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행정제도 종합
추천글 : 【한국사】 한국사 목차
※ 본문의 내용을 따로 발췌하여 종합하여 정리함
1. 고구려 [목차]
⑴ 제가회의 : 고구려의 최고회의. 제가회의는 고씨 성으로 구성
2. 백제 [목차]
⑴ 정사암 : 백제의 최고회의. 정사암은 부여씨와 8성으로 구성
3. 신라 [목차]
⑴ 중앙행정조직 : 화백회의, 상대등, 집사부 (시정)
① 화백회의 : 최고회의
○ 화백회의는 김씨 성으로 구성되며 만장일치로 진행
○ 신문왕 때 화백회의의 기능을 축소
② 상대등 : 상대등은 귀족 세력을 대표하는 관직. 신문왕 때 상대등의 기능 축소
③ 집사부 : 신문왕 때 집사부의 기능 강화
○ 시중 : 집사부의 장관
④ 화랑도 : 씨족 사회의 전통을 시사
○ 화랑 = 귀족
○ 랑도 = 귀족 + 일반. 일반인을 포함시켜 계급 갈등 완화를 꾀함
○ 진흥왕 때 화랑도를 국가 조직으로 개편
○ 신채호는 화랑도를 진취적이고 자주적인 불교 이전의 전통사상인 낭가의 일종으로 해석
⑵ 지방행정조직 : 9주 5소경 (신문왕부터 개편)
① 9주 : 전국을 9개의 주로 나눔
② 5소경 : 수도가 동쪽에 편재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작은 경주들을 전국에 설치
○ 중원경 (충주) : 고구려 비가 있는 장소
○ 서원경 (청주) : 민정문서, 직지심체요절이 있는 장소
⑶ 군사조직 : 9서당 10정
① 9서당 : 중앙군. 신라인과 옛 고구려·백제·말갈 유민 등을 포함하여 민족의 융합을 꾀함
② 10정 : 지방군
⑷ 골품제도 : 폐쇄적 삶의 모습을 규정
① 성골 : ~ 진덕 여왕
② 진골 : 태종 무열왕 (김춘추)가 진골 출신의 최초의 왕
③ 6두품 : 아찬까지 진급 가능
○ 설계두 : 삼국시대에 신라의 골품제에 불만을 품고 당나라에 투신하여 활동
○ 설총 : 신문왕 때 6두품 세력이 성장하여 원효의 아들인 설총은 〈화왕계〉를 신문왕에게 제출. 이두 정리
○ 최치원 : 빈공과에 장원으로 급제. 〈토황소격문〉, 〈계원필경〉 저술. 진성여왕에게 시무 10여 조를 발해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음
○ 암기팁 : 설총의 〈화왕계〉 (꽃의 왕)와 최치원의 〈계원필경〉 (계수나무 동산)은 식물과 관련 있음
④ 독서삼품과 : 과거제와 유사한 제도로 골품제도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시도됨
○ 통일신라 원성왕 때 도입하려고 하지만 제대로 되지 않음
4. 발해 [목차]
⑴ 중앙행정조직 : 3성 6부
① 3성 : 정당성 (대내상), 중대성, 선조성
○ 정당성은 대씨 성으로 구성
② 6부 : 충, 인, 의, 지, 예, 신
③ 중정대 : 감찰 기구
④ 주자감 : 교육기관
○ 암기팁 : 한자만 보면 손주와 아들(자)을 보살핀다는 의미
⑵ 지방행정조직 : 5경 15부 62조
5. 고려 [목차]
⑴ 중앙행정조직 : 2성 6부
① 중서문하성 : 당나라를 모방
○ 문하시중 : 오늘날 국무총리에 해당하는 자
○ 재신 : 2품 이상. 심의 담당
○ 낭사 : 3품 이상. 언론 담당
② 상서성 : 당나라를 모방
○ 6부 : 이, 병, 호, 형, 예, 공
③ 중추원 : 송나라를 모방
④ 어사대 : 감찰 기능. 송나라를 모방
⑤ 삼사 : 회계 기능. 언론 기능은 없음. 송나라를 모방
⑥ 재추 회의 : 고려 독자적인 체계
○ 구성 1. 도병마사 : 임시 → 상설 (∵ 전쟁 빈발). 원 간섭기에 도평의사사로 통합 격상되어 최고 권력기구가 됨
○ 구성 2. 식목도감
○ 문관 중심으로 구성됨 : 무관들은 전쟁을 수행하느라 바쁘기 때문
⑦ 대간(대성)
○ 낭사와 어사대를 통틀어 지칭
○ 서경, 간쟁, 봉박 등 언론 기능 담당
⑵ 지방행정조직 : 12목 → 5도 양계
① 5도
○ 안찰사 : 중앙으로부터 5도에 파견. 상설 아님
○ 수령 : 4도호부 8목에 파견. 주·군·현까지만 세력이 미침
○ 향리 : 향·부곡·소, 속군, 속현의 실질적 지배 세력
② 양계 : 북계, 동계
○ 병마사 : 중앙으로부터 양계에 파견
○ 북계 : 거란, 여진의 침입을 막음. 천리장성이 속해 있음
○ 동계 : 왜의 침입을 막음
⑶ 군사조직
① 중앙군 : 2군 6위
○ 2군 6위 : 군적 있음. 직업 군인. 군인전을 받음
② 지방군 : 주진군, 주현군
○ 주진군 : 군적 없음. 상비. 양계에 파견
○ 주현군 : 군적 없음. 예비. 5도에 파견
⑷ 신분제
① 권력층 : 호족 → 귀족 → 무신 → 권문세족
② 중류층 : 하급 관리, 잡류, 남반, 군반, 향리
③ 양민
○ 백정 (일반 농민) : 인구가 많음
○ 향 (농업), 부곡 (농업), 소 (수공업)
④ 천민
○ 노비가 많음 : 매매, 상속
○ 일천즉천 : 부모 중 한쪽이 천민이면 그 자식은 천민
⑤ 가정 내 여성의 지위가 높았음
○ 균분상속
○ 윤행봉사 : 딸도 제사를 지냄
○ 외가음서
○ 호적은 나이 순
6. 조선 [목차]
⑴ 중앙행정조직 : 의정부 6조
① 왕권 강화 기구
○ 6조 직계제 : 태종, 세조
○ 승정원 : 도승지
○ 의금부 : 금부도사. 반역죄, 강상죄 등 범한 중죄인을 다스림
② 왕권 견제 기구
○ 의정부 서사제 : 세종
○ 3사 (언론 기구)
○ 사간원 : 대사간을 최고 직위로 함. 간쟁 기능. 태종
○ 사헌부 : 대사헌을 최고 직위로 함. 감찰 기능
○ 홍문관 : 대제학을 최고 직위로 함. 경연 기능
○ 양사 : 사간원, 사헌부를 통틀어 지칭. 5품 이하의 관리 임명에 서경권 행사
③ 기타 기구
○ 한성부 : 한양
○ 춘추관 : 역사 - 실록
○ 장례원 : 노비
○ 성균관 : 교육
⑵ 지방행정조직 : 8도 (일원화)
① 관찰사 : 8도에 모두 파견. 임기제, 상피제. 고려의 안찰사와 대응. 수령을 감사하는 역할 (감영)
② 수령 : 부에 모두 파견. 7사. 행정, 사법, 군사 권한. 임기제, 상피제
③ 향리 : 수령을 보좌. 향리의 명단을 단안이라고 함
④ 사족 (사림) : 부·목·군·현에 기반
○ 유향소 : 여론 형성. 향리의 불법행위를 규찰하고 향회(향안)를 작성. 경재소에 의해 감시됨. 죄수·별감을 두어 운영
○ 서원 : 인재 양성 + 제사
○ 향약 : 농민 통제
○ 오가작통 : 국가에 의한 통제
○ 향도, 두레 : 민의 자치
⑶ 관리 선발 방식
① 과거
○ 문과 : 양인 이상은 가능. 서얼, 재가한 여성의 자식은 응시 자격이 없음
○ 무과 : 승과가 없다는 점에서 고려와 다름
○ 잡과
② 천거 (추천) : 현량과 (조광조)
③ 문음 (2품 이상) : 고위 관료가 되지 못함
④ 취재 (기술) : 하급 관리
⑷ 군사조직 : 5위 영진군 (조선 전기) → 5군영 속오군
① 양인 개병 + 농병 일치 = 의무병
② 5위 : 중앙군
③ 영진군 : 지방군
○ 영 : 국방 요충지
○ 진 : 진관체제 (지역방어)
④ 잡색군
○ 예비군
○ 향리 ~ 노비
⑸ 신분제
① 양반 : 문 + 무
② 중인 : 하급 관리, 서얼
③ 상민 : 신량역천 (봉수, 수군)
④ 천민 : 노비 (多), 백정
⑤ 양인 : 양반 + 중인 + 상민. 경국대전에 의하면 과거제를 치를 수 있음
⑹ 법률
① 대명률 : 형법
② 〈경국대전〉 : 민법. 세조 ~ 성종
③ 〈국조오례의〉 : 성종
④ 〈속대전〉 : 영조
⑤ 〈대전통편〉 : 정조
⑥ 〈대전회통〉, 〈육전 조례〉 : 흥선대원군
⑦ 관찰사 + 수령에게 사법, 행정, 군사 권한 부여 : 훗날 2차 갑오개혁 때 재판소 설치와 함께 사법권 분리
⑧ 삼강행실도 : 세종. 충신, 효자, 열녀를 중시
⑨ 이륜행실도 : 중종. 연장자, 연소자
입력: 2022.04.02 11:30
'▶ 역사과학 >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2강. 여러 나라의 성장 (0) | 2016.06.24 |
---|---|
【한국사】 1강. 선사시대 (0) | 2016.06.24 |
【한국사】 한국 경제사 종합 (0) | 2016.06.24 |
【북한학】 북한학개론 목차 (0) | 2016.06.21 |
【북한학】 통일의 의의와 필요성 (0) | 2016.06.2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