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해석학】 1강. 실수의 공리와 함수

 

1강. 실수의 공리와 함수

 

추천글 : 【해석학】 해석학 목차 


1. (ℝ, +, -, , <, 0, 1)이 실수계라는 것 [본문]

2. 함수 [본문]


 

1. (ℝ, +, -, , <, 0, 1)이 실수계라는 것 [목차]

⑴ 요건 1. +, ⦁은  위에서의 연산

 

⑵ 요건 2. <은  위에서의 관계로 다음 공리 Ⅰ, Ⅱ, Ⅲ을 만족하는 것

① (주석) a ⦁ b를 편의상 ab로 표시 

② 연산의 공리 Ⅰ : 모든 a, b, c ∈ ℝ에 대해 다음이 성립

 

a + b = b + a

ab = ba

(a + b) + c = a + (b + c)

(ab)c = a(bc)

a + 0 = a

a1 = a

a(b + c) = ab + ac

 

③ 역원의 존재 Ⅱ : 모든 a, b ∈ ℝ에 대해 a + c = 0, bd = 1인 c, d ∈ ℝ가 존재

④ 순서의 공리 

○ 모든 a, b, c ∈ 에 대해 a < b, b < c이면 a < c임

○ 모든 a, b ∈ ℝ에 대해 a < b, a = b, b < a 중 단 하나가 참임

○ 모든 a, b, c, p ∈ 에 대해 a < b, 0 < p이며 a + c < b + c, ap < bp임

○ 완비성 공리 : ø ≠ A ⊆ 이 A ≤ b인 b ∈ 를 가지면 그러한 가장 작은 b가 존재

 

⑶ 예제 : 공리 Ⅱ에서 c가 유일함을 보이시오. 이 c를 -a로 쓴다. a - b는 a + (-b)와 같은 뜻이다.

 

a + c = a + c' = 0

⇔ c = c + 0 = c + (a + c') = (c + a) + c' = (a + c) + c' = 0 + c' = c' + 0 = c'

 

⑷ 예제 : 모든 a, b ∈ 에 대해 (-a)(-b) = ab를 보이시오. 특히 (-1)2 = 1을 보이시오.

 

풀이

lemma 1. u + v + u + w  v + w

proof 1. v = v + 0 = v + (u + (-u)) = (v + u) + (-u) = (u + v) + (-u) 

proof 1. v = (u + w) + (-u) = (w + u) + (-u) = w + (u + (-u)) = w + 0 = w

 

lemma 2. u + u = 0  u = 0

proof 2. u + u = u + 0  u = 0

 

lemma 3. a·0 = 0

proof 3. a·0 = a·(0 + 0) = a·0 + a· a·0 = 0 ( lemma 2)

 

lemma 4. (-a)(-b) = ab

proof 4. 0 = 0·b = (a + (-a))·b = a·b + (-a)·b

proof 4.  (-a)·b = -(a·b)

proof 4. 0 = 0·(-b) = (a + (-a))·(-b) = a·(-b)  + (-a)·(-b)

proof 4.  (-a)·(-b) = -(a·(-b)) = -(-(a·b)) = a·b ( 덧셈의 역원의 유일성)

proof 4. a = b = 1이라면 (-1)·(-1) = (-1)2 = 1

 

⑸ 예제 : 공리 Ⅱ에서 d가 유일함을 보이시오. 이 d를 b-1로 쓴다. a / b는 ab-1과 같은 뜻이다.

 

풀이

b ≠ 0에 대해 bd1 = bd2 = 1인 d1, d2 ∈ 가 있다고 하자.

d1 = d11 = 1d1 = (bd2)d1 = (d2b)d1 = d2(bd1) = d21 = d2 ⇔ d1 = d2 

 

⑹ 예제 : 모든 a, b ∈ ℝ에 대해 a < b이면 a < c < b인 c ∈ ℝ이 존재함을 보이시오. 

 

풀이

lemma 1. 1 > 0

proof 1. 1 ≠ 0  1 > 0 또는 1 < 0

proof 1. 1 < 0이라고 하자.

proof 1. 순서의 공리 Ⅲ에 의해 1 + (-1) < 0 + (-1)    0 < (-1)    02 = 0 < (-1)2 = 1 (모순)

proof 1. 따라서 1 > 0이다.

 

lemma 2. 1 + 1 > 0 > 1 + 0 > 0

 

lemma 3. p > 0  p-1 > 0

proof 3. p-1 = 0이라고 가정하자.

proof 3. 1 = pp-1 = p0 = 0이므로 모순이다.

proof 3. p-1 < 0이라고 가정하자.

proof 3. 1 = pp-1 < p0 = 0이므로 모순이다.

proof 3. 따라서 (1+1)-1 > 0임을 안다.

 

lemma 4. a < b  a < c < b인 c ∈ 이 존재

proof 4. a < b  (1+1)a = a + a < a + b < b + b = (1+1)b

proof 4. 변변에 (1+1)-1을 곱하면 다음을 얻는다.

proof 4. a < (a+b)(1+1)-1 < b

 

⑺ 예제 : 공리 Ⅲ에서 A ≤ b는 모든 x ∈ A에 대해 x < b이거나 x = b라는 뜻이다. 그러한 b가 있을 때 A가 위로 유계라고 한다. 이때 공리가 보장하는 가장 작은 b가 유일함을 보이시오. 이 b를 sup A라 쓴다.

 

풀이

A ≤ b, A ≤ b'이고 A ≤ c일 때마다 b, b' ≤ c이다.

c = b인 경우 b' ≤ b가 성립한다.

c = b'인 경우 b ≤ b'이 성립한다.

따라서 b = b'이 성립한다.

 

⑻ 예제 : ø ≠ A ⊆ ℝ가 위로 유계일 때 sup A ≤ c일 필요충분조건은 A ≤ c이다.

 

풀이

sup A ≤ c ⇒ A ≤ sup A ≤ c

A ≤ c ⇒ sup A는 그러한 c 중 가장 작은 것이므로 sup A ≤ c

따라서 sup A ≤ c ⇔ A ≤ c

 

⑼ 예제 : 폐구간 [0, 1]의 두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A, B에 대해  A + B ={a + b | a ∈ A, b ∈ B}라 하면 sup(A + B) = sup A + sup B임을 보이시오.

 

풀이

lemma 1. A+B ⊆ [0, 1+1]이고 A + B ≠ 이므로 sup(A + B)가 존재

 

lemma 2. sup(A + B) = sup A + sup B

proof 2. A ≤ sup A, B ≤ sup B이므로 A+B ≤ sup A + sup B가 성립한다.

proof 2. 따라서 sup(A + B) ≤ sup A + sup B가 성립한다.

proof 2. 각 a ∈ A, b ∈ B에 대해 a + b ≤ sup(A + B)가 성립함을 상기하자.

proof 2. a를 고정하면 b ≤ sup(A + B) - a를 얻을 수 있고 sup B ≤ sup(A + B) - a임을 직관적으로 얻는다.

proof 2. a ≤ sup(A + B) - sup(B)에 대해 a의 값을 천천히 올리면 sup A ≤ sup(A + B) - sup(B)를 얻는다.

proof 2. 따라서 sup A + sup B ≤ sup(A + B)인 것이다. 

proof 2. sup A + sup B ≤ sup(A + B)이고 sup A + sup B ≥ sup(A + B)이므로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⑽ 예제 : D ≠ ø이다. 함수 f, g : D → [a, b]에 대해 sup (f + g)(D) ≤ sup f(D) + sup g(D)임을 보이시오. 양변이 같지 않을 수도 있는가?

 

풀이

lemma 1. sup (f + g)(D) ≤ sup f(D) + sup g(D)

proof 1. sup(f + g)(D), sup f(D), sup g(D)가 존재한다.

proof 1. f(D) ≤ sup f(D)이고 g(D) ≤ sup g(D)이므로 f(D) + g(D) ≤ sup f(D) + sup g(D)가 성립한다.

proof 1. 그러한 f(D) + g(D)의 값을 천천히 증가시키면 sup (f(D) + g(D)) ≤ sup f(D) + sup g(D)임을 알 수 있다.

lemma 2. sup (f + g)(D) ≠ sup f(D) + sup g(D)인 경우가 존재

proof 2. D ={-1, 1}, f(x) = x, g(x) = -x일 때 0 = (f + g)(D) = sup(f + g)(D) < 2 = sup f(D) + sup g(D)

 

⑾ 예제 : A ⊆ 에 대해 max A가 존재하면 sup A도 존재하고 max A = sup A임을 보이시오. sup A만 존재할 수도 있는가?

 

풀이

lemma 1. max A가 존재하면 max A = sup A

proof 1. A ≤ max A ≤ sup A

proof 1. 예제 3 ②에 의해 sup A ≤ max A

proof 1. 따라서 sup A = max A가 성립한다.

 

lemma 2. max A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proof 2. A ={x | x = -1 / n, n ∈ }의 경우 최댓값은 없으나 sup A = 0이다.

 

 

2. 함수 [목차]

 함수(function, mapping) : 두 집합 X와 Y가 있을 때 X의 임의의 원소 x를 Y의 한 원소 f(x)에 대응시킬 때 그 f

① 집합 X를 f의 정의역(domain)이라고 함

② 집합 Y를 f의 공역(codomain)이라고 함

③ 공역의 부분집합 중 f(x)의 값들을 모아 놓은 집합을 f의 치역(range)라고 함

⑵ 전단사함수

① 전사함수(surjection, onto function) : 치역과 공역이 같은 함수

② 단사함수(injection, one-to-one function) : 정의역과 치역이 일대일 대응인 함수 

③ 전단사함수(bijection) : f : X → Y가 전사함수인 동시에 단사함수인 경우

⑶ 역함수(inverse function)

① 정의 : f-1 : X → Y가 함수인 경우

② f의 역함수가 존재하는 것과 f가 전단사함수라는 것은 필요충분조건  

⑷ 상(image)

① 정의 : X의 부분집합 A ⊆ X에 대하여 f에 관한 A의 상을 f(A) ≡ {f(x) ∈ Y : x ∈ A}로 정의함

② 역상(inverse image) : f-1 : Y → X 

 

입력: 2020.03.19 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