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한국사】 한국 경제사 종합

 

한국 경제사 종합

 

추천글 : 【한국사】 한국사 목차, 【경제사】 경제사 목차 


1. 조세 [본문]

2. 농업 [본문]

3. 상업 [본문]

4. 수공업 [본문]

5. 광업 [본문]


 

1. 조세 [목차]

⑴ 개요 : 수취제도 = 조세 (토지서), 공납 (특산물), 역 (노동력)

⑵ 통일 신라 

민정문서

작성 목적 : 조세 수취 목적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호적(인)과 양안(토지)으로 분화됨

일본에서 서원경(청주)에 대한 자료가 발견됨

촌주가 3년에 한 번씩 작성

② 조세제도

○ 녹읍 : 노동력을 수취함

관료전 실시 및 녹읍 폐지 (신문왕) : 관료전은 노동력을 수취하지 않음 

○ 정전 (성덕왕) : 농민들이 상속받은 토지의 소유권을 국가가 확인

녹읍 부활 (경덕왕)

⑶ 고려

① 토지제도

○ 역분전 : 태조 왕건 때 건국 논공행상에 따라 토지 분배

○ 시종 전시과 (경종) : 전·현직. 인품에 따라 토지 분배

○ 개정 전시과 (목종) : 전·현직. 인품 제도는 폐지 ( 토지 부족)

○ 경정 전시과 (문종) : 현직 ( 토지 부족)

② 수취제도

○ 조세(토지)를 위해 양안을 만듦

○ 역을 위해 호적을 만듦

구휼제도

○ 흑창 (태조) : 춘대추납. 성종 때 의창이 됨

○ 제위보

○ 기구 : 동·서대비원, 혜민국, 구제도감, 구급도감

⑷ 조선 

조세 (토지)

개요 : 과전법 공법 → 직전법 → 직전법 폐지 → 양난 → 영정법

○ 과전법 (공양왕)

○ 1결 30두

○ 전·현직 관리 모두에게 토지의 수조권 지급

○ 원칙적으로 세습 불가 : 단, 예외적으로 수신전, 휼양전 세습 가능

공법 (세종)

 전분 6등법 : 비옥도

 연분 9등법 : 풍흉 → 1결 4두 ~ 20두

직전법 (세조)

현직 관리에게만 토지의 수조권 지급

○ 수신전, 휼양전 폐지

○ 직전법 폐지 (명종)

관리에게 녹봉을 전면적으로 지급

○ 수조권 폐지

○ 영정법 (인조)

○ 1결 4두 ~ 6두 : 최저 세율 (관행)

전세화 금납화 : 조세를 화폐나 쌀로 통일하는 것. 양난을 거쳐 두드러짐

공납 

개요 : 특산물 → 방납폐단 → 임꺽정의 난 (명종) → 양난 → 대동법

○ 대동법

○ 1결 12두

○ 광해군, 이원익, 김육 (경기에서 전국으로 확산되는 데 기여)

○ 선혜청 : 상품화폐경제 발달에 기여

③ 역 

개요 : 노동력 (군역 → 요역) → 대립, 방군수포 → 임꺽정의 난 (명종) → 양난 → 균역법

○ 균역법 (영조) : 1년 1필

○ 어·염·선박세

○ 선무군관포

○ 결작 (1결 12두)

④ 구휼제도

○ 의창 (춘대추납)

○ 상평창

○ 「구황촬요」

 

 

2. 농업 [목차]

⑴ 고려

후기

 논 : 이앙법 (남부 일부 시행), 〈농상집요〉 (이암이 원나라로부터 수입한 문서)

  : 윤작법 (2년 3작), 목화 (문익점이 원나라로부터 수입)

⑵ 조선

 논 : 직파법, 남부 일부 이앙법 → 양난 → 이앙법의 전국적 확산, 이모작, 광작 (생산력 증대)

 밭 : 2년 3작 → 양난 → 상품작물 (담배, 인삼, 면화 등)

 지대 : 타조법 (1/2, 병작반수) → 양난 → 도조법 (계약)

○ 농서 : 〈농사직설〉, 〈금양잡록〉 (성종, 강희맹) → 양난 → 〈농가집성〉, 〈색경〉, 〈임원경제지〉

○ 〈농가집성〉 : 신속, 모내기법 (이앙법) 

○ 〈색경〉 : 사문난적으로 비판받은 박세당이 집필. 상품작물 

○ 〈임원경제지〉 : 서유구, 백과사전 

 

 

3. 상업 [목차]

⑴ 위만 조선

① 본격적인 철기 무역 + 중계 무역

⑵ 고구려

① 일본과의 교류

○ 수산리 고분 벽화 → 다카마쓰 고분 벽화

○ 담징 (금당 벽화)

○ 혜자 (쇼토쿠 태자 스승)

② 서역과의 교류

○ 우즈베키스탄 아프라시아브 궁전 벽화

○ 각저총

⑶ 백제

① 일본과의 교류

○ 아직기, 왕인이 일본에 문화를 전달

○ 백제 가람

⑷ 신라

중국과의 교류 : 신라는 진흥왕 때 한강 진출 후 당항성을 통해 중국과 직접 교역

② 일본과의 교류

○ 조선술

○ 축제술 → 한인의 연못

③ 서역과의 교류

○ 보검, 유리 (페르시아산)

⑸ 가야

① 금관가야는 덩이쇠를 낙랑, 왜에 수출 

② 일본과의 교류 : 스에키

⑹ 통일신라

① 신라방 : 신라에서 중국으로 넘어가 신라방을 형성하여 중국과 활발히 교역

 신라원 : 신라방의 관리 기구

○ 신라소 : 사찰 같은 개념

법화원 : 장보고가 당나라 산둥반도에 세운 신라인의 불교사찰

청해진 (완도) : 장보고가 해상권을 장악하고 중국·일본과 무역하던 곳

울산항 : 아라비아로부터 유리가 수입됨. 원성왕릉 무인상은 서역인의 모습을 하고 있음

⑤ 서역과의 교류 : 원성왕릉 (괘릉) 무인상

⑥ 동시전 : 시장 감독

⑺ 발해

① 발해관 : 중국 당나라에 있었단 발해 사신들이 머물던 장소

② 발해 15부 중 하나인 솔빈부에서는 명마가 많이 생산되어 수출됨

③ 거란도, 영주도 등을 통해 주변국과 교류

⑻ 고려

무역 : 벽란도 (국제 무역항 예성강 이규보 - 아라비아), 노걸대

화폐 : 활구 (은병), 건원중보 (성종, 철전), 해동통보 (숙종), 주전도감 등

결국 유통이 활발하지는 않음

암기팁 : 고려의 숙종은 해동통보, 조선의 숙종은 상평통보

관영상점 : 서적점, 다점, 시전. 경시서 (상행위 관리 감독), 상평창 (물가 조절 기구)

⑼ 조선

관해상인

시전상인 (육의전, 종로) → 양난 → 금난전권 → 신해통공 (정조 때 금난전권 금지)

보부상 (지방장시) → 양난 → 전국적 유통망 → 개화기에 혜상공국, 황국협회 형성

양난 → 대동법 공인 (광해군)

② 사상 : 양난 이후 형성

거상 : 개성송상 (→ 송방), 의주만상, 동래내상, 경강상인 등 

객주 (중계)

여각 (숙박)

난전 : 영세상인 

화폐

저화 (지폐. 사용 ↓) → 양난 → 상평통보 (숙종), 전황 (물가 ↓, 디플레이션)

 암기팁 : 고려의 숙종은 해동통보, 조선의 숙종은 상평통보

 

 

4. 수공업 [목차]

⑴ 고려

관영수공업, 소 수공업 → 민영수공업, 사원 수공업ㅇ

소에서 일하는 자들은 이사의 자유는 없으나 세금을 내고 양민이었음

⑵ 조선

관영 공장안 ↑ → 부역제 해이 → 양난 → 민영 독립수공업 ↑

 

 

5. 광업 [목차]

조선

 관영 → 부역제 해이 → 양난 → 민영 은광 ↑, 설점수세, 잠채, 덕대, 거상 노동자

○ 덕대 : 오늘날의 CEO 

 

입력: 2022.04.02 1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