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ng, Jung‐tak, et al. "Giant Magnetic Heat Induction of Magnesium‐Doped γ‐Fe2O3 Superparamagnetic Nanoparticles for Completely Killing Tumors." Advanced Materials 30.6 (2018): 1704362.
1. 배경이론
Figure. 1. Néel relaxation과 Brownian relaxation 1
⑴ 원리 1. Néel relaxation :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 속에 있는 초상자성 나노입자에서 발생하는 자기모멘트의 반전에 의해 자기에너지가 열로 방출되는 것
⑵ 원리 2. Brown relaxation : 유체 속에서 나노입자의 물리적 회전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하는 것
⑶ 자화율
⑷ relaxation time : 각속도의 합의 관계식으로부터 유도됨
① τ : effective relaxation
② τ0 : characteristic flipping
③ Ku : magnetic anisotropy constant
④ VM : volume of the nanoparticle
⑤ k : Boltzmann constant
⑥ T : temperature
⑦ η : viscosity of the fluid
⑧ VH : hydrodynamic volume of nanoparticle
⑸ 발생한 열량
① P : values of heat dissipation
② μ0 : 자기투자율
③ χ" : magnetic susceptibility
④ f : 자기장의 주파수
⑤ H : 자계의 세기
⑹ SAR 파라미터의 정의
① C : the specific heat capacity of the solvent
② dT/dt : initial slope of the time-dependent heating curve
③ ms : mass of the solvent
④ mm : mass of magnetic nanoparticle
⑺ ILP(intrinsic loss power)
2. Mg0.13-γFe2O3의 제법
⑴ Fe vacancy site에 Mg를 넣는 방식
① bulk Mg-ferrite의 경우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vacancy site가 없는 inverse spinel 구조를 취함
② nanoscaled iron oxide SPNP(superparamagnetic nanoparticle)의 경우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inverse spinel 구조와 oxidized spinel 구조를 번갈아 가면서 취함
○ inverse spinel 구조 : Fe3O4((Fe3+)8[Fe3+Fe2+]8O32). Fe vacancy site가 없음
○ oxidized spinel 구조 : γ-Fe2O3 ((Fe3+)8[Fe3+5/3 □1/3]8 O32. Fe vacancy site인 □가 있음
③ nanoscaled iron oxide SPNP의 oxidized spinel 내 Fe vancancy site에 Mg2+를 적당히 넣음으로써 Mg 농도를 조절할 수 있음
⑵ thermal decomposition method로 만듦
Figure. 2. thermal decomposition method (Figure 1-a)
① 1st. 기존 방식과 다르게 Mg(acetate)2와 Fe(acac)3 금속 전구체를 oleic acid와 유기 용매 하에 섞음
② 2nd. bubbling O2/Ar gas 혼합물 (1 : 4 부피비, 100 mL/min) 하에 가열
③ 3rd. 초기 첨가한 Mg(acetate)2와 Fe(acac)3 금속 전구체의 비율을 체계적으로 조절하여 Mg2+ 도핑 농도를 조절
④ 4th. Mgx-iron oxide에서 x = 0, 0.05, 0.13, 0.10, 0.15를 합성함
⑤ 3rd 과정은 수많은 시행 착오를 요하는 듯
3. γ-Fe2O3의 물성 분석
⑴ TEM 이미지 : ~ 7 nm 코어
⑵ XRD(X-ray diffractometer) : 전자 회절 패턴(electron diffraction pattern)
Figure. 3. selected area electron diffraction patterns (Figure 1-b, 1-c)
⑶ XANE(X-ray absorption near edge structure) : 철의 산화수를 알 수 있음
Figure. 4. Fe K‐edge XANES spectra of Mg0.13‐γFe2O3, MgFe2O4, and bulk (FeO, Fe3O4, and γ‐Fe2O3) (Figure 1-e)
4. γ-Fe2O3의 퍼포먼스 분석
⑴ AC hysteresis loop : Mg0.13-γFe2O3가 내부 면적이 가장 큼
Figure. 5. AC hysteresis loop (Figure 2-a)
⑵ 최대 온도 : Mg0.13-γFe2O3이 가장 큼
Figure. 6. 최대 온도 (Figure 2-b)
⑶ 자화율 χ"은 발생 열량과 관계가 있는데 이 값은 특정 Mg2+ 도핑 농도에서 피크를 보임
① anisotropy energy는 반비례하듯 정반대의 경향성을 보임
② χ"의 증가는 anisotropy energy의 감소, 즉 neel relaxation time의 감소와 관련 있는 듯
Figure. 7. 자화율 χ"과 anisotropy energy의 추이 (Figure 2-c, 2-d)
⑷ 용매에 따른 온도 추이는 크게 다르지 않음
Figure. 8. 용매에 따른 온도 (Figure 3-a)
⑸ ILP도 큼
Figure. 9. ILP (Figure 3-b)
⑹ in vitro : 온도를 많이 높여서 세포 사멸율이 큼
Figure. 10. in vitro 실험 (Figure 4-e)
⑺ in vivo : tumor volume이 작음.
① Mg0.13-γFe2O3를 직접 주입함
② hyperthermia를 하고 day 수를 잰 듯
Figure. 11. in vivo 실험 (Figure 5-g)
입력 : 2020.03.31 09:05
- 출처 : Das, Pradip, Miriam Colombo, and Davide Prosperi. "Recent advances in magnetic fluid hyperthermia for cancer therapy." Colloids and Surfaces B: Biointerfaces 174 (2019): 42-55. [본문으로]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