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북한학】 북한의 대외관계 변천과정

 

북한의 대외관계 변천과정

 

추천글 : 【북한학】 북한학개론 목차 


1. 진영외교기 [본문]

2. 다변외교기 [본문]

3. 자주외교 선포기 [본문]

4. 실리외교 추구기 [본문]

5. 제한적 개방외교 모색기, 대서방 외교 모색기 [본문]

6. 전방위외교 추진기 [본문]


 

1. 진영외교기 : 1948년 정권수립 - 1953년 한국전쟁 휴전 [목차]

대내외적 상황

대외적 상황 : 국제적 냉전구도, 남한의 정치·경제 혼란기 

대내적 상황 : 혁명적 민주기지 역량강화

국제무대를 미국중심의 자본주의 진영과 소련중심의 사회중심의 진영으로 구분

북한의 외교정책 : 프톨레타리아 국제주의

제국주의 진영(자본주의 진영)을 타도하고 국제 민주진영(사회주의 진영)의 관계를 호상존 중과 형제적 협조 관계로 간주

북한은 소련의 영향권 안에 있는 공산국들과 수교; 소련, 중국, 폴란드, 체코 등 12개국

3대 혁명역량 강화노선

혁명해방이라는 대외정책목표를 위한 전략노선

혁명 : 사회주의 혁명역량 강화, 남조선 혁명역량 강화(한반도 공산화 통일), 국제혁명역 량과의 단결 강화(전세계 공산화)

해방 : 민족 및 계급 해방 완수

 

 

2. 다변외교기 : 휴전협정체결 이후[1953] - 1960년대 초반 [목차]

대외적 상황

① 19554월 인도네시아 반둥 비동맹회의(아시아, 아프리카 신생독립국 29) : 19554 18일부터 424일까지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29개 독립국대표들이 인도네시아의 반둥에 모여 양 대륙과 세계의 현안을 논의한 국제회의

소련의 후루시초프의 평화공존정책에 따라 동·서 공존적 분위기

남한의 정치·경제 혼란기

대내적 상황 : 북한 내부 세력의 도전에 직면 김일성 권력 공고화와 경제발전 추진

195512월부터 프톨레타리아 국제주의를 보완하는 수준에서 자주노선을 처음으로 표방

대소 추종외교 탈피, 중립국 및 비공산국과 평화공존 추구하는 다변외교 추진

경제에서의 자립(1956. 12. 21) : 자력갱생과 자립적 민족경제건설노선

북한은 대외경제 교류의 증대가 정치적 종속을 가져올 수 있음을 우려하여 수요 증대를 기본 원칙으로 국내 생산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함

대외 경제 부분은 경제 체제 내의 부수적, 보완적 부문으로 간주되었고, 수출은 계획경제 수행상 필요한 자본재와 기술도입 등의 수입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수단으로 간주

 

 

3. 자주외교 선포기 : 1960년대 중반 - 1960년대 후반 [목차]

 대외적 상황

·소 분쟁의 격화에 따른 사회주의권 진영 분열

베트남 전쟁의 심화 (미국의 위협)

남한 군사정권 등장 및 한·일 국교정상화 추진 (남한의 위협)

대내적 상황 : 군사력 강화와 김일성 유일사상체계의 형성

북한의 외교 정책

자본주의 진영에 대해 반제적 관점을 취함

북한의 자위적 조치로 소련을 현대 수정주의로 규정하고 중국을 교조주의’, ‘대국주의로 칭하면서 1966년 외교에서의 선포 (·소의 대북경제를 경쟁적으로 유인)

 

 

4. 실리외교 추구기 : 1970년대 [목차]

대외적 상황

데탕트기(중국의 개방 정책) : 19719월 중국의 UN 가입, 1972년 닉슨 미국 대통령의 중국방문과 미·중 관계 개선, ·일 국교정상화 등 화해 분위기 형성

북한의 외교정책

① 6개년 경제계획 추진에 필요한 자본과 기술을 도입을 위해 서방 국가들과 경제협력 모색

자본주의 국가들과 외교관계 수립, 남북대화, 미국에 대한 직접접촉 제의, 국제기구 및 비동맹 운동 가입

한계

호전적인 대남전략 

국제적 위신 손상 : 외채상환 불능문제, 외교관 밀수사건

 

 

5. 제한적 개방외교 모색기, 대서방 외교 모색기 : 1980년대 [목차]

대외적 상황

중국 개방정책의 지속적인 추진

② 1985년 소련 고르바초프 등장 이후 개혁개방정책 본격적 추진

남한과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관계 증진

대내적 상황

획경제와 자력갱생 정책의 한계로 경제적 어려움 대외경제관계의 확대 요구

자주, 친선, 평화의 기본 이념 선언 : 공산국가와의 단결 강화 + 대서방외교 강화정책

① 1980106차 당대회에서 대외정책이념을 처음 공식화

② 19889월 국가수립 40주년 경축보고대회에서 김일성은 평화를 강조하고, 순위를 자주, 평화, 친선으로 바꾸어 제시

자주 : 대외정책 결정 및 집행과정에서 자주성을 가지는 것과 제국주의에 대해 원칙적 입 장을 지키는 것을 의미(대외활동의 근본원칙)

평화 : 군사 블록의 해체와 침략적 군사기지의 철폐 및 외국 군대의 철수, 비핵지대·평 화지대 창설과 확대(+ 핵 구축의 실현), 노동계급 및 피압박 인민들의 투쟁지원 등을 목적

친선 : 국제혁명역량과 단결강화를 의미하며, 비적대적인 서방국가들과의 경제교류, 협력 의 적극추진 등을 대외정책의 구체적 방향으로 제시  

○ 예 :쁠럭불다담운동 확대발전’ 

합영법 : 1984년 채택. 서방국가들의 기술과 자본 유치 노력, 대일관계정상화와 대미접근

 

 

6. 전방위외교 추진기 : 1990년대 ~ 현재 [목차]

대내외적 상황

대외적 상황 : 소련 및 사회주의권 붕괴, 남한의 북방외교, 국제사회의 핵사찰 압력

대내적 상황 : 김일성 사망, 경제난의 심화, 외교적 고립

북한의 외교정책(실리주의적 정책)

유인외교 : 주변 4국의 대한반도 영향력 확대 경쟁 유발 경제 및 외교 문제 해결 목적 ex. 대미관계 개선, 대일 접근 및 적대 병행, 대중관계 강화, 대러관계 복원

안보외교 : 북한의 안보난 타개를 위한 외교

○ 예 : 전통적 혈맹인 중국과의 동맹관계 강화(최초의 중국군함 남포항 입항), 북미 고위급 회 담, 미군유해송환 협상, 미사일 협상 등 미국과의 합법적 접촉창구 개설 

해외로부터의 도입정책 : 식량원조 확보정책(식량난 해소), 경수로 및 중유도입정책(에너 지난 해결), 외자유치정책(생필품난 해소), 경제특구활성화 정책(외화난 타개)

대외정책 기본 이념 : 1992년 헌법 개정

① ‘마르크스·레닌주의외세를 물리치고라는 조항을 삭제하고 자주, 평화, 친선의 대외 정책 기본이념을 신설함으로써 혁명과 해방의 목표를 완화

한반도 적화통일을 위한 3대 혁명 역량 강화노선을 지속하는 동시에 체제유지를 위한 ‘3대 진지(정치·사상, 경제, 군사) 강화’(강성대국론)을 더욱 강조

 

입력: 2015.06.01 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