 신경축삭을 감싸고 있는 미엘린을 공격(탈수초성 질환)

○ 증상 : 피로, 안면 및 사지 마비, 성기능 장애, 평형감각 이상, 현기증, 우울증 등 수반

④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발병 : 골격근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항체가 생성 → 근수축 억제 → 근육 퇴화

Ⅰ형 당뇨병(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 Tc가 이자의 베타세포를 공격

히시모토 갑상선염 : T 림프구가 갑상샘 세포를 공격

⑦ 길랑-바레 증후군 : 말단부터 경직

⑧ 루푸스 병(systemic lupus erythematosus)

⑨ 실험적 자가면역성 뇌척수염(EAE,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 가장 잘 연구된 자가면역 동물 모델

○ T 림프구만으로도 다발성 근경화증 등 유발 가능

⑩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억제 1. 면역결핍증

선천성 면역 결핍증

면역계의 유전적이거나 발달 과정상의 장애

: 중증복합면역결핍증(SCID) 선천적으로 림프구 손상 치료 : 골수에 유전자 삽입

후천성 면역 결핍증

화학물질, 생리물질에 노출되어 살아가면서 발생

: 호지킨 병(림프계 손상 암), 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③ 면역결핍 마우스

○ SCID 마우스 : rag 유전자 결핍 마우스

○ nude 마우스 : 흉선 결핍 마우스

억제 2. 면역 관용(immune tolerance) 

① 아네르기(anergy) : 알레르기의 반대 개념 

② 면역 고갈(immune exhaustion) : 지속적인 면역 작용으로 면역 기능이 감퇴하는 것

○ 장점 : 자가 면역 질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

○ 단점 : 지속적인 항원 노출 상황에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함

면역 고갈 마커 유전자 

③ 면역 세포 노화(senescence)

 면역학적 면제(immunological previlege)

 밀착연접을 통한 면역세포 유입 방지, 면역세포 제거

○ 예 : 안구, 고환, 뇌

억제 3. 면역계 회피 

 항원변이 : 에피톱 발현 변화 

 예 1. 수면병 기생충 : 표면단백질을 무작위로 바꿈

 예 2. 독감바이러스, RNA 바이러스 (돌연변이율 높음)

 HIV 역전사효소는 착오가 나기 쉬움

 잠복

 숙주의 면역 방어 시스템을 자극하지 않고, 불활성 상태로 숨어 지내는 현상

 바이러스 DNA가 핵 내에 독립적으로 또는 숙주 유전체에 삽입되어 존재

 활성화 조건 : 숙주가 살기 힘든 조건, 바이러스가 전파되기 좋은 조건

 예. 단순포진 바이러스 (herpes simplex virus) : DNA virus

1(경구 바이러스) : 주로 입술, 얼굴 및 눈에 감염

2(생식기 바이러스) : 주로 성기의 바깥부분과 항문주위에 감염

감각뉴런에 잠복 : 감각뉴런은 MHC class Ⅰ 발현량이 적어 항원제시가 비효율적

 AIDS(후천성 면역결핍증) : HIV 바이러스의 면역계 공격

 HIV 바이러스

 원인 : HIV에 의한 면역 결핍의 원인

HIV 감염 T4 세포의 MHC class Ⅰ 변이로 항원표출 이상

HIV 감염 대식세포의 MHC class 변이로 항원 표출 이상

HIV 감염 보조 T 세포의 수용체 이상으로 항원 인지 실패 보조 T 림프구의 제 기능 상실 다른 질병에 대한 기회감염 발생

 발병

정액, 혈액, 질액 및 드물게 젖과 같은 체액의 접촉을 통해서만 전염

초기 : HIV는 초기에는 혈액과 조직에 있는 대식세포, 보조 T 림프구, 수지상세포에 주로 감염

○ 후기 : 대식세포, 보조 T 림프구, 수지상세포에 의해 주요 림프절로 바이러스가 전달

 경과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1. 감염 진행 과정]

 

1단계. 감염 : 바이러스의 수준이 절정에 달하지만 면역계에 의해서 억제, 독감 유사한 증상

○ 보조 T 세포 high, 항체 increasing, 바이러스 1회의 pulse 그래프를 그림

2단계. 무자각증상 : 혈액에는 바이러스가 거의 없음, 사람은 외형적으로 건강

3단계. AIDS : 바이러스 수준이 증가하고 CD4+ T cell 수준이 감소, 기회감염이 발생

○ 보조 T 세포 감소, 항체 감소, 바이러스 증가

○ 1st. 림프절 부종

○ 2nd. 포진, 피부 및 구강에 세균, 곰팡이 감염

○ 3rd. 카포시 육종

○ 4th. 결핵

○ 5th. 폐렴

○ 6th. 림프종

○ 7th. 세포거대바이러스 감염 

 치료제 : AZT(azidothymidine)

3' 말단이 아자이드기(azide functional group). 즉, -N3

○ 한 번 AZT가 역전사 과정에 참가하면 더이상의 사슬 인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역전사 과정이 차단됨

○ 이론적으로 역전사 과정을 사용하는 모든 RNA 바이러스를 치료할 수 있음

○ (주석) AZT가 경쟁적 저해제처럼 작용하는 듯

○ (주석) AZT는 RNA-dep DNA polymerase를 타켓팅하기 때문에 일반 세포에서는 크게 문제되지 않음

 

AZT의 바이러스 억제 메커니즘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2. AZT의 바이러스 억제 메커니즘]

 

치료제 : Crixsivan (AIDS 치료제로 쓰이는 HIV protease 저해제 중 하나)

○ HIV 백신은 1987년부터 개발됐지만 아직까지 승인받은 것은 없음

 

입력: 2015.07.23 11:23

수정: 2019.05.10 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