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야민(W. Benjamin)의 대중문화론
추천글 : 【예술】 대중예술의 이해 목차
[대전제]
■ 자연의 폭력으로부터 한 걸음, 한 걸음 빠져나올 때마다 인간에 대한 체계의 폭력이 점점 커지고 이는 지배 총체화(인간 자체의 말살)를 야기한다. 그래서 끊임없는 자기반성, 비판적 의식의 함양이 중요하다.
[정의]
■ ‘아우라’란 어떤 대상에 대해 제의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ex. <플란더스의 개>, “넬로는 무릎을 꿇고 일어나 그 그림들을 향해 두 팔을 뻗었 다. 열정적인 황홀감에 젖어, 그의 창백한 얼굴 위로 눈물이 아롱져 흘러내렸다. ‘결 국 내가 저 그림들을 보고야 말았어!’ 넬로는 큰 소리로 외쳤다. ‘아! 신이시여, 이제 충분해요!’”
[전제 1]
■ ‘아우라’는 ‘일회적 현존성’, ‘진품성’을 가지는 대상에 대해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가지게 된다.
[소결론]
■ 기술복제 시대에서는 ‘아우라’가 붕괴한다.
ex. 사진에서는 ‘전시적 가치’가 ‘제의적 가치(= 아우라)’를 밀어내었다.
[반론]
■ 정신산만과 오락을 낳는 대중매체 시대의 문화현상들은 그 매체의 특성으로 인해 진정 아우라를 상실하였는가?
ex. 대중문화를 접하면서 감정적으로 몰입하는 경우가 흔하다.
[전제 2]
■ 아우라의 붕괴로 인해 인간이 기술복제의 산물을 수용하는 지각방식이 ‘정신 집 중’으로부터 ‘정신 분산’으로 바뀐다.
[결론]
■ 따라서 관객은 기술복제 산물을 보며 비판적 의식을 함양(= 예술의 정치화)한다.
[반론]
■ 아우라의 상실은 감상하는 감상자를 비판적 상태에 이르게 하는가?
[전제 3]
■ 대중예술은 기술복제 산물이다.
[대결론]
■ 대중예술은 인간이 비판적 의식을 함양하게 하므로 좋다.
입력: 2015.06.09 08:45
'▶ 인문과학 > ▷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술】 대중예술의 이해 목차 (0) | 2016.10.03 |
---|---|
【대중예술의 이해】 Theodor W. Adorno (0) | 2016.06.24 |
【대중예술의 이해】 C. Greenberg (0) | 2016.06.24 |
【대중예술의 이해】 D. McDonald (0) | 2016.06.24 |
【음악】 음악의 여러 가지 기호 (0) | 2016.06.2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