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생물학】 13강. 순환계

 

13강. 순환계(circulatory system)

 

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순환계 [본문]

2. 혈액 [본문]

3. 심장 [본문]

4. 혈관계 [본문]

5. 혈류량 조절 [본문]

6. 지혈 [본문]

7. 심혈관계 질환 [본문]

8. 심혈관계 진단 [본문]


a. 혈압계와 고혈압 

b. 심장의 전기축 


 

1. 순환계 [목차]

 순환계의 종류

 

개방순환계와 폐쇄순환계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1. 개방순환계와 폐쇄순환계]

 

① 개방순환계(open circulatory system)

○ 대상 : 절지동물 및 연체동물

○ 단순성 : 모세혈관이 없어 혈액(hemolymph)과 조직액(interstitial fluid) 간 구분 없음

○ 절약성 : 유압이 낮아 에너지 절약, 모세혈관망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순환계 형성 및 유지 용이

② 폐쇄순환계(closed circulatory system)

○ 대상 : 환형동물, 두족류, 척추동물 등 몸이 크거나 운동성이 높은 생물

○ 복잡성 : 모세혈관이 존재하여 혈액(blood)과 조직액이 구분됨

○ 효율성 : 유압이 높아 산소나 영양분 효율적 전달, 혈액 내 거대분자로 삼투압을 형성하여 적정혈압 형성

⑵ 척추동물의 순환계(cardiovascular system) : 폐쇄순환계

① 대사 속도가 빠른 동물은 그렇지 않은 동물에 비해 보다 복잡한 혈관과 강력한 심장을 지님

② 개체 내 혈관의 복잡성과 분포 정도도 각 기관의 대사량에 비례

 

척추동물의 심장 구조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2. 척추동물의 순환계]

 

③ 어류(1심방 1심실) : 단일순환

○ 체순환계·폐순환계 구분이 없어서 심장으로 혈액이 돌아오기까지 두 번 모세혈관망을 지나야 해서 혈류속도에 제한

○ 골격근의 운동을 통해 필요한 혈류속도 유지

○ 심장에는 정맥혈만 흐름

④ 양서류(2심방 1심실) : 이중순환

○ 체순환계·폐순환계 구분이 생겨 뇌, 근육 등에 많은 양의 혈액을 공급하나 정맥혈과 동맥혈이 섞여 효율↓

○ 부족한 산소를 보충하기 위해 피부순환계 발달

⑤ 파충류(2심방 불완전 2심실) : 이중순환

○ 정맥혈과 동맥혈이 섞이는 정도가 덜해 물질 교환의 효율성 증가

⑥ 조류, 포유류(2심방 완전 2심실) : 이중순환

○ 정맥혈, 동맥혈이 완전히 구분되어 물질교환이 효율적

○ 같은 크기의 외온 동물에 비해 약 10배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내온동물에게 필요한 순환계

⑦ 인간의 순환계

○ 체순환 : 좌심실 → 대동맥 → 온몸(모세혈관) → 대정맥 → 우심방

○ 폐순환 : 우심실 → 폐동맥 → 폐(모세혈관) → 폐정맥 → 좌심방

 

인간의 순환계

Figure. 3. 인간의 순환계

 

 

2. 혈액 [목차]

혈액 원심분리 : 혈액을 성분별로 분리

항응고제 첨가 시 원심분리 : 아래부터 적혈구, 연층, 혈장으로 분리

○ 연층(버피코트, buffy coat) : 백혈구 + 혈소판

혈장(plasma) : 혈액의 액체 성분

② 항응고제 미첨가 시 원심분리 : 아래부터 혈병, 혈청으로 분리

○ 혈병(blood clot) : 응고한 혈액의 성분, 적혈구 + 백혈구 + 혈소판 + 혈액응고인자

혈청 : 혈액 응고 후 남은 액체 성분, 혈장에서 피브리노겐과 기타 성분을 제거한 것

○ 세포성 요소가 혈장 내 피브리노겐에 의해 엉겨붙음

적혈구 용적율(헤마토크릿, hematocrit) : 혈액 전체 부피에 대한 적혈구 부피의 비율

정상 성인 남자 : 0.41 ~ 0.51

정상 성인 여자 : 0.36 ~ 0.45

○ 남자가 여자보다 더 힘을 잘 사용하는 이유

빈혈인 사람은 헤마토크릿이 작게 나옴

○ 점성도는 적혈구 용적율에 비례

⑵ 혈액의 조성

 

혈액의 조성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4. 혈액의 조성]

 

혈액 : 여성 체중의 7%, 남성 체중의 8%

혈액 = 혈장(55%) + 세포성 요소(45%)

○ 체중 70 kg인 사람의 혈액 양은 약 5 L

혈장 = (92%) + 단백질(7%) + 기타(1%)

: 다른 물질들을 운반하는 용매

Na+, K+, Ca2+, Mg2+, Cl-, HCO3- : 삼투균형, 막투과성 조절

○ HCO3-, H2PO4-, 알부민, Hb (보어효과) : pH 완충

 피브리노겐 : 혈액 응고 요소

알부민 : 삼투균형, 지질의 수송에 관여. 혈장 단백질의 60%. 혈장 내 저장된 에너지원. 3.5 ~ 5 g/dl. 반감기 20일

○ 글로불린 : 알부민처럼 분자량이 커서 모세혈관을 빠져나갈 수 없어 혈관 내 삼투압을 높여 줌

면역글로불린(항체), 인터페론 : 방어 기능, NK cell보다 더 빠르게 작용

지질단백질 : 지방을 운반

○ 호르몬 결합 단백질 : 특히 지용성 호르몬 운반

트랜스페린 : 철 운반 단백질

영양소, 대사노폐물, 호흡기체(O2, CO2), 호르몬

세포성 요소

 

세포성 요소의 종류
출처: 안태인 외, 인체생명과학 2판, 월드사이언스, 2011년, p.308.

Figure. 5. 세포성 요소의 종류]

 

세포성 요소 : 적혈구(red blood cell)

구조 : 헤모글로빈으로 채워진 양면이 오목하고 유연한 원판형의 세포

가운데 오목한 원반형 : 산소와 적혈구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기체 교환 효율성 증가

접히고 구겨지는 것이 가능해서 좁은 모세혈관을 통과하기 쉬운 구조

헤모글로빈은 적혈구 한 개당 약 300만 개

 

적혈구의 종류
출처: 네이버캐스트

Figure. 6. 적혈구의 종류]

 

○ 헤모글로빈 : 철이 포함되어 있어 혈액은 붉은색을 띰

 

헤모글로빈의 구조

Figure. 7. 헤모글로빈의 구조

 

기능

헤모글로빈은 O2와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산소 운반 가능

적혈구는 CO2의 운반에도 관여

생성

갈비뼈, 가슴뼈, 골반, 척추뼈 등에 있는 골수줄기세포(또는 골수모세포)에서 유래

○ 적아세포 : 적혈구의 선구세포

○ 태아 시기에는 간, 비장(지라), 골수에서 혈구 생성

1 mm3 500 ~ 600만 개

○ 인간 세포의 84%가 적혈구

신장에서 분비하는 적혈구생성소(EPO, erythropoietin)가 적혈구 생산 조절

 

 

산소 결핍과 적혈구의 생성
출처: 서울대학교 생물학(안태인) 강의

Figure. 8. 산소 결핍과 적혈구의 생성]

 

성숙 :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 양이 30% 정도가 될 때 다른 세포소기관들이 파괴됨

○ 성숙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 제거 : 젖산발효를 통해 ATP를 생성하기 때문에 산소소모량 없음

○ 포도당만을 에너지원으로 사용

○ 포유류 : 무핵세포 (핵 제거), 핵이 없어서 많은 양의 헤모글로빈 함유 가능

○ 나머지 : 유핵세포

파괴 장소 : , 지라

적혈구의 수명 : 120

겸형적혈구 빈혈증인 경우 지라가 손상

○ 지라(비장) : 위의 뒤쪽에 있으며 백혈구의 생성과 노폐한 적혈구를 파괴하는 기능

○ 적혈구를 파괴한 결과 생성된 빌리루빈으로 담즙 형성

⑥ 진화론 : 사람과 차이나는 헤모글로빈 아미노산 수

○ 고릴라 (1), 붉은털원숭이 (8), 개 (15), 말 (25), 닭 (45), 개구리 (67), 칠성장어 (125)

세포성 요소 : 백혈구 (white blood cell)

① 골수줄기세포에서 유래. 1mm3 당 5,000 ~ 10,000개

수명 : 100 ~ 200

③ 특징

○ 적혈구와는 달리 세포사이액이나 림프액에도 존재

○ 핵이 존재하여 핵형 분석에 이용

○ 모양은 일정하지 않으며 아메바 운동

○ 유주(swarming) : 조직 내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

④ 생성 : 내피세포, 골수섬유세포, 백혈구가 생성하는 집락자극인자에 의해 생성

○ 집락자극인자(CSF, colony stimulating factor)

과립 : 식세포작용·고름 형성. 알레르기 반응. 염증반응

○ 주된 특징 : 다형핵(polymorphonucleus), 과립이 많아 밀도가 높음

○ 과립구를 염색하는 염료에 따라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분류

○ 호중성 백혈구(neutrophils)

○ 기능 : 항체 피복된 병원체 식균작용

○ 분포 : 전체 백혈구 중 60 ~ 65 % 차지. 12 ~ 14 ㎛

○ 과립 형태 : 3개의 덩어리 형성

○ 호산성 백혈구(eosinophils)

○ 기능 : 항체 피복된 기생충 치사, 알레르기 과민 반응 관여

○ 분포 : 전체 백혈구 중 1 % 차지

○ 형태 : 2개의 덩어리 형성. 비교적 과립이 큼. 12 ~ 17 ㎛

○ 에오신에 의해 적색으로 염색

○ 호염기성 백혈구(basophils)

○ 기능 : 히스타민·헤파린 방출, T 림프구 발달 촉진

○ 분포 : 전체 백혈구 중 0.2 % 차지

○ 형태 : 과립이 분산된 형태. 과립이 큼. 14 ~ 16 ㎛

○ 메틸렌 블루에 의해 짙은 보라색으로 염색

비만세포(mast cells) : 손상되거나 항원 결합으로 히스타민, 류코트리엔 등 방출

○ 조직세포에서 활동하는 호염기성 백혈구 지칭

○ 비만세포는 비만과 관련이 적음을 유의

단핵구(monocytes) : 식세포작용. 전체 백혈구 중 4 % 차지. ~ 20 ㎛

○ 골수에 위치한 조혈모세포로부터 단핵구가 유래됨

종류 1. 거식세포

종류 2. 이물거대세포(foreign body giant cell)

○ 단핵구는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로 분화됨

대식세포(macrophages)

○ 미생물 포식 및 소화, 항원 표출, T 림프구 활성화

뇌의 미세아교세포(microglia)도 일종의 대식세포

분류 1. 기능에 따른 분류

1-1. M1 대식세포 (classically activated or inflammatory macrophage)

염증성 세포(pro-inflammatory cell) : 세포 사멸에 관여. anti-tumoral 

연장인자(elongation facotr) : 장축과 단축의 비가 1 근처

○ M1 타입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 : TLR, TNF-α, IFN-γ, CSF2, LPS, STAT1, IRF5, IL-17A 

○ M1 타입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 : IL-6, IL-8, IL-23p40, TNF-α, IL-1β, IL-12p70, IL-12p40, IFN-γ

○ M1 타입의 유전자 마커 : HLA-DR, CD11c, CD86, iNOS, pSTAT1, IL-12, MHC-II, CD80, 27E10, CCL2, S100A8, S100A9

1-2. M2 대식세포 (alternatively activated or anti-inflammatory)

항염증성 세포(anti-inflammatory cell) : 세포 치료에 관여. pro-tumoral

연장인자(elongation factor) : 장축과 단축의 비가 큼

○ M2 타입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 : IL-4, IL-10, IL-13, TGF-β, PGE2, STAT3, STAT6, IRF4

○ M2 타입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 : IL-10 

○ M2 타입의 유전자 마커 : CD68, CD163, CD204, CD206, VEGF, cMAF, ARG1, YM1, CCL20, CCL22, 1IDO1

○ TAM(tumor associated macrophage)의 대부분은 M2 macrophage

분류 2. 조직에 따른 분류

쿠퍼 성상세포(Kupffer cell)

간 모세혈관 안에 있는 대식세포

내재적 면역인 RES(reticuloendothelial system)와 관련

○ 혈관 내에 위치한 대식세포는 쿠퍼 세포가 유일함

○ splenocyte : 지라(spleen)에 위치

○ BMDM(bone-marrow-derived macrophage) : 뼈에 위치

○ dust cell : 폐에 위치

○ microglial cell : 뇌에 위치

○ TAM(tumor-associated macrophage)

 

M1-like TAM
M2-like TAM
immune activation (Th1 and NK) TNF-α, NO, IL-23, IFN-γ, MHC class II, IL-1β, CXCL10 angiogenesis VEGF, FGF, CXCL8, Tie2, hypoxia
phagocytosis of tumor cells   EMT(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TGF-β
apoptosis of tumor cells TNF-α, FasL immune suppression (Treg or Th2) PD-1, PD-L1, IL-10, TGF-β, IDO 1/2, arginase
tissue damage ROS, iNOS tissue remodeling metastasis MMPs, uPAR, cathepsins
maturation of APC IL-12 tumoral growth factors EGF, FGF, TGF-β, PDGF

Table. 1. M1-like TAM과 M2-like TAM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s) : T 림프구에 항원 표출

림프구(lymphocytes) : B 림프구, T 림프구, 자연살상세포. 전체 백혈구 중 20-35% 차지. 6 ~ 9 ㎛

○ 림프구는 혈관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림프관 내에서만 활동

○ 다른 백혈구에 비해 핵의 비율이 높음

세포성 요소 : 혈소판(platelet)

골수의 특수한 세포(골수 거핵세포)의 세포질 일부가 불거져 떨어진 조각

○ 특징 : 무핵, 혈액응고 관여

○ 모양이 일정하지 않으며 적혈구·백혈구에 비해 매우 작음

생성

○ 1 mm3 250,000 ~ 400,000

○ 간에서 생성되는 TPO(thrombopoietin)에 의해 생성

수명 : 9 ~ 12

④ 기능 : 혈액응고

⑤ 항혈소판제(anti-platelet agent)

○ 아스피린

○ P2Y12 억제제 : clopidogrel, prasugrel, ticagrelor 등

○ tirofiban : glycoprotein Ⅱb / Ⅲa receptor inhibitor

○ HBA(hydroxybenzy alcohol) : anti-inflammatory & anti-platelet activity

 

 

3. 심장 [목차]

⑴ 심장의 구조

 

심장의 구조

Figure. 9. 심장의 구조

 

① 흉골 밑에 위치하며, 주먹 크기 정도로 대부분 심장근으로 구성

② 혈액을 받아들이는 곳인 심방과 혈액을 내보내는 곳인 심실로 구성되며, 인간의 경우 2심방 2심실

③ 심실은 심방보다 더 두꺼운 근육층을 가지며 더 강력한 수축력을 가짐

○ 특히 좌심실은 훨씬 강한 힘으로 수축하여 체내 각 기관으로 혈액을 보냄

○ 좌심실이 우심실보다 더욱 강력하게 수축하지만 한 번 수축할 때 내보내는 혈액의 양이 동일하다는 게 특징

④ 판막 : 심장에 4개의 판막이 존재하여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

 

판막의 구조

Figure. 10. 판막의 구조

 

○ 방실판막 : 심방과 심실 사이, 삼첨판·이첨판

○ 반월판막 : 심실과 동맥 사이

○ 판막에 이상시 불완전한 판막을 통해 혈액이 분출되어 나오면서 비정상적 소리(심장잡음) 발생

심장 근육

특징

○ 모세혈관과 미토콘드리아 고밀도 (유기호흡성)

미오글로빈 함량이 많아서 적색

영양원 : 지방산 포도당, 젖산 ( 오직 유기호흡만 가능)

관상동맥 :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 부족 시 심장정지, 심장마비, 심근경색 야기

② 자율박동세포의 박동원 전위

○ 자율박동세포 : 동방결절(우심방 위치), 방실결절(우심방 위치), 푸르키녜 섬유

동방결절 : 외부 전기적 신호 없이 박동전위 생성

○ 방실결절, 푸르키녜 섬유 : 외부 전기적 신호를 받으면 전위 증폭

○ 동방결절은 교감신경의 영향으로 이완기 기간 감소, 박동수 증가

○ 동방결절은 부교감신경의 영향으로 이완기 기간 증가, 박동수 감소

○ 동방결절에 작용하는 자율신경은 미주신경(vagus n.)의 일종

심실근의 평탄 전위

○ 심실근은 오직 교감신경의 영향만 받으며 1회 심박출량이 조절

심실근의 수축 메커니즘

심장주기(cardiac cycle) :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고 받아들이는 주기 

 

심장주기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11. 심장주기]

 

 맥박 : 심장주기에 따른 혈관의 변화

 수축기 : 혈액의 흐름이 심실 동맥

 이완기 : 혈액의 흐름이 심방 심실

 심방, 심실이완 : 정맥 → 심방 → 심실, 이첨판과 삼첨판 열림, 반월판 닫힘(0.4초)

 심방수축, 심실이완 : 심방의 혈액 → 심실, 이첨판과 삼첨판 열림, 반월판 닫힘 상태(0.1초)

 심실수축, 심방이완 : 정맥혈 → 심방, 심실은 혈액 방출, 이첨판과 삼첨판 닫힘, 반월판 열림(0.3초)

 심방과 심실이 동시에 수축하지 않도록 지연된 시간(0.1초)은 방실지연에서 기인

심장정지

 동조실패, 세동, 부정맥으로 심장정지

전기 충격에 의한 동기화 (재세동)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phy) 

① 개요

○ 심장박동을 전기적 신호로 나타낸 것으로 전극을 심장에 직접 붙이는 게 아님 : 일반적으로 12개의 전극으로 측정

○ 파와 분절로 구분

○ 파 : 기본선보다 위로 올라갔다가 아래로 내려간 경우

○ 분절 : 두 파 사이의 기준선

 

심전도
출처 : 2004 MEET/DEET 자연과학 I

Figure. 12. 심전도]

 

심전도 신호의 이해 : 외부 전극의 전계 방향과 내부 심장의 전계 방향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측정 

P : 동방결절의 탈분극

동방결절(SA node, sinoatrial node) : 자발적으로 활동전위를 발생하는 조직

○ 동방결절의 신호로 심방 탈분극 → 100 ms 이내로 심방 수축 유발

○ 판막 초기상태 : 방실판막 open, 반월판막 closed

○ 심방의 심장근끼리는 모두 간극연접으로 연결돼 동방결절의 전기신호가 순식간에 심방 전체로 이동

P-Q 간격 : 방실지연

○ 방실지연 : 활동전위가 방실결절에서 약 0.1초 지연되는 것, 심방 혈류가 심실로 유입되는 시간을 벎

○ 방실결절(Av node, atripventricular node)

○ 심방과 심실의 간극연접통로

○ 동방결절의 신호를 받은 뒤 세동을 일으키는 이소박동원. 동방결절과 동기화

④ Q 점 : 히스색에 활동전위 도달

⑤ QRS파 : 히스색, 푸르키녜 섬유의 탈분극, 즉 심실의 탈분극

○ 히스색, 푸르키녜 섬유 또한 이소박동원에 해당

○ 푸르키녜 섬유의 탈분극 → 심실 탈분극 → 심실 수축 유발

○ 심실 수축이 유발되므로 동시에 심방 재분극 → 심방 이완 유발

○ 판막 상태 : 심실에서 심방으로 혈액이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방실판막 closed, 반월판막 closed

○ 1심음 발생 : 방실판막이 닫히면서 심음 발생

⑥ QRS-T 간격 : 심실이 정말로 수축하는 단계

○ 판막 상태 : 방실판막 closed, 반월판막 open

○ 심실이 수축한 뒤 반월판막이 열리고 혈액이 동맥으로 이동

○ 심실 내 압력이 증가했다가 줄어드는 단계

⑦ T : 심실 재분극, ST segment도 약간 포함

○ 심실 재분극 → 심실 이완 유발

○ 판막 상태 : 동맥에서 심실로 혈액이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방실판막 closed, 반월판막 closed

○ 2심음 발생 : 반월판막이 닫히면서 심음 발생

⑧ U파

○ T파 이후의 작은 파동

○ 탈분극 이후의 소낭들에 의한 완화 신호(relaxation signal)로 추정

R-R 간격 : interval 혹은 heart rate라고도 함 

판막 상태 정리

Lub Dub ( 두근두근) : 심장 내 판막이 닫히는 소리

○ Lub (Q 시점) : 방실판막 closing. 반월판막 closed

S 시점 : 방실판막 closed. 반월판막 opening

○ Dub (T 직전 시점) : 방실판막 closed. 반월판막 closing

○ T 직후 시점 : 방실판막 opening. 반월판막 closed 

심장의 전기축

⑸ 프랭크-스탈링 곡선(Frank-Starling curve) : 심실 압력-용적 곡선

① 등용적성 수축기(isovolumetric contraction)

② 심박출기(ventricular ejection)

③ 등용적성 이완기(isovolumetric relaxation)

심실 충만기(ventricular filling)

⑤ 심장 주기 : 등용적 수축 → 방출 (0.3 s) → 등용적 이완 → 0.4 s → 0.1s

○ 등용적 수축의 이유 : 대동맥 혈압이 높으므로

○ 등용적 이완의 이유 : 심방 혈액을 받기 위함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3. 프랭크-스탈링 곡선]

 

태아의 심장

태반에서 가스 및 물질교환을 한 혈액이 하대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들어감 (체순환 93%, 폐순환 7%)

② 난원공 : 태아 시기에는 열려 있는 좌심방과 우심방 사이의 통로

○ 폐동맥으로 갈 혈액이 60% 정도 대동맥으로 이동

○ 출생 시 좌심방 수축이 우심방 수축보다 세어 난원공의 뚜껑을 밀면서 난원공을 막음

○ 난원공 폐쇄 부진(심방중격결손증) : 난원공이 덜 닫혀 폐순환과 체순환 섞임, 운동 능력 감소 (선천성)

③ 동맥관(보탈로관) : 태아의 폐동맥의 혈액이 대동맥의 혈액으로 이동

○ 동맥관 폐쇄 부진(동맥관개존증) (선천성)

 

 

4. 혈관계 [목차]

혈관 

혈관의 구조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14. 혈관의 구조]

 

동맥 : 3개의 층(내막, 중막, 외막)으로 구성, 많은 탄력 섬유와 근섬유(평활근), 대동맥(11% 혈액 보유)

○ 탄성조직의 비율이 정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 → 탄력성↑

○ 두꺼운 혈관벽을 지녀 높은 혈압을 견딜 수 있음

○ 동맥벽의 탄력에 의해 동맥이 원래 상태로 돌아오면서 심장이 이완되는 시기에 높은 혈압을 유지할 수 있음

○ 대동맥은 수축과 이완을 스스로 조절

○ 소동맥은 자율신경에 의해 수축과 이완을 조절받음

정맥 : 3개의 층(내막, 중막, 외막)으로 구성, 판막·근섬유(평활근) 존재, 대정맥과 소정맥(61% 혈액 보유)

○ 동맥보다 더 많으며 지름도 커서 순환계의 절반 이상의 혈액 보유

○ 혈관 중 반경이 가장 크기 때문에 혈류저항이 가장 작음

○ 동맥보다 벽이 얇고 덜 탄력적이며 혈압이 낮아 역류를 막기 위해 판막 존재

○ 평활근과 함께 인접한 골격근의 조절 작용이 존재

모세혈관

모세혈관 벽은 한 층의 아주 얇은 상피세포로 구성. 평활근 없음

모세혈관 소공(개창술) : 내피세포로 된 튜브에 있는 소공. BBB의 엄격한 통제가 있는 뇌에는 없음

기저층 : 내피세포로 주변, 투과가 쉽게 이루어짐 물질교환

○ 소수성 물질, 크기가 작은 친수성 물질 : 내피세포막을 단순 확산. 이산화탄소, 물, 포도당, 아미노산 등

○ 크기가 큰 친수성 물질 : 세포관통이동(transcytosis)을 통해 통과. 간과 소장은 내피세포 간격이 커 단백질도 통과

○ 모세혈관으로부터 100 ㎛ 밖에 있는 세포는 사멸함

○ 폐포 모세혈관 직경은 대략 8 ㎛ 정도

혈압, 총 단면적, 혈류 속도

 

혈압, 총 단면적, 혈류속도

Figure. 15. 혈압, 총 단면적, 혈류속도

 

혈압 : 동맥 > 모세혈관 > 정맥

총 단면적 : 모세혈관 > 정맥 > 동맥

혈류속도 : 동맥 > 정맥 > 모세혈관 ( 연속방정식)

○ 동맬 혈류속도 : 10 cm/s

○ 모세혈관 혈류속도 : 0.05 cm/s

⑵ 혈압(blood pressure) 

 

혈압

Figure. 16. 혈압

 

심실 수축압 (최고) : 1회 심박동량, 방출속도

○ 대동맥의 신전도(탄성율, distensibility)가 감소하면 심실 수축압 증가

○ 1회 박출량이 증가하면 심실 수축압 증가

심실 이완압 (최저) : 말초 순환 저항, 다음 수축기까지의 시간

○ 대동맥의 신전도가 감소하면 심실 이완압 감소

○ 1회 박출량은 심실 이완압에 영향을 주지 않음

맥압(= 수축기 혈압 - 이완기 혈압) 1회 박출량, 대동맥의 탄성율

④ 심박출량 : 심실에서 1분동안 박출하는 혈액의 양, 심실의 부피 변화량 × 1분 동안의 박동수로 구함

⑤ 혈압 120/80(mmHg)은 기존 대기압에 더하여 발휘되는 압력

⑥ 혈압의 측정

 

혈압의 측정 그래프

Figure. 17. 혈압의 측정 그래프

 

혈압의 측정 방법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18. 혈압의 측정 방법]

 

⑦ 심장주기에 따른 혈압의 변화 (CV physiology)

 

심장주기에 따른 혈압의 변화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9. 심장주기에 따른 혈압의 변화]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20. 심장주기에 따른 혈압의 변화

 

 diastolic phase가 systolic phase보다 약 2배 더 긺

○ MAP(mean arterial pressure) 값을 주로 계산 : MAP = (2 × diastolic + systolic) / 3

⑧ 혈압 = 전부하 × 후부하

○ 전부하 : 혈액양에 비례, 장기적 조절, 신장에서 조절

○ 후부하 : 모세혈관 관류 저항 등에 비례, 단기적 조절, 소동맥 수축·이완을 통한 조절

혈관 저항

 

 

○ 몸의 말단부 혈압은 중력을 거슬러야 하므로 심장의 압력보다 크며, 골격근이 관여

Figure. 15.은 주요 혈관만을 표시한 것이기 때문에 위 사실이 확인되지 않음 

모세혈관의 벽을 통한 물질 운반

모세혈관은 한 층의 세포층으로 되어 있고 단면적이 가장 넓어 물질교환에 유리

물질 교환 방법

단순확산 또는 촉진확산 : 산소, 이산화탄소, 작은 분자들, 약간의 이온물질

트랜스사이토시스(transcytosis) : 큰 분자(혈구, 단백질 등) 이동 시

모세혈관 소공을 통한 이동

능동수송

삼투압

물질 교환의 원동력

혈압

혈액 삼투압 : 모세혈관 내에 남아 있는 큰 분자에 의해 형성

 정맥을 통한 심장으로의 혈액 흐름 기작

정맥의 혈액 흐름의 방해요인

정맥은 혈압이 낮으므로 외부 조건에 따라 정맥 내 압력이 역전될 수 있음

예. 중력 : 동맥이나 정맥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흘러가는 혈액의 흐름 방해

정맥의 혈액 흐름 기작 : 심장으로의 혈액 흐름을 도와줌

판막 : 정맥 내 혈류가 역전되는 것을 방지 근육 수축 및 이완 시 혈류 역전 방지

정맥을 둘러싼 평활근의 주기적인 수축

정맥의 혈액 흐름 기작

Figure. 21. 정맥의 혈액 흐름 기작

 

○ 근육이 수축하면 혈액이 심장쪽으로 움직임

○ 근육이 이완할 때 판막이 닫히면서 혈액의 역류를 막아줌

운동 시 수축하는 골격근

: 장거리 여행 시 정맥에 형성된 혈전을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냄

흉강의 압력변화(음압)는 심장 주변의 대정맥을 팽창

○ 정맥 저류 ↑ → 모세혈관 ↑ → 여과 ↑ → 조직세포 ↑

정맥의 판막에 이상이 생기면 정맥류 발생 : 혈액 정체, 하중 증가, 폐혈 위험성

혈액과 조직액의 교환

① 조직액과 림프액

○ 조직액

○ 모세혈관에서 빠져나온 혈장 성분과 백혈구, 적혈구와 혈소판은 없음

○ 세포들에게 필요한 영양소와 여러 물질을 공급하기 위해 모세혈관에서 조직액이 분비

○ 기능 : 세포와 물질교환, 면역기능

○ 조직액의 복귀 : 약 85%의 조직액은 모세혈관으로 이동. 약 15%의 조직액은 림프관으로 이동

○ 림프액

림프관으로 들어간 조직액

혈구, 단백질 등이 없음

모세혈관을 통한 혈액과 조직액의 교환

정수압 (모세혈관압, Pc) : 혈압이 액체를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

혈장 삼투압(πp) : 높은 삼투압은 조직액으로부터 물을 끌어들이는 힘으로 작용

조직액 삼투압(PIF)

조직액 삼투압(πIF)

○ 프랭크-스털링 법칙(Frank-Starling law) : 조직 누출액 = Kf(Pc - PIF) - σr(πp - πIF) ≒ (Pc - PIF) - (πp - πIF)

 동맥 끝 순 여과압력 = (Pc - PIF) - (πp - πIF) = (35 - 0) - (28 - 3) = 10 mmHg

정맥 끝 순 여과압력 = (Pc - PIF) - (πp - πIF) = (15 - 0) - (28 - 3) = -10 mmHg

림프계를 통한 액체성분의 복귀 : 림프 순환은 심박출량의 1/3000

 

혈액과 림프액 교환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22. 혈액과 림프액 교환]

 

림프계의 형성 : 조직액으로 빠져나간 물의 양이 혈액으로 들어간 물의 양보다 많음

○ 기능

림프절 : 조류, 포유류의 주된 림프관을 따라 존재, 다양한 면역세포 위치, 감염 시 부어오름

○ 지용성 양분의 흡수 : 림프계가 벽이 얇고 투과성이 높아 지용성 양분 이동 가능

○ 조직액 → 혈액으로의 회귀

림프액 회수 : 모세림프관 가슴관 상대정맥 → 쇄골하정맥 심장

역류방지기작

○ 림프관에는 정맥에서처럼 첨판(판막)이 있어 림프가 역류하지 않고 가슴관으로 들어감

주위의 골격근 수축에 의해 림프관이 받는 압력으로 이동

○ 림프계에서 일어나는 현상

○ 림프절에 있는 림프구는 흉관을 통해 혈액으로 유입

○ 림프구는 모세혈관 벽을 빠져나와 조직 간극을 경유하여 림프계로 유입

○ 림프관은 작은 창자에서 혈관으로 영양물질이 이동하는 통로가 됨

○ 혈구세포는 림프계로 유입될 수 없음

수종 : 회수 불균형 또는 림프관계 이상으로 조직액 증가

 

 

5. 혈류량 조절 [목차]

⑴ 개요 

① 신경신호, 호르몬, 화학물질이 혈류 조절 신호가 됨

② 뇌는 항상 혈류가 일정해야 함

전반적 조절 : 혈류량 조절

전반적 혈류량 조절 메커니즘
출처: 안태인 외, 인체생명과학 2판, 월드사이언스, 2011년, p.338.

Figure. 23. 전반적 혈류량 조절 메커니즘]

(점선은 지정 혈압 조정과 관련된 피드백 회로를 나타냄)

 

연수 : 자율신경 중추

○ 뇌척수액의 pH 감지 호흡 및 순환 조절

○ H+가 BBB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CO2의 단순확산 및 탄산이온 산염기반응을 통해 pH 변화를 감짐

동맥의 압력수용기 

 대동맥궁(aortic arch), 경동맥궁(carotid sinuses), 연수에 신호를 전달

○ 경동맥궁이 대동맥궁보다 더 효율적인 압력수용기

혈류량 조절 과정

○ 1st. 혈압 증가 → 동맥의 압력수용기가 연수에 작용

○ 2nd. 연수는 부교감신경에 직접 작용하여 부교감신경 촉진

○ 부교감신경 말단 : 아세틸콜린 방출, 박동 지연

○ 3rd. 연수는 척수의 억제성 사이뉴런에 작용하여 교감신경 억제

○ 교감신경 말단 : 에피네프린 방출, 박동 촉진

○ 강심제 : 에피네프린

○ 4th. 부교감신경 ↑, 교감신경 ↓ : 소동맥 이완, 박동원 박동 지연, 심박출량 감소

예 1. 우주인

실제로는 물의 양이 적으나 전신에 물의 양이 많다고 착각 → 소변 방출량 증가

○ 회복 기작 : 교감신경 ↑ → 말초 혈액 진행 예방 → 물 보존

예 2. 기립성 저혈압 

중력으로 인해 정맥환류 ↓ → 뇌혈류 ↓ → 빈혈증세

회복기작 : 교감신경 ↑ → 말초 혈액 진행 예방 → 물 보존

국부적 조절 : 소동맥 평활근의 수축 및 이완

① 소동맥 평활근은 자율신경계의 조절을 받음

② 일반론 : 교감신경계가 작용하면 내장기관을 향하는 세동맥은 수축하고, 골격으로 향하는 세동맥은 이완

③ 일시적 충혈 : 산소 분압이 낮고, 이산화탄소 분압이 높은 조직 인근 세동맥은 이완하여 혈류증가

활동성 충혈 : 국부적 활동(예 : 운동)에 따른 대사의 변화에 비례하여 혈류 공급

반응성 충혈 : 혈류 감소에 대한 반응으로 혈류 공급

○ 엔도텔린(endothelin) : 혈관수축인자 

 

소동맥 평활근 조절 메커니즘
출처: 서울대학교 생물학(안태인) 강의

Figure. 24. 소동맥 평활근 조절 메커니즘]

 

국부적 조절 : 모세혈관의 미세혈류 조절

① 전모세혈관 괄약근 또는 내초세포의 수축 및 이완

○ 세동맥의 이완은 전부하 증가 → 모세혈관 혈압 증가

 

모세혈관의 미세혈류 조절 메커니즘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25. 모세혈관의 미세혈류 조절 메커니즘]

 

정량적 설명 : 혈류저항 R은 관의 반지름 r의 네제곱에 반비례함

③ 특정 모세혈관의 반지름을 조금만 조절해도 그 혈관과 더불어 다른 모세혈관으로 흐르는 혈류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음

국부적 조절 : 히스타민

① 염증반응 시 모세혈관 확장 

혈관투과성 증진

상처부위로 혈류흐름 증가 (보체단백질 유입↑)

 

 

6. 지혈 : 혈액 손실 방지 [목차]

외인성 응고 : 혈관 밖에서의 응고. 일반적인 응고 과정

1st. 내피세포 표면의 변화 : 내피세포 표면의 콜라겐이 노출

2nd. 1차 지혈

2nd - 1st. 혈소판이 결합조직의 콜라겐에 흡착되어 물리적으로 차단

2nd - 2nd. 결합한 혈소판들이 인근 혈소판들을 더 잘 붙게 만드는 물질 분비

③ 3rd. 2차 지혈 : 피브린 응결체를 형성하면서 혈액 내 혈구를 엉겨붙게 만듦. 혈소판 마개 형성

 

혈액 응고 과정
출처: 안태인 외, 인체생명과학 2판, 월드사이언스, 2011년, p.314.

Figure. 26. 혈액 응고 과정]

 

3rd - 1st. 혈소판, 손상 세포, 혈장의 응고인자의 다단계 효소반응으로 피브린 형성

○ 3rd - 1st - 1st. 손상된 조직세포에서 트롬보키나아제 등의 응고인자 분비

○ 3rd - 1st - 2nd. 혈액응고인자는 Ca2+에 의해 활성화됨

○ 3rd - 1st - 3rd. 활성화된 혈액응고인자는 Ca2+과 함께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활성화

3rd - 1st - 4th. 트롬빈은 피브리노겐(졸(sol) 상태)을 피브린(겔(gel) 상태)으로 활성화

혈액 응고에서 트롬빈을 비롯한 혈장 단백질은 단백질 분해효소

3rd - 2nd. 피브린이 엉겨 붙으면서 피브린 응결체(혈병)가 형성, 혈소판 마개를 만들어 상처부위를 봉합

④ 4th. 혈관 수축 : 응집하는 혈소판은 트롬복산 A2를 합성하고 화학 매개물질을 방출하면서 평활근 수축

○ 4th - 1st. 아라키돈산 → 프로스타글란딘 : cyclooxygenase가 관여

○ 4th - 2nd. 프로스타글란딘 → 트롬복산 : thromboxane synthetase가 관여

⑤ 5th. 상처 봉합

○ 5th - 1st. 혈소판에서 PDGF 분비

5th - 2nd. 상피세포의 PDGF 수용체가 티로신 인산화효소 활성을 보임

5th - 3rd.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콜라겐 섬유 증가 → 상처 봉합

⑵ 내인성 응고 : 혈관 내에서의 응고

① 헤이그먼 인자가 관여

② 일반적으로 혈액 응고라고 하면 내인성 응고가 아닌 외인성 응고를 지칭

혈액 응고의 조절

① 비타민 K : 혈액 응고에 필수적, 다른 비타민은 혈액 응고와 사실상 무관

프로스타사이클린(PGI2), 산화질소(NO) : 혈소판 응집을 억제

○ 내피세포에서 생성

○ 손상 부위가 아닌 곳에서 혈소판 마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

아스피린(aspirin)

○ 트롬복산 합성에 관여하는 cyclooxygenase를 억제하여 항응고 작용

○ 순작용 : 해열진통, 심장발작 예방, 혈전용해제

○ 부작용 : 위궤양 (점막 형성 관련), 수술 중 지혈이 안 돼 사망하는 경우, 위장 출혈, 뇌출혈  

헤파린, 히루딘 :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항응고 작용

○ 헤파린(heparin) : 비만세포가 합성. 카르복시기의 대부분이 음전하. 간에 존재

○ 1st. 헤파린과 항트롬빈(anti-thrombin Ⅲ)이 결합

○ 2nd. 항트롬빈의 3차원적 구조가 변함

○ 3rd. 헤파린과 항트롬빈 결합체는 트롬빈과 비가역적으로 결합

○ 4th. 항트롬빈이 트롬빈과 결합 시 헤파린의 결합능력이 떨어져 이탈됨

○ 5th. 헤파린은 재활용되어 또다른 항트롬빈과 결합

○ 종류 : unfractionated heparin, enoxaparin, daltaparin, tinzaparin

○ 히루딘(hirudin) : 거머리가 가지고 있는 혈액 응고 물질로 섭취한 혈액이 응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비

⑤ 와파린(warfarin) : 비타민 K의 경쟁적 억제자, 프로트롬빈 형성을 억제하여 항응고 작용

⑥ EDTA, 시트르산나트륨, 옥살산나트륨 : 칼슘을 제거하여 항응고 작용

⑦ 플라스민 : 혈병 제거

⑧ Xa 억제제

○ fondaparinux

○ rivaroxiban

○ apixaban

⑨ 트롬빈의 직접접 억제제

○ dalbigatran

○ bivalirudin

○ argatroban

⑷ 혈액형과 혈액 응집반응

① ABO 혈액형

A형 표준혈청(anti-B) : 항원 A와 응집소 β가 존재 

○ A형은 대장균이 만드는 항원 중 항원 B와 유사한 물질을 외래 물질로 인식하여 응집소 β를 생성함 

 B형 표준혈청(anti-A) : 항원 B와 응집소 α가 존재 

○ B형은 대장균이 만드는 항원 중 항원 A와 유사한 물질을 외래 물질로 인식하여 응집소 α를 생성함 

표준혈청과의 반응 

항원 A와 응집소 α, 항원 B와 응집소 β 간 응집반응을 함 

○ A형 혈액 : 항원 A와 극소량의 응집소 β를 가져 B형 표준혈청(anti-A)과 응집반응 

○ B형 혈액 : 항원 B와 극소량의 응집소 α를 가져 A형 표준혈청(anti-B)과 응집반응 

○ AB형 혈액 : 항원 A와 항원 B를 가지고 응집소는 없어 A형, B형 표준혈청과 응집반응 

○ O형 혈액 : 항원은 없고 응집소 α와 응집소 β를 가져 응집반응 안 함

수혈(transfusion) 

○ A형은 A형, AB형에게만 수혈을 해줄 수 있음 

○ B형은 B형, AB형에게만 수혈을 해줄 수 있음 

○ AB형은 AB형에게만 수혈을 해줄 수 있음

○ O형은 AB형, A형, B형, O형에게 수혈을 해줄 수 있음

예 1. O형의 피를 A형에게 수혈하는 경우

○ O형에 있는 항체는 극소량이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음 

○ A형 입장에서는 외부 항원이 없으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음

예 2. A형의 피를 O형에게 수혈하는 경우

○ A형에 있는 항체는 극소량이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음 

○ O형 입장에서는 외부 항원인 A가 들어왔으므로 α 항체를 많이 만들어 응집반응을 일으킴 → 사망

○ plastic blood : 혈액형에 따른 의존성이 없음

 혈액형의 항원의 구조 : 적혈구 표면에 푸코오스(fucose)를 부착한 뒤 표지하는 당에 따라 결정

② MNS 혈액형

③ 루터란 혈액형군(Lutheran blood groups)

 

 

7. 심혈관계 질환 [목차]

동맥경화(arteriosclerosis)

 

동맥경화
출처 : 캠벨 생명과학 10판

Figure. 27. 동맥경화]

 

① 정의 : 혈관 내에 기름이 끼어 동맥이 경화되는 경우

CAD(coronary artery disease) : 관상동맥질환

심장마비(heart attack) : 관상동맥 막힘에 의해 유발, 심장근으로의 산소공급이 막히고 심장근 세포가 사멸

1st. LDL 등의 지질단백질이 동맥 내피에 엉겨 붙음

경우 1. 혈관 내벽이 손상된 뒤 손상된 자리에 콜레스테롤 침착

경우 2. 혈관 내부를 둘러싸며 콜레스테롤 침착 : 혈관의 탄성 감소

2nd. 대식세포가 이를 먹고 지방질이 많은 거품세포(foam cell)로 변형

3rd. 플라크(죽모양 무덤) 형성 : 세포외기질(콜라겐 등)이 분비되면 지질단백질 덩어리가 더 커짐

4th. 플라크에 T림프구와 혈관벽의 평활근세포도 합류

5th. 평활근세포의 일부가 섬유성 뚜껑을 형성하여 플라크를 혈액으로부터 분리

6th. 플라크 안의 거품세포는 죽고 세포성 잔유물과 콜레스테롤 방출

플라크가 터지면 동맥에서 혈전이 생김

플라크가 터지지 않고 계속 커지면 동맥이 막히게 됨

관상동맥이 막히는 경우 협십증 유발

⑧ 7th. 혈종 및 혈전 형성까지 40여 년 소요

 종류 1. 죽상동맥경화증유발(atherosclerosis) : CD40-CD40L이 관여

종류 2. Gaucher’s disease

종류 3. Niemenn-Pick disease

⑵ 원발성 고지혈증(primary hyperlipidemia) : 유전성 질환 중 하나

① 타입 Ⅰ: lipoprotein lipase deficiency

② 타입 Ⅱa : defective LDL receptor

③ 타입 Ⅱb : unknown cause

④ 타입 Ⅲ : abnormal apoplipoprotein E

⑤ 타입 Ⅳ : unknown cause

⑥ 타입 Ⅴ : deficiency of apoplipoprotein C

⑶ 뇌졸중(stroke)

① 정의 : 뇌혈관으로 혈액이 흐르지 못해 조직이 산소 부족으로 사멸하는 것

 허혈성 뇌졸중 : 머리의 동맥이 막히는 경우  하부 조직에 혈액 공급 차단

 출혈성 뇌졸중 : 머리의 동맥이 터지는 경우

○ 뇌졸중 환자를 3시간 이내에 치료하면 뇌졸중에서 오는 결과를 완전히 역전시킬 수 있음

 혈전에 의해서도 발생

고혈압(hypertension)

① 정의 : 수축압이 140 mmHg 이상, 이완압이 90 mmHg 이상인 증상

② 원인 : 심박출량의 증가, 말초 저항 상승

③ 특징 : 고혈압 환자들은 경동맥·대동맥 압력 수용기가 고혈압을 정상으로 인식하여 압강하 반사작용 미수행

빈혈(anemia)

① 개요

정의 : 적혈구가 산소운반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 더 구체적으로는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 수치나 헤마토크리트 수치, 다시 말하면 적혈구 농도가 정상치보다 적은 경우

조혈 장애로 인한 빈혈 : 용혈성 빈혈 (예 : 겸형적혈구빈혈증) 등 적혈구 개수 부족. 수혈로 인해 적혈구 생산이 떨어지기도 함

철 결핍성 빈혈 

악성 빈혈 (예 : 비타민 B12가 부족한 경우)

재생불량성 빈혈 : 골수생성기능 손상으로 인한 빈혈. 약제로도 치료가 불가능하여 수혈이 필요

 신부전 빈혈 : 약제로도 치료가 불가능하여 수혈이 필요

⑹ 심근증(cardiomyopathy)

종류 1. DCM(dilated cardiomyopathy) : 좌심실 팽창, 좌심실 두께 일정

종류 2. HCM(hypertrophic cardiomyopathy) : 좌심실 두께 증가, sarcomere 유전자 돌연변이

⑺ 림프계 관련 질병

CLL(chronic lymphocytic leukemia) : small lymphocyte가 특징

② FL(follicular lymphoma) 

Grade I : between 0 and 5 centroblasts

○ Grade II : between 6 and 15 centroblasts

○ Grade III : more than 15 centroblasts

○ Grade III-A : centrocytes are present

○ Grade III-B : centroblasts form groupings

MCL(mantle cell lymphoma)

브루가다 증후군 : 심장박동이 갑자기 멈추는 희귀병

 

 

8. 심혈관계 진단 [목차]

CAD 진단 

① 침습적 방법

○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 전통적인 gold standard. resolution이 높음

○ FFR(fractional flow reserve) : distal coronary pressure ÷ proximal coronary pressure

○ IVUS(intravascular ultrasound) : 카테터 끝이 포음파를 발사

○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OCT가 IVUS보다 높은 해상도로 병변 탐지 가능. NIRS보다 고급

② 비침습적 방법 중 직접 관찰 방법

○ CAC(coronary calcium score)

○ EBCT(electron beam CT)

○ MDCT(multidetector CT)

○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③ 비침습적 방법 중 기능적 영상 기법

○ myocardinal perfusion scintigraphy : SPECT와 PET을 이용

○ SE(stress echocardiography)

○ CMR(cardiac MRI)

○ CT angiography : i.v. injection을 한 뒤 재구성

콜레스테롤 수치 조사 : LDL/HDL을 조사

염증반응 조사 : 염증은 동맥경화, 혈전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

치료 : 아스피린  심장마비, 뇌졸중 재발 방지

 CRP (C 반응 단백질) 양 조사 : 간에서 합성, 염증반응 시 혈중 함량 증가

혈압 조사 : 고혈압의 경우 내벽 손상  플라크 형성 촉진

심근 관류 약제(myocardinal perfusion agent)

 

  201TI 99mTc-MIBI 15O-H2O 13N-NH3 82Rb
1st-pass EF 0.85 0.65 1.0 0.9 0.6
linearity good fair excellent good good
energy 70 keV 140 keV 511 keV 511 keV 511 keV
uptake
mechanism
Na/K ATPase mitochondria
membrane
free
diffusion
diffusion
metabolism
Na/K ATPase
half time 74 hr 6 hr 2 min 20 min 1.2 min

Table. 2. 심근 관류 약제 

 

⑹ 확장 예비능(coronary flow reserve, CFR)

① 압력 변화에 맞게 혈관이 확장하여 혈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보상적 메커니즘

② 혈관의 확장 정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혈류량이 일정하지 않고 감소하게 되는 압력이 존재함

③ 협심증이 있는 사람은 확장 예비능이 떨어짐 

 

입력: 2015.07.18 00:07

수정: 2024.09.09 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