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거시경제학】 9강. AD-AS 모형

 

9강. AD-AS 모형 (총공급·총수요 모형)

 

추천글 : 【거시경제학】 거시경제학 목차


1. (참고) IS-LM 모형 [본문]

2. 총수요 [본문]

3. 총공급 [본문]

4. 총수요와 총공급의 균형 [본문]


 

1. (참고) IS-LM 모형 [목차]

한계 1. 고정된 물가수준에 대한 모형

한계 2. 총공급에 대한 고려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음

 

 

2. 총수요(aggregate demand; AD) [목차]

⑴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① 대체효과 : 거시경제학에서는 해당 없음 ()

② 이자율효과 : 물가 하락 → 실질 통화 공급 증가 → 이자율 하락 → 민간소비 및 투자 증가 → 총수요 증가

③ 실질잔고효과 : 피구효과, 부의 효과 또는 자산효과라고도 함

○ 정의 : 자산가치의 크기가 소비에 영향을 주는 효과

 

 

○ 물가 하락 → 화폐의 실질 구매력 증가 → 실질 부(A/P)의 증가 → 소비 증가

④ 경상수지 효과 : 물가 하락 → 국내 제품의 국제경쟁력 향상 → 순수출 증가 → 총수요 증가

⑵ 총수요곡선

① AD 곡선의 기울기

○ 이자율효과가 클수록 AD 곡선이 완경사

○ 투자의 이자율탄력성 ↑ → IS 곡선이 완경사 → AD 곡선이 완경사

○ 화폐수요의 이자율탄력성 ↓ → LM 곡선이 급경사 → AD 곡선이 완경사

○ 실질잔고효과가 클수록 AD 곡선이 완경사

○ 경상수지 효과가 클수록 AD 곡선이 완경사

② IS 곡선의 우측이동 또는 LM 곡선의 우측이동 = AD 곡선의 우측이동

③ 단, 물가하락은 AD 곡선을 이동시키지 않음 : 점의 이동이기 때문에

 

 

3. 총공급 [목차]

⑴ 노동시장

① 노동수요

 

 

○ 실질임금의 상승은 노동수요를 감소시킴

물가수준의 상승은 모든 생산물의 가격상승을 의미하므로 수요를 감소시키지 않음

노동 수요곡선 : 기업의 노동수요에 대한 곡선으로 한계생산가치로 계산

노동 공급곡선 : 노동자들이 임금에 대해 얼마만큼 노동을 공급할지에 대한 곡선

이론 1. 화폐환상이론

① 개요

케인즈가 제안한 이론

○ 다음 두 가정 중 하나만 만족해도 우상향하는 총공급곡선이 유도됨

○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이유를 노동 공급시장에서 찾음

가정 1. 화폐환상 : 물가예상 Pe와 실제 물가 P가 달라 노동자들이 명목임금 W = P·w의 변화를 실질임금의 변화로 착각하는 것 (즉, 물가수준에 대한 정태적 기대)

○ 노동 공급 : 물가수준이 상승하더라도 명목임금이 바뀌지 않는 한 노동공급곡선이 변하지 않음

노동 수요 : 노동 수요자인 기업은 실질임금에 직면하고 있으므로 물가가 하락하면 노동 수요곡선은 좌측이동

결론 1. 노동 공급은 명목임금의 함수. 노동 수요는 실질임금의 함수

결론 2. 균형고용량은 전적으로 노동수요에 의해 결정됨

가정 2. 명목임금의 하방경직성

 

Figure. 1. 명목임금의 하방경직성

 

이유 1. 노동계약은 수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을 단위로 체결됨

이유 2. 노동시장에서 노동자들은 명목임금의 하락을 받아들이지 않음 (노동시장의 하방경직성)

이유 3. 수량이 적은 경우 유휴설비가 존재하므로 수량이 증가해도 명목임금이 증가하지 않음 (추후 수정)

○ 노동 공급 : 명목임금의 하방경직성으로 인해 물가가 하락해도 노동공급은 변하지 않음

○ 노동 수요 : 노동 수요자인 기업은 실질임금에 직면하고 있으므로 물가가 하락하면 노동 수요곡선은 좌측이동

결론 1. 노동 공급은 명목임금의 함수. 노동 수요는 실질임금의 함수

결론 2. 균형고용량은 전적으로 노동수요에 의해 결정됨

④ 단기 총공급곡선

○ 노동공급은 실질임금의 증가함수 : 화폐환상, 명목임금 경직성 이용

 

 

○ 단기 총공급곡선

 

출처  :  정운찬, 김영식, 거시경제론, 율곡출판사, 2015.

Figure. 2. 화폐환상이론에 따른 단기 총공급곡선]

 

○ 물가수준 하락

○ 1st. 물가수준 하락 (P0 → P1), 명목임금 유지

○ 2nd. 실질임금 상승 (w0 → w1)

○ 3rd. 노동 수요량 감소 (L0 → L1)

○ 4th. 고용량 감소 (L0 → L1)

○ 5th. 총생산량 감소 (Y0 → Y1)

○ 물가수준 상승

1st. 물가수준 상승

2nd. 명목임금 상승 : 명목임금은 상방경직성이 없음

3rd. 실질임금은 일정한 수준에서 유지

⑤ 장기 총공급곡선

 

출처  :  정운찬, 김영식, 거시경제론, 율곡출판사, 2015.

Figure. 3. 화폐환상이론에 따른 장기 총공급곡선]

 

○ 화폐환상이론은 단기에만 적용되고 장기적으로 총공급곡선은 완전고용 산출수준에서 수직

○ 장기적으로 물가에 대한 정보의 불완전성이 줄어들면서 노동자의 물가예상이 정확해짐

⑥ 한계

○ 명목임금 경직성과 화폐환상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부족함

○ 가격변수가 신축적인 상황에서도 우상향하는 총공급곡선을 도출할 수 있음

이론 2. 루카스의 합리적 기대이론

① 개요

○ 루카스(Robert E. Lucas, Jr)가 제안

○ 루카스는 합리적 기대이론 연구의 업적으로 1995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

○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이유를 노동 수요곡선에서 찾음

○ 루카스는 신고전학파이므로 장기 총공급곡선이 자연산출량 수준에서 수직 : 단기는 우상향할 수 있음

② 가정 : 합리적 기대를 가정한 상황에서 물가수준에 대한 정보의 불완전성 때문에 산출 수준의 변화가 가능

○ (참고) 완전기대(perfect expectation) : 예측값과 실제값이 항상 일치하는 기대. 고전학파의 가정

(참고) 정태적 기대(static expectation) : 과거의 상황이 미래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

화폐환상이 발생

정태적 기대 혹은 화폐환상 하에서는 예상된 물가변동과 예상치 못한 물가변동은 차이가 없음

(참고) 적응적 기대(adaptive expectation) :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현재나 미래의 물가를 예측하는 것

○ 사전적 조정 ×. 사후적 조정 o

○ 합리적 기대(rational expectation) : 현재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사용하여 미래의 물가를 합리적으로 예상하는 것

○ 사전적 조정 o. 사후적 조정 o

○ 합리적 기대를 perfect foresight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합리적 기대 하에서는 예상된 물가변동과 예상치 못한 물가변동은 차이가 없음

③ 아이디어

○ 전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각 기업이 생산량을 증대시킬 이유가 없음

○ 자신이 생산하는 재화만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생산량을 증대시켜야 함

○ 개별 기업은 자신이 생산하는 재화의 가격이 상승할 때 전반적인 물가상승인지 아닌지 알 수 없음

루카스의 업적 : 합리적 기대를 받아들이더라도 생산물시장의 정보의 불완전성으로 총공급곡선이 우상향

④ 수식화 : 기업의 상품가격이 일반 물가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면 이윤극대화를 위해 산출량을 증가

 

 

○ Yi : 기업 i의 산출량

○ Yi* : 기업 i의 정상적 산출 수준

○ Pi : 기업 i의 상품 가격

○ P : 경제 전체의 일반 물가 수준

○ γ : 기업 i의 산출량이 상대 가격 변화에 반응하는 정도

개별 기업은 상대가격 변동과 일반물가수준 변동을 정확히 구별할 수 없음

⑤ γ의 의미

γ 값이 0에 가까운 경우 : AS 곡선이 매우 가파른 기울기. 총산출수준이 잘 변하지 않음

○ γ 값이 매우 큰 경우 : AS 곡선이 매우 완만한 기울기. 총산출수준이 크게 변함

○ 과거에 정부가 예상치 못한 화폐금융정책을 빈번하게 사용한 나라 : γ 값이 작음

○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만연한 경제 : γ값이 작음 ( 보수적으로 반응하기 때문)

⑥ 정부 정책

○ 재정정책, 금융정책 모두 단기에는 산출량을 일시적으로 높이고 물가를 높임

○ 재정정책, 금융정책 모두 장기에는 효과를 미치지 못함

⑦ 정책 무력성 명제(policy ineffectiveness proposition)

예상된 화폐금융정책과 확장적 재정정책은 물가수준을 상승시킬 뿐 단기에서조차 소득을 증가시키지 못함

○ 예상된 확장적 재정정책은 예상된 화폐금융정책과 달리 총수요의 지출 구성이 영향을 미침

이론 3. 새 케인즈학파의 총공급곡선 : 가격경직성 모형이라고도 함

① 개요 :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이유를 노동 수요곡선에서 찾음

② 수식화

독점적 경쟁기업의 가격 설정 방식에 따라 두 부류의 기업이 존재

기업군 1. 신축적 기업 : 경제상황의 변화에 따라 신축적으로 가격 조정

 

 

기업군 2. 경직적 기업 : 합리적으로 물가수준을 예상. 경제상황 변화에 대

해 가격조정 없이 생산량의 변화로 대응

 

 

 

가격조정 비용이 충분히 크다면 (메뉴비용) 물가수준에 대해 국민소득이 우상향

○ 메뉴비용에 대한 컨셉은 맨큐가 제안

○ 총공급곡선 도출

 

 

s : 경직적 기업의 비율. 루카스 등의 신고전학파의 경우 s = 0

○ α : 신축적 기업의 반응 정도

③ 의의 : 예상된 정책이라도 가격을 경직적으로 유지하는 기업이 존재하여 단기적으로 거시경제정책의 효과가 나타남

 

출처  :  정운찬, 김영식, 거시경제론, 율곡출판사, 2015.

Figure. 4. 새 케인즈학파의 총공급곡선의 의의

 

⑸ 응용

① 단기와 장기

○ 단기 : 가격변수가 경직적. 경제변수에 대한 기대가 제대로 조정되기에 짧은 기간

○ 단기 총공급곡선 : 우상향

경우 1. 생산성 향상 → AS 곡선 우측 이동

경우 2. 노동 조합에 의한 노동공급 감소 → AS 곡선 좌측 이동

○ 장기 : 가격변수가 경직적. 경제변수에 대한 기대가 제대로 조정되기에 충분한 기간

장기 총공급곡선 : 자연산출량 수준에서 수직선의 형태를 띰

② 학파별 입장

일반적인 AS 곡선

 

 

케인즈 모형 : 수평의 공급곡선. 유휴설비의 존재를 암시

 

 

○ 케인즈 학파 : 완만한 기울기

○ 통화주의 학파 : 급격한 기울기

고전학파 : 장기 및 단기 모두에서 총공급곡선이 수직선

 

 

 

4. 총수요와 총공급의 균형 [목차]

⑴ 총공급곡선의 이동

농경사회에서 가뭄과 같은 기후조건의 변화 : 노동의 한계생산성 하락 → 노동수요 감소 → 총공급곡선 좌측이동

국제 유가 상승 : 기업들의 에너지 사용 감소 → 보완적 투입요소인 노동의 한계생산성 하락 → 노동수요 감소 → 총공급곡선 좌측이동

③ 노동조합에 의한 임금인상 요구 : 노동공급 감소 → 총공급곡선 좌측이동

⑵ 균형분석 예시

① 물가수준의 상승(하락)

○ 생산물시장 : 실질환율 하락(상승) → 순수출 감소(증가) → IS 곡선의 좌측(우측) 이동

○ 화폐시장 : 실질통화공급 감소(증가) → LM 곡선의 좌측(우측) 이동

○ 노동시장 : 화폐환상에 따른 노동공급 증가(감소) → 노동공급곡선 우측(좌측) 이동

○ AD 곡선 및 AS 곡선에서 점의 이동으로 나타남 : 곡선의 이동이 아님

독립투자의 증가

○ 1st. IS 곡선 우측이동

○ 2nd. AD 곡선 우측 이동

○ 3rd. 물가 상승에 따라 화폐공급

○ 4th. LM 곡선 좌측 이동

○ 5th. 화폐환상에 따라 Ls 우측이동

결론 1. 국민소득 증가, 물가 상승, 투자 증가

결론 2. 이자율 상승에 따라 투자가 일부 감소

결론 3. Y = C + I + G로부터 I가 최종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음

③ 총요소생산성의 증가

1st. Ld 우측이동

2nd. AS 곡선 우측이동

3rd. 물가하락에 따라 화폐공급 증가

4th. LM 곡선 우측 이동

5th. 화폐환상에 따라 Ls 좌측이동

결론 1. 국민소득 증가, 고용량 증가, 물가 하락

결론 2. 실질임금 상승, 이자율 하락

결론 3. 소비, 투자 증가

결론 4. 정부지출 불변

⑶ 실증적 분석

 

. 총수요 충격 (모형) 총공급 충격 (모형) 실증 데이터
소비 경기순응적 경기순응적 경기순응적
투자 경기순응적 경기순응적 경기순응적
고용 경기순응적 경기순응적 경기순응적
실질임금 경기역행적 경기순응적 경기순응적
실질이자율 경기순응적 경기역행적 경기역행적
물가수준 경기순응적 경기역행적 경기역행적
실질화폐공급 경기역행적 경기순응적 경기순응적
명목화폐공급 경기비순행적 경기비순행적 경기순응적

 

Table. 1. 총수요·총공급 모형의 예측과 데이터

 

① 총수요 충격 : 독립투자의 변화를 기준으로 함

○ 경기순응적 물가수준은 독립투자 증가에 따른 것

○ 경기역행적 실질임금은 노동자의 화폐환상에 기인한 것

② 총공급 충격 : 총요소생산성의 변화를 기준으로 함

○ 경기순응적 화폐공급을 제외하고는 주요 거시경제지표의 동조성을 잘 설명

○ 실물경기변동이론 : 총요소생산성의 변화를 단기적 경기변동의 주요 원인으로 보는 경기변동이론

⑷ IMF 금융위기

① IMF가 요구한 거시경제정책 : 통화긴축을 통한 고금리정책, 재정긴축

② 통화긴축을 통한 고금리정책

○ 긴축정책으로 고금리를 유지하여 외국 자본의 유입을 가져옴 : 외환투기를 근절시킴으로써 환율이 안정됨

○ 소비와 투자를 감소시켜 경상수지 개선에 기여

○ 대기업의 방만한 중복과잉투자를 방지

○ 한계기업을 도산시켜 유효한 구조조정수단으로 기능

③ 재정긴축

○ 총수요를 축소시킴으로써 경상수지를 개선하고 환율을 안정화

④ 단점

○ 고금리정책의 정도가 심하여 건전한 기업의 흑자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음

○ 고금리로 인해 기업재무구조를 악화시켜 금융정상화를 어렵게 함

○ 금리를 올린다고 해도 거시경제의 기초여건이 개선되지 않으면 큰 폭의 자본유입을 기대할 수 없음

○ 총수요를 축소시키는 것은 단기적으로 경상수지 개선 효과가 있어도 실업을 증가시키고 경기를 더 침체시킴

⑸ 신용경색

① 정의 : 시중에 유동성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현상

예 1. 1930년대 대공황 당시

○ 투자는 이자율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으므로 IS 곡선이 비교적 가파른 모양을 가짐

예 2. 사회주의 경제가 시장경제로 전환한 경우

○ 1st. 시장경제로의 전환 후 경제가 빠른 속도로 성장

○ 2nd. 실물투자에 필요한 자금의 수요가 크게 늘어남

○ 3rd. 체제전환경제에서 주식시장, 채권시장 등 자본시장이 발달되지 않아 자금의 공급이 수요에 못 미침

○ 4th. 시중에 유동성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함

④ 대응방안

○ 근본적으로 국내 금융기관과 금융시장이 경제규모에 맞게 발달해야 함

○ 단기적으로 외국투자자본 유치, 차관 도입 등 외자를 적극 활용해야 함

 

입력: 2020.11.02 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