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거시경제학】 10강. 동태적 AD-AS 모형과 필립스 곡선

 

10강. 동태적 AD-AS 모형과 필립스 곡선

 

추천글 : 【거시경제학】 거시경제학 목차


1. 인플레이션 [본문]

2. 동태적 총수요·총공급 모형 [본문]

3. 필립스 곡선 [본문]

4. 화폐금융정책 [본문]


 

1. 인플레이션 [목차]

인플레이션(inflation)

① 정의 : 물가수준이 여러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현상 (↔ 디플레이션)

② 인플레이션의 효과

○ 효율성의 해악 : 실물자산의 과잉투자, 장기 대차계약 성립 방해

○ 공평성의 해악 : 화폐자산의 채권자로부터 화폐자산의 채무자에게로 부를 이전시키는 효과

○ 때로는, 현금 및 공채를 보유한 민간에서 그 발행자인 정부에게로 부를 이전시키는 효과

인플레이션율

 

 

④ 기대인플레이션율 : 물가수준 변화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기대를 반영

 

 

종류 1.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 총수요의 증가로 인한 물가 상승 : 국민소득과 물가가 동시에 증가

○ 케인즈 학파 : ΔG ↑ → IS 우측 이동 → AD 우측 이동

○ 정부지출의 계속적인 증가는 불가능

○ 인플레이션이 과도한 경우 총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긴축정책을 실시해야 한다고 봄

○ 통화주의 학파 : M ↑ → LM 우측 이동 → AD 우측 이동

○ 정부지출과 달리 통화량의 공급은 무한정 이루어질 수 있음

종류 2.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 총공급의 감소로 인한 물가 상승 : 국민소득은 감소하는데 물가는 증가하므로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발생

종류 2-1. 임금인상 인플레이션 : 노동자들이 노동생산성 증가속도를 초과하는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경우

종류 2-2. 공급충격 인플레이션 : 원유가격 상승,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

종류 3. 혼합형 인플레이션

○ 물가가 대폭 상승

⑵ 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① 부의 재분배

○ 인플레이션은 화폐 자산에서 실물 자산으로 부를 이동시키는 효과

○ 실질이자율과 실질임금이 하락하여 채권자와 노동자가 손해를 봄

○ 고정수입 소득자는 명목소득은 불변인데 실질소득은 감소하므로 손해를 봄

○ 일반적으로 정부가 민간에 대해 조세를 걷기 위해 인플레이션을 의도하기도 함

② 누진세 하에서 조세부담의 증가

○ 명목소득이 상승하기 때문에 조세부담이 증가함

③ 구두창 비용

○ 화폐환전의 거래비용이 증가함

④ 메뉴비용

○ 메뉴비용이 과다할 경우 기업은 가격을 즉각적으로 조정하지 못함

○ 재화의 상대가격이 변화하여 시장의 자원배분의 비효율성이 초래됨

⑤ 경제성장 저해

○ 사람들이 실물자산을 선호하여 금융저축이 감소함 : 부동산 등은 선호하고 예금, 주식 등은 기피함

○ 이는 장기적으로 투자재원 부족으로 경제성장을 저해함

⑥ 국제수지

○ 국내생산물의 가격이 상승하면 국제경쟁력이 하락하여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 : 국제수지 악화

⑦ 경제의 불확실성 증가

⑶ (참고) 초인플레이션(hyperinflation)

① 정의 : 인플레이션율이 수천, 수만%에 이르는 경우

② 실제로 제1차 세계대전 패배 후 독일 상황이 그러했음

③ 원인 : 정부가 화폐를 발행함으로써 조세 수입을 얻으려고 하기 때문

○ 화폐 발행 → 물가 상승 → 물가 상승으로 더 많은 화폐 발행 → 더 많은 물가 상승 → ···

⑷ (참고) 디플레이션

① 정의 : 총수요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물가가 하락하고 국민소득이 감소하는 현상

② 원인

○ 1990년대 일본의 디플레이션과 1930년대 세계대공황은 자산가격 폭락이 디플레이션의 원인이 됨

③ 효과

○ 물가하락은 부채를 상승시켜 가계의 가처분소득을 감소시킴

○ 가처분 소득의 감소는 소비를 감소시키며 금융기관을 부실화시킴

○ 디플레이션으로 명목이자율이 0에 가까워지면서 유동성 함정에 빠짐 : 아래의 피셔 방정식을 참고

⑸ (참고) 골디락스(goldilocks)

정의 : 경제가 높은 성장을 이루고 있더라도 물가 상승이 없는 상태

② '골디락스와 세 마리 곰'이라는 영국의 전래동화에서 유

 

 

2. 동태적 총수요·총공급 모형 [목차]

개요

동태적 경제변수들의 단기변동을 설명

② 즉, 경제변수들이 변화율로 표현됨

⑵ 동태적 총수요곡선 : (주석) 이제 내생변수가 명목이자율과 실물이자율로 구분

① 피셔방정식(Fisher equation)

○ 명목이자율 (Rt) : 화폐단위로 측정된 이자율

○ 실질이자율 (rt) : 실물재화로 표시한 이자율

사후적 실질이자율

 

 

○ 사전적 실질이자율

 

 

○ (참고) 다비효과(Darby effect) : 예상인플레이션이 명목이자율에 모두 반영된 경우에도 실제로는 조세제도를 고려하여 여전히 채권자가 손해를 볼 수 있음

② 명목이자율과 실질이자율

○ 명목이자율 : 화폐수요를 결정. (참고) 화폐수요 증가는 실질화폐공급 감소

 

 

○ 실질이자율 : 투자수요를 결정. 건설, 설비, 재고 등의 투자는 실물투자이기 때문

 

 

③ 동태적 총수요곡선

 

출처  :  서울대학교 거시경제론(김영식 교수님) 수업

Figure. 1. 동태적 총수요곡선]

 

 

○ 점의 이동 : 인플레이션율의 하락(π0 → π1)은 실질통화공급을 증가시켜 LM 곡선을 우측이동

○ 실질통화공급의 증가 : (주석) 통화가 물가상승에 쓰이지 않아 간접적으로 통화공급이 된다는 뜻인 듯

○ 곡선의 이동 : 기대인플레이션율의 상승 → 실질이자율 하락 → 투자 증가 → AD 곡선 우측이동 (델 -토빈 효과)

○ 실질이자율-국민소득 곡선에서 LM 곡선의 우측이동 : 실질이자율 하락, 국민소득 증가

○ 명목이자율-국민소득 곡선에서 IS 곡선의 우측이동 : 명목이자율 상승, 국민소득 증가

○ | 명목이자율 상승분 | + | 실질이자율 하락분 | = 기대인플레이션율의 상승분

⑶ 동태적 총공급곡선

① 노동공급 : 예상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하면 노동공급이 감소함 ( 실질임금 하락에 대한 기대) (즉, 예상과 관련)

 

 

② 노동수요 : 인플레이션율이 증가하면 노동수요가 증가함 ( 실질임금 감소) (즉, 실제와 관련)

 

 

③ 동태적 총공급곡선

 

출처  :  서울대학교 거시경제론(김영식 교수님) 수업

Figure. 2. 동태적 총공급곡선]

 

 

점의 이동 : 인플레이션율 상승(π0 → π1) → 실질임금 감소 → 노동수요 증가

○ 곡선의 이동 : 기대인플레이션율 상승 → 명목임금 비용 증가 → 노동공급 감소 → AS 곡선 좌측이동

○ 명목임금 비용 : W' - πe (즉, 노동자들은 πe만큼의 손실이 있다고 생각)

○ 명목임금의 비용 증가는 기대실질임금의 감소와 동일한 의미

오쿤의 법칙(Okun's law)

 

 

균형고용증가율은 실업률과 역의 관계 : 경험적으로 실업률 갭이 1% 상승 시 산출량이 2.5% 감소

un : 자연실업률(natural rate of unemployment). 완전고용 산출량에 대응되는 장기균형 실업률

⑤ 결론 : 필립스 곡선의 도출

 

 

⑷ 동태적 총수요, 총공급 균형 : 예상치 못한 통화성장률의 증가가 있었다고 가정하면,

 

출처  :  서울대학교 거시경제론(김영식 교수님) 수업

Figure. 3. 동태적 총수요, 총공급 균형]

 

① 1st. 초기에 총생산이 완전고용수준의 산출량에서 이루어지는 장기균형 상태에 있음

2nd. 예상치 못한 통화성장률의 증가는 화폐수요를 감소 : LM 곡선 우측이동, IS 곡선 불변

○ 민간의 기대인플레이션율(π0e)은 단기적으로 일정하므로 IS 곡선은 이동하지 않음

3rd. 주어진 기대인플레이션율(π0e) 하에서 AD 곡선이 우측이동

4th. 화폐금융정책의 유동성 효과(liquidity effect) : 명목이자율 하락, 실질이자율 하락, 국민소득 증가

○ 실질이자율 하락 : 명목이자율 - 기대인플레이션율(고정)이므로 명목이자율과 같이 움직임

5th. 균형 인플레이션율이 증가하므로 실질화폐공급이 감소하여 LM 곡선이 약간 좌측이동

6th. 장기적으로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실제인플레이션율 수준으로 상향조정

7th. 기대인플레이션율의 증가로 실질이자율이 감소하여 AD 곡선 우측이동

8th. 기대인플레이션율의 증가로 명목임금상승률이 증가하여 AS 곡선 좌측이동

9th. 국민소득이 완전고용수준으로 돌아옴에 따라 실질통화공급이 감소하여 LM 곡선이 좌측이동

⑩ 10th. 장기적으로 통화량의 증가는 생산량, 실질이자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

○ 동태적 총공급·총수요 모형은 고전학파 가정에서 나왔으므로 장기적으로 산출량은 균형산출량이 됨

○ Y = C + I + G에서 Y = Y*로부터 I = 일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실질이자율은 초기와 동일

인플레이션율만큼 명목이자율 증가

○ 이를, 기대인플레이션 효과(expected inflation effect) 또는 피셔효과(Fisher effect)라고 함

 

 

3. 필립스 곡선(Philips curve) [목차]

⑴ 정태적 기대에 대한 필립스 곡선 : 고전적 필립스 곡선이라고도 함

총산출량과 인플레이션률 간의 양의 관계를 실업률과 인플레이션률 간의 역의 관계 또는 상충관계로 재해석

 

출처  :  서울대학교 거시경제론(김영식 교수님) 수업

Figure. 4. 고전적 필립스 곡선

 

② 정책적 시사점 :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을 동시에 달성할 수 없음

한계 1. 고전적 필립스 곡선은 명목임금에 집중 : 실제로 노동자나 기업은 실질임금에 집중

○ 립시(Lipsey) : 명목임금상승률과 실업의 상관관계를 연구

명목임금 상승 → 화폐환상으로 노동공급 증가 → 실질임금 하락 → 노동수요 증가 및 실업률 하락

○ 노동시장의 초과수요(공급)는 명목임금을 상승(하락)시킨다고 생각

한계 2. 19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같이 증가하여 Y 대 π 곡선이 음의 기울기를 가짐

○ 즉, 스태그플레이션은 필립스 곡선의 불안정성을 증명함

⑵ 적응적 기대와 필립스 곡선 : 자연 실업률 가설(natural rate of unemployment hypothesis)이라고도 함. 1970년에 제안

 

출처  :  서울대학교 거시경제론(김영식 교수님) 수업

Figure. 5. 적응적 기대에 따른 필립스 곡선]

 

① 개요

프리드만과 펠프스 : 립시와 달리 명목임금 변화율이 아니라 예상실질임금변화율이 노동공급을 결정한다고 봄

○ 프리드만은 기대의 역할을 처음으로 강조

○ 이로 인해 예상인플레이션율이라는 개념이 도출됨

○ 스태그플레이션을 설명할 수 있게 됨

○ 고전적 필립스 곡선은 주로 총수요 변동에 의해 유발된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간의 관계를 설명

○ 스테그플레이션은 총수요 충격이 아니라 총공급 충격에 의한 것으로 필립스 곡선의 상방이동으로 해석

○ 1970년대의 인플레이션은 주로 총공급 충격에 따른 비용인상형 인플레이션이었음

② 필립스 곡선

 

 

πe : 적응적 기대에 의한 미래 인플레이션 기댓값

○ 즉, 과거의 관측 결과를 기대에 반영 :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지속적으로 오차가 발생

○ un : 자연실업률

○ 단기 : 우하향하는 필립스 곡선

○ 장기 : 수직의 필립스 곡선

③ 적응적 기대에 따른 해석

○ 적응적 기대에 따르면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율을 상향 조정하면 단기에는 잠깐이라도 효과가 나타남

○ 단기 : 우하향하는 필립스 곡선.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음 ( 화폐환상)

○ 장기 : 노동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실제와 같아져 실업률이 종전의 자연실업률 수준으로 복귀

④ 자연실업률 가설(natural rate hypothesis) : 케인즈학파가 제안

○ 정의

○ 장기 필립스 곡선은 자연실업률 수준에서 수직인 곡선으로 나타난다는 가설

○ 자연실업률을 화폐금융정책의 기준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

○ 자연실업률을 화폐금융정책 기조가 노동시장 불균형 해소에 부합하는지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

○ NAIRU(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거나 하락하지 않고 안정된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는 실업률

경우 1. 실업률 < 자연실업률 : 인플레이션이 가속

경우 2. 실업률 > 자연실업률 : 디스인플레이션이 가속

⑤ 자연실업률 가설의 한계 : 필립스 곡선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통화정책의 방향을 결정하면 안 되는 이유

한계 1. 자연실업률의 추정이 어려움 (기술적인 문제)

한계 2. 화폐금융정책의 효과가 2~3년의 시차를 두고 나타남에 따라 불확실성이 존재

즉, 2~3년 사이에 경제여건이 변화할 수 있음

한계 3. 적응적 기대를 가정함 : 경제주체의 합리적인 기대로 인해 정책무력성이 나타날 수 있음

이로 인해 경제학자들은 화폐금융정책의 즉각적인 대응에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음

⑶ 합리적 기대와 필립스 곡선 : 신고전학파인 루카스가 제안함

① 합리적 기대에 따른 해석

과거와 현재에 실현된 인플레이션율뿐만 아니라 정부 및 중앙은행의 정책기조나 경제상황 등 모든 정보를 이용
○ 합리적 기대에 따르면 중앙은행이 반드시 예상치 못한 화폐금융정책을 펼쳐야 효과가 나타남

② 예상하지 못한 정책

○ 갑작스런 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른 명목임금 상승을 실질임금 상승으로 착각하여 노동공급 증가

○ 효과 : 실질임금 하락, 실업률 감소

경우 1. 중앙은행의 예상되지 않은 확장적 화폐금융정책의 경우 : 필립스 곡선을 따라 이동

경우 2. 민간이 중앙은행을 신뢰하지 않는 경우 : 필립스 곡선을 따라 이동

③ 예상된 정책

○ 기대인플레이션만큼 명목임금이 이미 증가하여 실질임금이 불변함

○ 효과 : 실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인플레이션율만 상승함

경우 1. 예상된 확장적 화폐금융정책의 경우 : 즉시 상방이동

경우 2. 민간이 중앙은행을 신뢰하는 경우 : 즉시 상방/하방이동

○ 평균 물가상승률이 높은 나라의 경우 화폐금융정책이 있어도 산출량 증가가 크지 않음



4. 화폐금융정책 [목차]

⑴ 중앙은행의 정책 게임(policy game)

① 사회후생함수

 

 

○ 총산출량(Y)이 완전고용 산출수준(Y*)보다 커지면 실업률이 하락하기 때문에 사회후생이 증가

○ 인플레이션율(π)이 높아지면 사회후생이 감소

○ 단, α는 인플레이션의 해악에 대한 상대적 가중치

② 중앙은행의 정책목표 : 물가안정과 고용안정

경우 1. 물가상승률을 항상 0으로 유지하여 민간의 인플레이션 예상을 0으로 묶어두는 것

 

 

경우 2. 물가안정 기조가 자리를 잡아 민간의 기대인플레이션율이 0인 경우

 

 

경우 3. 민간이 중앙은행의 변경된 최적정책(π = γ/α)을 합리적으로 예상하는 경우 : 사회후생 감소

 

 

⑵ 정책의 신뢰와 준칙

① 재량(discretion)

○ 정의 : 중앙은행의 재량에 따라 수시로 화폐금융정책이 변하는 경우

○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인플레이션 편의만 야기함

○ 인플레이션 편의(inflation bias) : 민간이 공약 인플레이션을 완전히 신뢰하지 못하고 일정 부분 편견을 가지는 것

○ 최적 정책의 동태적 비일관성(dynamic inconsistency of optimal policy)

○ 정의 : 정책 당국이 시장의 암묵적 신뢰를 깨고 단기적인 정책목표를 추구할 인센티브를 가진다는 것

○ 즉, 시간에 따라 기존에 발표했던 정책과 다른 정책을 사용하게 돼 정책의 일관성이 사라지는 것

② 준칙(rule)

○ 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하여 경제주체들의 신뢰를 얻는 경우 최선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음

○ 예 : 프리드먼의 k% 준칙

 

 

⑶ 화폐금융정책의 목표설정

① 배경

○ 화폐금융정책은 효과가 오래 걸리고 가변적이어서 중간목표를 설정해야 함

○ 통화량과 이자율은 물가상승률과 실업률보다 쉽게 점검할 수 있음

② 통화량을 목표로 하는 경우

○ 장점

○ 화폐수요함수가 명목소득과 안정적인 관계를 가지면 통화량을 통해 경제성장률을 쉽게 조절 가능

○ 통화량, 특히 본원통화량은 쉽게 조절될 수 있음

○ 단점

○ 중간목표로 적당한 통화량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음

○ 화폐수요의 불안정성과 화폐공급의 내생성도 통화량을 통한 정책목표의 달성을 어렵게 함

○ 일반적으로 확대된 통화지표를 집계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림

③ 이자율을 목표로 하는 경우

장점

통화량에 비해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운영 등을 통해 비교적 쉽게 통제할 수 있음

○ 실질이자율은 실물부분에 파급효과가 큼

○ 중앙은행의 단기이자율에 대한 결정 그 자체가 하나의 신호로서 투자자의 기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단점

투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장기 실질이자율이지만 중앙은행은 실제로 단기 명목이자율만을 통제함

○ 단기 명목이자율과 장기 실질이자율 간 안정적인 관련성이 없으면 유효한 목표가 아님

통화정책의 목표로 물가안정, 고용안정뿐만 아니라 불평등 완화도 대두되고 있는 상황

화폐금융정책의 운영체제

① 물가안정목표제

통화정책의 목표를 물가안정으로 단일화하는 것

○ 물가안정목표제의 성공은 실제로 물가가 안정됐다는 견해와 중국이 국제시장에 진입하여 원가를 낮춰 물가가 안정됐다는 견해가 대립되고 있음

비판 1.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고용안정이 현안으로 떠오름○ 물가안정목표제는 금융시장을 과소평가하여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

비판 2. 물가안정목표제는 애초에 고인플레이션일 때 나온 이론으로 대침체 상황에서 유효 수요 창출에 실패

② 물가수준목표제

③ 테일러 준칙(Taylor rule)

목표 명목정책금리 = 균형 명목정책금리 + α × 산출 갭 + β × 인플레이션 갭

○ 균형 명목정책금리 = 인플레이션율 + 균형 실질정책금리

○ α > 0 : 목표 정책금리가 산출갭에 반응하는 정도

 

 

β > 0 : 목표 정책금리가 인플레이션갭에 반응하는 정도

 

 

인플레이션 억제에 대한 점진주의 전략(gradualism strategy)

정책당국이 통화증가율을 점진적으로 낮추어 인플레이션율을 억제하는 방법

인플레이션 억제에 대한 급랭주의 전략(cold turkey strategy)

정책당국이 한꺼번에 통화증가율을 큰 폭으로 낮추는 방법

○ 장점 : 정책당국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어 신뢰성 확보에 장점이 있음

○ 단점 : 정책당국이 신뢰를 확보하지 못하거나 가격변수가 경직적이면 과도한 실업률 증가로 커다란 후생손실 발생

⑸ 응용

① 리카도 대등정리(Ricardian equivalence theorem)

○ 정의 : 정부 지출이 고정된 상태에서 조세를 감면하고 국채 발행을 통해 지출 재원을 조달하더라도 경제의 실질 변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내용

○ (주석) 희생 없는 이득은 없다

○ 리카도 대등정리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 정부부채 누적으로 현재의 확대재정정책에 따른 적자보전을 위해 앞으로 조세 증가가 예상된다면, 소비자들이 소비를 줄이거 저축을 늘려 재정정책의 효과가 상쇄될 수 있음

② 부채 디플레이션(deflation)

경제에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동시에 국민소득이 감소하는 연쇄과정

 

입력: 2020.11.25 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