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거시경제학】 1강. 거시경제학의 기초

 

1강. 거시경제학의 기초]

 

추천글 : 【거시경제학】 거시경제학 목차


1. 개요 [본문]

2. 국가경제의 생산, 소득, 지출순환 [본문]

3. 국민소득통계 [본문]

4. 국가경제의 자금순환 [본문]

5. 5대 국민계정통계 [본문]

6. 거시경제현상 [본문]


 

1. 개요 [목차]

⑴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① 미시경제학 : 주어진 여건에서 개별 경제주체의 최적화 결정을 다룸

② 거시경제학 : 집계변수를 다룬다는 점에서 미시경제학과 차이가 있음

⑵ 유량과 저량

① 유량(플로, flow) : 일정한 기간을 기준으로 그 양을 재야 하는 것 (예 : 수요량, 소득, 소비, 투자 등)

② 저량(스톡, stock) : 일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양을 재야 하는 것 (예 : 재산, 통화량)

⑶ 명목변수와 실질변수

① 명목 GDP와 실질 GDP (아래 GDP 참고)

② 실질 환율

 

 

○ p : 국내 물가

○ pf : 해외 물가

○ e : 명목 환율

 

 

2. 국가경제의 생산, 소득, 지출순환 [목차]

⑴ 가계부문

 

 

① Y : 수입

② T : 세금

③ C : 소비

SP : 민간저축

⑵ 기업부문

⑶ 정부부문

 

 

① 이전지출 : 정부가 가계에게 대가 없이 지급한 것

② T : 조세

③ G : 정부지출

○ 재난소득은 상품권을 구입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이전지출이 아니라 정부지출 성격이 있음

④ SG : 정부저축

○ 균형재정(balanced budget) : 정부저축(T - G) = 0인 경우

○ 재정적자(budget deficit) : 정부저축(T - G) < 0인 경우

○ 재정흑자(budget surplus) : 정부저축(T - G) > 0인 경우

⑷ 해외부문

 

 

① X : 수출

② Q : 수입

③ NX : 순수출

⑸ 생산물의 총수요 : 생산물시장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표시

 

 

① C : 소비

② I : 투자

③ G : 정부지출

④ X - Q : 순수출, 경상수지

⑤ 수입 Q는 총수요를 일부 해소하는 성격이 있음

팁. 기업이 생산한 재화 중 팔리지 않은 부분은 재고투자로 간주되어 기업의 투자에 포함됨

팁. 소비, 투자, 정부지출 중에서 변동성이 가장 큰 것은 투자임

⑧ (주석) 재고투자 간주 등 위 식은 항상 일치하게 만든 항등식

⑹ 균형국민소득

 

 

Sp + T + Q : 국가경제의 소득순환에서 누출의 합계

○ 수입 Q는 국내 수요를 충족하므로 누출에 해당

② I + G + X : 국가경제의 소득순환에서 주입의 합계

○ 수출 X는 국내 수요를 증가시키므로 주입에 해당

③ 주입 > 누출 : 국민소득 증가

④ 주입 = 누출 : 국민소득 일정

⑤ 주입 < 누출 : 국민소득 감소

⑺ 3면 등가의 법칙 : 폐쇄경제 하에서 다음이 성립함

① 생산국민소득 (GDE, gross domestic expenditure) : 가계가 생산물시장을 위해 지출한 구입대금

② 분배국민소득 (GDI, gross domestic income) : 가계가 생산요소시장으로부터 얻은 요소소득

③ 지출국민소득 (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 기업이 생산물시장으로부터 얻은 판매수입

④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 생산국민소득 = 분배국민소득 = 지출국민소득 ( 자금의 균형)

 

 

3. 국민소득통계 [목차]

⑴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속지주의

○ 내국인이 외국에서 생산한 것은 제외함

○ 외국인이 국내에서 생산한 것을 포함함

② 생산

○ 지하경제 : 사채, 부동산 투기, 밀수, 마약, 탈세. GDP에 포함되지 않음

○ 이전거래 : 상속, 증여. GDP에 포함되지 않음

○ 자본이득 : 주식가격변동, 부동산가격변동. GDP에 포함되지 않음

○ 정부의 이전지출 : 실업수당, 재해보상금, 보조금 등. GDP에 포함되지 않음

여가, 주부의 가사노동 등은 GDP에 포함되지 않음

예외 : 귀속임대료, 자가소비농산물, 국방 및 치안서비스

보충설명]

○ 신규주택 매입액은 GDP에 포함됨. 중고주책 매입액은 GDP에 포함되지 않음

○ 현물소득은 GDP에 포함됨. 복권 당첨금은 GDP에 포함되지 않음

○ 회사채와 은행이자는 GDP에 포함됨. 국공채이자는 GDP에 포함되지 않음

③ 최종 생산물

○ 중간 생산물을 포함시키면 중복계산이 되므로 배제함

④ 이전지출은 직접적으로 GDP에 포함되지 않지만 소비를 통해 간접적으로 GDP에 포함됨

○ 이전지출이 GDP에 포함되지 않는 이유 : 시장가치가 있는 상품이 아니고 반대급부도 없기 때문

○ 소비자의 행위에 따라 GDP의 기여도가 달라짐

⑤ 명목 GDP와 실질 GDP

○ 명목 GDP : 화폐액으로 표현된 변수

○ 비교년도의 물가로 표현함

○ 단점 :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음

○ 실질 GDP : 상품 수량으로 표현된 변수

○ 기준년도의 물가로 표현함

○ 기준년도에는 명목변수와 실질변수가 항상 같음

○ 장점 :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받지 않음

○ GDP 디플레이터(GDP deflator)

○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

○ GDP 통계로부터 사후적으로 산출되는 가장 포괄적인 의미의 물가지수 (파셰방식)

⑥ 실제 GDP와 잠재 GDP

○ 실제 GDP : 한 나라의 경제가 실제로 생산한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

○ 잠재 GDP : 한 나라에 존재하는 모든 생산자원을 정상으로 고용했을 경우 생산할 수 있는 최종 생산물의 시장가치

○ 잠재 GDP = 완전고용산출량 = 자연산출량

○ (주석) 잠재 GDP가 최대 GDP가 아님을 유의

○ GDP 갭 = 잠재 GDP - 실제 GDP

○ GDP 갭 > 0 : 실업이 존재. 총수요 증대의 필요성이 있음

○ GDP 갭 < 0 : 경기 과열. 총수요 억제의 필요성이 있음

⑦ 각국의 GDP 수준

○ 대한민국 : 연 2000조 원

⑵ 분배 GDP (GDI, gross domestic income) : 구매력의 척도

① GDI = (임금 + 이자 + 지대 + 이윤) + 순간접세 + 고정자본소모

② 최종 생산물을 생산하는데 참여한 생산요소들에 대한 대가인 요소소득을 합하여 국민소득을 추정하는 방법

③ 명목 GDP = 명목 GDI

④ 실질 GDP < 실질 GDI (교역조건 개선)

⑤ 실질 GDP > 실질 GDI (교역조건 악화)

⑥ (주석) 교역조건을 자본수지와 경향성이 비슷한 듯

○ 환율이 상승할 경우 수출가격이 하락하므로 교역조건이 악화됨

○ 수입가격이 하락할 경우 교역조건은 개선됨

⑦ (참고) 실질 GDP에는 교역조건 변동이 반영되지 않음 : 실질 GDI = 실질 GDP + 교역조건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⑶ 지출 GDP (GDE, gross domestic expenditure)

① GDE = 민간소비지출 (C) + 국내총투자 (I) + 정부지출 (G) + 순수출 (X-M)

⑷ 국민총생산(GNP, gross national product)

외국인 노동 등에 의해 국민총생산보다 국내총생산이 더 선호됨

⑸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①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 국민이 소유하고 있는 생산요소를 국내외에 제공한 대가로 벌어들인 소득

② 국민들의 생활수준, 후생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소득지표

③ GDI와의 비교

○ GDI는 속지주의를 취하고 있으나, GNI는 속인주의를 취하고 있음

○ GDI로부터 GNI를 구하기 위해서는 국외 순수취 요소소득을 더해줘야 함

(구별개념) 국부(national wealth)

① 한 나라가 가지고 있는 부의 크기 : 한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물리적 자산과 순해외자산의 합

② 국내금융자산은 채권액과 채무액이 국내 전체로 보면 서로 상계되어 순부가 0이 되므로 포함시키지 않음

(참고) 국민소득과의 비교

○ 국부는 저량(stock)의 개념. 국민소득은 유량(flow)의 개념

○ 국부는 국민소득 창출의 근원

○ 국민소득국부와 노동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소비, 저축, 투자의 근원

⑺ 기타 경제학 지표

① 빅맥지수(BigMac index)

○ 120여 개국의 맥도널드의 빅맥의 가격으로 그 사회의 통화가치를 비교하는 주요 지수

○ 영국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가 분기마다 작성하여 발표

○ 빅맥이 세계적으로 품질, 크기, 재료가 표준화되어 있어 어느 곳에서나 실질 가격이 동일하다고 가정 

②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 미국 대표 주가지수

③ 샤프지수(Sharpe ratio) :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펀드의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

센지수(San index) 

앳킨스 지수(Atkinson index) : 사회의 후생함수에 기초를 두고 소득분배의 불평등도를 측정하는 방법

⑥ 엥겔지수(Engel coefficient) : 소비 지출 총액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

지니계수(Gini's coefficient) : 빈부격차와 계층간 소득의 불평동 정도의 수치. 0(완전평등)부터 1(완전불평등)까지 표시

⑧ Nifty-50 지수 : 인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인도 최대 기업 50개의 가중평균을 나타내는 인도 증시 지수

⑨ 고통지수(misery index) :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합한 수치로, 일반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측정하는 용도

⑩ 홍콩항셍지수(HSI)

 버핏지수 := 해당 국가의 시가총액 / 국내총생산 (GDP) * 100

 

버핏지수 설명
버핏지수 < 81% 시장이 현저히 저평가
81% < 버핏지수 ≤ 104% 시장이 적당히 저평가
104% < 버핏지수 ≤ 127% 시장이 공정한 가치
127% < 버핏지수 ≤ 150% 시장이 적당히 과대평가
150% < 버핏지수 시장이 현저히 과대평가

Table. 1. 버핏지수별 의미

 

 

4. 국가경제의 자금순환 [목차]

⑴ 금융제도

⑵ 가계, 기업, 정부와 금융과의 관계

① 가계는 자금의 흑자부문

○ 가계 소득이 가계 소비보다 크기 때문

○ 가계는 잉여 자금의 자산 운용 방법이 중요함

② 기업은 자금의 적자부문

○ 실물 자산이 내부 자금보다 크기 때문

○ 기업은 필요 자금의 조달 방법이 중요함

⑶ 금융기관

 

 

5. 5개 국민계정통계 [목차]

 

출처  :  거시경제론 12판, 제1장, ⓒ 정운찬, 김영식

Figure. 1. 우리나라의 국민계정체계와 5대 국민계정통계]

 

산업연관표 (플로계정)

⑵ 국민소득통계 (플로계정)

⑶ 자금순환표 (플로계정)

① 정의 : 자본계정과 금융계정을 통해 자산 거래의 결과를 나타낸 표

② 자본계정 : 자금의 산업적 유통, 즉 실물경제활동을 기록

③ 금융계정 : 자금의 금융적 유통, 즉 금융자산 거래를 기록

○ (참고) 가장 대표적인 비금융자산 : 부동산

⑷ 국제수지표 (플로계정)

① 정의 : 국가 간에 발생한 거래를 나타낸 표

⑸ 국민대차대조표 (스톡계정)

 

 

6. 거시경제현상 [목차]

⑴ 파레토 법칙 (2080 법칙)

①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

②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인 파레토(V. Pareto)가 소득과 부의 관계를 연구하다가 발견

③ 언제 어느 나라든지 전체 부의 80%는 20%의 사람이 갖고 있음

④ 백화점 전체 매출의 80%를 20%의 고객이 차지

 

입력: 2020.09.08 2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