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지구과학】 12강. 기상학

 

12강. 기상학

 

추천글 : 【지구과학】 지구과학 목차


1. 기권의 구성 [본문]

2. 수증기로 인한 현상 [본문]

3. 대기 운동 [본문]

4. 일기예보 [본문]

5. 기후 [본문]


 

1. 기권의 구성 [목차]

⑴ 대기의 성분

① 주거의 난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방출은 동력 설비로 인한 이산화탄소 방출의 1/5에 해당

② 대기 중 70-80%의 산소가 수중식물에서 생성

⑵ 대기의 진화

① 질소 : 반응성이 낮아 지구 전 연령에 걸쳐 그 양이 일정했음

② 이산화탄소 : 초기에는 질소보다 많았으나 탄산칼슘을 형성하거나 물에 녹아 양이 점점 줄어듦

③ 산소 : 광합성 생물의 등장으로 점점 증가. 21억 년 전 산소혁명이 일어남

⑶ 기권의 구조

① 대류권

② 성층권

③ 전리층

⑶ 음파의 이상전파

 

 

2. 수증기로 인한 현상 [목차]

⑴ 물의 세 가지 상태

① 잠열(숨은 열) : 물질의 상태변화가 일어날 때 출입하는 열, 온도변화가 없음

② 증발 : 물 → 수증기, 잠열을 흡수

③ 액화 : 수증기 → 물, 잠열을 방출

④ 융해 : 얼음 → 물, 잠열을 흡수

⑤ 응고 : 물 → 얼음, 잠열을 방출

⑥ 물의 순환 : 지구상의 물은 상태변화를 거치면서 지표와 대기 사이를 순환

기온 

⑶ 습도

① 응결 : 수증기의 양은 한계가 있어서, 그 이상이 되면 물방울을 만드는 것

② 응결핵과 승화핵

○ 응결핵 : 흡습성 물질 등

○ 빙정핵 : 화산재, 그을음 등

○ 응결핵, 빙정핵이 없으면 포화가 되어도 응결이 일어나지 않아 과포화 상태를 이름

③ 응결의 원인(냉각의 원인)

○ 접촉냉각 : 공기가 한 지면이나 찬 수면에 접촉할 때 일어나는 냉각

○ 혼합냉각 :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와 섞여 일어나는 냉각

○ 복사냉각 : 야간 대기복사에 의한 냉각

○ 단열냉각 : 공기가 상승할 때 단열팽창에 의한 냉각

○ 단열냉각의 경우에 냉각효과가 가장 큼

④ 수증기압

○ 수증기압 : 대기압 중 수증기만의 압력, 수증기량에 비례

○ 포화수증기압 : 대기 중 수증기가 포화된 상태의 수증기압, 온도에 비례

⑤ 상대습도 : 현 온도에서 대기 중 수증기의 포화정도를 나타내는 양 (단위 : %)

○ 기온과 이슬점의 차이가 클수록 상대습도는 낮음

○ 기온과 이슬점이 같으면 상대습도는 100%

○ 상대습도 = 현재수증기압 ÷ 포화수증기압 × 100 (%)

⑥ 절대습도 : 자연공기(습윤공기) 1 ㎥ 속에 포함된 수증기량을 g 수로 나타낸 것

⑦ 이슬점 온도 : 수증기량이 변하지 않고 공기가 냉각되어 응결이 시작되는 온도

○ 상대습도가 100%인 온도

○ 현재 수증기압은 이슬점에서의 포화 수증기압과 같음

○ 수증기압이 같은 공기의 이슬점 온도는 같음

⑧ 습도계

○ 모발습도계

○ 건습구습도계

○ 단열포화온도(adiabatic saturation temperature)

 

Figure. 1. 단열포화온도

 

○ 습구온도(wet-bulb temperature)

Figure. 2. 습구온도

 

 단열변화, 단열감률

① 단열변화 :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공기 덩어리가 오직 부피 변화에 의해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현상

○ 단열팽창(adiabatic expansion)

○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주위 기압이 낮아지므로 부피가 팽창

○ 이때 외부 공기에 대하여 일을 하므로 공기 덩어리의 온도가 내려감

○ 단열압축(adiabatic compression)

○ 공기 덩어리가 하강하면 주위 기압이 높아지므로 부피가 압축

○ 이때 외부 공기로부터 일을 받아 공기 덩어리의 온도가 올라감

② 단열감률 : 공기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단열 변화를 일으킬 때의 온도 변화율

○ 건조 단열감률 : 불포화된 공기가 상승할 때의 온도 변화

○ 1 ℃ / 100 m

○ 습윤 단열감률 : 포화된 공기가 상승할 때의 온도 변화

○ 강우 현상과 함께 수증기가 응결열을 방출하므로 건조 단열감률보다 작음

○ 0.5 ℃ / 100 m

○ 이슬점 감률 : 불포화된 공기가 상승할 때의 이슬점 변화

○ 불포화공기 : 0.2 ℃ / 100 m

○ 포화공기 : 0.5 ℃ / 100 m

○ (참고) 빙정은 0 ℃부터 생성됨

○ 예제

출처 : 변리사 자연과학 2016

Figure. 3. 단열감률 예제]

 

○ 상승 시 800 m에서의 온도 : 30 - 1 × 8 = 22 ℃

○ 상승 시 2,000 m에서의 온도 : 22 - 0.5 × 12 = 16 ℃

○ 하강 시 B 지점에서의 온도 : 16 + 1 × 20 = 36 ℃

⑸ 구름

① 구름의 발생

○ 구름 : 공기 중의 수증기가 단열 냉각되어 물방울이나 빙정이 하늘에 떠 있는 것

○ 구름의 생성 : 공기의 상승 → 부피의 팽창 → 단열 냉각 → 구름 생성

빙정의 성장 : 빙정보다 과냉각 물방울에 대한 포화수증기압이 커 수증기가 빙정에 달라붙음

○ 0 ℃ 이하에서 과냉각 물방울과 빙정이 공존함 

○ 구름 속 공기는 과냉각 물방울에 대해서 불포화생태

○ 구름 속 공기는 빙정에 대해서 과포화상태 

② 상승 응결 고도

○ 불포화 상태의 공기 덩어리가 상승할 때 

○ 공기 덩어리의 온도 변화 ; 건조 단열 감률에 의해 1 ℃ / 100 m씩, 이슬점은 0.2 ℃ / 100 m 씩 감소

○ 기온선의 변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생각할 것

○ 공기 덩어리가 상승할수록 기온과 이슬저믜 차이가 줄어들가가 같아지는 고도, 즉 상승 응결 고도에서는 공기의 상대 습도가 100%가 되어 구름이 생성됨

○ 상승 응결 고도 (m) = 125 × (지상 기온 - 이슬점)

③ 구름의 모양에 따른 분류

○ 적운형 구름 : 대기가 불안정한 경우

○ 밑면이 편평하고 정상부는 둥글게 부푼 모양

○ 상승하는 공기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발달 : 상승기류이므로 대기안정도는 불안정 

○ 소나기성 비가 내림

○ 층운형 구름 : 대기가 안정한 경우

○ 수평방향으로 넓게 퍼진 구름

○ 지속적이고 약한 비가 내림

④ 구름의 높이에 따른 분류

○ 상층운 : 고도 6 ~ 13 km

○ 권운

○ 권적운

○ 권층운 : 주로 빙정이 해무리와 달무리를 만듦

○ 중층운 : 고도 2 ~ 6 km

○ 고적운

○ 고층운

○ 하층운 : 지표 ~ 고도 2 km

○ 층적운

○ 층운

○ 난층운

○ 연직 발달 구름 : 높이와 상관없이 연직으로 발달, 적운, 적란운

⑹ 비, 눈

① 강수의 유형

○ 대류성 강수 : 대류에 의한 공기 상승이 원인

○ 지형성 강수 : 지형에 의한 공기 상승이 원인

○ 저기압성 강수 : 저기압 중심에서의 공기 상승이 원인

○ 전선성 강수 : 전선면에서의 공기 상승이 원인

② 뇌우 : 적운단계, 성숙단계, 소멸단계가 있음

○ 적운단계 : 상승기류만 발달하기 때문에 구름이 크고 두꺼움

○ 성숙단계 : 천둥, 번개가 잘 발생하는 단계. 강한 상승기류와 하강기류가 공존

○ 소멸단계 

⑺ 안개

종류 1. 수증기 공급에 의한 안개

 증발안개

전선안개

종류 2. 냉각에 의한 안개

 복사안개

이류안개

활승안개

⑻ 스모그(smog) : 연기(smoke) + 안개(fog)

① 런던형 스모그

○ 황 산화물에 의해 발생

② LA형 스모그

○ 질소 산화물에 의해 발생

○ 지표 부근에서 오존이 생성됨

○ 자외선이 강한 맑은 날에 발생할 수 있음 

 

 

3. 대기의 운동 [목차]

⑴ 기압의 측정

⑵ 바람의 측정

① 풍속 : 풍속은 보통 로빈송풍속계나 다인즈 풍압계를 써서 관측

② 풍배도

⑶ 열의 복사운동

① 태양복사

② 지구대기에 의한 태양복사의 감쇠

③ 지구반사율

⑷ 대기안정도(atmospheric stability) 

 

출처 : 2019년 7월 고3 이투스 전국연합모의고사 지구과학 II

Figure. 4. 대기안정도]

 

① 단열감률 :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서 단열작용에 의해 온도가 하강하는 정도

○ 단열감률선 : 단열감률을 적용하여 얻은 고도에 따른 기온

② 기온감률 : 외부 요인에 의해 온도가 하강하는 정도

○ 기온변화선 : 기온감률을 적용하여 얻은 고도에 따른 기온

③ 안정 : 단열감률 > 기온감률

○ 지상 ~ 특정 고도 : 단열감률선 > 기온변화선

○ 특정 고도 ~ : 단열감률선 < 기온변화선

○ 지상 ~ 특정 고도 : 공기 덩어리 상승

○ 특정 고도 ~ : 공기 덩어리 하강

○ 현상 : 상승 또는 하강한 공기는 원래 위치(특정 고도)로 복귀

○ 미세먼지나 안개가 심할 때 대기가 안정하면 피해 증가 

④ 불안정 : 단열감률 < 기온감률

○ 지상 ~ 특정 고도 : 단열감률선 < 기온변화선

○ 특정 고도 ~ : 단열감률선 > 기온변화선

○ 지상 ~ 특정 고도 : 공기 덩어리 하강

○ 특정 고도 ~ : 공기 덩어리 상승

○ 특정 고도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공기 덩어리가 급격히 이동

⑤ 중립 : 단열감률 = 기온감률

○ 전 고도에 걸쳐 단열감률선 < 기온변화선인 경우 : 공기 덩어리가 완만히 하강

○ 전 고도에 걸쳐 단열감률선 > 기온변화선인 경우 : 공기 덩어리가 완만히 상승

⑥ 조건부 불안정 : 건조 단열감률 > 기온감률  > 습윤 단열감률

○ 불포화공기 : 안정

○ 포화공기 : 불안정

푄 현상(Foehn, Föhn) : 녹새풍, 높새바람이라고도 함

○ 지점 1. 지표면 ~ 최초 응결 지점 : 건조 단열 변화. 상대 습도 증가. 절대 습도 감소

○ 지점 2. 최초 응결 지점 ~ 산 정상 : 습윤 단열 변화. 상대 습도 일정. 절대 습도 감소

○ 지점 3. 산 정상 ~ 산 너머 지표면 : 고온 건조. 건조 단열 변화. 상대 습도 감소. 절대 습도 증가

○ 단열감률 예제 (Figure. 3.) 참고  

⑧ 상공 역전층

○ 역전층 : 고도가 증가할수록 기온이 증가하는 대기 구간

종류 1. 상공 역전층 : 안개 등으로 인해 지표상에 형성된 역전층

○ 날씨가 맑고 바람이 약한 날 밤에 지표면의 활발한 복사냉각으로 발생

○ 구름이 많으면 복사냉각이 잘 안 일어나 역전층이 생기기 어려움

경우 1. 단열감률선이 항상 기온변화선보다 낮은 경우 : 공기 덩어리가 모두 지표로 하강

경우 2. 단열감률선이 기온변화선보다 높았다가 낮아지는 경우 : 매우 안정하여 공기가 단열감률선과 기온변화선의 교점으로 이동

종류 2. 이류 역전층 : 차가운 공기 위로 따뜻한 공기가 지나갈 때 

종류 3. 침강 역전층 : 상공에 고기압이 있을 때 침강하는 공기의 단열압축으로 생기는 역전층

종류 4. 전선 역전층 

⑸ 바람을 일으키는 힘 

기압경도력

② 전향력

③ 원심력

④ 마찰력 : 1 km 이하에서만 나타남

⑹ 기압경도에 따르는 바람

① 지균풍(geostrophic wind)

○ 기압경도력과 전향력이 평형을 이루는 바람

1 km 이상에서 등압선이 직선일 때 부는 바람 : 마찰력과 원심력이 없으므로

○ 저위도일수록 풍속이 빠름 : (1/ρ) × ΔP/ΔH = 2vΩ sin φ 

② 경도풍(gradient wind)

○ 기압경도력, 전향력,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는 바람

○ 1 km 이상에서 등압선이 곡선일 때 부는 바람

○ 고기압성 경도풍 

○ 풍향 : 시계방향

○ 코리올리힘 - 기압경도력 = 구심력

○ 코리올리힘 = 기압경도력 + 구심력이므로 지균풍보다 풍속이 빠름

저기압성 경도풍

○ 풍향 : 시계 반대방향

○ 기압경도력 - 코리올리힘 = 구심력

○ 코리올리힘 = 기압경도력 - 구심력이므로 지균풍보다 풍속이 느림 

지상풍

○ 기압 경도력, 전향력, 마찰력이 관여함 : 원심력은 관여할 수 있도 안 할 수도 있음 

○ 풍향 : 기압경도력 방향의 오른쪽 위쪽으로 비스듬한 방향

○ 경각 : 등압선과 지상풍이 이루는 각. 마찰력이 클수록 고도가 낮을수록 큼

○ 고기압성 지균풍 : 시계 방향으로 발산. 하강기류

○ 저기압성 지균풍 : 시계 반대방향으로 수렴. 상승기류

⑺ 대기의 순환운동에 따른 바람

① 대기 순환규모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5. 공간 규모와 시간 규모에 따른 대기 순환운동]

 

○ 공간규모가 클수록 시간규모도 큼

○ 규모가 클수록 연직규모 / 수평규모가 작아짐

② 대기대순환 : 위도별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일어남

출처 : 변리사 자연과학 2013

Figure. 6. 대기대순환]

A : 해들리 순환(Hadley cell), B : 페렐 순환(Ferrell cell), 나머지 : 극세포 순환

 

출처 : 2019년 7월 고3 이투스 전국연합모의고사 지구과학 I

Figure. 7. 대기 대순환에 의해 지표 부근에서 부는 바람의 속도]

 

○ 적도무풍대 (0°)

○ 무역풍 (0° ~ 30°) : 동풍

○ 중위도 고기압대 (30°)

○ 편서풍 (30° ~ 60°) : 서풍

○ 고위도 저기압대 (60°)

○ 주극풍 (60° ~ 90°) : 동풍

③ 해륙풍

④ 계절풍

○ 계절풍이 생기는 원인은 해륙풍이 발생하는 원인과 같음 

○ 계절풍은 전향력의 영향을 받지 않음 

○ 겨울철의 풍속이 여름철보다 빠름

⑤ 산풍, 곡풍

○ 산측풍

○ 평형풍

○ 정상산곡풍

편서풍 파동

원인 : 위도별 기온차, 전향력

○ 역할 : 위도별 에너지 불균형 해소, 온대 저기압과 이동성 고기압의 발생

○ 중위도와 북극 사이에는 강한 편서풍이 불고 있음 : 지구의 회전으로 인해 생성된 난류 파동

 

출처 : 이민경, 객관식 지구과학, 한빛지적소유권센터, 2019

Figure. 8. 편서풍 파동]

 

○ 그림 해석

○ 오른쪽, 아래쪽, 왼쪽, 위쪽이 각각 동, 서, 남, 북에 해당

○ 북쪽으로 솟은 부분을 기압마루, 남쪽으로 솟은 부분을 기압골이라고 함 

○ A : 기압마루에 해당. 속력이 빠름 ( 고기압성 경도풍)

○ B : A에서 갑작스럽게 빨라진 풍속으로 B에서 하강기류가 유도돼 지상이 고기압이 됨 (이동성고기압) 

○ C : 기압골에 해당. 속력이 느림 (∵ 저기압성 경도풍)

○ D : C에서 속력이 느려 D에서 상승기류가 유도돼 지상이 저기압이 됨. (온대저기압) 태풍이 발달하기도 함

○ 제트류(jet stream) : 중위도 상층 편서풍에서 속도가 가장 빠른 중심부. 대류권 계면에 위치

종류 1. 아열대 제트류 : 위도 30도에 분포하는 제트류

종류 2. 한대 전선 제트류 : 위도 60도 분포하는 제트류. 아열대 제트류보다 빠름

○ 중위도와 북극 사이의 기압차, 온도차가 강할수록 제트류는 강해지고 남북으로 커짐

○ 제트류의 풍속은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빠름 : 위도별 기온차가 겨울이 더 크기 때문

○ 겨울철에는 제트류가 남하하고, 여름철에는 제트류가 북상함

제트류가 약해지는 경우 북극 찬 공기가 중위도로 쉽게 내려와 중위도에 한파나 폭설이 자주 발생함

⑦ 편동풍 파동 

 팁. 편서풍 파동을 x축 반전시킨 것으로 이해하면 됨 

파동이 북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기압골 

 상층 기압골의 동쪽의 지상부분에 저기압이 발달함 
 

 

4. 일기예보 [목차]

⑴ 일기예보의 필요성

⑵ 기단의 발생

⑶ 기단의 변질

⑷ 기단의 분류

① 북극기단(Arcticair mass, A)

② 대륙성극기단(polar continental air mass, Pc)

③ 해양성극기단(polar maritime air mass, Pm)

④ 대륙성열대기단(tropical continental air mass, Tc)

⑤ 해양성열대기단(tropical maritime air mass, Tm)

⑥ 적도기단(equatorial air mass, E)

⑦ 계절풍기단(monsoon air mass, M)

⑧ 상층기단(superior air mass, S)

⑸ 우리나라 부근의 기단

시베리아 기단

 발원지 : 시베리아 대륙

주로 동계, 봄·가을에도 볼 수 있음

② 오호츠크해 기단

 발원지 : 오호츠크해

봄·가을에도 볼 수 있음

초여름에 우리나라 영서지방에 고온 건조한 바람을 불게 함 

③ 북태평양 기단 

발원지 : 남방해상

주로 여름에 볼 수 있음. 봄·가을에도 볼 수 있음

④ 양쯔강 기단

발원지 : 중국대륙

봄·가을

⑤ 적도 기단

⑹ 불연속선의 형태

① 저기압

② 부저기압

③ 고기압

④ V자형의 저기압

⑤ 안상저압부

⑥ 설상고압부

⑦ 직선상 등압선

⑺ 전선

 Margules의 공식

 온난전선 : 북반구 기준으로 설명

온난전선이 통과하면서 풍향은 시계방향으로 변함

 구름이 나타나는 순서 : 권층운 → 고층운 → 난층운

③ 한냉전선

④ 정체전선

⑻ 온대성 저기압과 열대성 저기압

온대성 저기압

기압이 가장 낮은 곳은 저기압의 중심 : (참고) 열대성 저기압도 동일함 

② 열대성 저기압

태풍의 명칭 : 윌리윌리, 사이클론, 타이푼, 허리케인

○ 태풍의 구조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9. 태풍의 위험반원과 안전반원

 

○ 태풍의 눈 : 하강기류로 날씨가 맑음

○ 풍속은 태풍 중심에 가까울수록 빨라지다가 태풍의 눈에서 급격히 느려짐

○ 전향력 때문에 태풍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 

위험반원(dangerous semicircle) : 북반구에서 위험반원은 태풍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 ( 편서풍)

○ 안전반원(navigable semicircle) : 왼쪽에 위치

태풍은 전선을 동반하지 않음

 태풍의 발달

○ 태풍이 통과하는 동안 풍향은 시계방향으로 변함 

○ 일반적으로 위도 30° 부근에서 방향이 전향됨 : 적도는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이 0이므로 태풍이 발생하지 않음

○ 수온이 27 ℃ 이상인 해상에서 발생함

○ 태풍은 전향 후 이동 속도가 빨라짐

○ 해수면의 온도가 높을수록 태풍이 발달함 

○ 사리 때 만조와 겹치면 태풍이 발달함 

태풍의 소멸 : 태풍이 육지에 상륙하면 수증기의 공급이 차단되어 세력이 약해짐 

○ 태풍의 관측 결과 해석

 

출처 : 2019년 7월 고3 이투스 전국연합모의고사 지구과학 I

Figure. 10. 북동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태풍을 관측한 결과]

 

 태풍의 중심이 가까워짐에 따라 기압은 낮아지고 풍속은 커짐 : (가)는 풍속에 해당

풍속 변화로 미루어볼 때 태풍의 중심은 관측소를 통과하지 않음

태풍이 다가옴에 따라 풍향이 북동풍 → 남동풍 → 남서풍으로 변함 

풍향이 시계방향으로 변하므로 이 관측소는 태풍 이동 경로의 오른쪽에 있음 

③ 온대성 저기압과 열대성 저기압의 비교

 

  온대저기압 열대저기압
발생 장소 한대 전선대 열대 해상
에너지원 공기의 위치에너지 수증기의 잠열
전선 동반 없음
이동경로 서에서 동 북서쪽으로 이동 후 북동쪽
등압선 모양 특정한 곳에서 꺾임 동심원 모양
없음 있음
풍속 약함 강함
풍향 급변 연속적
기압경도 작음
활동기 주로 겨울, 봄 주로 여름, 가을

 

Table. 1. 온대성 저기압과 열대성 저기압의 비교

 

⑼ 온난 고기압과 한랭 고기압 

① 온난 고기압 : 고형 고기압, 키 큰 고기압이라고도 함 

 

출처 : ⓒEncyber.com

Figure. 11. 온난 고기압

 

온난 고기압은 대기 대순환에 의해 상공으로부터 하강기류가 형성되어 발생함 

 온난 고기압은 중심부의 기온이 주변보다 높음 : 적도의 뜨거운 공기가 이동했으므로 

대표적인 온난 고기압으로 북태평양 고기압이 있음 

② 한랭 고기압 : 저형 고기압이라고도 함

 

출처 : ⓒEncyber.com

Figure. 12. 한랭 고기압

 

한랭 고기압은 찬 지표면에 의해 공기가 냉각되어 발생함

⑿ 천기도와 천기예보

⒀ 장기예보

 

 

5. 기후 [목차]

⑴ 기후인자와 기후요소 

① 위도

② 해발고도

③ 토질의 성질

④ 지형

⑤ 해륙의 분포

⑥ 해류

⑵ 기후대(W. Köppon 기후구)

① 열대 : 연중 월평균 기온으 20 ℃ 이상인 지역

② 아열대 : 1년 중 4-11개월 동안을 월평균 기온이 20 ℃ 이상인 지역

③ 온대 : 1년 중 4-12개월 동안을 월평균 기온이 10-20 ℃인 지역

④ 한대 : 1년 중 1-4개월 동안은 월평균 기온이 10-20 ℃이고, 그 외의 달의 평균 기온은 10 ℃ 이하의 지역

⑤ 극대 : 연중 월평균 기온이 10 ℃ 이하인 지역

⑥ W. Köppon 기후구 외에도 A. Supan 기후구, Miller 기후구, Trewartha 기후구, Thornswair 기후구가 있음

⑶ 기후의 분류

 열대우림 기후

② 사바나 기후

③ 대초원 기후

④ 사막기후

⑤ 온난동기과우기후

⑥ 온난하기과우기후

⑦ 온난습윤기후

⑧ 한냉동기과우기후

⑨ 한냉습윤기후

⑩ 툰드라 기후

⑪ 영구동결기후

⑷ 기후의 변화

① Brückner의 35년 주기

② 주기적 변화와 대칭점

③ 극빙과 기후

 

입력 : 2016.06.22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