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과학/▷ MEET∙DEET∙PEET 풀이

【화학】 2021 PEET 화학 2021 PEET 화학 추천글 : 【화학】 PEET 화학 풀이 1. 다음은 온도 T에서 3가지 연소 반응의 열화학 반응식이다. T에서 H2O (ℓ)의 표준 증발 엔탈피 (kJ/mol)는? ⑴ 문제 ⑵ 풀이 : ②○ 열역학 첫 번째 식 - 두 번째 식 + 세 번째 식 : 2H2O (ℓ) → 2H2O (g)그러므로 a - b + c는 H2O (ℓ)의 증발 엔탈피의 2배가 됨 2. 그림은 원소 A~D에 대한 제1 이온화 에너지와 원자 반지름의 상댓값을 나타낸 것이다. A~D는 각각 Be, F, Mg, Al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⑴ 문제 ⑵ 풀이 : ③○ 고전원자론 ① 원자 반지름 순서는 Mg > Al, Be > F (Al, Be 서열관계가 모호함)이고, 제1 이온화 에너..
【화학】 2022 PEET 화학 2022 PEET 화학 추천글 : 【화학】 PEET 화학 풀이 1. 그림은 수소 원자에서 주양자수(n)가 같은 오비탈 A~C의 방사 방향 확률 분포 함수(f(r))를 핵으로부터의 거리(r)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A~C는 각각 s, p, d 오비탈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⑴ 문제 ⑵ 풀이 : ①○ 오비탈 이론 ①, ②, ⑤ 주양자수가 동일하면 전체 마디의 개수는 n-1로 동일하고, 방사 방향 마디의 개수는 s p > d라고 할 수 있음. A, B, C는 d (ℓ = 2), p (ℓ = 1), s (ℓ = 0) 오비탈이므로, A의 방사 방향 마디의 개수 = n - ℓ - 1 = n - 3 = 0 ⇔ n = 3③ 축퇴 : 수소 원자에서 주양자수가 동일하면 에너지 준위는 동일함 (..
【화학】 2023 PEET 화학 2023 PEET 화학 추천글 : 【화학】 PEET 화학 풀이 1. 다음은 3가지 원자의 전자 배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X ~ 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고, 모든 원자는 바닥 상태이다.)⑴ 문제 ⑵ 풀이 : ②○ 고전원자론 ① X, Y, Z는 각각 F, Na, Mg. 원자 반지름은 족이 증가할수록, 주기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므로 원자 반지름은 Na (=Y) > Li > F (=X)② Y, Z의 제2 이온화 에너지 비교는, Y+ = Na+ ≡ Ne와 Z+ = Mg+ ≡ Na의 제1 이온화 에너지 비교와 같음. 그런데 Na가 Ne보다 제1 이온화 에너지가 낮으므로, Mg (=Z)가 Na (=Y)보다 제2 이온화 에너지가 낮음 ③ 유효 핵전하는 족이 증가할수록, 주기가 증가할수록 증..
【화학】 2012 MEET/DEET 화학 2012 MEET/DEET 화학  추천글 : 【화학】 MEET/DEET 화학 풀이  1. 그림은 원자 번호가 연속인 2, 3주기 원자 A ~ J의 전자 친화도를 원자 번호 순으로 나타낸 것이다. 바닥 상태의 원자 A ~ J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⑴ 문제  ⑵ 풀이 : ④○ 전자 친화도 : 대체로 주기율표에서 오른쪽 위로 갈수록 전자친화도가 큰데, 오히려 원자 번호가 클수록 전자 친화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건 부호 정의가 다소 다르게 돼 있기 때문으로 추정됨. 또한, 홀전자가 최대가 되는 2족, 15족, 18족의 전자친화도는 매우 작은데 (위 그래프에서는 역으로 매우 높게 나옴), C와 E가 원자번호가 2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C는 18족, E는 2족으로 보는 게 타당함. 그러므로 C는 Ne,..
【화학】 2013 MEET/DEET 화학 2013 MEET/DEET 화학  추천글 : 【화학】 MEET/DEET 화학 풀이  1. 그림 ㈎와 ㈏는 수소 원자의 두 가지 원자 오비탈의 모양과 방사 방향 확률 분포 함수 f(r)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수소 원자 오비탈 ㈎와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⑴ 문제  ⑵ 풀이 : ①○ 오비탈 이론 ○ ㄱ : ㈎는 구형 오비탈이므로 s 오비탈이고, 3 = 방사방향 마디의 수 = n - ℓ - 1 = n - 1이므로 n = 4○ ㄴ : ㈏는 전형적인 d 오비탈 모양이고, 0 = 방사방향 마디의 수 = n - ℓ - 1 = n - 2 - 1 = n - 3이므로 n = 3. 전체 마디 면의 수는 n - 1이므로 ㈎와 ㈏는 n이 달라 전체 마디 면의 수도 다름   ○ ㄷ :..
【화학】 2014 MEET/DEET 화학 2014 MEET/DEET 화학  추천글 : 【화학】 MEET/DEET 화학 풀이  1. 다음은 O, Na, S 원자의 바닥 상태 전자 배치이고, 그림은 각 원자의 전자 친화도와 최외각 전자에 대한 유효 핵전하를 나타낸 것이다. ㈎ ~ ㈐는 세 원자 중 하나에 해당한다. 세 원자를 ㈎, ㈏, ㈐와 옳게 짝지은 것은?⑴ 문제  ⑵ 풀이 : ③○ 전자 친화도 : 대체로 주기율표에서 오른쪽 위로 갈수록 큼. 2주기 원소 중 B ~ F 까지의 전자 친화도는 예외적으로 같은 족 3주기 원소보다 작음. 전자 친화도는 S가 가장 크므로 ㈏는 S○ 유효 핵전하 : 최외각 전자의 유효 핵전하는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원자반지름이 작아지므로 유효핵전하 증가. 같은 족에서 전자 껍질수가 증가할수록 유효핵전하..
【유기화학】 2011 PEET 유기화학 2011 PEET 유기화학 추천글 : 【유기화학】 PEET 유기화학 풀이 1. 화합물의 구조와 IUPAC 이름이 옳게 짝지어진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⑴ 문제  ⑵ 풀이 : ③○ 명명법 일반 ○ 임의의 구조식으로부터 IUPAC 코드를 알아내는 방법 (▶ 추가 설명) ○ ㄱ : 치환기에 숫자를 매길 때 하나라도 더 작은 숫자가 나오도록 부여해야 하므로 타당함. cyclo도 알파벳 순서에 포함시키므로 cyclopentyl이 methyl보다 알파벳 순으로 먼저 옴 ○ ㄴ : cycloalkene에 이름을 매길 때 알켄이 1번과 2번 탄소 사이에 놓이도록 해야 함. 그러므로 2,3-dimethylcyclopentene이 맞음○ ㄷ : -OH기가 이 분자의 작용기이므로 숫자도 더 작게 매기고 -..
【유기화학】 2012 PEET 유기화학 2012 PEET 유기화학 추천글 : 【유기화학】 PEET 유기화학 풀이 1. 화합물의 구조와 IUPAC 이름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⑴ 문제  ⑵ 풀이 : ③○ 명명법 일반 ○ 임의의 구조식으로부터 IUPAC 코드를 알아내는 방법 (▶ 추가 설명) ① 4-Aminopyridine (모체는 아닐린이 아니라 피리딘)② 1-Bromo-4-chloro-2-nitrobenzene (알파벳 순으로 치환기를 나열)④ 4-Hydroxy-3-methoxy benzaldehyde (알데하이드기가 알코올보다 명명법 우선순위가 높음)⑤ 2-Methylnaphthalene   2. 다음 화합물의 가장 안정한 형태(conformation)에서 2개의 메틸(Me) 그룹이 서로 고우시(gauche) 관계인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