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강. 외생적 경제성장이론
추천글 : 【거시경제학】 거시경제학 목차
1. 헤르드-도마 모형 [목차]
⑴ 레온티에프 생산함수 : 노동과 자본 간의 대체가 완전 불가능
⑵ 균형조건
⑶ 문제점 : 불안정적 균형
① 균형조건의 저축률(s), 자본계수(v), 인구증가율(n)이 모두 외생적으로 결정되어 균형 달성이 불안정적
② 균형 이탈 시 자동복귀가 불가능함
2. 솔로우 모형 [목차]
⑴ 가정 1. 인구 증가
① n : 연평균 인구성장률 > -1
② 장기적 경제성장 모형에서 인구는 노동력을 의미함
③ 단기적 경제성장 모형에서 실업 문제가 중요함
⑵ 가정 2. 주입과 유출의 균형
① Yt : t 기 총소득 (총생산소득)
② s : 저축 비율 또는 한계 저축 성향(MPS, marginal propensity to save)
③ 1-s : 소비 비율 또는 한계 소비 성향(MPC,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일반적으로 0.6으로 주어짐
④ 단, 폐쇄 경제이고 민간부문만을 고려하므로 정부지출과 순수출을 고려하지 않음
⑶ 가정 3. 콥-더글라스 생산함수 : 노동과 자본 간의 대체가 가능함
① 총 산출량
② 1인당 산출량
③ 특징 1. 원점을 지남
④ 특징 2. 규모수익불변 : 각 생산요소를 두 배 증가시키면 생산량도 두 배 증가
○ yt : Yt / Lt. 1인당 산출량
○ kt : Kt / Lt. 1인당 자본량
○ zt : 총요소 생산성. 솔로우 잔차라고도 함
⑤ 특징 3. 한계생산체감 : 다른 투입 요소를 고정하고 어느 하나의 투입 요소가 증가했을 때 한계생산이 감소함
⑷ 가정 4. 총 자본량 축적 과정
① Kt : t 기 총자본량
② It : t 기 총투자
③ d : 자본단위당 감가상각률
④ 감가상각 : 공장이나 기계설비와 같은 고정자산을 사용할수록 마모가 되는 것
⑸ 균형 자본량의 기간 간 축적과정
⑹ 1인당 균형자본량 축적과정
① 균제상태(steady state)
○ 노동과 자본의 완전고용상태가 이루어짐 : 경제성장률 = 자본증가율 = 인구증가율 + 감가상각률
○ 우변 : 1인당 자본량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본축적량
○ 좌변 : 균형 저축량 = 자본이 실제로 투자된 양
② 기술진보율 g를 포함한 경우
○ 이유 : 효율노동은 인구성장률과 기술진보율의 합만큼 증가함
③ 산업혁명 이후 zt가 계속 증가해 왔으므로 수렴상태에 도달하지 않았음
⑺ 황금률 자본량과 황금률 저축성향
① 균제상태에서 1인당 소비
② 황금률 자본량 : 균제상태에서의 소비 c*를 극대화하는 1인당 자본량
○ (참고) 소비자들은 소비를 최대화할 때 만족도가 높으므로 이를 최대화 하는 비율을 황금률이라고 함
③ 황금률 저축성향 : 황금률 자본량 수준에서의 균제 저축성향
○ 1인당 생산함수가 f(k) = kα인 경우, 황금률 저축률은 총요소생산성(z), 인구증가율(n), 감가상각률(d)과 무관
○ 생산함수가 콥-더글라스 함수인 경우 황금률 저축성향은 자본소득 분배율과 일치함
○ 솔로우 모형은 실제 저축률이 황금률 저축률과 일치하지 않을 때 양자의 불일치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이 없음
○ 따라서 정부가 개입하여 실제 저축률을 황금률에서의 저축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음
④ 황금률에서의 상태
○ 자본소득 = 투자 = 저축
○ 노동소득 = 소비
○ 저축률 = 자본소득 분배율
○ 경제성장률(n) = 자본의 순환계생산물(MPk - d)
⑻ 문제점 1. 수확체감의 법칙 성립 : 장기적 경제성장을 가져오는 원동력을 설명할 수 없음
① 경제성장의 요인 : 요소투입의 증가, 기술진보
② 요인 1. 요소투입의 증가
○ 1인당 소득과 인구 증가율 간 역의 상관관계 : 인구 증가율 감소는 지속적 경제성장을 가져오지 못함
○ 1인당 소득과 저축률 간 양의 상관관계 : 저축률 증가는 지속적 경제성장을 가져오지 못함
○ 예 : 1960년대 한국의 저축률은 20%에 달했음
○ 경제적 총생산수준을 증가시키지만 1인당 산출량 증가에 한계가 있음 : 수준효과만 존재
③ 요인 2. 기술진보
○ 기술 진보가 지속적인 경제 성장의 요인이라고 하지만 기술 진보의 요인을 모형 내에서 설명하지 못함
④ (참고) 장기적 경제성장이란, 한국으로 치면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성장을 이름
⑼ 문제점 2. 수렴가설 : 국가 간 지속적인 소득격차를 설명할 수 없음
① 폐쇄경제 가정
○ 솔로우 모형의 한계생산체감 가정에 의해 가난한 나라에서 자본축적속도가 빠름 → 국가 간 소득이 수렴
② 개방경제 가정 : 소득의 수렴이 더욱 가속화됨
○ 부유한 나라는 자본한계성 MPk가 낮음
○ 가난한 나라는 자본한계성 MPk가 높음
○ 결론 : 물적자본은 부유한 나라에서 가난한 나라로 이동
③ 실제로 세계 각국의 1인당 소득은 수렴하지 않지만 부유한 국가들 사이에서는 수렴함
④ 원인 1. AK 모형과 같이 내생적 성장모형에서는 자본의 한계생산성이 체감하지 않음
⑤ 원인 2. 국가경제의 기술수준(총요소생산성), 생산함수, 저축률, 인구증가율, 감가상각률 등이 다르면
○ (참고) 절대적 수렴 : 초기 자본만 다른 두 나라는 동일 소득 수준으로 수렴
○ (참고) 조건부 수렴 : 다른 조건이 동일해야 두 나라의 소득 수준이 수렴함
○ 실증분석 결과 국가 간 기술수준 차이가 조건부 수렴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짐
⑽ 균형성장경로(balanced growth path)
① 장기성장균형 또는 균제상태는 1인당 산출량, 자본량, 소비 등이 일정률로 성장하는 상태
② 장기성장균형 또는 균제상태는 일정률 = 0인 특수한 균형성장경로
입력: 2020.09.21 11:19
'▶ 사회과학 > ▷ 거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학】 5강. 장기적 경제성장 추가 요인 (0) | 2020.10.10 |
---|---|
【거시경제학】 4강. 내생적 경제성장이론 (0) | 2020.09.28 |
【거시경제학】 8강. IS-LM 모형 및 IS-LM-BP 모형 (0) | 2020.09.28 |
【거시경제학】 7강. 케인즈의 일반이론 (0) | 2020.09.26 |
【거시경제학】 6강. 고전학파 국민소득결정이론 (0) | 2020.09.2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