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GitHub】 깃허브 사용하기

 

깃허브 사용하기

 

추천글 : 【컴퓨터과학】 컴퓨터과학 목차 


1. 깃허브 주요 명령어 [본문]

2. 깃허브 웹사이트 [본문]


a. 파이썬 프로젝트 만들기: app.py


 

1. 깃허브 주요 명령어 [목차]

⑴ git pull 등 

① git pull origin [branch] : 파일을 깃허브 저장소에서 가져오기 

② git fetch : git pull과 유사

③ git clone [GitHub_DIR] : GitHub에 있는 특정 디렉토리의 코드를 전부 긁어 옴

⑵ git push 등

① git status : 어떤 파일이 수정됐는지 알 수 있음

② git branch : branch 목록 보기. * 표시가 있는 게 활성화 된 branch

③ git branch -r : 원격 저장소의 branch 확인

④ git branch -v : branch의 마지막 commit 메시지 확인

⑤ git branch [NAME] : branch 생성하기

⑥ git checkout [NEW_BRANCH] : 다른 branch로 switch

⑦ git commit [FILE] : 특정 파일을 commit 

○ git commit -m "message" 

⑧ git config --global user.name [ID] : 로컬 컴퓨터의 깃에 ID 등록

⑨ git config --global user.password [PW] : 로컬 컴퓨터의 깃에 PW 등록

⑩ git filter-branch -f --index-filter 'git rm --cached --ignore-unmatch [FILE]' : 특정 파일의 캐쉬 삭제 

⑪ git push origin [NAME] : branch를 github에 push

⑶ 기타

① Ruby 개발 환경 설치

 

sudo apt-get install ruby-dev
sudo gem install jekyll bundler

 

 

2. 깃허브 웹사이트 [목차]

⑴ ⚙️ Settings에서 깃허브 리포지토리 이름을 {UserID}.github.io와 같이 짓고, 공개 설정을 public 으로 지정해야 함

 

 

⑵ Jekyll 템플릿을 권장하고, HTML/CSS/JavaScript 등 구체적인 코드 수정은 ChatGPT가 정말 잘 함

⑶ 깃허브 웹사이트 수정은 1-3분 정도 소요되며 Build가 끝나지 않고 다음 수정을 하면 이전 수정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음

 

 

⑷ 🔍 Type to search bar 에서 키워드를 검색하고 들어가면 branch가 이상하게 바뀌어 있는 오류가 있음. 이를 main으로 바꿔야 수정 가능

 

 

⑸ 최대 업로드 가능한 파일 용량은 25 MB이며 최대 업로드 가능한 파일 개수는 약 100개 정도

⑹ Jupyter notebook을 업로드하면 그 내용을 볼 수 있게 자동 변환 : Jupyter notebook이 HTML 기반이기 때문

⑺ Markdown과 HTML 모두 지원함 : 문서에 글을 쓸 때 이미지를 drag and drop 하면 자동으로 반영되며 그 이미지는 hidden file로 처리됨

⑻ 대부분의 CS 학생들은 깃허브 웹사이트가 있으므로 꼭 만드는 걸 권장함

⑼ 필자가 만든 깃허브 웹사이트 : 정빈이의 공부방 영문 버전, 출판사 이즈그리민

깃허브 웹사이트 트러블슈팅 

 

입력: 2023.04.21 13:24

수정: 2025.01.22 2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