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MRI 이론】 3강. 이완

 

3강. 이완(relaxation)]

 

추천글 : 【MRI 이론】 MRI 이론 목차


1. 이완 [본문]

2. T1 relaxation [본문]

3. T2 relaxation [본문]

4. T1T2 relaxation의 비교 [본문]


 

1. 이완(relaxation) [목차]

⑴ 정의 : proton이 RF 펄스의 에너지를 흡수한 뒤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것

⑵ 이미지 콘트라스트(contrast)에 중요한 개념

⑶ 이완시간(relaxation time)

① relaxation time은 샘플 내 전체 스핀에 대한 통계적이고 평균적인 물리량

② relaxation time은 장기 내 물이나 지방 분자에서보다 회백질이나 뇌척수액에서 잘 측정됨

③ 종류 : T1 relaxation time, T2 relaxation time

 

 

2. T1 relaxation : longitudinal relaxation이라고도 함 [목차]

개요

정의 : 공명 펄스가 가해진 이후 자화 M의 z축 성분의 63%가 복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종축 이완 시간(longitudinal relaxation time)이라고도 불림

③ 스핀 격자 이완 시간(spin-lattice relaxation time)이라고도 불림

이유 : 핵스핀들이 주위의 물질(격자)과의 상호작용으로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과 관련 있기 때문

⑵ 원리 : 복귀(recovery) 

 

T1 relaxation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 T1 relaxation]

 

단계 1. 평형상태에서 자화 M0B0와 평행

단계 2. 90° RF 펄스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M0 벡터가 횡단면에 눕게 되어 z축 자화도(종축자화도)가 0이 됨

단계 3. RF 펄스가 없어지면 양성자는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z축 자화도가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려고 함

○ 이유 : z축으로 전개된 정자기장(static magnetic field)이 존재하므로

단계 4. z축 자화도 성분은 지수함수 곡선을 그림 : 이때의 시상수를 T1이라고 함

○ RF 펄스가 가해진 이후의 시간 τ에 대해 z축 자화도는 다음 함수를 따름

 

 

특징

① 조직에서의 T1 relaxation은 상대적으로 느림 (수 ms ~ 수 초)

T1 relaxation time이 3차례 지나면 M의 z축 성분은 z축과 나란했던 기존 알짜 자화 M0의 95%가 됨

③ 스핀 격자(spin-lattice) : 스핀을 갖는 proton이 에너지를 다른 양성자가 아닌 주위 환경(lattice)에 방출한다는 의미

T1 relaxation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는 더 이상 proton 공명에 이용되지 않음

⑷ 측정

단계 1. 90° RF 펄스의 에너지가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반복해서 proton에 가해짐

단계 2. 이 펄스 간 시간 동안 에너지를 흡수한 proton은 이내 에너지를 방출 (T1 relxation)

단계 3. proton이 에너지를 환경에 방출하는 양에 따라 spin-up / spin-down의 비율이 바뀜

단계 4. 그 결과 다음 펄스가 오더라도 전처럼 많이 흡수하지 못함

T1 relaxation time보다 짧은 시간 τ가 경과 → M'의 z축 성분은 M보다 작음

M''M'보다 z축 성분이 작고, 그 차이 b는 MM'간 차이 a보다 작음

 

연속적인 RF 펄스에 따른 자화의 변화

Figure. 2. 연속적인 RF 펄스에 따른 자화의 변화

 

단계 5. 더욱 많은 에너지를 방출할수록 M은 원래 값인 M0를 향하게 됨

단계 6. MR 신호는 M을 측정하기 때문에,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할수록 RF 신호가 더욱 강해짐

⑦ 현실적인 적용

○ 현실적으로 스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연속적인 RF 펄스 간 시간이 T1 relaxation time보다 짧기 때문에 MM0로 완전히 복귀하지 않음

○ 그 결과 M을 횡단면에 이르도록 하는데 필요한 두 번째 RF 펄스의 세기는 첫 번째 RF 펄스보다 작도록 함

⑧ 계속 반복하면 각 RF 펄스에서의 M이 특정 값으로 수렴하는 것 : 일반적으로 수렴값은 5개의 요인에 의해 결정

요인 1. 기본 자기장 B0 : 기본 자기장이 클수록 M이 커짐

요인 2. 단위 부피의 조직에 따른 양성자 수, 즉 양성자 밀도(proton density)

요인 3. 양성자에 의해 흡수되는 에너지와 펄스 숙임각(pulse flip angle)

요인 4. RF 펄스를 보내는 시간 간격 τ

요인 5. 양성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는 효율 : T1 relaxation time

⑨ 준비용 펄스(preparatory pulse) 또는 더미 펄스(dummy pulse)

○ standard spin echo imaging 또는 gradient echo imaging과 같은 여러 pulse sequence 기법에서 M의 수렴상태 존재

○ RF 펄스가 계속해서 가해지고 있고, 송출기의 반복시간은 완전한 relaxation에 필요한 시간보다 작기 때문

○ 데이터 수집에 앞서 이 정상상태를 보장하기 위해 imaging pulse를 가하기 직전에 추가적인 RF 펄스를 가함

○ 이 RF 펄스를 준비용 펄스라고 하며 스캔 과정에서 M을 수렴상태로 만드는 역할

⑸ 요인

요인 1. 고유진동수가 ωL인 양성자들의 운동 유형(예 : 진동, 회전)

요인 2. 핵스핀의 진동(ω0)과 원자의 진동(ωL)이 일치할수록 빠른 에너지 전달이 가능

○ 그 결과 양성자들이 더 빨리 평형상태로 복귀

○ T1 relaxation time이 짧아짐

요인 3. 단백질 분자구조와 금속 이온이 고유진동수 ωL에 기여

○ 철과 망간과 같은 금속 이온은 국소 환경에 영향을 주는 상당한 자기 모멘트를 가지고 있음

요인 4. T1 relaxation time의 주파수 의존성

○ 단백질마다 구조가 상이한 반면, 대부분의 단백질의 회전과 관련된 고유진동수 ωL은 1 MHz

○ 공명 진동수가 낮으면 ωLω0가 가까워짐

○ 공명 진동수가 낮으면(= B0 작으면) 더욱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전달 → T1 relaxation time 감소

B0가 크면 T1 relaxation time이 커서 saturation이 일어나 MR 신호가 크지 않음

T1-weighted imaging

① 정의 : 조직의 T1 time의 차이를 조직의 contrast로 나타낸 것

② TR, TE를 짧게 함

○ 이유 : T2 relaxation에서의 spin-spin relaxation을 최소로 하기 위해 

○ 즉, 영위상화(dephasing)이 적게 일어나서 신호 감쇠가 적어지도록 하기 위해

: TR = 500 ms, TE = 14 ms 

③ 일반적으로 해부구조를 나타내는 데에 좋음

④ 뇌의 백질은 흰색. 뇌의 회백질은 회색. 뇌척수액은 검정색

⑤ 일반적인 병변 : 물이 많아 검정색

응용 1. 포화(saturation)

① 정의 : proton들이 충분히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여 spin-up과 spin-down이 동수가 되는 것

saturation과 관련된 요인 

○ RF 펄스를 보내는 속도가 빠를수록 빠르게 saturation 됨 : 주된 요인 중 하나

MRI에서 각 조직은 saturation 조건이 다르고, 이는 T1 relaxation time의 차이에 기인

○ 조직마다 수렴하는 M이 달라짐

응용 2. 조영제의 농도에 따른 T1 relaxation 신호 (ref)

 

 

IRSE(inversion recovery sequence) 시퀀스 기준

② Iz : z축 방향의 magnetization의 절댓값 

③ R1 : relaxation rate (단위 : s-1)

④ r1 : molar relaxivity (단위 : mM-1 s-1)

⑤ C : concentration (단위 : mM)

⑥ TI : inversion time (단위 : s)

⑦ TR : repetition time (단위 : s)

응용 3. inner-sphere effect : SBM(Solomon-Bloembergen-Morgan) theory로 정량화됨

 

 

 r1 : molar relaxivity

r1IS : first-sphere relaxivity. magnetic metal center와 직접 붙는 물 분자에 의한 relaxivity

 r1SS : second-sphere relaxivity. magnetic metal center와 간접적으로 붙는 물 분자에 의한 relaxivity

 r1OS : outer-sphere relaxivity. 환경에 따른 상수

 일반적으로  r1 ≒ r1SS라고 추정 (ref)]

 qSS : second sphere의 hydration number

 T1M' : second sphere에 있는 물 분자의 T1 relaxation time

 τM' : second sphere에 있는 물 분자의 residency time

 r : surface metal center와 물 분자의 거리

 rc : correlation time

 rR : 조영제의 rotational correlation time

 T1e : 전기적인 과정에 의한 T1 relaxtion time. 일반적으로 큰 자기장 하에서 중요한 요소가 아님

⑬ ωH : 양성자의 라모어 진동수 (rad/s)

 μ0 : Bohr magneton constant

 γH : 양성자의 gyromagnetic ratio

ge : electronic g-factor

 S : 금속 화학종의 spin quantum number

응용 3. inner-sphere effect 다른 식

 

 

① Pm : 중심 금속과 배위결합을 형성하는 물 분자의 몰 분율

② T1m : dipole-dipole relaxation

③ q : 물의 배위수

④ r : magnetic ion과 양성자 간 거리 

⑤ τm : 양성자의 존속 시간

⑥ τc1, τc2 : correlation time

⑦ τr : molecular tumbling time

⑧ τis : electronic relaxation time  

⑾ 응용 4. outer-sphere effect (diffusion)

 

 

3. T2 relaxation : transverse relaxation이라고도 함 [목차]

⑴ 개요

① 정의 : M의 횡단면(x-y plane) 성분이 100%에서 37%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

② 횡축 이완시간(transverse relaxation time)이라고도 불림

스핀-스핀 이완시간(spin-spin relaxation time)이라고도 불림

○ 이유 : 핵 스핀들 사이의 자기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

⑵ 원리 : 영위상화(dephasing)

① 평형상태에서 M0는 z축(B0 방향)을 향함

② 90° RF 펄스를 흡수하면 M0는 횡단면으로 회전

③ 시간이 지나면 M0의 xy 평면 성분이 감소

이유 1. 시간이 지나면 양성자들은 에너지를 방출하고 스핀이 B0 방향으로 정렬

이유 2. 모종의 이유로 양성자마다 xy 평면상의 성분이 점점 벌어짐

T2 relaxation time 또는 T2* relaxation time은 영위상화(dephasing) 시간

즉, xy 평면상의 자화가 사라지는 시간

 

 

⑶ 영위상화의 원인

① 정의 : Mxy의 통일성 깨짐

원인 1. T1 relaxation time 

T2 relaxation time은 T1 relaxation time보다 작음

T1 relaxation time은 M의 z축 성분의 회복으로 인해 일어남

T2 relaxation time은 M의 z축 성분의 회복와 다른 원인의 영위상화가 같이 기여함

(참고) 180° RF 펄스는 xy축 spin만 영향을 주므로 180° RF 펄스는 이 원인을 제거할 수 없음

 (주석) 일반적으로 이 원인을 무시하기도 하지만 필자가 보기에 영위상화 중요 원인 중 하나로 봄이 타당

원인 2. 스핀-스핀 완화(spin-spin relaxation)

○ 1st. 에너지를 흡수한 proton은 인근의 proton으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음

○ 2nd. 분자의 진동이나 회전으로 인한 분자 내 상호작용 혹은 분자 간 상호작용은 자기장을 요동시킴

○ 3rd. 자기장의 요동은 proton끼리 전달되는 라디오파의 주파수를 요동시킴

○ 4th. 주파수의 요동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으로 xy 평면상의 알짜 자화를 0으로 만드는 데 기여

○ 물에서의 spin-spin relaxation : spin diffusion, 즉 에너지의 단순 확산으로 인해 일어남

○ 조영제가 있을 때의 spin-spin relaxation : 조영제가 유도 자기장을 형성하여 spin을 팽이처럼 돌려버림

(참고) 엔트로피의 법칙으로 인해 180° RF 펄스로 이 원인을 제거할 수 없음

 

조영제가 있을 때의 spin-spin relaxation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3. 조영제가 있을 때의 spin-spin relaxation]

 

원인 3. 불균일한 자기장

proton이 세차운동을 할수록 proton은 요동치는 국소적 불균일 자기장을 경험

원인 3-1. B0의 불균일 : 자체적인 불균일은 언제나 존재하며 자석 제조의 결함, 외부 금속과의 상호작용 등이 영향

원인 3-2. 샘플의 불균일 : 인접한 조직들의 자화율 차이는 서로 다른 조직들 사이의 국소적인 자기장을 왜곡시킴

그러나 만약 환자가 움직이지 않는다면 이러한 불균일은 스캔 과정 중에 일정함

원인 3-3. gradient imaging : gradient vector를 이용하면 자기장의 불균일을 야기하고 이는 영위상화를 야기함

이러한 불균일은 스캔 중에 계속 변함

○ 측정 기법을 조절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음

(참고) 이 원인은 static source로서 180° RF 펄스로 이 원인을 제거할 수 있음

T2* relaxation time : 전체 relaxation time

 

 

T1 : T1 relaxation time

원인 1원인 2만 영위상화를 일으킬 때의 relaxation time을 T2 relaxation time이라고 함

T2 : 진정한 의미의 T2 relaxation time, 즉 spin-spin relaxation time

○ 물에서의 T2 : spin diffusion으로 인해 spin-spin relaxation time이 일어남

○ 조영제가 있을 때의 T2 : 조영제가 유도자기장을 형성하여 spin을 팽이처럼 돌려버림. T2MS와 다름

T2M (T2 of magnetic field) : 원인 3-1로 인한 영위상화 시간

○ 대부분의 조직 및 용액에서 주요 요인

T2MS (T2 of magnetic susceptibility) : 원인 3-2로 인한 영위상화 시간

○ 철 침전물 또는 공기가 찬 공동체에서 대부분을 차지

90° RF 펄스가 가해진 이후의 횡단면상의 자화의 감소는 T2*를 시상수(time constant)로 갖는 지수함수로 근사될 수 있음

○ 수식화

 

 

MXY, max : 공명 펄스 직후의 M의 횡단면상의 자화

T2 relaxation 및 T2* relaxation의 자기장 의존성

B0가 클수록 T1 relaxation time은 커짐

 B0가 클수록 T2 relaxation time은 작아짐

오직 0.05 T 미만의 B0만이 T2 relaxation time을 커지게 할 수 있음

○ T2와 관련된 영상기법은 B0에 크게 무관함

 B0가 클수록 T2* relaxation time은 커짐

B0가 커질수록 T2보다 T2M, T2MS T2*의 주요 성분이 됨

○ 균일한 자기장 형성은 자기장이 클수록 더 구현하기 힘들기 때문에 통일성 깨짐이 촉진되어 T2M은 더 짧아짐

B0가 커질수록 서로 다른 자화율을 가지고 있는 두 조직 간의 국소자기장의 차이를 더욱 키워서 T2MS도 짧아지는 경향이 있음

T2*와 관련된 영상기법은 B0가 클수록 더 큰 신호 차이를 보여줌

⑦ 예 : spin echo 시퀀스에서 T2T2*의 차이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4. spin echo 시퀀스에서 T2와 T2*의 차이

 

⑸ 에코(echo) : dephasing을 회복한 proton

종류 1. 스핀 에코(spin echo)

① 스핀 에코 : 180° RF 펄스로 인해 통일성을 회복한 Mxy 신호

② 방법 : proton 영위상화의 몇몇 성분은 180° RF 펄스를 가함으로써 뒤집을 수 있음

○ 1st. 90° RF 펄스를 가함 : M0를 횡단면으로 회전시킴

○ 2nd. 짧게 t만큼 기다림 : T2* relaxation을 거치고 xy 평면상의 M의 통일성이 깨짐

○ 어떤 proton은 Mxy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 어떤 proton은 Mxy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 3rd. 180° RF 펄스를 가함 : proton의 자기 모멘트를 x축(또는 y축) 변환을 함

양성자의 위상 통일성에 있어 다중 180° RF 펄스가 단일 180° RF 펄스보다 더 유리

○ 4th. 짧게 t만큼 기다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단 proton은 여전히 시계 방향으로 회전

○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던 proton은 여전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 결국 Mxy의 통일성을 다시 회복

 

spin echo의 생성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5. spin echo의 생성]

 

③ 180° RF 펄스의 영위상화 제거

원인 1 관련 : 180° RF 펄스는 xy축 spin만 영향을 주므로 180° RF 펄스는 원인 1을 제거할 수 없음

원인 2 관련 : 엔트로피의 법칙으로 인해 180° RF 펄스로 원인 2를 제거할 수 없음

원인 3 관련 : 원인 3은 static source로서 180° RF 펄스로 원인 3을 제거할 수 있음

○ 180° RF 펄스를 활용한 spin echo로 인해 원인 1원인 2만이 영위상화에 관여하게 됨

○ spin echo로부터 읽어들인 Mxy의 신호의 비가역적인 감소 추이를 통해 spin-spin relaxation time을 측정할 수 있음

④ 펄스 시퀀스와 영위상화 제거

○ 180° RF 펄스를 사용하는 spin echo 이미지T2-weighted image를 생성함

○ 180° RF 펄스를 사용하지 않는 gradient echo 이미지는 T2*-weighted image를 생성함

⑤ 2차, 3차 영위상화

○ 에코가 형성되더라도 여전히 작용하는 요인들로 인해 다시 영위상화가 발생

두 번째 180° RF 펄스를 가하면, 다시 양성자들의 스핀의 대칭변환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두 번째 에코 신호가 발생

T2 relaxation, 즉 spin-spin relaxation가 더 진행됐기 때문에 두 번째 에코 신호는 첫 번째 에코 신호와 다름

○ 이 이후에도 spin echo는 T2 relaxation time이 충분히 지나 영위상화가 완전히 진행되기 전이면 몇 번이든 가능

종류 2. 그레디언트 에코(gradient echo)

① 180° RF 펄스 대신 gradient reversal을 통해 에코 신호를 생성

② 방법

○ 1st. imaging gradient는 proton dephasing을 일으킴

○ 2nd. duration, 진폭이 동일하고 극성이 반대인 두 번째 gradient pulse를 가함

○ 3rd. 1st의 dephasing이 반전되어 에코가 만들어짐 : 이 에코를 그레디언트 에코라고 함

③ 펄스 시퀀스와 영위상화 제거

○ 180° RF 펄스를 사용하지 않는 gradient echo 이미지T2*-weighted image를 생성함

○ 180° RF 펄스를 사용하는 spin echo 이미지는 T2-weighted image를 생성함

T2-weighted imaging 

① 정의 : 조직의 T2 time의 차이를 영상의 contrast로 나타낸 것

TR, TE를 길게 함 

○ 이유 : T2 relaxation에서의 spin-spin relaxation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기 위해 

○ 즉, 영위상화(dephasing)가 충분히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

: TR = 4000 ms, TE = 90 ms

③ 일반적인 병변 : 물이 많아 T2 time이 길어 희게 보임

⑼ 응용 1. 조영제의 농도에 따른 T2 relaxation 신호 (ref)]

 

 

MEMS(multi-echo spin-echo sequence) 시퀀스 기준

② Ixy : x-y plane 상의 magnetization의 절대값 

③ R2 : relaxation rate (단위 : s-1)

④ r2 : molar relaxivity (단위 : mM-1 s-1)

⑤ C : concentration (단위 : mM)

⑥ TE : echo time (단위 : s)

⑦ α : relaxivity ratio

응용 2. 철 나노입자의 R2 이완율 관계식 (ref)]

 

 

① α : 상수

② dNP : 나노입자의 직경

③ D : 확산계수(diffusion coefficient)

④ μ : 나노입자의 자기적 모멘트(magnetic moment)

⑤ γ : water proton의 gyromagnetic ratio 

⑥ CNP : 나노입자의 농도

⑦ J(ω, τD) : spectral density function

응용 3. quantum mechanical outer-sphere theory (ref)]

 

 

T2 : transverse relaxation time

② γ : proton gyromagnetic ratio

③ V* : 나노입자의 volume fraction

④ Ms : 나노입자의 magnetic saturation

⑤ r : 나노입자의 반경

⑥ D : 물의 확산계수

⑦ L : 나노입자의 impermeable surface shell의 두께

응용 4. outer-sphere theory 다른 식 

 

 

① A : lattice parameter
② N0 : Avogadro constant  

③ Z : number of formula units per unit cell

④ γ : proton gyromagnetic ratio  

 

 

4. T1T2 relaxation의 비교 [목차]

T1 강조영상(T1-weighted image)에서는 액체부분이 고체부분보다 검게 나타남 (신호가 작음)

T2 강조영상(T2-weighted image)에서는 액체부분이 희게 나타남 (신호가 큼)

⑶ 여러 조직의 T1T2 relaxation time

① 뼈는 물이 적기 때문에 signal void 형태로 나타남

② 혈관은 물이 많지만 많은 peptide들이 이동하므로 특별히 처리하지 않으면 void로 나타남

 

Organ Tissues T1 (msec) in 1.5 T T2 (msec)
Brain Gray matter 921 ± 17 101 ± 13
. White matter 789 ± 17 92 ± 22
. Meningioma 979 ± 18 103 ± 31
. Tumor 1073 ± 36 121 ± 63
. Glioma 959 ± 35 111 ± 33
. Edema 1090 ± 23 113 ± 73
. CSF 4000 2000
Bone Normal marrow 732 ± 78 106 ± 60
. Osteosarcoma 973 ± 28 85 ± 30
Breast Fibrotic tissue 868 ± 18 49 ± 16
. Adipose tissue 259 ± 28 84 ± 36
. Tumor 976 ± 28 80 ± 35
. Adenocarcinoma 1167 ± 10 81 ± 12
. Fibroadenoma 1195 ± 29 60 ± 11
Liver Normal tissue 493 ± 22 43 ± 14
. Tumor 905 ± 26 84 ± 31
. Hepatoma 1077 ± 16 84 ± 26
. Cirrhosis 438 ± 21 45
Kidney Normal tissue 652 ± 27 43 ± 24
. Tumor 907 ± 37 84 ± 42
Lung Normal tissue 829 ± 19 79 ± 29
. Tumor 826 ± 51 68 ± 45
Muscle Normal tissue 868 ± 18 47 ± 13
. Tumor 1083 ± 32 87 ± 40
. Carcinoma 1046 ± 16 82 ± 73
. Edema 1488 ± 26 67 ± 26
Others Fat 250 70
. Tendon 400 5
. Protein 250 0.1 - 1.0
. Ice 5000 0.001

Table. 1. 여러 조직의 T1 relaxation time과 T2 relaxation time (ref)]

 

⑷ T1, T2 복합 수식 

Bloch–McConnell equation 

 

 

입력: 2017.03.03 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