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거시경제학】 7강. 케인즈의 일반이론

 

7강. 케인즈의 일반이론

 

추천글 : 【거시경제학】 거시경제학 목차


1. 개요 [본문]

2. 케인즈의 일반이론 [본문]


 

1. 개요 [목차]

케인즈의 생각

①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 노동시장에서의 신축성으로 높은 실업률이 지속될 수 없다고 생각함

② 1929년 대공황으로 10여 년 간의 기간 동안 높은 실업률이 지속되자 이 가정이 깨짐

③ 케인즈는 높은 실업률에 총수요의 감소가 중요하다고 지적함

④ 특히 소비(C), 투자(I), 정부지출(G) 중에서 정부지출의 역할을 중시함

⑤ 케인즈는 큰 정부를 지향함

가정 1. 가격변수의 경직성

① 케인즈는 기본적으로 가격변수는 경직적이라고 생각

② 특히 임금은 근로계약기간, 노동조합 영향력 등으로 하방 경직성이 있다고 가정함

○ 노동의 초과 수요가 있을 때 명목임금은 쉽게 상승할 수 있음

○ 노동의 초과 공급이 있을 때 명목임금은 쉽게 하강할 수 없음

가정 2. 불완전 정보

① 노동수요 : 실질임금의 함수

② 노동공급 : 명목임금의 함수

③ (참고) 즉, 노동자는 명목임금을 중심으로 사고하므로 화폐환상에 빠진다고 보았음

가정 3. 유휴설비의 존재

경제는 불황이라고 보고 완전 고용 산출량까지 생산량을 늘려도 생산비가 상승하지 않음

② 총수요가 증가하여 총공급이 증가하더라도 물가가 고정돼 있다는 가정이 유효할 수 있음

③ 이 내용을 극단적으로 가정하면 수평의 AS 곡선이 도출됨

가정 4. 유효 수요의 원리

① 기본적으로 케인즈의 일반이로는 경제 불황을 가정함

② 불황 하에서는 총수요의 부족으로 충분한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음

③ 총수요가 증대되면 유효설비의 수가 감소하여 물가의 상승 없이 국민소득(총생산)이 증가한다고 보았음

④ (참고) 호황 하에서는 총공급으로 국민소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음

⑹ 케인즈는 불황, 단기에 적합하고 고전학파 이론은 호황, 장기에 적합함

 

 

2. 케인즈의 일반이론 [목차]

1단계. 생산물시장의 균형

소비수요(C)

○ 가처분소득 : (주석) 처분이 가능하다는 것이지 가처분을 의미하는 게 아님

 

 

○ 절대소득가설 : 단순화된 케인즈 모형은 기초소비(C0)를 0으로 설정

 

 

○ 한계소비성향(MPC,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 가처분소득이 1 단위 증가할 때 소비가 증가하는 비율

 

 

② 투자수요(I)

○ 투자는 크게 설비투자, 건설투자, 재고투자로 구분됨

○ 고전학파는 이자율을 중시하였으나, 케인즈는 기업가의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 국민소득 등을 더 중시함

○ 투자함수

 

 

○ I0 : 독립투자수요. 이자율이나 국민소득에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투자수요

○ iY : 유발투자수요. 단순화된 케인즈 모형에서는 이를 포함시키지 않음

③ 정부수요(G) 및 순수출(X-Q)

○ 정부지출은 정책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국민소득과 무관하게 일정하고 그 크기가 주어져 있음

○ 단순화된 케인즈 모형에서는 정부수요 및 순수출을 0으로 둠

총수요곡선(AD curve) : 총수요수준 E에 대하여,

 

 

○ 총수요곡선은 완만하게 표현됨 : 한계소비성향이 1보다 작으므로

2단계. 화폐시장의 균형

① 개요

○ (참고) IS-LM 모형의 경우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을 분석함으로써 총수요곡선을 도출함

○ 케인즈의 일반이론의 경우 생산물시장만으로도 총수요곡선을 도출할 수 있음

이자율의 결정

○ (참고) 고전학파의 이자율 결정

대부자금설 : 실물 부문의 자금 수요와 공급에 의해 이자율이 결정 (즉, 저축과 투자가 결정)

○ IS 곡선이 완만함. LM 곡선이 가파르게 나타남

○ 케인즈학파의 이자율 결정

유동성 선호설 : 케인즈는 화폐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이자율이 결정된다고 봄

케인즈는 유동성 함정을 가정함

○ IS 곡선이 가파르게 나타남. LM 곡선이 완만함

3단계. 총공급곡선 : 가정 1 또는 가정 2 하나만 만족해도 됨

가정 1. 화폐환상 : 물가예상 Pe와 실제 물가 P가 달라 노동자들이 명목임금 W = P·w의 변화를 실질임금의 변화로 착각하는 것 (즉, 물가수준에 대한 정태적 기대) 

○ 노동 공급 : 물가수준이 상승하더라도 노동자들이 예상을 바꾸지 않는 한 노동공급곡선이 변하지 않음

노동 수요 : 노동 수요자인 기업은 실질임금에 직면하고 있으므로 물가가 하락하면 노동 수요곡선은 좌측이동

결론 1. 노동 공급은 명목임금의 함수. 노동 수요는 실질임금의 함수

결론 2. 균형고용량은 전적으로 노동수요에 의해 결정됨

가정 2. 명목임금의 하방경직성

 

Figure. 1. 명목임금의 하방경직성

 

이유 1. 노동계약은 수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을 단위로 체결됨

이유 2. 노동시장에서 노동자들은 명목임금의 하락을 받아들이지 않음 (노동시장의 하방경직성)

이유 3. 수량이 적은 경우 유휴설비가 존재하므로 수량이 증가해도 명목임금이 증가하지 않음 (추후 수정)

○ 노동 공급 : 명목임금의 하방경직성으로 인해 물가가 하락해도 노동공급은 변하지 않음

○ 노동 수요 : 노동 수요자인 기업은 실질임금에 직면하고 있으므로 물가가 하락하면 노동 수요곡선은 좌측이동

결론 1. 노동 공급은 명목임금의 함수. 노동 수요는 실질임금의 함수

결론 2. 균형고용량은 전적으로 노동수요에 의해 결정됨

총공급곡선(AS curve) : 총수요수준 E에 대하여, 

 

 

총 공급곡선은 45°선으로 표현

○ 이유 :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있으면 공급은 자동으로 충족되기 때문

잠재적 국민소득수준(Y*)에 도달하면 공급곡선은 수직선이 됨

○ 잠재적 국민소득수준 : 완전고용수준에서의 국민소득

○ 이유 : 이미 완전고용수준이므로 총수요수준이 증가해도 가용자원이 없어 산출량이 증가하지 않음

4단계.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출처  :  정운찬, 김영식, 거시경제론, 율곡출판사, 2015.

Figure. 2. 케인즈 이론에 따른 균형국민소득의 결정]

 

 

① 단순화된 케인즈 모형에서는 정부지출 G와 순수출 X-Q를 0으로 둠

② 저축 > 투자 : 다음 기에 투자 감소

③ 저축 < 투자 : 다음 기에 투자 증가

④ 저축 = 투자 : 생산 불변. 즉, 균형 달성

⑤ 총산출 갭 : 주황색으로 표시. 균형국민소득 - 잠재적 국민소득

 

 

⑸ 결론

해석 1. 호황상태, 불황상태

○ 호황상태 : 물가가 증가함. 유효수요 초과분을 인플레이션 갭이라고 함

○ 물가가 상승하는 이유 : 새롭게 설비를 증축함에 따라 공급단가가 높아지므로

○ 불황상태 : 유효수요 부족분을 디플레이션 갭이라고 함

○ 케인즈는 기본적으로 경기 불황을 가정하며, 이는 수요 부족이 원인이라고 진단

○ 정부 지출을 늘리면 유효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에 디플레이션 갭만큼 증가시키면 정상상태가 될 것이라고 생각

○ (참고) 케인즈는 경기 불황 상태에서 정부 지출이 유일한 해결수단이라고 생각

해석 2. 승수이론

○ 승수 : 균형국민소득 증가분 ÷ 독립지출 증가분

○ 승수는 Y 대 AD 곡선의 기울기의 역수와 같음

○ 수식적 해석 : G 증가 → Y 증가 → Yd 증가 → Y 증가 → Yd 증가 → ···

 

 

해석 3. 정부 지출의 효과 : 비례세 T = tY, 외생변수 G에 대하여,

 

 

해석 4. 절약의 역설

경제가 안 좋으면 각 개인은 저축을 늘림 → 경기 불황을 촉진시킴

개인적 합리성이 사회 전체의 합리성과 일치하지 않는 오류

○ 승수이론과 비슷한 논리로 유발투자가 있는 경우 국민 소득을 더 빠르게 감소시킴

경우 1. 저개발 국가 : 재원이 부족하여 저축이 투자로 충분히 이뤄져 저축이 사회적으로 미덕

경우 2. 선진국 경제, 경제불황기 : 투자기회 부족으로 저축의 증가가 투자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음. 절약의 역설

 

입력: 2020.09.26 1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