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경제사】 3강. 수확체감의 법칙

 

3강. 수확체감의 법칙]

 

추천글 : 【경제사】 경제사 목차 


1. 맬서스 이론 [본문]

2. 맬서스 이론에 대한 반박 [본문]


 

1. 맬서스 이론(Malthusian theory, 적자생존 인구론) [목차]

⑴ 맬서스 이론이 등장할 당시의 유럽

① 중상주의와 계몽주의의 논리가 지배적

② 인구론 초판의 출판시기를 전후하여 유럽사회는 미국독립전쟁, 프랑스혁명, 산업혁명 같은 극도의 혼란과 비참한 생활의 도가니가 됨

③ 맬서스는 인구문제에 대한 자신의 독자적인 이론을 발전시켜, 현대적 인구이론의 발전에 기여

가정 1. 토지의 양에는 물리적 한계가 있음. 즉, 식량 생산량에는 한계가 있음 

① 인구 증가는 결국 식량 생산량 부양 가능 인구보다 많아지게 됨 

가정 2. 기술적 진보는 없음. 즉, 토지 사용의 효율성 증가는 없음

가정 3. 인간의 번식력은 인간을 위해 식량을 산출하는 토지의 힘보다 무한정하게 크다는 가정

① 식량은 생존을 위해 필요

② 양성 간의 정욕은 필요한 것이며 앞으로도 거의 현 상태로 머무를 것

⑸ 결론 : 인구 증가가 토지 제약에 구속되어 궁극적으로 소득을 감소시키고 결국 멈추게 됨

① 식량의 생산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 : 1, 2, 3, ···

② 인구증가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 1, 2, 4, ···

 인구 증가가 멈추는 지점을 맬서스 평형(Malthusian equilibrium)이라고 부름

④ 어떤 사회집단이든 출산율과 사망률이 동일해야 함

⑤ 어떤 사회집단이든 인구는 식량 생산량 부양 가능 인구만큼 존재함

⑥ 어떤 사회집단이든 임금은 생존비(cost of subsistence) 수준에서 고정돼야 함

 인간이 식량의 궁핍에도 불구하고 생존하려면 인구의 증가를 억제하는 제거작용이 필요하다고 주장

인구증가는 결국 노동력의 증가를 가져오지만, 다시 임금 감소와 빈곤을 야기한다는 임금철칙(iron law of wages)에 대한 근거 제공

응용 1. 사회적 영향

찰스 다윈의 자연도태 진화론 발전에 도움을 줌

맬서스의 인구론에 영향을 받은 영국의회는 1800년 센서스 법을 제정, 1801년부터 10년마다 센서스 실시

응용 2. 인구 증가가 감소하는 메커니즘

① 예방적 체크 (도덕적 억제) : 출산율이 조절되는 것. 피임, 만혼, 독신, 금욕 등

② 적극적 체크 (적극적 억제) : 사망률이 조절되는 것. 전쟁, 질병, 기근 등

 

 

2. 맬서스 이론에 대한 반박 [목차]

반박 1. 인구의 역사적 추이 : 세계 인구의 증가는 맬서스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방식으로 전개됨 

① 맬서스 이론에 따르면 인구 증가율은 0이어야 함

② 세계 인구의 변화는 다음과 같음

○ 600-800만 명 (BC 10,000년) 

○ 2억 5,000만 명 (AD 0년)

○ 10억 명 (AD 1,800년) 

○ 60억 명 (AD 2,000년)

○ 19세기 중반까지 유럽 인구는 장기적으로 증가하였다. 

④ 로마제국의 쇠퇴 이후 : 유럽 인구는 일시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지만 빠르게 회복함

⑤ 14세기 중반 흑사병 이후 : 유럽 인구는 일시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지만 빠르게 회복함

⑥ 1750년 이후 인구는 유의미하게 증가

○ 인구 변천 이전 : 높은 합계 출산율과 낮은 예상 수명

○ 인구 변천 이후 : 낮은 합계 출산율과 높은 예상 수명

○ 사망률 하락 요인 : 의료 기술 발달, 영양 수준 향상, 면역력 증가로 추정. 분명하지 않음

○ 출산율 하락 요인 : 피임, 임금 상승 시 대체효과, 아동 사망률 감소, 양육 비용 외부화 가능 여부, 균분 상속의 리스크

○ 산업화한 영국이 아니라 프랑스에서 더 빨리 출산율이 감소한 이유를 설명하기 어려움

반박 2. 역사적으로 「인구 증가 → 1인당 소득의 감소 → 인구 감소」의 흐름은 관찰되지 않음 

① 신석기 혁명 이후 : 농업 기술은 경작 가능한 토지의 양을 제한하였으나 인구가 감소하지 않았음

② 로마 제국의 붕괴 후나 흑사병 이후 : 인구가 감소하였으나 버려진 토지가 많아 소득이 증가하지 않음 

③ 17-18세기 : 인구가 흑사병 이전 수준에 도달했으나 일인당 소득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음 

반박 3. 맬서스 이론이 성립하면 한계 생산과 임금이 일정해야 함

① 하지만 단위토지당 한계생산은 계속 증가

② 임금 또한 생존비 수준에서 머물지 않음 : 문화적 차이, 생활수준 차이, 엥겔지수 차이가 간접적으로 드러냄

반박 4. 황의 법칙이나 무어의 법칙 같은 기술적 진보의 효과가 농경사회를 시작한 이래로 계속 나타났음

예 1. 토지 이용도

○ 원시적인 토지 이용도 : 0.05

○ 근대 유럽 : 1

○ 근대 아시아 : 2

예 2. 비료에 대한 경험적 지식과 중쟁기의 도입

반박 5. 무역과 도시 중심지와의 근접성 : 인구 증가 자체가 생산량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또다른 설명

① 무역은 더 좋은 방식으로 토지를 사용하는 데 공헌

② 도시로부터 분뇨는 질소의 부족을 해결함

③ 도시로부터 새로운 지식이 빠르게 확산됨

④ 도시의 다양한 수요가 다변화된 경작 포트폴리오를 가능하게 하여 자연재해에 대한 보험 역할을 함

⑤ 총요소 생산성에 대한 Philip Hoffman의 연구

○ 그는 1522-1789년 프랑스의 근세 또는 구체제 농업에 대한 TFP를 추계함

○ 자원과 기회를 잘 개발하기 위해서는 지역 간 무역과 주요 도시 지역에의 근접성을 요구한다고 지적

반박 6. Livi-Bacci의 장기 맬서스적 인구 궤적 

① 예상 결과 : 인구는 처음에 빠르게 성장하고 토지 희소성이 시작될 때 인구 증가율은 하락하고 결국 0이 됨

② 실제 결과 : 장기적으로 양의 추세를 보임으로써 장기 멜서스적 인구 궤적을 기각함 

반박 7. 흑사병 이후 다시 인구가 증가할 때 영국의 실질임금이 장기적으로 하락한 것

① 맬서스 법칙의 대표적인 증거로 사용되어 옴

② 사실은 온도의 변화가 곡물 생산량의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실증됨

반박 8. Galor의 통합된 성장 이론(unified growth theory) : 맬서스 이론을 타협하여 대안의 설명을 제시하려고 했음

① 맬서스적 정체의 시기 : 기술 진보는 인구 증가에 흡수되어 일인당 소득 증대는 없음

② 포스트-맬서스적 시기 : 기술 진보율이 인구 증가율을 능가하여 완만한 일인당 소득 증대와 높은 인구 증가가 나타남

③ 근대적 경제성장 시기 : 자식의 양보다 질을 선호. 자식 교육에 대한 투자 증대로 출산율 하락 → 일인당 소득이 빠르게 증가

비판 1. 맬서스적 정체의 시기, 즉 1500년까지 소득 수준이 항구적으로 증가함

비판 2. 실세 세계의 다이나믹한 발전을 포착하기에 이론이 너무 단순함

반박 9. Møller와 Paul Sharp의 1560 ~ 1800년 자료에 대한 공적분 관계 검정

결론 1. 인구가 최대치에 다다르지 않았어도 예방적 체크가 존재했음. 적극적 체크가 있었다는 증거는 없음

○ 증거 : 서유럽의 만혼 문화, 아동 사망률의 기대값에 따른 출산 간격 조정, 인구 증가가 임금을 억제하지 않은 점

○ 맬서스와 동시대 학자들은 출산율 전략을 가계의 최적화 행동의 결과로 보지 않았음 

○ 현대의 경제학자나 경제사가는 출산율 전략을 최적 행동의 결과로 봄

결론 2. 인구 증가가 실질 임금을 떨어트렸다는 증거는 없음

③ 최종 결론 : 1560 - 1800년은 포스트-맬서스적 시기로 보여짐. 맬서스 이론의 역사적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

요약 : 맬서스 이론이 성립했다고 여겨지는 유일한 시기는 수렵 채집 시기밖에 없었음 

 

입력: 2019.07.04 1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