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강. 시(poet)
추천글 : 【문학·비문학】 문학·비문학 목차
1. 개요 [본문]
2. 시의 3요소 [본문]
3. 시의 형식상 요소 [본문]
4. 시의 내용적 요소 [본문]
5. 시의 갈래 [본문]
6. 시의 기법 [본문]
7. 시의 화자 [본문]
8. 시의 어조 [본문]
9. 시의 해석 [본문]
10. 종류 1. 삽입시 [본문]
11. 종류 2. 시조 [본문]
1. 개요 [목차]
⑴ 시 : 사람의 마음 속에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 또는 경험을 함축적이고 운율이 있는 언어로 압축하여 표현한 운문 문학
⑵ 시의 특징
① 대표적인 언어 예술
② 사상과 정서를 표현한 창작 문학
③ 압축된 형식미
④ 시인의 은밀한 독백으로 '엿듣는 문학'
2. 시의 3요소 [목차]
⑴ 요소 1. 운율(rhythem) : 시의 음악적 요소
① 정의
○ 시에 쓰인 말의 가락
○ 시의 의미와 하자의 어조 등과 어울려 시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형성
② 구성
○ 구성 1. 운 : 유사한 음을 반복적으로 배치함으로써 형성됨
○ 구성 2. 율격 : 소리의 높이(고저), 길이(장단), 강약을 주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형성됨
○ 우리 시의 경우 운보다는 율격이 중심을 이룸
③ 종류 1. 외형률(外形律)
○ 개요
○ 시어의 규칙적인 반복에 따라 생기는 일정한 형식을 지닌 규칙적인 운율
○ 시의 겉모습에 드러나며 정형시에서 흔히 볼 수 있음
○ 1-1. 음수율
○ 일정한 글자 수(음절 수)의 규칙적인 반복으로 형성되는 운율
○ 우리 시가의 전통적인 음수율에는 3·4조, 4·4조가 있음
○ 개화기 이후에는 일본에서 도입된 7·5조 등이 사용됨
○ 1-2. 음보율
○ 음절의 수와 관계없이 발음(호흡) 시간의 길이가 같은 소리의 덩어리가 규칙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되는 운율
○ 우리 시가에서는 보통 3~4 음절이 하나의 음보를 이루고, 이것이 3번(3음보) 내지 4번(4음보) 반복되어 하나의 큰 휴지를 형성함으로써 음보율을 이룸
○ 3음보
○ 서민 계층의 세계관과 감정 표현 (민요의 율격)
○ 자연적·서정적 리듬을 기초로 경쾌한 느낌을 주며 가창에 적합하고 동적변화감을 줌
○ 4음보
○ 4대부 귀족, 계층의 세계관과 감정 표현 (시조의 율격)
○ 인위적·교술적 리듬을 기초로 하므로 장중한 맛이 있어 음송에 적합하며, 안정과 질서를 느끼게 함
○ 1-3. 음위율
○ 시행이나 연의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음을 규칙적으로 배치하여 형성되는 운율
○ 두운 : 시행이나 연의 앞부분에 일정한 음이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것
○ 요운 : 시행이나 연의 중간에 일정한 음이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것
○ 각운 : 시행이나 연의 끝부분에 일정한 음이 규칙적으로 배치되는 것
○ 1-4. 음성률
○ 음의 높이(고저), 길이(장단), 강약 등의 규칙적인 배치로 형성되는 운율
④ 종류 2. 내재율(內在律)
○ 일정한 규칙 없이 자유롭게 생기는 운율
○ 시의 내면에 흐르므로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시 속에서 은근히 느껴짐
○ 현대의 자유시는 대부분 내재율을 가짐
⑤ 운율을 형성하는 방법
○ 특정한 음운(모음, 자음)의 반복
○ 예 : 서늘(-ㄹ)한 돌(-ㄹ)담에 달(-ㄹ)빛이 들(-ㄹ)어
○ 동일한 글자 수(음절 수)의 반복
○ 예 : 이런들 v 어떠하며 v 저런들 v 어떠하리
○ 음성 상징어(의성어, 의태어)의 사용
○ 예 : 연분홍 송이송이 하도 반가워
○ 예 : 나비는 너훌너훌 춤을 춥니다
○ 예 : 스멀스멀
○ 단어, 구절, 문장 구조(통사구조)의 반복
○ 예 : 벚꽃 지는 걸 보니 / 푸른 솔이 좋아 / 푸른 솔 좋아하다 보니 / 벚꽃마저 좋아
○ 일정한 위치에서 비슷한 음을 반복
○ 예 :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 풀 아래 웃음짓는 샘물같이
○ 일정한 끊어 읽기(음보)의 반복
⑥ 운율의 기능
○ 소리의 규칙적인 질서에 의하여 쾌감을 주고 인상을 깊게 해 줌
○ 평상시 말에 대한 습관적인 무감각에서 우리를 일깨우며, 한편으로는 일정한 요소의 반복에 의해 우리의 의식 상태를 가라앉게 하기도 함
○ 한 편의 글이 생경한 말의 한 토막이 아니라 재정리된 것, 즉 예술이라는 각성을 일으켜 시의 생활을 구분하게 함
○ 작품의 주제와 연결되면서 독특한 어조를 이룸
⑵ 요소 2. 심상(image) : 시의 회화적 요소
① 정의
○ 이미지라고도 함
○ 시를 읽을 때 형상화된 언어에 의해 마음 속에 떠오르는 감각적 영상 및 느낌
○ 일반적으로 연상에 의해 결합하거나 수정하여 새로운 의미를 가진 사물을 형상화함
○ 현대시는 본질적으로 감각에 호소하며, 구체적인 심상을 통해 형상화함
② 심상의 종류
○ 감각의 종류에 따라
○ 시각적 심상
○ [눈] - [심상] - [표현]
○ 눈에 의해 감각되는 색깔, 모양, 움직임, 명암 등에 의해 환기되는 심상
○ '하아얀 나비는 푸른 나비가 무섭지 않다.' 처럼 주로 색채 표현
○ 청각적 심상
○ [귀] - [심상] - [표현]
○ 귀에 의해 감각되는 소리, 음성, 음향 등에 의해 환기되는 심상
○ '머리 맡에 찬물을 쏴- 퍼붓고', '보리 피고 필릴리' 등과 같이 소리를 대표하는 말을 사용함
○ 후각적 심상
○ [코] - [심상] - [표현]
○ 냄새의 묘사에 의해 환기되는 심상
○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해', '꽃향기 가득한 나무 아래서'처럼 냄새를 뜻하는 말
○ 미각적 심상
○ [혀] - [심상] - [표현]
○ 맛의 묘사에 의해 환기되는 심상
○ 예 : 집집 끼니마다 봄을 씹고 사는 마을, 달콤한 사탕
○ 촉각적 심상
○ [피부] - [심상] - [표현]
○ 피부의 감각에 의해 환기되는 심상
○ 예 : 서늘한 옷자락 ,내 볼에 닿았던 네 입술의 뜨거움
○ 근육 감각적 심상
○ [근육] - [심상] - [표현]
○ 근육의 수축·긴장 등 내정 자극에 의해 환기되는 심상
○ 예 : 나 보기가 역겨워
○ 역동적 심상
○ 생동감 있고 힘차게 움직이고 있는 모습에 의해 환기되는 심상
○ 예 : 튀는 빛의 꼬리를 물고 / 쏟아진다 - 전봉건, '피아노'
○ 공감각적 심상
○ 둘 이상의 감각이 어우러져 표현되는 심상
○ '푸른 휘파람 소리' (시각 + 청각), '금으로 타는 태양의 즐거운 울림' (시각 + 청각) 등과 같이 어떤 감각이 다른 감각으로 전이되어 표현함
○ □ + △ = △의 □화(化)
○ 표현 방법에 따라
○ 서술적 심상 : 서술이나 묘사의 방법으로 제시되는 심상
○ 예 : 송홧가루 날리는 외딴 봉우리
○ 비유적 심상 : 비유의 방법으로 제시되는 심상
○ 예 : 이는 먼 / 해와 달의 속삭임 / 비밀한 울음
○ 상징적 심상 : 상징의 방법으로 제시되는 심상
○ 예 : 달밤이 싫여 / 달밤이 싫여, 눈물 같은 골짜기에 달밤이 싫여
③ 심상의 기능
○ 의미 전달 : 관념을 직접 서술하지 않고 머릿속의 영상으로 환기시키기 때문에 예술적 효과를 갖지만 시의 의미를 쉽게 포착하는 것을 방해함
○ 정서 환기 : 어떤 정서나 분위기를 불러일으키기도 하고 시어의 함축성과 긴축미를 높여주는 등 독자의 반응을 유도하여 시 감상의 의미와 정서를 높여줌
○ 대상을 생생하게 표현 : 여러 표현 기법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사물을 보다 뚜렷한 느낌으로 전달하며, 사물의 인상과 연상을 더욱 분명히 드러냄
⑶ 요소 3. 정서와 사상 (주제) : 시의 의미적 요소
① 시에 표현된 작가의 정서나 사상으로, 주제라고 볼 수 있음
② 대부분 작가 생각 중 배움이나 깨닳음을 얻기에 주제와 교훈이 일치하는 경우가 많음
3. 시의 형식상 요소 [목차]
⑴ 행
① 시에서 한 줄을 가리키는 것
② 최초로 완결된 율격 및 의미의 단위
③ 주제행 존재
⑵ 음보
① 율격 및 의미의 최소 단위
② 낭독할 때에 호흡의 기준이 됨
③ 예 : "돌담에 v 소색이는 v 햇발같이"에서 '햇발같이'
⑶ 연
① 시적 사고와 내용 전개의 단위
② 하나 이상의 행이 모여 이루어짐
③ 주로 주제연과 그것을 설명하는 연으로 구성됨
⑷ 시어
① 시구나 시행과 구별하여 시에 사용된 구체적인 언어 하나하나를 지칭
② 함축성
○ 지시적·사전적 의미 이외에도 말의 구조와 문맥 속에서 형성되는 비유적·상징적·암시적 의미를 말함
○ 즉,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와 정서적 분위기가 직접 드러나지도 않고 압축되어 뜻이 전달됨
○ 전자의 언어를 외연, 후자의 언어를 내포라 함
③ 다의성
○ 일상어는 말의 뜻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1 : 1의 의미 관계를 추구하지만, 풍부한 정서의 전달이 목적인 시어에서는 1 : 다(多)의 의미관계를 추구함
○ 정확한 의미의 해석을 거부하는 시어의 다의성은 시의 의미와 정서를 풍부하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소
④ 환기성
○ 시어는 언어가 지시하는 단순한 정보나 사실의 전달보다는 특정한 정서를 환기시키는 특성을 가짐
⑤ 시어와 일상어의 비교
시어 | 일상어 | |
관계 | 시인이 일상어에 자신만의 특별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시어가 됨 시어와 일상어가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은 아님 |
|
의미 | 언어의 내포적 의미 | 언어의 외연적 의미 |
기능 | 운율, 이미지, 분위기, 정서, 의미 등을 형성하는데 기여함 | 정보 전달 |
특징 | 1. 심상, 어조 등의 형성을 중시함 2. 도치법, 반복법, 점층법 등의 표현 방법에 의하여 긴장과 대립의 구조를 가짐 3. 시적 효과를 위하여 어법, 어휘 등에 대해 파격이 허용됨 (시적 허용) |
Table. 1. 시어와 일상어의 비교
4. 시의 내용적 요소 [목차]
⑴ 요소 1. 주제를 형상화하기 위해 작품 속에 동원된 모든 글감들 (소재, 제재)
⑵ 요소 2. 시를 통해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중심 생각이나 정서(주제)
⑶ 요소 3. 심상
5. 시의 갈래 [목차]
⑴ 형식에 따른 갈래
① 정형시
○ 운율의 제한을 지닌 일정하고 고정적인 형식의 시
○ 예 : 서양 문학의 소네트(sonnet), 중국의 한시, 향가, 시조 등
② 자유시
○ 특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형태의 시
○ 현대시는 거의 대부분 자유시에 해당함
③ 산문시
○ 시행의 구분 없이 산문처럼 문단만을 나누거나 계속 잇달아 쓴 시
○ 예 : 주요한 「불노리」, 박두진 「해」
⑵ 내용에 따른 갈래
① 서정시
○ 시인의 주관적인 정서와 감정을 표현한 시
② 서사시
○ 신화나 역사, 영웅들의 이야기 등 사건을 객관적인 운문으로 읊은 시
○ 예 : 호머 「일리아드」, 「오디세이아」, 밀턴 「실락원」, 이승휴 「제왕운기」, 이규보 「동명왕편」, 김동환 「국경의 밤」
③ 극시
○ 사건의 전개를 대화 형식으로 쓴 시
○ 운문으로 된 희곡이라 할 수 있음
○ 예 : 셰익스피어 「햄릿」, 괴테 「파우스트」
④ 주지시
○ 지적인 내용의 시
⑶ 주제에 따른 갈래
① 주정시 : 인간의 감정이나 정서를 주된 내용으로 한 시
② 주지시 : 인간의 지적인 면을 주된 내용으로 한 시
③ 주의시 : 인간의 의지적인 측면을 주된 내용으로 한 시
6. 시의 기법 [목차]
⑴ 개요
① 시는 본질적으로 비유적 : 대상과 사물에 대한 일상적이고 진부한 접근을 거부하고 언어를 낯설게 사용함으로써 대상과 사물에 대한 진실에 접근하는 노력
② 시에서의 언어 사용은 일종의 '낯설게 하기'라고 할 수 있음
③ 리차드(I. A. Richards)에 의하면, 시적 말하기는 일상적·과학적 '진술'이 아닌 가진술
⑵ 일반적 방법
① 운율을 살려서 씀
② 적절한 비유와 상징의 방법을 사용
③ 변화주기와 강조하기의 방법을 사용
④ 일상 언어를 갈고 다듬어서 미적 효과와 정서적 의미를 불러 일으킴
⑶ 비유(比兪)
① 본래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원관념)을 다른 대상(보조 관념)에 빗대어 나타내는 표현기법
② 두 대상 사이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성립
③ 종류 1. 은유법
○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A(원관념)는 B(보조관념)이다' 또는 'B인 A'의 형식으로 기술됨
○ 두 사물이 동일한 것처럼 (동일성)
○ 예 : 구름은 하늘을 헤엄쳐 다니는 고래, 내 마음은 호수요
④ 종류 2. 직유법
○ 'A는 B와 같다', 'B 같은 A', '~인 듯'의 형식으로 연결어를 사용해서 원관념을 보조관념에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표현 방법
○ 마치, 흡사, ~양 하다 등의 표현을 써서 유사성을 비김
○ 예 : 초승달처럼 웃는 기와
⑤ 종류 3. 의인법
○ 사람이 아닌 대상을 사람처럼 빗대어 나타내는 방법
○ 예 : 바람의 손이 풀꽃의 여린 어깨를 만져준다
⑥ 종류 4. 활유법
○ 살아 있지 않은 대상을 살아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방법 (의인법 포함)
○ 예 : 어둠은 새를 낳고, 돌을 낳고, 알을 낳는다
⑦ 종류 5. 풍유법
○ 속담이나 격언을 이용하여 본 뜻은 숨기고 비유하는 말만으로 암시하는 방법
⑧ 종류 6. 대유법
○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그 대상의 한 부분으로 대표하여 나타내거나 그 대상의 속성으로 대표하여 나타내는 방법
○ 6-1. 제유법
○ 같은 종류의 사물 중에서 어느 한 부분으로서 전체를 알 수 있게 나타내는 방법
○ 6-2. 환유법
○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과 관계 있는 사물이나 그 대상의 속성으로 나타내는 방법
○ 예 : 펜은 칼보다 강하다
⑷ 상징(象徵)
① 개요
○ 표현하고자 하는 추상적인 사물이나 관념 또는 사상을 구체적인 사물, 즉 보조관념으로 대신하여 나타내는 방법
○ 눈으로 볼 수 없는 세계를 볼 수 있는 세계, 물질 또는 형태의 세계로 나타내는 것
○ 원관념이 드러나지 않은 채 보조 관념만으로 진술된다는 점이 비유와 다름
○ 어떤 사물 자체의 이미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다른 포괄적 의미까지 지니게 하는 표현법
② 특성
○ 암시성 : 대상의 유사성에 근거하지 않으므로 직접 드러내지 않고 은근히 암시
○ 다의성 : 하나의 상징이 여러 가지 의미를 드러냄
○ 문맥성 : 전후 문맥의 영향을 받아 의미가 해석됨
③ 종류
○ 관습적 상징 (고정적, 사회적, 제도적 상징)
○ 일정한 세월을 두고 사회적 관습에 의해 공인되고 널리 보편화된 상징
○ 예 : 십자가 → 기독교, 비둘기 → 평화, 면사포 → 결혼
○ 개인적 상징 (창조적, 문화적 상징)
○ 관습적 상징을 시인의 독창적 의미로 변용시켜 문화적 효과를 얻는 상징
○ 예 1. 윤동주의 '십자가' → 윤동주 자신의 희생 정신
○ 예 2. 한용운의 '임' → 연인, 절대 진리, 조국 등
○ 예 3. 한하운의 '파랑새' → 자유
○ 예 4. 윤공강의 '해바라기' → 정열, 희망, 의지
○ 기호적 상징
○ 약속에 의한 기본적 상징
○ 예 : 문장 부호, 교통 신호
○ 인류의 역사를 통하여 수없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수없이 되풀이 되는 원초적 이미지로서의 상징
○ 예 1. 물 → 풍요, 생성, 창조
○ 예 2. 강물 → 죽음, 영원
⑸ 변화법(變化法)
① 문장이 단조롭고 평범하게 흘러가지 않도록 표현 방법에 변화를 주어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글의 뜻을 인상 깊게 하기 위한 방법
② 종류 1. 반어법
○ 표현한 것과 표현 의도가 정반대로 진술된 표현
○ 반어가 사용된 표현에는 긴장, 대조, 갈등이 담겨 있는 경우가 많음
○ 예 :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③ 종류 2. 역설법
○ 겉으로 보면 명백히 모순되고 어긋나는 말이거나 이치에 닿지 않는 듯한 표현 속에 어떤 진실을 담고 있는 진술 방식
○ 예 1.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 예 2.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④ 종류 3. 도치법
○ 정상적인 언어 배열 순서를 바꾸어 놓음으로써 강한 인상을 주려는 표현 방법
○ 즉, 주어, 서술어 등의 배열 순서를 바꿈
○ 예 : 손을 대도 데지 않는다. 그 불은
⑤ 종류 4. 설의법
○ 분명한 결론을 의문형으로 만들어 독자가 결론을 내리게 함으로써 문장에 변화를 주고 더 큰 효과를 얻으려는 표현 방법
○ 예 :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
⑥ 종류 5. 문답법
○ 독자들이 글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생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스스로 묻고 답하는 표현 방법
○ 예 : 아희야, 무릉이 어디오, 나난 옌가 하노라
⑦ 종류 6. 인용법
○ 다른 사람의 말, 시문 등을 빌려 내용을 전달하는 표현 방법
⑧ 종류 7. 돈호법
○ 사물을 부르는 형태로써 주의를 환기시키고 변화를 주는 표현 방법
○ 예 :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이 /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⑨ 종류 8. 대구법
○ 가락이 비슷한 어구를 짝지어서 대립과 병렬의 운치를 주는 표현 방법
○ 유사하거나, 관련된 사실을 짝을 지어 표현하는 방법
○ 비슷한 어조에서 짝지어 표현
○ 예 :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⑹ 강조법(强調法)
① 개요
○ 과장, 반복 등을 통해 어떤 사실이나 정서를 강조하여 드러내는 표현 방법
○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사실, 정서)을 보다 강렬하고 인상 깊게 드러내기 위해서 다양한 표현 방법을 통해 뜻을 한층 더 강하고 뚜렷한 인상을 드러내며 절실하게 나타내는 표현 방법
② 종류 1. 과장법
○ 어떤 사물이나 사실을 표현할 때,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해 실제보다 훨씬 크거나 작게, 또는 많거나 적게 나타내는 표현 방법
○ 예 : 잡채 같은 파도,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③ 종류 2. 반복법
○ 같거나 비슷한 말이나 어구, 문장 등을 되풀이하여 흥을 돋우거나 뜻을 강조하는 표현 방법
○ 예 :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피네
④ 종류 3. 억양법
○ 먼저 치올리고 마음에 꺾어 누르든지, 먼저 누르고 나중에 치올리든지 하여 글의 뜻을 인상 깊에 강조하는 표현 방법
○ 예 : 얼굴은 예쁜데, 마음씨가 곱지 못하다
⑤ 종류 4. 영탄법
○ 강력한 의지와 고조된 감정을 감탄사, 감탄격 조사, 감탄격 어미 등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방법
○ 예 : 꽃이 피네, 나흘째밖에 아닌지 모르겠구나!
⑥ 종류 5. 점층법(점강법)
○ 내용을 한 단계씩 높이거나, 낮추어 의미를 강조하는 표현 방법
○ 예 : 수신제가치국평천하
⑦ 종류 6. 미화법
○ 아름답지 못한 것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방법
○ 예 : 양상군자 → 도둑, 화장실 → 변소
⑧ 종류 7. 대조법
○ 상대되는 사물이나 사실을 서로 맞세워 선명한 인상을 주는 방법
○ 예 1.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 예 2. 무기의 힘은 세나 길지 못하며, 문필의 힘은 여리나 길다 하겠다
⑨ 종류 8. 열거법
○ 같거나 유사한 사실을 나열하는 표현 방법
○ 예 : 정치, 경제, 문화 등 제 분야 ···, 부침개며, 나물이며, 강정이며, 수정과를 차려 내셨다
⑩ 종류 9. 연쇄법
○ 앞의 말의 끝을 따서 뒷말의 머리를 삼는 표현 방법
○ 예 1. 큰 고기는 중간치 고기를 잡아먹고, 중간치 고기는 작은 고기를 잡아 먹으면서 ···
○ 예 2. 닭아 닭아 우지 마라, 네가 울면 날이 새고, 날이 새면 나 죽는다
○ 예 3. 생각이 말을 낳고, 말이 또한 생각을 낳는다
⑪ 종류 10. 비교법
○ 상대적인 다른 사실을 가져 와서 비교하는 표현 방법
○ 예 : 거룩한 분노는 종교보다 깊고, 불 붙는 정열은 사랑보다 강하다
⑫ 종류 11. 중의법
○ 하나의 말 속에 둘 이상의 뜻을 넣어 표현하는 방법
○ 예시
○ 병든 사자 : 병든 사자, 과거에 위대했던 인물 또는 국가
○ 강물 : 진주의 남강 물결, 역사
○ 명월 : 밝은 달, 황진이
○ 벽계수 : 시냇물, 선비
⑺ 직렬적 구조, 병렬적 구조
⑻ 이중시점
⑼ AABA 구조
① 정의 : A 구절을 반복하다가 다음 구절에 변화를 준 B 구절을 삽입한 뒤 다시 A 구절을 반복하는 율격 구조
② 예시
○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 접동 접동 아우래비 접동 - 김소월, '접동사'
○ 가시리 가시리잇고 버리고 가시리잇고 - '가시리'
○ 형님 온다 형님 온다 분고개로 형님 온다 - '시집살이 노래'
○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어머님의 가장 어여쁜 아들 나는 왕이로소이다 - 홍사용, '나는 왕이로소이다'
⑽ 감정 대위법
① 정의 : 서로 상반된 정서나 이미지를 나열하여 제시함으로써 감정을 절제하여 표현함
② 예 1. 차고 슬픈 것
○ [슬픈 감정] ← 대위(절제) → [차가움]
○ 슬픈 감정에 차가움이라는 이미지가 더해지면서 북받쳐 오르는 슬픔이 차분하게 가라앉는 느낌을 주며 이를 통해 감정의 절제를 느끼게 됨
③ 예 2. 외로운 황홀한 심사
○ [외로움] ← 대위(절제) → [황홀함]
○ 시적 화자는 죽은 아이를 그리워하며 외로움을 느끼는 한편 아이의 영상을 떠올리며 황홀함을 느끼기도 한다고 말하여 외로움의 감정을 절제하여 드러냄
7. 시의 화자 [목차]
⑴ 특징
① 일반적으로 서정시의 화자는 '나' : 서정시는 '나'의 독백 형식을 취하는 것
② 서정시에서 화자와 작가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
○ 현대시에는 흔히 화자와 작가를 구별함
③ 서정시의 화자는 시의 제재나 독자에 대해 일정한 목소리나 태도를 취하도록 창조된 허구의 자아
④ 시의 화자 = 작가의 탈 = 제2의 자아 = 극적인 자아 = 시의 서정적 자아
⑵ 시적 화자의 정서
① 화자가 바라보는 대상이나 화자에 의해 나타나게 된 시적 화자의 감정
⑶ 시적 화자의 태도
① 화자가 처한 상황이나 바라보는 대상에 대해 겉으로 드러나는 생각이나 감정
② 예 : 반성적, 긍정적, 동경적, 비판적, 의지적, 예찬적, 절망적 등
⑷ 기능
① 시의 통일성을 살려 나가는 역할
② 시의 배경 묘사를 담당하는 역할
③ 등장인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
④ 시 속의 시간을 요약해주는 역할
⑸ 시적 대상
① 시 속의 화자가 바라보는 구체적인 사물, 또는 시의 소재나 제재가 되는 관념이나 사물, 심지어 청자도 가리킴
⑹ 시적 상황
① 시의 화자나 시적 대상이 처해 있는 형편이나 처지, 분위기, 정황 등을 의미함
8. 시의 어조 [목차]
⑴ 개요
① 작품의 제재나 독자에 대한 시적 화자의 목소리나 태도를 지칭하는 말
② 세계를 향한 시인의 태도 표명과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음
⑵ 예시 : 다음 예시는 말하는 이의 여성적 어조와 태도를 지니고 있음
① 가시리 가시리 잇고 / 버리고 가시리 잇고 → 원망
② 날러는 어찌 살라 하고 / 버리고 가시리 잇고 → 슬픔
③ 잡사와 두어리마나는 / 선하면 아니 올세라 → 체념
④ 설온 님 보내옵나니 / 가시는 듯 돌아오소서 → 기원
⑶ 특징
① 시의 느낌, 분위기 (정조), 시상을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창조하기도 함
② 시의 주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짐
③ 선택되는 시어와 서술어의 의미에서 드러남
④ 정서 변화에 따라 어조 변화도 드러남
⑷ 여성적 어조
① 이육사, 유치환, 김광섭 등 몇몇 시인을 제외하고는 한국의 서정시들은 대체로 여성편향적 목소리를 취함
② 이는 우리 보편적 민족 정서라 할 수 있는 비애와 한의 정서를 드러내는 데 남성의 목소리보다 여성의 목소리가 더 효과적이기 때문임
③ 특징 : 경어체의 사용, 소극적 태도
9. 시의 해석 [목차]
⑴ 표현론적 관점 : 내용, 일반적인 감상
⑵ 효용론적 관점 : 우리에게 어떤 효과, 교훈을 주는지
⑶ 절대론적 관점 : 작품 내재적 관점. 문법적인 부분을 검토
⑷ 반영론적 관점 : 어떻게 세상에 반영된 작품인지
① 예 : "홍길동전은 한국 최초의 한글 소설이다"
10. 종류 1. 삽입시 [목차]
⑴ 특징
① 실제 시인의 작품을 삽입함으로써 작품에 사실감을 부여함
② 산문 속에 운문을 삽입함으로써 산문 위주의 단조로움을 피함
③ 서술자가 과거를 회상하는 매개체가 되어 자연스럽게 외화에서 내화로 전환하게 함
④ 인물이나 배경, 전개된 사건 양상의 유사성으로 인해 앞으로 전개될 내부 이야기를 암시함
⑤ 다양한 표현 방식을 통해 여운을 느끼게 하여 그리움의 정서를 강화함
⑵ 예 1. "그 / 여자 / 네 / 집"에서 한 글자를 한 행으로 처리한 의도
① 화자의 그리움을 강조함
② 감동의 여운을 지속시킴
③ 형식의 단조로움을 극복함
⑶ 예 2. "생각하면, 생각하면, 생. 각. 을. 하. 면 ···"
① 생략을 통해 여운을 형성함
② 반복을 통해 그리움을 강조함
11. 종류 2. 시조 [목차]
⑴ 개요
①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기간에 정제되어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생명력을 유지해 온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 시가
② 시조라는 명칭은 조선 영조 때의 가객 이세춘이 사용한 '시절 가조'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는데, 이 말은 '당시의 유행하던 노래'라는 뜻
⑵ 시조의 기본 형식
① 3장 6구 45자 내외, 4음보의 율격의 기본 형식이 있음
② 음보별 자수는 1~2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종장 첫 구의 처음 3음절은 반드시 지킴
③ 초장 : 3(4) - 4 - 3(4) - 4. 4음보
④ 중장 : 3(4) - 4 - 3(4) - 4. 4음보
⑤ 종장 : 3* - 5(6) - 4 - 3(4). 4음보. 「3 - 5(6)」 부분을 전구, 「4 - 3(4)」 부분을 후구라 함
⑶ 형태에 따른 종류
① 평시조 : 기본 형식의 단형시조
② 엇시조 : 종장을 제외한 나머지 구 중 어느 한 구의 길이가 늘어난 시조
③ 사설시조
○ 종장의 첫 구를 제외한 나머지 구 중, 두 구 이상의 길이가 늘어난 시조
○ 특히 중장의 길이가 무제한으로 길어진 장형시조
④ 연시조 : 2수 이상의 평시조가 묶여 한 편을 이룬 시조 (↔ 단시조)
⑷ 시대에 따른 종류
① 고시조
○ 정의 : 갑오개혁(1894년) 이전까지 지어진 시조
○ 성격 : 노래 가사의 일종으로 발달. 일정한 전문 작가가 없이 많은 사람들에 의해 지어짐
○ 형식
○ 제목이 없고 고사의 인용이 많음
○ 장별 배형의 3행 형식
○ 상투어 및 한자어의 사용 빈번
○ 단형의 간결성 (평시조 중심)과 음악성 중시
○ 내용 : 풍류적, 관념적, 유교적 성격, 자연 친화적 주제, 명료한 주제 의식
○ 종류 :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
② 현대시조
○ 정의 : 갑오개혁 이후부터 지어진 시조
○ 성격 : 노래의 가사가 아니라 명확히 시라는 의식 하에 쓰여짐. 일정한 작가(시인)들이 지음
○ 형식
○ 제목이 있으며, 현대시적 기교 발달
○ 개성적인 시어 및 고유어 사용
○ 구별 배행, 양장 시조, 장별 배행 등 다양한 형식
○ 고시조의 율격 계승
○ 음절 수의 대담한 파격을 이룸
○ 이미지 중심
○ 표현
○ 시어의 자연스러운 호흡 중시
○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개성적이고 참신한 이미지 제시
○ 현대시의 표현 방법을 원용하여 긴밀한 구조를 이루며 회화성 중시
○ 내용
○ 탐미적·지성적·개성적 성격
○ 관조적, 사색적
○ 복잡한 현대인의 생활 반영
○ 암시적이고 다양한 주제
○ 자아의 내적 감상과 심리, 내면 세계 묘사
○ 종류 : 평시조(단형시조)가 주종을 이루며 연시조가 성행함 (장형의 복잡성 중시)
⑸ 예시 1
이런들 어떠하면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그 어떠하리
우리도 이와 같이 얽혀 백 년까지 누리리라
⑹ 예시 2
어버이 살아신제 섬길 일람 다하여라
지나간 후이면 애닮다 어찌하랴
평생에 고쳐못할 일이 이뿐인가 하노라
입력: 2023.02.26 10:00
'▶ 인문과학 > ▷ 문학·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 5강. 전기문 (0) | 2023.03.01 |
---|---|
【문학】 4강. 희곡(scenario) (0) | 2023.03.01 |
【문학】 3강. 수필(essay) (0) | 2023.03.01 |
【문학】 2강. 소설(novel) (0) | 2023.02.26 |
【문학】 7강. 편지글 (0) | 2018.01.2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