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MEET/DEET 화학
추천글 : 【화학】 MEET/DEET 화학 풀이
1. 그림 ㈎와 ㈏는 수소 원자의 두 가지 원자 오비탈의 모양과 방사 방향 확률 분포 함수 f(r)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수소 원자 오비탈 ㈎와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⑴ 문제
⑵ 풀이 : ①
○ 오비탈 이론
○ ㄱ : ㈎는 구형 오비탈이므로 s 오비탈이고, 3 = 방사방향 마디의 수 = n - ℓ - 1 = n - 1이므로 n = 4
○ ㄴ : ㈏는 전형적인 d 오비탈 모양이고, 0 = 방사방향 마디의 수 = n - ℓ - 1 = n - 2 - 1 = n - 3이므로 n = 3. 전체 마디 면의 수는 n - 1이므로 ㈎와 ㈏는 n이 달라 전체 마디 면의 수도 다름
○ ㄷ : 수소 원자의 경우 가리움 효과가 없어 에너지 준위는 주양자수 n에 의해 결정됨. 구체적으로는, 보어 원자 모형에 따라 En = -Ry Z2/n2 (단, Ry = 1312 kJ/mol)과 같이 정해짐
2. 다음은 탄소 원자 두 개를 포함하는 탄화 수소 이온이다.
H2CCH+, H3CCH2+, H3CCH2-
가장 타당한 루이스 구조를 근거로,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이론과 원자가 결합 이론을 적용하여 세 이온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⑴ 문제
⑵ 풀이 : ③
○ 각 탄화 수소 이온의 가장 타당한 루이스 구조
① sp3 탄소가 carbocation이 되면 sp2 혼성이 되는 것처럼, sp2 탄소가 carbocation이 되면 sp 혼성이 됨. 이는 기본적으로 CH+의 탄소가 결합각이 180°인 선형 구조를 취하는 게 가장 자연스럽기 때문이기도 함
② CCH2+ 부분에 있는 C+ 탄소가 sp2 혼성이기 때문에 삼각 평면 구조를 취함
③ C- 탄소가 C-C 결합, C-H 결합, C-H 결합에 각각 2개씩 전자를 공유하고 있고, 이 밖에 한 쌍의 비공유 전자쌍을 가짐 (옥텟 규칙 만족)
④ ∠(H-C-H)는 H2CCH+에서 120°이고 (∵ 삼각 평면 구조), H3CCH2-의 CH2-에서 약 100° 내외임 (∵ 정사면체 구조. 참고로, 비공유 전자쌍과 C-H 결합의 반발력이 C-H 결합 간의 반발력보다 더 큼)
⑤ 두 탄소 간의 결합 차수는 H2CCH+, H3CCH2+, H3CCH2-에서 각각 2, 1, 1. 참고로, 공명을 할 여지는 없음
3. 그림 ㈎는 부피 V인 실린더에 A 기체가, 부피 2V인 반응 용기에 B 기체가 들어 있는 것을, 그림 ㈏는 콕을 열고 피스톤을 밀어 A와 B를 섞었을 때 반응이 진행되기 전을, 그림 ㈐는 A와 B가 반응하여 C 기체를 생성한 후를 분자 모형으로 사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A ~ C의 분자 수는 각 모형 수에 비례하고 ㈎ ~ ㈐의 온도는 같다. 기체의 분자 운동론을 적용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연결관의 부피는 무시한다.)
⑴ 문제
⑵ 풀이 : ②
○ ㄱ : 기체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온도에 비례하므로 ㈎, ㈏, ㈐ 모두에서 A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동일함
○ ㄴ : P = nRT / V이므로 PA : PB = 6 × 1 × 1 / 1 : 6 × 1 × 1 / 2 = 2 : 1
○ ㄷ : vrms = √(3RT / M)이므로 vrms,B : vrms,C = √MC : √MB = √(3MB/2 + MA/2) : √MB이므로 vrms,B > vrms,C
4. 표는 질소 화학종과 관련된 열화학 자료를 나타내고, 그림은 N의 원자 오비탈로부터 만들어진 N2의 분자 오비탈 에너지 준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이온화는 오비탈의 에너지 준위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⑴ 문제
⑵ 풀이 : ②
○ ㄱ, ㄷ : N2의 분자 오비탈은 위에서부터 σ2p*, π2p*, σ2p, π2p이고 N2의 HOMO(가장 높은 에너지를 갖는 전자의 에너지 준위)는 σ2p. 그러므로 N2의 1차 이온화 에너지 = E∞ - Eσ2p > N2의 1차 이온화 에너지 = E∞ - E2p = 1400 kJ/mol
○ ㄴ : N2의 결합 차수 = 3이고, N2+의 결합 차수는 2.5이므로 N2의 결합 에너지가 N2+의 결합 에너지보다 큼
5. 그림은 CuCl2 수용액에 NH3 수용액을 가하는 과정에서 침전이 생겼다가 사라지는 변화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⑴ 문제
⑵ 풀이 : ④
○ 착물화학
○ ㄱ : CuCl2 수용액에서 Cu2+ 이온은 물 분자와 배위 결합을 형성함. 수용액 상태에서는 Cu2+ 이온이 물 분자 6개와 결합하여 [Cu(H2O)6]2+라는 배위수 6을 가지는 착물을 형성
○ ㄴ : Cu2+ + 2OH−→Cu(OH)2(s), 즉 CuCl2(aq) + 2NH4OH → Cu(OH)2 + 2NH4Cl 반응을 수행
○ ㄷ : 평면사각형 배위를 따르는 [Cu(NH3)4]2+ (왼쪽) 및 팔면체 배위를 따르는 [Cu(NH3)4(H2O)2]2+ (오른쪽) 모두 주 생성 착이온의 쌍극자 모멘트가 0
6. 그림은 25 ℃, 표준 상태에서 메테인(CH4)이 생성되는 반응 경로와 각 단계의 반응열을, 표는 25 ℃에서 관련 화학종의 표준 생성 엔탈피(ΔHf°)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⑴ 문제
⑵ 풀이 : ④
○ 열역학
○ ㄱ : CH4(g)의 표준 생성 엔탈피 = ΔH1 + ΔH2 + ΔH3
○ ㄴ : ΔH1 = 4 × 220 = 880 kJ/mol. ΔH2 = 720 kJ/mol
○ ㄷ : C-H 결합의 평균 결합 에너지 = CH4(g)의 결합 에너지 / 4 = ( Hf(C(g)) + 4Hf(H(g)) - Hf(CH4(g)) ) / 4 = (720 + 880 - (-80)) / 4 = 420 kJ/mol
7. 그림 ㈎는 농도가 다른 비휘발성 용질의 수용액 100 mL와 300 mL를 각각 담고 있는 비커 A와 B가 밀폐된 용기에 들어 있는 상태를, 그림 ㈏는 이 두 용액이 평형에 도달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에서 비커 A와 B 용액의 부피는 각각 300 mL와 100 mL이며 비커 B 용액의 농도는 1.0 M이고 밀도는 1.05 g/mL이다. 용질과 물의 몰질량은 각각 60 g/mol과 18 g/mol이며, 온도는 일정하고 이 온도에서 순수한 물의 증기압은 100 Torr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용액은 이상 용액이다.)
⑴ 문제
⑵ 풀이 : ⑤
○ 증기압 내림
○ ㄱ : 그림 ㈏에서 A와 B의 비휘발성 용질의 몰분율을 각각 XA, XB라고 할 때, A의 증기압 = PA = 100(1 - XA) = B의 증기압 = PB = 100(1 - XB)이므로 XA = XB = X가 성립함. 그런데, 몰분율이 일정할 때 용질의 양은 용액의 부피에 비례하므로 맞는 설명
○ ㄴ : 그림 ㈏에서 A의 몰농도는 B와 같은 1.0 M이므로 그림 ㈎에서 A의 몰농도는 부피를 고려하여 3.0 M
○ ㄷ : 그림 ㈏에서 B의 부피는 100 mL, B의 질량은 105 g, B의 용질은 0.1 mol (= 6 g), B의 용매는 99 g (= 5.5 mol)이므로 B의 증기압은 100(1 - 0.1/(0.1 + 5.5)) = (55/56) × 100 Torr
8. 그림 ㈎와 ㈏는 298 K와 373 K에서 A(g) ⇄ B(g) 반응계의 자유 에너지(G)를 B의 몰분율에 따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주어진 온도 구간에서 반응 엔탈피와 반응 엔트로피는 일정하다.)
⑴ 문제
⑵ 풀이 : ③
○ 열역학
○ ㄱ : 온도가 증가하면 B가 더 많이 생성되는 방향으로 반응이 이동하므로 정반응 A(g) → B(g)은 흡열 반응
○ ㄴ : 즉, B의 몰분율이 0.5일 때 평형 지점으로 이동하려면 B의 몰분율이 감소해야 하므로 역반응이 우세해야 함
○ ㄷ : ΔG = ΔG° + RT ln K = 0이므로 ΔG° = -RT ln K가 반드시 0인 것은 아님
9. 다음은 제산제의 주성분인 탄산수소 소듐(NaHCO3, 화학식량 84.0 g/mol)의 제산 반응식이다.
NaHCO3 (aq) + HCl (aq) → NaCl (aq) + H2O (ℓ) + CO2 (g)
제산제 중 NaHCO3의 함량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제산제에는 NaHCO3 외의 다른 산 또는 염기는 없다.)
⑴ 문제
⑵ 풀이 : ⑤
○ ㄱ, ㄴ : 맞는 설명
○ ㄷ : 계산 과정
15.0 mL × 0.100 M = 1.5 mmol NaOH = 25.0 mL × 0.100 M - NaHCO3의 초기 몰수
⇔ NaHCO3의 초기 몰수 = 1.0 mmol
⇔ NaHCO3의 초기 질량 = 1.0 mmol × 84.0 g/mol = 84 mg = 0.084 g
10. 그림은 25 ℃에서 약산 HA 수용액과 약산 HB 수용액의 pH에 따른 각 산의 산 해리도( [A-] / ([HA] + [A-])와 [B-] / ([HB] + [B-]) )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⑴ 문제
⑵ 풀이 : ①
○ ㄱ : 산 해리도가 0.50일 때 pH가 곧 pKa이므로 HA의 Ka = 10-8, HB의 Ka = 10-9
○ ㄴ : HB의 Kb = 10-14 / 10-9 = 10-5이므로 [OH-] = x, x2 / (0.10 - x) = 10-5으로부터 x = [OH-] = 10-3, [H+] = 10-11, pH = 11을 얻을 수 있음
○ ㄷ : pH = 10 = pKa + log ([B-] / [HB]) = 9 + log ([B-] / [HB])로부터 [B-] : [HB] = 10 : 1이므로 a = 10 / 11
11. 표는 핵종 ㈎ ~ ㈑의 양성자 수와 중성자 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⑴ 문제
⑵ 풀이 : ⑤
○ 핵화학
① ㈎와 ㈏는 원자번호(= 양성자 수)가 다르므로 동위원소 관계가 아님
② 질량수 = 양성자 수 + 중성자 수이므로 ㈎와 ㈑의 질량수는 다름
③ 베타 붕괴는 중성자 수가 1 감소하고, 양성자 수가 1 증가하는 반응
④ 양전자 방출은 중성자 수가 1 증가하고, 양성자 수가 1 감소하는 반응
⑤ 알파 붕괴는 헬륨 원자핵(중성자 2개, 양성자 2개)이 방출되는 반응
12. 그림은 AgCl로 포화된 수용액 100 mL에 3.0 M NH3 수용액을 가했을 때, 넣어 준 NH3 수용액의 부피에 대해서 생성된 Ag(NH3)2+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는 수용액에서 Ag+과 관련된 평형 반응식과 평형 상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모든 과정에서 용액은 AgCl(s)과 평형을 유지한다.)
⑴ 문제
⑵ 풀이 : ①
○ B의 경우 : 전체 부피 150 mL. NH3는 1.0 M이 됨.
○ ㄱ : 맞는 설명
○ ㄴ : 계산 과정
Eq 1. [Ag(NH3)2+] / ([Ag(NH3)+] × [NH3]) = 8.1 × 103
Eq 2. [Ag(NH3)+] / ([Ag+] × [NH3]) = 2.1 × 103
Eq 3. [Ag+][Cl-] = 1.8 × 10-10
Eq 4. [Ag(NH3)2+] + [Ag(NH3)+] + [Ag+] = [Cl-]
이때, [NH3]는 B에서 1.0 M, C에서 1.5 M이므로 위 식에서 [Ag(NH3)2+], [Ag(NH3)+], [Ag+], [Cl-]는 유일하게 결정됨
NH3 수용액을 더 많이 첨가할수록 직관적으로 [Ag(NH3)2+], [Ag(NH3)+]가 많아지므로 [Ag+]는 줄어듦
○ ㄷ : 만약, [Cl-] = 0.15 M이라면,
[NH3] = 1.5 M
[Ag+] = 1.2 × 10-9 M
[Ag(NH3)+] = (1.2 × 10-9) × 1.5 × (2.1 × 103) = 3.78 × 10-6 M
[Ag(NH3)2+] = (3.78 × 10-6) × 1.5 × (8.1 × 103) = 0.045927 M
이 경우 Eq 4가 성립하지 않으므로 [Cl-] = 0.15 M이 아님
13. 다음은 납축전지에서의 환원 반쪽 반응식과 25 ℃에서의 표준 환원 전위(E°)이다.
PbO2 (s) + HSO4- (aq) + 3H+ (aq) + 2e- ⇄ PbSO4 (s) + 2H2O (ℓ), E° = 1.63 V
PbSO4 (s) + H+ (aq) + 2e- ⇄ Pb (s) + HSO4- (aq), E° = -0.30 V
그림은 완전히 충전된 납축전지 ㈎를 이용해서 방전된 납축전지 ㈏를 충전할 때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각 전극 단자의 부호는 납축전지에 표시되어 있는 전극 부호를 나타낸다. 스위치 S를 닫아 충전을 시작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두 축전지의 용량 및 규격은 같다.)
⑴ 문제
⑵ 풀이 : ④
○ 전기화학
① 전극 B의 음전하는 점점 줄어듦으로 산화 반응을 통해 전자를 도선으로 흘려야 함
② 전극 D는 양전하가 점점 증가하므로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PbO2 (s)가 생성됨
③ 갈바니 전지는 전해 전지와 달리 자발적 반응이므로 ΔG < 0
④ 전해 전지이므로 반응이 중간에서 멈추지 않고, 끝까지 도달함. 그러므로 반응식은 PbO2 (s) ⇄ Pb (s)과 같아서 알짜 HSO4- 변화량이 없으므로 황산 용액의 비중은 변하지 않음
⑤ 맞는 설명
14. CO2의 제거에 작용하는 탄산 무수화 효소의 활성화 자리를 모방한 모델 착물인 [L3CoOH2]2+에 의한 CO2 제거 반응의 메커니즘에서 중요한 두 반응 단계는 다음과 같다. L은 중성 한자리 리간드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⑴ 문제
⑵ 풀이 : ②
○ 착물화학
○ ㄱ : 사면체 구조는 dxy = dyz = dxz > dz2 = dx2-y2와 같은 d 오비탈 구조를 가지고, Co+는 6개의 d 오비탈 전자를 가지므로 2개의 홀전자를 가짐 (상자기성). 만약 팔면체 구조였다면 홀전자인 d 오비탈 전자가 없어서 반자기성이 됨
○ ㄴ : pH 7에서, [[L3CoOH]+] [H+] / [[L3CoOH2]2+] = 1.0 × 10-8 ⇔ [[L3CoOH]+] : [[L3CoOH2]2+] = 1 : 10
○ ㄷ : 전자쌍을 제공하므로 루이스 염기
15. 화학적 산소 요구량은 산소(O2)가 오염 물질을 산화시킨 후 O2-으로 환원되는 데 필요한 산소의 양을 화학적 산화제로부터 산출한 값이다. 산성 조건에서 MnO4-은 오염 물질을 산화시켜 Mn2+으로 환원되며 이때 소모된 MnO4-의 양을 측정하면 동일한 양의 오염 물질에 대한 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계산할 수 있다. 표는 몇 가지 망간 화합물의 환원 반쪽 반응식과 25 ℃에서의 표준 환원 전위(E°)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⑴ 문제
⑵ 풀이 : ③
○ ㄱ : 맞는 설명. 산화수
○ ㄴ : Latimer diagram. ㈎ = (3 × 1.70 + 2 × 1.23) / 5 = 1.512 V
○ ㄷ : 0.20 mol의 MnO4-는 1.00 mol의 환원 전자와 대응되고, 0.25 mol O2는 0.50 mol O2-이 되어 1.00 mol의 환원 전자와 대응되므로 주어진 설명은 맞는 설명
16. 다음은 과산화이황산 이온(S2O82-)과 아이오딘화 이온(I-) 사이의 반응 속도식을 결정하는 실험이다. 위의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온도는 20 ℃로 유지하였다.) 위의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온도는 20 ℃로 유지하였다.)
⑴ 문제
⑵ 풀이 : ⑤
① 용액 1이 20 mL, 용액 2가 20 mL, Na2S2O3 수용액이 10 mL이므로 0.0050 M Na2S2O3의 농도가 5배 묽어지므로 과정 ㈐에서 S2O32-의 초기 농도는 0.0010 M이 됨
② 반응한 S2O82- (aq) 몰수 = 생성된 I2 (aq) 몰수 = 소진된 S2O32- (aq)의 몰수 / 2
③ 과정 ㈐에서 S2O82-의 초기 농도가 중요한 게 아니고, 결국 청색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S2O32-와 모두 반응할 수 있도록 0.0010 / 2 M의 I2가 생성되는 게 중요함. 실험 1에서 그만큼 생성되는데 50 s가 걸렸으므로, 평균 반응 속도 = 0.0010 / 2 / 50 = 10-5 M/s
④ 실험 1과 실험 2를 비교하면 반응속도는 [I-]에 1차 비례하고, 실험 1과 실험 3을 비교하면 반응속도는 [S2O82-]에 2차 비례
⑤ 기존보다 두 배 더 많은 Na2S2O3를 사용하면 청색 반응이 나타나기 위해 더 많은 I2를 생성해야 하므로 시간이 2배 더 길어짐
입력: 2024.12.19 11:50
'▶ 자연과학 > ▷ MEET∙DEET∙PEET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 2014 MEET/DEET 화학 (2) | 2024.11.18 |
---|---|
【유기화학】 2011 PEET 유기화학 (2) | 2024.11.09 |
【유기화학】 2012 PEET 유기화학 (5) | 2024.11.08 |
【유기화학】 2013 PEET 유기화학 (0) | 2024.10.11 |
【화학】 2025 MEET/DEET 화학 (19) | 2024.08.1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