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日本語 English

【생물학】 14강. 호흡계

 

14강. 호흡계(respiratory system)

 

추천: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호흡의 개관 [본문]

2. 폐의 구조 (포유류) [본문]

3. 폐의 환기 (포유류) [본문]

4. 혈액의 가스 운반 [본문]

5. 호흡의 조절 [본문]

6. 호흡계 질환 [본문]


a. 폐의 압력-용적 곡선 

b. 천식과 호흡성 산증


 

1. 호흡의 개관 [목차]

호흡의 단계

외호흡 : 대기와 호흡기관 간 가스교환 (환기)

확산 : 호흡기관과 혈액의 가스교환

집단수송 : 혈액의 운반

내호흡 : 혈액과 조직 세포의 가스교환

세포호흡 : O2를 받아들여 유기물을 산화하고 CO2 ATP가 생성되는 반응

곤충의 호흡 : 오직 기관으로만 직접 공기를 전달하는 방식

공기 흐름 : 기관 기관소지 공기모세관

1st. 복부 측면에 있는 기문을 통해 대기 중 O2가 기관(가장 굵은 공기관) 내로 유입

○ 2nd. 기관으로 들어 온 공기는 기관소지(세기관지)라는 끝이 막힌 관으로 이동

3rd. 산소요구량이 많은 조직 근처에는 팽창된 부위가 존재하여 공기주머니 역할

4th. 기관소지의 O2는 공기모세관으로 확산을 통해 이동

기관의 형태는 반지 모양의 키틴에 의해 유지

기관소지의 끝에는 검푸른 액체로 채워져 있음 운동량이 많아져서 산소의 소모가 많아지면 이 액체의 대부분이 체액으로 흡수되어 공기가 들어간 기관소지의 용적이 넓어짐

잠수하는 곤충 : 산소 흡수에 공기방울 이용

어류의 호흡 : 호흡기관으로 아가미 이용

물고기 양쪽에 위치

구강과 아가미 뚜껑 사이에 위치한 4개의 아가미 활이 지지

수백 개의 아가미필라멘트, 위아래로 라멜라 존재

라멜라 : 실제적인 가스교환면

아가미를 통과하는 혈관 : 구심성 혈관, 원심성 혈관

구심성 혈관 : 혈액을 아가미로 운반

원심성 혈관 : 아가미에서 혈액을 거두어 감

환기와 역류교환에 의해 기체교환 효율을 높임

역류교환 : 라멜라 안쪽의 혈액 흐름과 물의 흐름이 반대방향임

양서류의 호흡

유생 시기에는 아가미를 사용하다가 성체가 되면 폐를 이용

파충류, 조류, 포유류는 폐를 이용하여 호흡

양압숨쉬기로 환기

양압숨쉬기 : 호흡표면 근처의 압력을 높여서 대기 중 산소가 호흡표면을 지나는 모세혈관에 녹도록 하는 숨쉬기

공기를 삼키는 방식

음압숨쉬기 : 호흡표면 근처의 압력을 낮춰서 대기 중 산소가 호흡표면을 지나는 모세혈관에 녹도록 한 숨쉬기

: 포유류

피부호흡 : 가스교환의 50%를 피부를 통해서 함

조류의 호흡

기낭 : 허파와 일부 뼈 안의 공간

공기의 흐름 : 기관 기관지 측기관지 공기모세관. 두 번의 들숨과 날숨

뒤쪽 공기주머니 앞쪽 공기주머니

1st. 첫 들숨 : 공기가 뒤쪽 공기주머니를 채움

○ 2nd. 첫 날숨 : 뒤쪽 공기주머니가 수축하여 폐로 공기를 보냄

○ 3rd. 둘째 들숨 : 폐를 빠져나와 앞쪽 공기주머니로 공기가 이동

○ 4th. 둘째 날숨 : 앞쪽 폐가 수축하여 첫 들숨에 의해 몸으로 들어왔던 공기를 내보냄

조류의 숨쉬기의 장점

조류의 허파는 끝이 막혀있지 않음 잔류량 × 가스교환 효율

포유류보다 수축과 이완을 덜함

포유류의 호흡 

 

 

2. 폐의 구조(포유류) [목차]

공기흐름 : 입 또는 비강 인두 후두 기도 기관지 소기관지(기관세지) 폐포

① 공기는 비강을 거치면서 여과되고 덥혀지며 가습됨

② 비강을 통해 들어온 공기는 입을 통해 들어온 음식물과 만나는 지점인 인두(식도·후두의 입구)로 이동

구개반사

○ 음식을 삼킬 때

○ 후두개(epiglottis) : 음식물을 식도로, 공기를 기도로 보내주는 구조물

1st. 후두가 위로 움직여 기도의 입구에 해당하는 성문에 후두개가 닫힘

2nd. 음식물이 식도를 타고 내려가 위에 도달

○ 나머지 시간 : 기도가 열려 숨을 쉴 수 있음

○ goblet cell의 점액질에 갇힌 이물질을 식도로 보냄

○ (참고) goblet cell : 점막을 보호하기 위해 mucus를 분비

성대

후두와 기도의 벽(성대 역할)은 연골로 강화되어 있어 기도를 항상 확보

수의근인 성대근육이 강하게 수축 시 높은 음, 약하게 수축 시 낮은 음 생성

기관지 : 2개, 주기관지의 내벽상피세포들은 섬모와 점액질을 이용해 이물질을 식도로 넘김

⑵ 폐의 해부학적 구조

① 폐는 가벼운 해면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고, 대부분 공기로 가득찬 공간으로 채워져 있음

② 각 폐는 흉막낭으로 둘러싸여 흉강과의 기체 교환이 불가능

③ 엽(lobe) : 오른쪽 폐는 엽이 세 개, 왼쪽 폐는 엽이 두 개임

○ 오른쪽 폐 : superior lobe (26.53%), middle lobe (4.08%), lower lobe (18.37%)

○ 왼쪽 폐 : superior lobe (28.57%), lower lobe (22.45%)

폐포

4억 개, 단층상피, 지름은 0.1 ~ 0.3 mm

폐포-모세혈관 간격 : 0.1 ~ 1.5 μm로 확산이 굉장히 원활

폐포의 특수한 구조가 폐의 탄성을 야기함

○ 폐포는 근육이 없지만( 기체교환에 방해) 결합조직이 다량의 엘라스틴을 함유하여 수축 및 이완이 가능

엘라스틴(elastin) 섬유 : 장력에 반대되는 탄성력을 가짐

수분장력 : 폐포 위 미세한 수분층이 서로 끌어들이면서 강한 수축압 형성

폐포 세포의 종류

1 폐포세포 (AT1) : 대부분 상피세포. AT2보다 더 많이 존재함

2 폐포세포 (AT2) : 융모 표면에 계면활성제 분비 물의 표면장력에 의한 폐포의 찌그러짐 방지

 

 

○ 반지름이 작은 제 2 폐포세포는 더 높은 표면장력을 낮추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더 많이 분비

○ 계면활성제 : 지질, 단백질, 당질을 함유한 복합체. 주성분은 DPPC(dipalmitoyl phosphatidyl choline)

신생아호흡장애증후군(NRDS) : 유아 사망 2순위, 제 2 폐포세포의 미성숙으로 계면활성제 분비 부족

대식세포 : 이물질 제거

폐포의 개수 8 × 106 호흡상피 면적 50 ~ 100 m2 

참고로 체표면적은 약 2 m2 

폐의 기능적 구조

폐의 혈액 : 0.5 L (총 혈액의 10 ~ 12%)

폐의 부피 : 3 L

포유동물과 어류들은 체중이 클수록 넓은 호흡표면적을 가짐

포유동물들의 산소 호흡량은 폐포 표면적에 비례

비만 : 호흡 면적 부족 산소 공급 제한 활동성 감소

 

 

3. 폐의 환기(포유류) [목차]

음압숨쉬기 : 총 에너지의 3 ~ 5 % 소모

폐는 흉막에 연결된 횡격막과 늑간근 수축으로 수동적 환기

○ 폐 자체는 근육이 없어서 능동적으로 수축 불가

○ 흉강 : 폐는 흉강에 떠 있고, 흉강은 막혀 있는 공간임

○ 흉막 : 체측 흉막과 장측 흉막으로 구성, 막간 공간의 흉수 (3 ~ 4 mL)

기흉 : 감염이나 자상(찔린 상처)에 의해 흉막에 구멍이 뚫리는 경우

○ 능강 : 폐를 둘러싸는 얇은 공간

횡격막과 늑간근의 수축은 흉수를 매개로 폐에 전달되어 폐는 수동적 수축

폐의 유연성 : 계면활성제가 많을수록, 흉터 조직이 적을수록 폐의 유연성 증가

흡기(들숨) : 늑골 상승(외늑간근 수축), 횡격막 하강(횡격막 수축) 흉강 팽창 → 압력 강하 → 공기 유입

호기(날숨) : 늑골 하강(내늑간근 수축), 횡격막 상승(횡격막 이완) 흉강 수축 → 압력 상승 → 공기 배출

중력과 폐의 탄성에 의해 호기 과정의 ATP 소모량이 더 적음

○ 내늑간근은 안정 상태일 때는 안 쓰고 운동 중 강제호기에서 사용

④ 호흡 동안의 폐포압, 흉강 내압의 변화

○ 포인트 1. 인체는 폐포압을 조절하기 위해 흉막강내압을 조절하기 때문에 흉막강내압 < 폐포압이어야 함

○ 포인트 2. 폐는 압력이 낮아지면 공기가 유입되어 그 변화량을 상쇄하기 때문에 파동형의 그래프를 보임

폐의 용적-압력곡선 : 팽창할 때가 수축할 때보다 압력이 많이 필요

 

폐의 용적-압력곡선

Figure. 1. 폐의 용적-압력곡선

 

단점 : 분압기울기 감소, 역류가스교환 ×

대기 중 산소는 많으므로 단점이 종 생존에 크게 지장을 주지 않음

폐활량 곡선

환기량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2. 환기량]

 

파라미터

○ 흡수성 예비량(inspiratory residual volume)

○ 호식성 예비량(expiratory residual volume)

○ 잔기량(residual volume)

○ 폐활량 = 1회 호흡량 + 흡수성 예비량 + 호식성 예비량

○ 총폐용량 = 1회 호흡량 + 흡수성 예비량 + 호식성 예비량 + 잔기량

○ 흡식용량 = 1회 호흡량 + 흡수성 예비량

○ 기능성 잔기량 = 호식성 예비량 + 잔기량

휴식 상태의 가스교환

○ 1회 호흡량 : 500 mL

○ 환기율 : 분당 호흡수. 일반적으로 1분당 8 ~ 12회

○ 총폐환기량 : 환기율 × 1회 호흡량 = 8 × 500 mL/min ~ 12 × 500 mL/min = 3 ~ 6 L/min

들숨의 조성 : 질소 78 %, 산소 21%, 이산화탄소 0.03%

날숨의 조성 : 질소 78%, 산소 17%, 이산화탄소 4%

혈액으로 250 mL O2 / min 유입 360 ~ 600 L/day O2

폐로 200 mL CO2 /min 배출

○ 운동 시 폐포 환기량 20배 이상 증가, 폐포 혈류량 5 ~ 6배 증가

③ 사강(dead space)

1회 호흡량에서 기체교환에 기여하지 않는 양

○ 원인 : 기관에서 세기관지에 이르는 기도가 호흡상피가 없으므로 가스 교환에 참가하지 못함

정도 : 해부학적 사강은 약 140 mL이지만 흡기 시 기관지가 확장되는 것을 고려하면 생리학적 사강은 약 150 mL

폐포 환기량(폐포에 도달하는 공기의 양) = 환기율(분당 호흡수) × (1회 호흡량 - 사강)

환기량과 폐포의 기체 분압

산증, 알칼리증 일반 

○ 환기량 ↑ → CO2 방출 ↑ → 호흡성 알칼리 혈증

○ 환기량 ↓ → 혈장 내 CO2 ↑ → 호흡성 산증

⑶ 경폐압-부피 그래프

신전성(compliance) := ΔV / ΔP

○ 압력 변화에 부피가 변화하는 정도

○ 계면활성제가 많을수록 신전성 증가

② 흡기 : 폐포를 팽창하려는 힘과 표면장력이 대립

○ 부피가 잘 증가하지 않는 듯한 그래프

○ 계면활성제 처리 시 : 표면장력 감소 → 폐포 팽창 용이 → 부피 증가 방향으로 그래프 이동

③ 호기 : 폐포를 팽창하려는 힘과 표면장력이 상호 강화

○ 부피가 잘 증가하는 듯한 그래프

○ 계면활성제 처리 시 : 표면장력 감소 → 폐포 수축 불리 → 부피 증가 방향으로 그래프 이동

⑷ V/Q matching

① V/Q match : 기체교환이 더 잘 되는 쪽에 혈류가 집중되는 현상

② V/Q mismatch : 중력으로 인해 위쪽은 공기가 많아 호기적이고 아래쪽은 공기가 적어 혐기적

 

 

4. 혈액의 가스 운반 [목차]

호흡색소 : 산소를 운반하는 특수한 단백질

헤모시아닌 : 절지·연체동물의 호흡색소, 푸른색 ( Cu 포함)

헤모글로빈 : 대부분의 척추·무척추 동물의 호흡색소, 붉은색 ( Fe 포함)

미오글로빈 : 헤모글로빈보다 산소친화도가 더 강함, 붉은색 ( Fe 포함)

잠수 포유류나 심장, 근육은 미오글로빈 함량이 높음

○ 미오글로빈은 혈액 내로 들어갈 수 없음

산소 운반

헤모글로빈의 기능 : 산소운반

적혈구 1개에 2 5천만 Hb 함유 10억 분자의 산소 운반 (99%)

○ 총 혈액 산소함량 200 mL/L 중 198 mL/L를 담당

혈장이나 적혈구 세포기질에 용해된 산소는 1% 미만

호흡색소는 산소분압이 높을수록 높은 포화도를 가짐

헤모글로빈은 폐에서 산소와 결합하고(100% 포화) 조직말단에서 약 30 ~ 40%만 해리

구조 : 알로스테릭 효소, α2 β2 (4차 구조, HbA), 각 단위체는 헴과 글로빈으로 구성

 

헤모글로빈의 구조

Figure. 3. 헤모글로빈의 구조

 

미오글로빈은 3차 구조만을 구성

○ 헴(heme) : 포피린(porphyrin)이라 불리는 유기고리 구조로 돼 있으며 중앙에 Fe2+이 있음

태아 : HbF(Hb Fetus)가 존재

○ 배아 ~ 8주 : ζ2 ε2

○ 임신 6주 정도에 HbF가 간에서 생성되기 시작

○ 임신 8개월 정도에 HbA가 골수에서 생성되기 시작

○ 신생아에서 70%가 HbF, 30%가 HbA임

출생 후 3 ~ 6개월 사이에 급격히 HbA(Hb Adult) 교체 (HbF 파괴)

○ 산소친화도 : α2 γ2 > α2 β2

모체의 헤모글로빈에서 방출한 산소가 태아의 헤모글로빈에 결합

○ 원인 : BPG 결합자리 서열 차이, HbF의 γ 사슬과 HbA의 β 사슬은 아미노산 서열이 약 38 % 차이남

BPG 친화도 : γ 사슬 < β 사슬 → 산소친화도 : γ 사슬 > β 사슬 

다양한 헤모글로빈의 종류는 선택적 스플라이싱이 아니고 시기 특이적 발현에 불과함을 유의

○ HbA2 : 성인의 헤모글로빈 중 약 2% (나머지 98%는 HbA), α2 δ2

○ (참고) 헤모시아닌은 철이 아닌 구리가 있는 호흡색소로 절지동물, 연체동물에서 많이 발견

Hb에 결합하는 배위자 (산소의 경쟁적 저해)

oxy Hb : Hb + O2 HbO2 (붉은색)

○ saturated oxy HB : Hb + 4O2 → Hb(O2)4

reduced Hb : Hb + H+ HHb (적갈색)

met Hb : OH- (Fe3+), 가끔 생기지만 생체 내에서 스스로 해결

carboxy Hb : CO(친화도 ), 일산화탄소 중독을 야기

cyano Hb : CN-(친화도 ), 청산가리(KCN)의 치사 원인

○ 이산화탄소와 2,3-BPG는 글로빈에 결합하여 저해제로 작용하지 않으나 적혈구 산소운반능을 낮춤

협동성 : 4차 구조에서 한 단위체에 기질이 결합하면 주변 단위체의 기질의 친화도가 증가하는 현상

 

미오글로빈

Figure. 4. 미오글로빈

 

미오글로빈은 기질의 친화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미카엘리스-멘텐 방정식으로 예상되는 모양(MM)을 형성

이유 1. 미오글로빈은 헤모글로빈과 같은 알로스테릭 단백질이 아님 

이유 2. 미오글로빈은 서브유닛이 1개인 반면 헤모글로빈은 서브유닛이 4개 

○ 미오글로빈은 헤모글로빈보다 산소 친화도가 높아 낮은 산소 분압에서도 산소 저장; 근세포 다수 존재

○ 잠수성 포유류인 바다 표범은 미오글로빈 함량이 많음 : 사람에 비해 몸무게 kg당 약 2배의 산소를 저장

헤모글로빈은 기질의 친화도가 점점 증가하기 때문에 시그모이드형(S자 형)을 그림

○ 헤모글로빈은 두 개 이상의 리간드가 결합할 수 있는 알로스테릭 단백질

○ 헤모글로빈에 한 산소분자만 결합하더라도 소단위체가 산소와 친화도가 높은 구조가 됨

○ 반대로 포화된 헤모글로빈에서 한 산소분자만 빠져나가도 산소 친화력이 낮은 구조가 됨

○ 안정성 : 폐포와 동맥혈의 산소분압이 100 mmHg에서 60 mmHg가 돼도 산소 운반 능력은 크게 감소하지 않음

보어효과 : 네 가지 요인(pH, pCO2, 온도, 2,3-BPG)에 의한 헤모글로빈의 산소친화도 변화

 

보어효과
보어효과

Figure. 5. 보어효과

 

H+ 효과

[H+] pH Hb 내 이온결합 변화(예 : β 사슬의 히스티딘) Hb 입체구조 변화 산소친화도

○ 산소와 해리된 헤모글로빈은 수소이온과 결합하여 혈액의 산성화 방지

○ (주석) 산소 헤모글로빈은 수소이온과 결합하지 못함

이온결합 변화 1 : -COOH -COO- + H+ (장소 : 글로빈)

이온결합 변화 2 : -NH2 + H+ -NH3+ (장소 : 글로빈)

운동 시 산소친화도 변화 1 : 젖산, 지방산 생성으로 pH↓ → 산소친화도

CO2 효과

CO2 N-말단에 CO2 결합 or 산 증가 Hb 입체구조 변화 산소친화도

N-말단에 CO2 결합 : -NH + CO2 -NCOOH (카르바미노 Hb)

산 증가 : pCO2가 높으면 탄산에서 유래된 H+으로 pH

산소친화도 감소는 조직세포에서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더 잘 해리되도록 함

온도효과

온도 Hb 입체구조 변화 산소친화도

○ 활발하게 물질대사를 하거나 운동을 하던 세포는 열을 방출

효소는 활성온도 이후의 온도에서 분자 내 결합이 약화됨에 따라 급격히 활성을 잃음

2,3-BPG (2,3-비스포스포글리세르산, 2,3-bisphosphoglycerate) 효과

 

2&#44;3-BPG의 작용

Figure. 6. 2,3-BPG의 작용

 

2,3-BPG : 해당과정이 활발시 생성, 해당과정 중간산물인 1,3-BPG의 이성질체

○ 포유류 적혈구는 높은 농도의 2,3-BPG를 가지고 있음

2,3-BPG↑ 헤모글로빈 중앙 빈 곳을 찾아 β 글로빈과 결합하여 디옥시헤모글로빈을 안정화 → 추가적인 산소친화도

운동 시 산소친화도 변화 2 : 조직세포 산소부채 현상 → 일부 G3P 2,3-BPG로 전환 β 글로빈 내 산소결합

⑤ 고도가 높은 산으로 이동하는 경우

○ 1st. 대기 중의 산소 분압 감소

○ 2nd. 폐에서 헤모글로빈의 산소 결합량 감소

○ 호흡속도를 증가시켜 부족한 산소 결합량 보충

○ 호흡성 알카리즘 : 호흡 속도 증가로 과도한 CO2가 방출하므로 혈액 pH 증가

○ 3rd. 조직세포로 가는 산소 공급량 감소 → 적혈구 내 2,3-BPG 증가

○ 헤모글로빈의 산소 친화도 감소로 산소 헤모글로빈으로부터 더 많은 산소가 방출

○ 4th. 신장으로 가는 산소 공급량 감소

○ 4th - 1st. 신장에서 에리스로포이에틴(erythropoietin) 분비량 증가

○ 4th - 2nd. 골수에서 적혈구 생성 촉진 → 적혈구 수 증가

이산화탄소 운반

혈장 : 8%, 단순확산(용해)

○ CO2(g) → CO2(aq)

헤모글로빈과 결합 : HbCO2, 22%

중탄산이온 : HCO3-, 70%

○ 1st. CO2(aq)가 혈장에서 적혈구로 단순확산

○ 2nd. CO2(aq) + H2O(l) → H2CO3(aq), 적혈구 내 탄산무수화효소(CA, carbonic anhydrase)에 의해 촉진

○ 3rd. H2CO3 → H+ + HCO3-

○ 4th. H+는 Hb와 결합하여 HHb가 됨 

○ 5th. HCO3-는 Cl-와 1:1로 역방향 공수송 되어 혈장 밖으로 배출

○ 6th. 적혈구 내에서 Cl-가 증가할수록 삼투압에 의해 물이 들어옴 → 부피 증가

 

적혈구의 이산화탄소 운반
출처: 서울대학교 생물학(안태인)

Figure. 7. 적혈구의 이산화탄소 운반]

 

폐순환과 체순환 : 순환계와 호흡계의 조화

 

폐순환과 체순환
출처: 서울대학교 생물학(안태인)

Figure. 8. 폐순환과 체순환]

 

폐순환 (12% 혈액 보유)

우심실 폐동맥 폐모세관 폐정맥 좌심방

O2, CO2인 혈액 O2, CO2인 혈액

체순환 (79% 혈액 보유)

좌심실 대동맥 동맥 모세혈관 정맥 대정맥 우심방

O2, CO2인 혈액 O2, CO2인 혈액

○ 대동맥 산소분압 : 80 ~ 100 mmHg

○ 대정맥 산소분압 : 40 mmHg

조직세포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

 

 

5. 호흡의 조절 [목차]

수의 조절 : 대뇌피질 피질척수로 운동뉴런

자율조절중추 : 뇌교, 연수 자발적, 율동적 활동

 

호흡의 조절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9. 호흡의 조절]

 

연수 : 기본적인 호흡운동 조절을 함

○ 연수는 산소보다 이산화탄소에 더 큰 영향을 받음

② 뇌교 : 흡기와 호기 간의 부드러운 전환을 하도록 조절, 숨쉬는 속도 조절

③ 입력과 수용기

○ 중추신경계(특히 뇌척수액)의 화학적 수용기(pO2, pCO2, H+)

H+는 뇌-혈관 장벽을 통과할 수 없어서 화학적 수용기는 CO2의 양으로 H+를 판단

○ 운동으로 대사 증가 → CO2 ↑ → 호흡증가 → 과도한 CO2 배출 → pH 정상화

대동맥소체(대동맥궁 옆, aortic body), 경동맥소체(경동맥궁 옆, carotid body)의 화학적 수용기(H+, pO2, pCO2) 입력

○ 토리세포(glomus cell)라는 특별한 세포가 산소 분압, 이산화탄소 분압의 변화를 감지

O2 농도는 호흡에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O2의 농도가 많이 낮아진 경우 호흡 속도 증가

혈장 에피네프린과 칼륨 농도 수용기

근육 및 관절 신장수용기 입력

폐의 신장수용기 입력

기타 수용기 및 시상하부를 통한 자극(체온 등) 입력

④ 호흡운동 조절과정

○ 호흡운동 촉진 : 교감신경 자극, 아드레날린 분비

○ 호흡운동 억제 : 부교감신경 자극, 아세틸콜린 분비

 

 

6. 호흡계 질환 [목차]

⑴ 산증과 알칼리증

정상 상태 

 pH : 7.41 ~ 7.45

 O2: 40 mmHg (조직) 이상 100 mmHg (폐) 이하

 CO2: 40 mmHg (폐) 이상 46 mmHg (조직) 이하

 HCO3-: 24 mmEqmol

산증과 알칼리증

 산증(acidosis) : pH가 7.35 이하인 경우

 알칼리증(alkalosis) : pH가 7.45 이상인 경우

 

산증과 알칼리증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0. 산증과 알칼리증]

 

 대사성 알칼리증 : 대사로 인해 HCO3-가 과다해진 경우

 과다해진 HCO3-H+와 반응하여 pH가 높아짐

 보상작용 : pH를 낮추기 위해 호흡속도를 낮춰 CO2의 분압을 높임

 예 : 구토 (위의 산성 물질 배출)

④ 대사성 산증 : 대사로 인해 HCO3-가 적어진 경우

 HCO3-가 적어져 H+가 혈액 내 그대로 존재하여 pH가 낮아짐

 보상작용 : pH를 높이기 위해 호흡속도를 높여 CO2 분압을 낮춤

 예 : 설사 (체내 중탄산염 방출)

⑤ 호흡성 알칼리증 : 호흡과 관련하여 CO2 분압이 낮아진 경우

 CO2 분압이 낮아져 혈액 내 pH가 높아짐

 보상작용 : pH를 낮추기 위해 HCO3- 생성반응을 억제

 예 : 과호흡(overventilation), 제한성 폐질환(예 : 폐섬유증)

○ CO2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뇌혈관을 포함한 혈관들이 좁아져 어지럼증 유발

○ 과호흡의 경우 비닐봉지를 입에 씌워서 내신 숨을 다시 들어마시게 하는 식으로 해결할 수 있음

⑥ 호흡성 산증 : 호흡과 관련하여 CO2 분압이 높아진 경우

 CO2가 배출되지 못해 혈액 내 pH가 낮아짐

 보상작용 : pH를 높이기 위해 HCO3- 생성반응을 활성화

 예 : 폐쇄성 폐질환 (예 : 천식) 

폐암(lung cancer)

 유형 1. SCLC(small cell lung cancer) : 전체 폐암의 15%. 화학치료·방사선치료를 1차 치료로 함

neuroendocrine cell로부터 유래

○ 대부분의 SCLC는 heavy smoke에서 유래

○ 수술을 보통 잘 하지 않으므로 연구용 샘플이 비교적 제한적 

 유형 2. NSCLC(non-small cell lung cancer) : 전체 폐암의 85%. 수술을 1차 치료, 화학치료·방사선치료를 2차 치료로 함

2-1. LUSC(lung squamous cell carcinoma) : 전체 폐암의 45%. smoke driven. basal epithelial cell로부터 유래

2-2. LUAD(lung adenocarcinoma) : 전체 폐암의 45%. EGFR mutation driven. ICI 병용치료도 시도되며 연구가 활발. alveolar type II epithelial cell로부터 유래

2-3. LCC(large-cell carcinoma) : 다양한 epithelial cell로부터 유래

폐암과 담배 

타르 등 미립자들은 폐 표면에 오랫동안 남아 돌연변이 및 암 야기

○ 담배의 특징 

 10만 종 화학물질

 20여 종이 A급 발암물질

○ 타르, 일산화탄소, 니코틴이 최고 유해 물질

 타르 : 담배진, 한 개피 10 mg 이내 

 40여 종 발암물질 포함, 혈액에 스며들며 세포 파괴

 만성염증 야기 등의 면역계 교란

○ 엘라스틴 등의 섬모 손상

 일산화탄소

 불완전연소 산물

 담배 연기에 가장 많은 물질

 만성 저산소증, 조기노화, 동맥경화의 주원인

 니코틴 : 한 개피 0.1 ~ 0.6 mg

 7초면 뇌에 도달

 중독성, 마약성, 살충제, 제초제 물질, 혈압 상승

 벤조피렌 : 발암물질 

 디메틸니트로사민 : 발암물질

 청산가리 : 사형가스실 독극물

 니프틸아민 : 방부제

 나프탈렌 : 좀약

 DDT : 살충제

 폐쇄성 폐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증상 : 점액이 증가하고 기도가 좁아져 ( 엘라스틴 기능 장애) 공기 흐름의 저항이 증가되어 나타나는 환기장애

특징 1. 총폐용량과 잔기량이 정상인보다 많음(보상작용)

특징 2. 평소에도 정상인보다 떨어지는 호흡기능

④ rolipram : COPD 치료에 쓰이는 임상 약제

예 1.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 기관지 점액 과다분비 하부 기도 만성적 염증

예 2. 기관지 천식(asthma) 

○ 원인 : 알레르기 반응, 바이러스 감염 등

○ 증상 : 폐포 수축, 점액 분비 증가, 기도의 공기 저항 증가, 만성적 염증

미립자는 천식을 악화

예 3. 폐기종(emphysema)

기관지염과 천식에 따른 상처조직 형성이 원인

 작은 기도 파괴 및 폐색으로 폐포 수 및 표면적 감소

재생 불가

 제한성 폐질환

① 증상 : 폐의 신전성(팽창성, compliance)이 감소되어 나타나는 환기장애

특징 1. 총 폐용량과 잔기량이 정상인보다 적음

특징 2. 제한된 범위에서 정상인과 동등한 호흡기능 수행

예 1. 폐섬유증(pulmonary fibrosis)

○ 세부 종류 

○ IPF(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 cHP(chronic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 NSIP(nonspecific interstitial pneumonia)

○ sacroidosis

○ unclassifiable ILD 

consolidation : 폐가 완전히 하얘지는 것

crazy paving : 혈관들이 두꺼워져 있는 것

○ 폐섬유증 치료제 : nintedanib, pirfenidone (둘 다 티로신 인산화효소를 타겟팅)

예 2. 진폐증(pneumoconiosis), 결핵(tuberculosis)

예 3. 직업성 폐질환

○ 석면, 석탄먼지, 규소, 종이먼지, 꽃가루 등 미세 먼지가 이를 제거하는 대식세포에 축적

○ 흉터조직 증가 → 폐조직 대신 섬유조직이 상처를 봉합 → 섬유성 낭종 및 폐의 유연성 감소

폐수종(폐부종, pulmonary edema)

림프 회수능력 초과로 폐정맥 내의 수분이 폐포를 빠져나와 물로 고이는 현상

○ 림프 회수능력 : 폐 모세혈관에서 조직액 및 림프액으로 회수되는 능력 

원인 : 심부전으로 폐정맥의 혈압 상승, 외부 기압 하강

③ 증상 : 호흡곤란을 일으킴

⑹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① post-SARS-CoV-2 lung disease 등

 

입력: 2015.07.19 11:19

수정: 2022.04.26 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