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논문】 The entry of nanoparticles into solid tumours

 

The entry of nanoparticles into solid tumours[각주:3]

 

Shrey Sindhwani, et al. Nature Matrials, 2020.


 

1. Background

⑴ nanoparticle의 pathway

① passive pathway : nano particle이 inter-endothelial gap과 transcellular channel을 통해 들어가는 것

○ inter-endothelial gap (Fig.1-a) : 최대 2,000 nm

○ transcellular channel (Fig. 1-a)

② active pathway : trans-endothelial pathway라고도 함

○ fenestrae 

○ vacuoles 

⑵ method 

① 동물실험

 

Figure. 1. 사용한 마우스의 수

 

① ICP-MS(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scopy)

② TEM analysis

○ 특징

○ 장점 : 해상도가 높음

○ 단점 : 정적임

 

Figure. 2. TEM analysis

 

○ 1st. CD-1 nude 마우스에 U87-MG glioblastoma를 접종 

○ U87-MG 이외에도 각각 4T1, MMTV-PyMT, PDX를 접종함

○ 2nd. 3주간 방치

○ 3rd. Fixation

○ 4th. 종양 적출

○ 5th. Ultramicrotome을 통해 90 nm slice들로 쪼갬

○ 6th. TEM 관찰

③ 3D immuno-staining

 

Figure. 3. 3D immuno-staining[각주:1]

 

○ Anti-VE-cadherin antibody : Tight junction과 반응

○ Anti-PV-1 antibody : Vesicle, Fenestrae와 반응

○ GSL-1-cy3 : 혈관벽을 염색

④ Dark-field microscopy 

○ AuNP가 초록색 빛으로 보임

 

 

2. lemma 1. NP가 tumor로 들어가는 데 있어서 passive pathway는 dominant하지 않다

lemma 1-1. 종양 내 축적되는 nanoparticle의 양의 실제값 결정

① ICP-MS(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② 결과 : 0.63 %ID/g tumor의 결과가 나옴

○ 초기 injected dose : 2 × 1012 nanoparticles / g tumor

○ 1 g의 tumor 당 1.3 × 1010 nanoparticles가 발견됨 

 계산

 

 

⑵ 용액 내 용질의 물질전달은 대류에 의한 물질전달과 농도에 의한 물질전달로 나타남

⑶ lemma 1-2. 대류에 의한 물질전달에 의해 종양 내에 축적되는 nanoparticle의 양은 많지 않음

 TEM 분석

○ 장점 : 광학현미경이 광학한계 때문에 gap을 관찰할 수 없는 한계를 보완함 

○ 단점 : 부분을 통해 전체를 추론

○ (추정) 표면적의 계산 : 둘레 × 높이(= 90 nm)

○ 결과 1. 혈관의 전체 표면적 : 2,171 ㎛2. MATLAB으로 계산

○ 결과 2. gaps의 전체 표면적 : 1.03 ㎛2. MATLAB으로 계산

○ 혈관의 전체 표면적의 0.048%

○ gaps는 총 26개가 발견

○ 결과 3. 예상 gaps의 밀도 : 500 gaps / 2 

○ 가정 : gap 하나의 면적은 1 2라고 가정. 원으로 가정하고 πr2을 계산한 듯

○ 계산

 

 

○ 결과 4. 암 1 g에 대한 결과로 확장

○ 조직의 단위부피 당 혈관의 표면적 : 0.0034 ㎛-1 

○ 암 1g에 대한 혈관의 전체 표면적은 3.4 × 109 ㎛2 

 

 

○ 암 1g에 대한 gaps의 전체 표면적은 1.7 × 106 ㎛2 

 

 

○ 암 1g에 대한 gaps의 전체 개수는 1.7 × 106개 

 

 

② 3D microscopy + VE-cadherin antibody staining

○ tight junction(≒ gaps)도 적었다 (Fig. 1-c)

○ TEM 관찰 결과를 보완함 

③ bi-exponential decay model 

○ (참고) 초기 injected dose : 2 × 1012 nanoparticles / g tumor

○ (참고) 1 g의 tumor 당 1.3 × 1010 nanoparticles가 발견됨 

○ (참고) 1 g의 tumor 당 gap의 전체 개수는 1.7 × 106개 

○ 1개의 gap마다 7,650개의 nanoparticle을 통과시킴

 

 

 혈액 내에서 nanoparticle의 decay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감소함수를 보임

 

 

○ cell uptake가 적으므로 n(t)의 식에서 nanoparticle의 물질전달에 의한 감소는 무시

○ 1.1 particles / 3의 의미 

○ (참고) mouse의 혈액 부피 : 58.5 ㎖ / kg bodyweight

○ (참고) 25 g의 mouse의 혈액의 부피 : 1.46 ㎖. 이 논문에서는 1.8 ㎖로 계산했다는 언급이 있음

○ 초기 injected dose : 2 × 1012 nanoparticles / g tumor

○ t = 0일 때 모든 nanoparticle은 혈액 내에 있음

 

 

④ Q의 계산 : 혈액에서 tumor로 꾸준한 유량 Q가 흐른다고 가정

 

 

⑤ 실제 Q의 값 

○ 전체 유량 = 0.1 ~ 0.4 mm3/hr

○ Q = 전체 유량 ÷ gap의 수

 

 

○ 해석 : 실제 축적된 양 0.63 % ID/g tumor를 설명하려면 실제보다 훨씬 많은 유량을 필요로 함

⑷ lemma 1-3. 농도에 의한 물질전달에 의해 종양 내에 축적되는 nanoparticle의 양은 많지 않음

① TED 분석 결과 1 ~ 결과 3을 준용

② 확산계수 D의 결정[각주:2]

○ 1st. Fluo-EX labeling kit : 형광물질인 FITC와 conjugation

○ 2nd. Krypton-argon laser : FRAP 현상을 통해 분자들이 형광 빛을 발하도록 함

○ 3rd. CCD 카메라로 녹화한 뒤 Spatial Fourier analysis technique으로 위치좌표를 특정

○ 4th. Exponential time decay를 계산하여 확산계수 D를 결정

③ 컴퓨터 시뮬레이션

○ mathematical model

 

 

○ R : source term 또는 sink term

○ R이 source term으로 작용하여 nanoparticle이 생성되는 경우는 있음

○ R이 sink term으로 작용하여 nanoparticle이 소멸되는 경우는 bi-exponential decay model을 이용한 걸로 추정

○ blood vessel networks mapped from 3D images of tumours + varying numbers of gaps + mathematical model

○ 결과 : 0.0158 %ID/g 

⑷ 결론

○ accumulation은 이론이 실제보다 1/40배

○ gap number는 이론이 실제보다 1/60배

 

 

3. lemma 2. NP는 active pathway를 통해 들어갈 수 있다

lemma 2-1. fenestrae, vacuoles가 gaps보다 훨씬 많다

① 얼마나 많은지

lemma 2-2. 정말로 nanoparticles가 fenestrae와 vacuoles를 타고 이동한다.

① 정말로 nanoparticles가 fenestrae와 vacuoles를 타고 이동하는 모습 (Fig. 2-b) 

② 15 min circulation과 60 min circulation을 비교한 모습

○ 세 사람이 57,080개의 nanoparticles를 셈 : 평균 낸 듯

○ 표 제시하기 (Supplementary Table 5)

 

 

4. lemma 3. NP가 tumor로 들어가는 데 있어서 active pathway가 dominant하다

⑴ 좀비 모델

① 발상 

○ 좀비 모델에서 passive pathway는 작동함 ( gap의 형태는 유지되기 때문)

○ 좀비 모델에서 active pathway는 작동하지 않음 ( 세포가 죽어 있기 때문)

② 만드는 법

○ schema

○ supplementary video 1

⑵ lemma 3-1. validation of Zombie model (1) : passive pathway가 동일할 것이라는 확증

① 증거 1. 새로운 gaps가 생성되지 않음 (Fig. 3c, 3d )

② 증거 2. kidney gap은 6.5 nm 정도로 여전히 유지됨 (Fig. 3e)

③ 증거 3. liver sinusoidal endothelial cell의 gpa은 여전히 열려 있음 (Fig. 3f)

증거 4. continuous vessel이 있는 조직은 여전히 continuous함 (Fig. 3d)

증거 5. circulatory system은 여전히 잘 보존됨 (Fig. 4e)

lemma 3-2. validation of Zombie model (2) : active pathway가 없을 것이라는 확증

증거 1. nanoparticle의 vesicle을 통한 extravasation은 관찰되지 않음

증거 2. cellular uptake가 관찰되지 않음

증거 3. glutaraldehyde fixation

lemma 3-3. ICP-MS quantification (Fig. 4-a, 4-b)

① 좀비 모델은 clearance system이 없기 때문에 blood의 데이터를 통해 보정을 해주어야 함

② 모델을 MMTV-PyMT로 바꾸어줘도 비슷한 결과를 보임

③ 적혈구를 포함하여 혈관에 흘려주어도 비슷한 결과를 보임

④ 왜 Fig. 4-b와 같은 size dependency를 보이는지는 추가적은 연구를 필요로 함

lemma 3-4. TEM analysis : Control (Fig. 4-c) vs Zombie (Fig. 4-d)

① 49% AuNP가 extravasation을 함

② 0% AuNP가 extravasation을 함

lemma 3-5. intravital imaging + dark-field microscopy

① Control (Fig. 4-e)은 퍼져 있는데 Zombie (Fig. 4-g)는 뭉쳐 있음

 

 

5. lemma 4. gaps are also rare in tumour vessels from cancer patients. 

lemma 4-1. endothelial lining을 따라서 tight junction과 fenestrae의 분포가 쥐와 유사함

lemma 4-2. blood vessel discontinuity가 mouse와 같이 관찰되므로 gaps가 충분히 있지 않을 것이다.

 

 

6. discussion

후속 과제 1. nanoparticle이 solid tumour로 들어가는 분자생물학적 경로 탐색

후속 과제 2. tumour endothelial cell surface protein과 nanoparticle의 상호작용 (Fig. 5-c, 5-d)

① 가설 : nanoparticle 표면에 알부민이 부착되고, 알부민을 인식하여 transcytosis가 일어남

○ transcytosis에 caveolin이 관여함

○ 알부민을 코팅한 nanoparticle이 caveolin이 관여하는 transcytosis를 거친다는 선행 논문이 있음

② 결과 : caveolin knock-out mouse에서도 transcytosis가 일어남

③ 해석 : nanoparticle 표면에 붙은 다른 단백질이 transcytosis를 일으킴 

후속 과제 3. trans-endothelial transport를 활성화하는 방법 (예 : antibody transport)

후속 과제 4. nanoparticle의 크기, tumour의 종류에 따른 차이 이해하기

후속 과제 5. 면역세포의 역할을 이해하기

 

입력: 2020.01.21 21:51

 

  1. 출처 : Alejandro et al., Decellularization and antibody staining of mouse tissues to map native extracellular matrix structures in 3D, Nature Protocol, 2019. [본문으로]
  2. Saroja Ramanujan, et al., Diffusion and Convection in Collagen Gels: Implications for Transport in the Tumor Interstitium, Biophysical Journal Volume 83, September (2002) [본문으로]
  3. ⓒ Rights and Permissions : 텍스트 인용 사실 없음, 이미지 인용 사실 없음 [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