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강. 산업혁명의 태동
추천글 : 【경제사】 경제사 목차
1. 유럽은 언제부터 앞섰는가 [본문]
2. 최초의 근대 경제를 탄생시킨 네덜란드 [본문]
3. 영국 산업혁명 [본문]
1. 유럽은 언제부터 앞섰는가 [목차]
⑴ 캘리포니아 학파의 주장 : 케네스 포메란츠(Kenneth Pomeranz)가 대표적
① 유럽은 18세기 말까지 중국이나 인도를 앞서지 않음
② 18세기 말 발생한 토지 제약을 우연적인 요인에 의해 극복하여 산업혁명이 발생
○ 석탄 소비지와 가까운 곳에 있었다는 우연
○ 아메리카로부터 토지집약적인 식량과 농업 원재료를 수입
○ (참고) 기본적으로 기술적 진보는 없었다는 맬서스적인 설명을 밑에 깔고 있음
⑵ 실증적인 결과 : 인플레이션을 고려해야 하고 경제적 수준은 산업혁명 전부터 벌어지고 있었음
① 1550년경 은임금(명목임금 / 은가격)은 영국이 중국 및 인도보다 높았음
○ 은은 섬유, 향신료와 함께 대표적인 교역재로 일물 일가의 법칙이 형성됐음
② 1550년경 곡물임금(명목임금 / 곡물가격)은 영국이 중국 및 인도와 비슷했음
○ 곡물은 대표적인 비교역재로 일물 일가의 법칙이 형성되지 않았음
○ 심지어 1700년 이후에는 영국의 곡물임금이 상당히 높아짐
③ 실질임금 디플레이터에 이들 데이터를 반영시키면 영국이 중국 및 인도보다 실질임금이 높았다고 할 수 있음
⑶ 그로닝겐 대학에 기초를 둔 매디슨 프로젝트의 후원으로 최근 추계치가 개정되고 있음
① 유럽과 아시아 간의 대분기는 산업혁명 오래 전에 시작됨
② 1500년 경 : 중국의 소득수준은 영국과 비슷. 이탈리아와 네덜란드에는 훨씬 못 미침
③ 1600년 경 : 중국은 유럽의 주변부인 스웨덴 및 스페인과 비슷함. 이후 중국의 소득 수준이 더 떨어짐
④ 설명 1. 수확체감과 기술적 진보 간의 균형을 유럽이 훨씬 더 잘 관리해 왔음
⑤ 설명 2. 출산율을 줄이는 만혼의 습관이 유럽에 있었다는 것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
2. 최초의 근대 경제를 탄생시킨 네덜란드 [목차]
⑴ 요인 1. 절약의 문화 : 지위가 출생에 의해 획득된 권리가 아니라 노력에 연계됨
⑵ 요인 2. 관용의 정신
① 쫓겨난 재능 있는 이민자들에게 안전한 피난처가 됨
② 현재 월스트리트나 실리콘 밸리가 이러한 역할을 맡음
⑶ 기타 네덜란드의 특징
① 군주적 통제 : 영국과 같은 입헌적 통제 시스템이 없음. 주로 인근 국가의 군주를 섬겼음
② 분업이 상당히 진행됐고 비농업 부문이 많음
③ 자유, 지적소유권 제도, 잘 기능하는 시장
3. 영국 산업혁명 : 산업혁명을 일으킴 [목차]
⑴ 영국의 특징
① 명예혁명(1688-1689)으로 입헌군주제가 확립됨
② 군주의 세금 부과와 자의적 특권 부여를 의회가 통제함
⑵ 영국 산업혁명(1770-1830)은 과학적 발견들에 기초하지 않음
① 17세기부터 자연의 법칙들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지만 생산 기술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음
② 18세기의 발명을 상징하는 증기 엔진은 이러한 규칙의 예외
⑶ 영국 산업혁명 시기 국민 소득에 대한 Crafts와 Harley의 새로운 추계의 내용과 의의
Table. 1. 영국에서의 TFP 성장과 국민생산 성장의 신추계와 구추계 (단위 : 연간 퍼센트)
① 구 추계 : W. A. Cole과 P. Dean의 선구적인 작업 결과
② 신 추계 : N. F. R. Crafts와 K. Harley와 같은 수정주의 경제주의 경제사가들의 작업 결과
○ 총요소 생산성 (TFP) 성장은 중세와 근세 농업에서의 숫자와 거의 같은 수준
③ 수정 1. 경제적 생활의 급진적이고 급격한 변화라기보다는 산업적 이행이 있었음
○ 산업화 이전 성장과 산업혁명 초기 국면의 영국의 TFP 성장 간에 많은 차이가 없음을 강조
○ 산업적 돌파의 시기로 추정된 1780-1830년의 일인당 성장률은 이전 추계의 약 1/3으로 감소
○ 총 요소 생산성 성장은 중세와 근세 농업에서의 숫자와 거의 같은 수준
④ 수정 2. 영국에 초점을 두는 것은 전 유럽적인 지적 계몽이 진행하고 있음을 은폐함
⑤ 구 추계와 신 추계가 다른 이유
○ 이전 추계치는 총 공업 산출물에서 구 산업들에 비해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 너무 많은 가중치를 부여
○ 총 경제에서 공업 부문의 크기가 과장되었음
⑷ 원리 1. 산업적 계몽론
① 시장 경제와 아이디어 마켓에 대한 연구를 했던 조엘 모키르(Joel Mokyr)가 명명하고 주장
② 슘페트(Schumpeter) 또한 영국에 산업혁명이 일어난 것이 영국의 사회가 계몽적이었기 때문이라고 주장
③ 유럽은 19세기 동안 자연의 법칙에 대한 합리적 탐구라는 새롭게 출현하는 과학적 문화를 가졌다고 주장
○ 산업적 계몽은 19세기 후반 경제를 변형시키고 20세기 대부분의 생산기술을 지배했음
○ 실제로 1945-1970 중반을 자본주의의 황금시대라고 부르는데, 자본주의의 황금시대가 끝난 이유는 19세기 후반 ~ 20세기 전반의 과학기술의 혁명이 1945 ~ 1970년대 중반까지 완전히 활용되었기 때문으로 실증됨
④ 결론 : 영국이 아니었어도 다른 유럽 국가들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났을 것이라고 주장
⑤ 비판 : 영국에서만 산업혁명이 일어난 것은 영국의 경험론과 대륙의 합리주의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주장
○ 영국의 경험론 : 베이컨이 주장. 경험적 연구를 통해 기술의 발전을 할 수 있다고 믿음
○ 대륙의 합리주의 :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에 나온 "나는 생각한도, 고로 존재한다"로 대표됨
○ learning-by-doing으로 기술이 이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영국의 경험론이 합리주의보다 우월함
⑸ 원리 2. 근면 혁명론
① 버클리 경제사가인 Jan de Vries가 명명하고 주장
② 소비자 행동의 근본적인 변화인 근면 혁명이 산업혁명을 촉발했다고 주장
○ 노동 근면 : 가족 구성원이 대부분이 노동시장에 참가하게 된 것을 골자로 함
○ 맬서스적인 힘에 의해 1인당 소득이 감소해도 가족 전체의 임금이 증가함
○ 노동 공급의 증가에 의한 소득 증가는 새로운 상품에 대한 욕구로 분출
③ 의의
○ 전통적 견해 : 기술혁신에 따른 신문물의 출현에 소비자들이 적응하면서 경제적 수준이 증가
○ 공급자 중심의 편의를 교정함
④ 한계
○ 수요와 공급의 균형있는 해석이 필요함
○ 어째서 가족 구성원 대부분이 노동시장에 참가하게 됐는지에 대해 합리적인 설명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입력: 2020.07.11 10:07
'▶ 역사과학 > ▷ 경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사】 10강. 보호무역의 출현 (0) | 2020.07.11 |
---|---|
【경제사】 9강. 금융위기의 출현 (0) | 2020.07.11 |
【경제사】 6강. 제도의 출현 (0) | 2020.07.11 |
【경제사】 5강. 총 요소 생산성과 쌍대이론 (0) | 2019.07.11 |
【경제사】 4강. 수확체증의 법칙 (0) | 2019.07.0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