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도덕적 앎
우리의 양심 + 당위 + 도덕적 추론과 같은 도덕적 사고
→ 도덕적인 행동의 이유와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다.
2.도덕적 행동
※ 도덕적 앎을 통해 실현된 행동은 자율적인 행동이다.
※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일치하는 것 (지행일치)는 중요하다.
※ 도덕적 사고가 없는 행동은 맹목적인 행동이다.
※ 도덕적 행동에 이르지 않는 앎은 불완전한 지식이다.
3.도덕적 앎과 행동의 불일치
(1) 도덕적 관심의 부족-자신의 이익이나 즐거움에 더 큰 관심을 가짐.
(2) 의지의 나약함
→ 공감과 같은 감정 개발, 습관을 통한 도덕적 실천의지 기르기.
(3) 또래집단이나 사회의 무질서한 분위기 때문에
→ 용기가 필요.
4.도덕적 실천 동기 : 물질적 이익이나 명성을 얻기 위해 선하게 사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으로 살아가는 것 그 자체를 소중한 목적으로 여
기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마음이다.
- 도덕적 실천 동기가 없으면 궁극적(절대적)으로 도덕적 행동을 실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이익이나 명성을 위한 도덕적 행동은 곤해가 생기면 언제든지 중단할 수 있다.
- 이익이나 명성을 위한 도덕적 행동은 점차 성숙되어 진정한 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음.
※ 칸트 : 그저 그것이 선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어떤 보상이나 대가를 바라지 않고 선하게 사는 것 그 자체가 소중하기 때문이지요.
※ 벤담 : 우리가 도덕적으로 살아야 하는 이유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가장 큰 행복을 누리기 위해서입니다. 도덕은 최대의 사람들에게 최대의 행복을 주기 때문에 지켜야 하는 것이지요.
※ 맹자 : 인간이 타고 난 본래의 착한 본성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도덕적으로 살아야 합니다. 인간의 본성은 원래 순수하고 선한데, 잘못된 욕심과 욕망때문에 더렵혀지기 쉽지요. 따라서, 타고 난 착한 성품을 지키기 위하여 노력해야 합니다.
5.도덕적 실천 의지 : 주어진 상황에서 도덕적 앎을 상황으로 옮기려는 국은 마음가짐을 뜻한다.
-도덕적 인물 본받기, 도덕적 습관 기르기 등으로 도덕적 실천 의지를 기를 수 있다.
-도덕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합리적 판단과 실천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잘못된 습관으로 인해 걸림돌이 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습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도덕적 실천 의지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작은 노력들이 우리의 몸에 스며들어 그것이 습관화될 때, 비로소 도덕적 실천 의지를 기를 수 있다.
도덕적 앎
↖ ↗
l도덕적실천의지l
↙ ↘
도덕적 행동
6.신념 : 자기가 옳다고 여기는 것으로 그 사라믜 일생을 이끌어 주는 굳센 믿음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좌우명(늘 옆에 두고 가르침으로 삼는 말이나 문구)에 담겨져 있다. (예) 일신우일신
-한 사람의 삶은 그가 지니고 있는 신념에 따라 달라진다.
-신념은 그 사람의 행동과 삶의 방향을 이끌어주는 지침으로, 그의 생각과 감정, 그리고 행동에 영향을 준다.
-어떤 신념을 갖느냐에 따라 개개인의 삶이 결정되고, 그가 속한 사회가 달라지게 된다.
-신념은 우리의 삶을 이끌어주는 강한 원동력이다.
-신념에 따라 행동하기 위해서는 용기와 굳은 의지가 필요하다. (자신의 욕구, 부당한 요구 등)
-자신의 신념을 지키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옳은 신념을 가지는 것이다. (한 번 굳어진 신념은 바꾸기 어렵기 때문. 그릇된 신념은 남에게 피해를 줌.)
*******옳은 신념이란 어떤 것일까?*********
1. 물질적 가치뿐만 아니라 정신적 가치도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
2.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사는 삶을 중시해야 한다.
3. 긍정적인 생각을 담고 있어야 한다. (긍정적인 사람은 현재의 고난을 걸림돌로 삼지 않고 내일을 향한 디딤돌로 삼는다.)
*********관용****************************
자신의 신념도 소중하듯 다른 사람의 신념도 소중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자기와 다른 신념을 가진 사람들의 입장과 권리를 무시하거나 억압하지 않고 인정하는 태도) 우리는 흔히 자신의 신념은 옳고 타인의 신념을 수용하는 태도가 부족하다. 때때로 자신의 신념에 따른 행동은 다른 사람의 신념이나 이익과 충돌하거나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7.우리나라 조상들의 교과서
(1) 사자소학 : 소학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것으로 유교의 도덕적 ·실천적인 배움의 내용을 강조. 주로 효와 충을 강조
(2) 추구 : 유명한 시인들이 즐겨 암송하던 오언으로 된 좋은 시의 글귀를 가려 뽑아 만든 책.
(3) 동몽선습 : 조선시대의 학자 박세무가 아동을 위해 지은 책. 주로 오륜을 강조.
(4) 명심보감 : 성현들의 명언이나 모범이 되는 행실을 모아 엮은 책.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들이 나타남.
작성일: 2010. 07. 04 11:03
'▶ 자연과학 > ▷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 중1 도덕 중간고사 정리(2) (0) | 2016.06.21 |
---|---|
【자연과학】 역대 노벨상 리스트 (0) | 2016.06.21 |
【도덕】 중1 도덕 중간고사 정리(1) (0) | 2016.06.21 |
【도덕】 중1 도덕 기말고사(2) (0) | 2016.06.20 |
【도덕】 중1 도덕 기말고사(1) (0) | 2016.06.2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