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강. 트랜지스터(transistor)
추천글 : 【회로이론】 회로이론 목차
a. 트랜지스터 실험
b. 반도체 관련 문제
1. 트랜지스터(transistor) [목차]
⑴ 개요
① 트랜스(trans)와 저항(resistor)의 합성어
② 최초의 트랜지스터 특허 : J. E. Lilienfeld (1926)
③ 기능 : 신호 증폭 기능, 스위칭 기능
④ 구성 1. emitter, source : 물이 들어오는 상수도에 비유할 수 있음
⑤ 구성 2. base, gate : 수도꼭지에 비유할 수 있음
⑥ 구성 3. collector, drain : 물이 나오는 곳으로 비유할 수 있음
⑵ 종류 1. 쌍극형 접합 트랜지스터 : TTL 메모리를 구성함
①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제조
② 전류로 전류를 제어
③ 쌍극성
⑶ 종류 2.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 : MOS 메모리를 구성함
① 도체, 부도체, 반도체를 결합하여 제조
② 전압으로 전류를 제어
③ 단극성
2. 쌍극형 접합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 [목차]
⑴ 개요
① 정의 :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제조
② 최초의 이론 정립 : Bardeen, Brattain, Shockley
③ 최초의 실험적 규명 : Gordon Teal
⑵ 구조
① NPN 트랜지스터와 PNP 트랜지스터가 있음
○ 일반적으로 NPN 트랜지스터를 기준으로 생각
○ PNP 트랜지스터는 NPN 트랜지스터에서 인가전압을 뒤집으면 정확히 동일
② BJT 트랜지스터는 베이스, 이미터, 컬렉터로 구성
○ 이미터 : 전하 운반자를 방출하는 부분이라는 의미
○ 컬렉터 : 전하 운반자를 받아들이는 부분이라는 의미
○ 이미터의 도핑 농도가 컬렉터의 도핑 농도보다 높음
○ 베이스는 도핑이 덜 돼 있음
③ 전하는 이미터(E, emitter) → 베이스(B, base) → 컬렉터(C, collector)로 전하가 이동
Figure. 1. NPN 트랜지스터(왼쪽)과 PNP 트랜지스터(오른쪽)의 기호
○ B-E 접합, B-C 접합은 다이오드로 볼 수 있음
○ NPN 트랜지스터 기호 : 전자가 이미터 → 베이스 → 컬렉터로 이동. 전류는 반대 방향
○ PNP 트랜지스터 기호 : 정공이 이미터 → 베이스 → 컬렉터로 이동. 전류는 같은 방향
⑶ 영역 1. 순방향 능동영역(활성영역, active region)
① 조건 (NPN 트랜지스터 기준)
○ B-E 접합은 순방향 바이어스
○ B-C 접합은 역방향 바이어스
○ 즉, VE < VB < VC일 것
② 메커니즘
Figure. 2. 활성영역 NPN 트랜지스터의 작동 원리
(붉은 점은 전자를 표시)
○ 1st. E-B에 인가된 순방향 바이어스는 전자를 이미터에서 베이스로 이동시키며 IE를 형성
○ 2nd. 베이스는 도핑이 덜 돼 있고, 그 폭은 일반적으로 10-6 m : IE를 형성하는 전자 중 5% 미만이 양공과 결합
○ 3rd. 나머지 95%의 전자는 베이스에서 컬렉터로 이동하며 IC를 형성
○ 4th. 대부분의 전류가 컬렉터로 흐름 : 컬렉터 전류는 베이스로 들어온 전하의 영향이 큼. 전기장의 영향 작음
○ 5th. 위와 같은 방식으로 BJT 트랜지스터에서 확산전류가 발생 : 전계에 의한 전류인 드리프트 전류가 아님
○ 다음 방정식이 성립함은 명백함
③ 수식화
Figure. 3. 트랜지스터의 B-E 접합 해석
○ B-E 접합 : 다이오드로 볼 수 있음. 소수 캐리어의 밀도를 보면 전자가 양공보다 많음
○ B-C 접합 : 다이오드로 볼 수 있음. 평형 상태로 간주할 수 있음
○ 베이스 전류 : 다이오드의 순방향 바이어스에서의 전류 식을 이용
○ 컬렉터 전류 : 대부분이 확산전류임을 이용. VBE에만 의존 (단, WB는 베이스의 두께)
○ 베이스 전류가 0이 아닌 이유
○ pB-E boundary를 만들기 위해 베이스에서 이미터로 이동하는 양공의 존재
○ 베이스에서 전자와 결합하는 양공
○ 결론
④ 등가회로 : B-E 접합은 문턱 전압을 갖는 다이오드로 모델링. B-C 접합은 종속 전류원으로 치환
○ 종속 전류원 : IC = βIB
○ 일반적으로 β는 정수이고 α는 아니므로 β를 많이 사용함
○ 전류는 컬렉터에서 이미터 쪽으로만 흐를 수 있음. 역방향 불가
○ 증폭비 β는 베이스의 물리적 크기와 도핑 농도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100 정도
○ 발상 : 컬렉터를 통해 들어오려는 전류가 많은데 IB에 비례하는 정도만 컬렉터로 들어올 수 있음
○ 트랜지스터의 도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 베이스 전류가 흐르고 있어야 함
○ 문제 풀이 방법론 : 베이스 전류 → 컬렉터 전류 → 이미터 전류 → VCE → VCB 순으로 계산
⑷ 영역 2. 포화영역(saturation region)
① 조건 (NPN 트랜지스터 기준)
○ B-E 접합은 순방향 바이어스
○ B-C 접합은 순방향 바이어스
○ 즉, VE, VC < VB일 것
○ VBC < 400 mV인 경우 soft saturation, VBC > 400 mV인 경우 deep saturation이라고 함
② B-E에서 순방향 다이오드, C-E에서 순방향 다이오드가 있는 것과 같음
○ 내부적으로 전하 캐리어가 베이스 영역에 모여 포화됨 → 베이스 전류가 증가해도 컬렉터 전류흐름 변화 ×
○ B-E의 문턱전압은 일반적인 다이오드의 문턱전압과 같음 : 약 0.7 V
○ C-E의 문턱전압은 VCE(sat)로 표시하며 약 0.2 V
○ B 단자는 좁으므로 C-B의 순방향 바이어스는 곧 C-E의 순방향 바이어스와 같아짐
③ 등가회로
Figure. 5. 포화영역의 등가회로
○ 기본적으로 VCE의 증가에 따라 IC가 지수적으로 증가 (Shockley 다이오드 모델)
○ 동작점 분석까지 고려하면 순방향 다이오드를 정전압원과 이상적 다이오드로 간주해도 무방 (정전압 특성곡선)
○ VBE가 일정한 것처럼 VCE(sat) 또한 일정함 : 이는 특성곡선을 단순화한 것
○ βforced는 컬렉터 전류 ÷ 베이스 전류로 정의
○ βforced는 VCE에 비례하여 증가 : 완벽한 비례 관계는 아님
○ βforced가 활성영역의 전류증폭비인 βdc까지 증가하면 활성영역으로 전환
⑸ 영역 3. 차단영역(cutoff region)
① 조건 (NPN 트랜지스터 기준)
○ B-E 접합은 역방향 바이어스
○ B-C 접합은 역방향 바이어스
○ 즉, VB < VE, VC일 것
② 등가회로
Figure. 6. 차단영역의 등가회로
⑹ 영역 4. 역방향 능동영역(역활성 영역, breakdown region)
① 조건 (NPN 트랜지스터 기준)
○ B-E 접합은 역방향 바이어스
○ B-C 접합은 순방향 바이어스
○ 즉, VE > VB > VC일 것
② 신호를 축소하므로 잘 사용하지 않는 영역
⑺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 곡선 : 컬렉터의 전류-전압 특성 곡선이라고도 함
① 이상적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 곡선 : 컬렉터의 전류-전압 특성 곡선
Figure. 8. 단순화된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 곡선
○ 포화영역 : A ~ B. 즉, 기울기가 있는 선분 상에 있는 경우
○ VB = 0.7 V
○ VBB를 고정시키고 VCC를 증가시켜서 VCE를 0 ~ 0.7 V까지 점차로 증가
○ VC = VCE < VB = 0.7이므로 BC 접합은 순방향 바이어스 상태
○ VCC를 증가시켜 VCE가 증가하면 IC도 점차 증가 (Shockley 다이오드 모델) : 지수적으로 증가
○ IB를 증가시켜도 IC는 일정 : BE 접합과 BC 접합은 모두 순방향 바이어스이므로 제어 기능이 없음 (스위치 ON)
○ 등가회로에서 VCE가 일정한 것은 실제 다이오드를 이상적 다이오드 + 정전압원으로 나타내는 것과 유사. 즉, 그래프의 실질적 차이가 있지만 동작점 계산 시 크게 다르지 않은 해를 보여줌
○ 등가회로는 IC가 IB와 관련 없어서 선이 겹치게 됨. 실제 회로는 IB가 클수록 컬렉터 전류가 더 원활히 흐름
○ 활성영역 : B ~ C. 즉, 평행한 선분 상에 있는 경우
○ VB = 0.7 V
○ VCC를 증가시켜서 VCE > 0.7 V로 만듦
○ VC = VCE > VB = 0.7이므로 BC 접합은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
○ VCC가 증가해도 IC는 일정하게 유지 : IC = β × IB, β = 상수
○ IB를 증가하면 IC 증가
○ 항복영역 : C 이후. 즉, 다시 기울기가 있는 반직선 상에 있는 경우
○ VCC가 계속 증가하여 BC 접합이 과도하게 역방향 바이어스가 되면 항복현상 발생 : 다이오드와 유사
○ 항복영역에서 트랜지스터는 파괴되므로 VCC < VCE(max)에서 사용할 것
○ 차단영역 : IB = 0
○ VBB = 0, IB = 0인 경우 VCC를 증가시키면 BC 접합과 BE 접합은 역방향 바이어스
○ 컬렉터 전류는 약간의 누설전류만 존재 : IC ≒ 0
○ BJT 트랜지스터가 IB로 제어된다는 말은 특성곡선이 IB를 고정한 상태에서 그려지기 때문
② 얼리 효과(early effect)
Figure. 10. 실제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 특성 곡선
○ 베이스폭 변조효과(base-width modulation)라고도 함
○ VCE가 증가하면 컬렉터-베이스 역방향 접합의 공핍영역이 증가하고 유효 베이스 두께 WB가 감소함
○ 그 결과 컬렉터 전류가 증가함
○ 얼리 전압(early voltage) : 여러 기울어진 특성곡선을 연장하면 한 점에서 만나는데, 이때의 전압의 절댓값
③ 부하선과 동작점
○ 베이스 전류-전압, 컬렉터 전류-전압 각각에 대한 특성 곡선과 부하선의 교점을 동작점(Q point)이라고 함
○ 베이스 전류-전압 특성 곡선은 다이오드와 같음
○ 위 전류-전압 특성 곡선은 포화영역에서 IC가 IB에 약간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간과하였음
⑻ 응용 : 트랜지스터 스위치
① 정의 : 차단영역과 포화영역을 오가도록 바이어스를 세팅한 것
② 컬렉터 포화 전압을 알면 포화 영역 동작을 위한 최소 베이스 전류를 알 수 있음 (참고. ⑼-③)
⑼ 응용 : 광 트랜지스터
①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도체를 연결하는 대신 빛을 받아 광전류가 흐르도록 만든 것
⑽ 요약
① 문제 풀이는 활성영역 → 차단영역 → 포화영역 순으로 품
② 접근 방법론 1. 전압 바이어스를 통해 판단
Figure. 12. 트랜지스터 작동영역(transistor region of operation)
③ 접근 방법론 2. 포화영역과 활성영역을 구분할 때 베이스 전류에 대한 컬렉터 전류의 비로 판단
○ βforced < βdc이므로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관찰
○ 위 관계식을 기준으로 작동영역을 판단하는 것은 접근 방법론 1과 필요충분조건
○ 위 관계식을 이용하여 베이스에 전류원을 달아서 포화영역과 활성영역을 조절하기도 함
○ 위 관계식을 이용하여 포화영역에서 작동하기 위한 IB의 최솟값을 계산할 수 있음
3. 전계효과형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 [목차]
⑴ 정의 : 도체, 부도체, 반도체를 결합하여 제조
⑵ BJT 트랜지스터와의 비교
① 용어
○ BJT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베이스, 컬렉터는 FET 트랜지스터의 소스(source), 게이트(gate), 드레인(drain)과 대응
○ BJT 트랜지스터가 NPN을 기준으로 한 것처럼, FET 트랜지스터는 n channel FET을 기준으로 함
○ FET에서 전하는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이동 : n channel FET 기준, 전류는 드레인 → 소스. 전자는 소스 → 드레인
② BJT 트랜지스터의 제어 : 베이스 전류에 의해 제어됨
○ 대류 전류 : 전자, 정공, 전해액 내 이온과 같은 하전 입자의
③ FET 트랜지스터의 제어 :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으로 제어
○ 전도 전류 : 도체 내에서 전계의 작용으로 자유 전자의 이동이 생기는 것
○ 전자가 정공보다 이동성이 높음
○ 도핑된 반도체에서 다수 캐리어 쪽만 신경쓰면 됨
④ 장점 : 스위칭 속도가 매우 빠름
⑤ 단점 : 용량이 적어서 비교적 작은 전력 범위 내에서 기능
⑶ 종류 1. J-FET(junction FET)
① N 채널 J-FET
○ 게이트에 음의 전압을 걸면 P형 반도체에 있는 양공이 가장자리로 이동하면서 드레인 전류 증가
○ 게이트에 양의 전압을 걸면 P형 반도체에 있는 양공이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드레인 전류 감소
② P 채널 J-FET : N 채널 J-FET와 하는 일이 같으며 인가 전압이 반대
⑷ 종류 2. MOS-FET(metal oxider silicon FET) : J-FET보다 자주 사용됨
① 게이트가 절연체인 SiO2에 의해 드레인 및 소스로부터 분리된 형태
○ 기능 : 절연(insulation) 기능을 수행. 게이트로 오가는 전하의 흐름을 방지
○ 일종의 커패시터로 작용 : 아래 메커니즘 참고
② SiO2에는 폴리실리콘 또는 금속이 부착돼 있음 : 게이트의 전압이 골고루 퍼질 수 있게 함
③ 공핍형과 증가형으로 구분
④ CMOS(complementary MOS)
○ 대부분의 디지털 시스템은 CMOS 기술에 기초함
○ C는 상호보완성(complementary)을 나타냄 : p형과 n형이 있기 때문
○ n channel MOS를 n type MOS 또는 nMOS라고도 함
○ p channel MOS를 p type MOS 또는 pMOS라고도 함
○ 반드시 nMOS는 GND에, pMOS는 voltage source에 연결돼도록 해야 함
⑸ 종류 2-1. 증가형 MOS-FET(E MOS-FET, enhancement type MOS-FET)
Figure. 15. 증가형 MOS-FET 기호
① n channel E MOS-FET을 기준으로 설명
② 1st. 기본적으로 드레인과 소스 사이에는 NPN 반도체가 있어서 전류가 흐를 수 없음
③ 2nd. 채널 형성 : 게이트 전극에 소스보다 큰 전압을 인가하면 산화막 아래에 전자들이 모여 반전층 형성
○ 커패시터 동작 : 커패시터의 경우 한쪽이 (+)이면 반대쪽은 (-)인 것을 상기
④ E MOS-FET 문턱전압 (VT, VTH)
○ E MOS-FET에서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최소 게이트 전압
○ 바디 효과(body effect) : VT가 증가하는 요인. PMOS 기준, 바디 효과를 나타내는 식은 다음과 같음
⑤ 포화영역(saturation region)
○ 조건 1. VGS - VT < 드레인 전압(VDS)
○ 조건 2. 게이트 전압(VGS) - 문턱전압(VT) > 0
○ 위 조건은 마치 게이트와 소스가 순방향 바이어스이고, 게이트와 드레인이 역방향 바이어스인 상황
○ 전류 특성 : 전류 상수 K는 제조 시점에서 이미 결정돼 있음
○ 드레인 전압은 전자의 운동뿐만 아니라 채널의 형태를 바꿈
Figure. 16. 드레인 전압의 인가와 채널의 형태 변화
○ 핀치오프(pinch-off) 현상 : 채널 내의 전자들이 드레인으로 빠져나가다가 채널이 끊기는 현상
○ (주석) 채널이 끊기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의미
○ (주석) 적당히 끊겼다 안 끊겼다를 조절하면서 드레인-소스 전압에 무관하게 전류가 흐른다는 걸로 추정
○ channel length modulation : 유효 채널 길이가 짧아져 드레인 전류가 증가함
○ BJT 트랜지스터의 활성영역은 FET 트랜지스터의 포화영역과 대응
⑥ 비포화영역(Ohmic region)
○ 조건 1. 드레인 전압(VDS) < VGS - VT
○ 조건 2. 게이트 전압(VGS) - 문턱전압(VT) > 0
○ 위 조건은 마치 게이트와 소스가 순방향 바이어스이고, 게이트와 드레인이 순방향 바이어스인 상황
○ 전류 특성 : 전류 상수 K는 제조 시점에서 이미 결정돼 있음
○ 전류 식 유도
○ carrier velocity saturation : L이 매우 작거나 E가 매우 클 때 전류 식은 다음과 같이 됨
○ BJT 트랜지스터의 포화영역은 FET 트랜지스터의 비포화영역과 대응
⑦ 차단영역
○ 조건 : 게이트 전압(VGS) - 문턱전압(VT) < 0
○ 위 조건은 마치 게이트와 소스가 역방향 바이어스인 상황
○ 게이트 전압이 E MOS-FET 문턱전압을 넘지 못해 채널 형성이 안 됨 → 전류 흐르지 않음
⑧ 특성곡선
○ 비포화영역 : 기울기가 있는 선분 상에 있는 점들
○ 포화영역 : 평행한 반직선 지점. 실제로는 얼리효과가 관찰돼 약간의 기울기가 있음
○ 차단영역 : ID = 0
○ 드레인 전류 ID는 BJT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전류 IC와 대응
○ 드레인-소스 전압 VDS는 BJT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이미터 전압 VCE와 대응
○ 천이점 : 불포화영역과 포화영역의 경계
○ FET 트랜지스터가 VGS로 제어된다는 말은 특성곡선이 VGS를 고정한 상태에서 그려지기 때문
⑨ 요약 : 문제가 주어졌을 때 포화영역 → 비포화영역 → 차단영역 순으로 상황을 가정해야 함
⑹ 종류 2-2. 공핍형 MOS-FET(D MOS-FET, depletion type MOS-FET)
① n channel D MOS-FET을 기준으로 설명
② 1st. 구조적으로 채널이 이미 형성돼 있음 : 게이트 전압이 없어도 드레인 전류가 흐름
○ n형 반도체가 실리콘 산화막 아래에 얇게 깔려 있음
③ 2nd. 게이트 전압이 양의 전압인 경우 n형 반도체의 전자가 산화막 아래로 모임
○ 커패시터 동작 : 커패시터의 경우 한쪽이 (+)이면 반대쪽은 (-)인 것을 상기
○ 전자가 산화막 아래로 모이면서 채널이 두꺼워짐 → 전류가 강화됨
○ 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증가형 모드 동작이라고 함
④ 3rd. 게이트 전압이 음의 전압인 경우 n형 반도체의 전자가 가장자리로 흩어짐
○ 커패시터 동작 : 커패시터의 경우 한쪽이 (-)이면 반대쪽은 (+)인 것을 상기
○ 전자가 산화막 아래에서 가장자리로 흩어지면서 채널이 얇아짐 → 전류가 약화됨
○ 전류가 감소하는 것을 공핍형 모드 동작이라고 함
⑤ D MOS-FET 문턱전압 : 드레인 전류를 0으로 만드는 전압
○ VGS = 0인 경우에도 드레인 전류는 0이 아님 : 이때의 전류를 IDSS라고 함
⑥ 특성곡선
Figure. 21. D MOS-FET의 특성곡선
Figure. 22. D MOS-FET의 특성곡선
입력 : 2018.02.15 14:33
수정 : 2022.09.11 21:48
'▶ 자연과학 > ▷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로이론】 10강. Op Amp (2) | 2019.11.25 |
---|---|
【회로이론】 9강. 반도체 증폭회로 (0) | 2019.11.25 |
【회로이론】 7강. 다이오드 (1) | 2019.11.08 |
【회로이론】 5-3강. 함수 생성기(function generator) 사용법 (0) | 2016.09.24 |
【회로이론】 5-2강.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사용법 (0) | 2016.09.2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