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tal Category

【생물학】 11강. 생물정보학 11강.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1. 개요 [본문]2. 비교 유전체학 [본문]3. 기능 유전체학 [본문]4. 후성유전학 [본문]5. 메타유전체학 [본문]6. 전사체학 [본문]7. 단백질체학 [본문]8. 대사체학 [본문]9. 약리체학 [본문]10. 표현체학 [본문]11. 라디오믹스 [본문]a. 생물정보학 분석 목차 b. 전사체 분석 파이프라인c. 셀 타입 마커 유전자d. Seurat로 셀 타입 결정하기   1. 개요 [목차]⑴ 암종 > 102 ⑵ 매년 암환자 ~ 2 × 106 ⑶ 암을 일으키는 driver mutation ~ 105 ⑷ variant combination ~ 100000C6 ⑸ 셀 타입 및 셀 상태 ~ 104 ⑹ 유전자 조합 ~ 1013 ⑺ ..
【생물정보학】 RCTD의 이해 및 실행 RCTD의 이해 및 실행 (ref) 추천글 :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 분석 목차 1. 개요 [본문] 2. 수학적 이론 [본문] 3. 코드 [본문] 4. 결과 [본문] 5. 결론 [본문] 1. 개요 [목차] ⑴ 기존 spatial transcriptomics의 한계 ① 특정 cell type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알기 어려움 ○ 이유 1. spatial transcriptomics spots 위에 single-cell이 놓이지 않고 수십~수백 개의 cell들이 놓일 수 있기 때문 ○ 이유 2. spot 위에 수 개의 cell들만 올라가더라도 별개의 cell로 인식하지 못하고 하나의 새로운 cell로 인식함 ② 기존 unsupervised marker-dependent analysis의 단점 (ref) ○ ..
【분자생물학】 2008년 제45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2008년 제45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추천글 : 【분자생물학】 변리사 2차 분자생물학 기출문제 풀이 a. 중심학설 b. DNA 테크놀로지 문제 1. 인간 유전자를 대장균에서 발현시켜 활용하고자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기술하시오. ⑴ 발현벡터의 기본 조건 ⑵ 대장균 내 번역 후 가공 기구의 부재 ○ 번역 후 가공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함께 전달하는 방식 ○ 우선 가공 전 단백질을 얻은 뒤 사후적으로 가공을 할 수 있음 ⑶ inclusion body 문제 2. DNA를 조작하여 진핵세포에서 기능을 하는 인공염색체를 제작하고자 한다. 이 경우에 필요한 DNA 요소 4가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⑴ 동원체(centromere) : 세포분열 시 방추사에 붙어 각 딸 세포에 적절하게 분배하..
【분자생물학】 2009년 제46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2009년 제46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추천글 : 【분자생물학】 변리사 2차 분자생물학 기출문제 풀이 a. 중심학설 b. DNA 테크놀로지 문제 1. 1950년대 DNA 복제(replication) 방식이 규명되기 이전에 과학자들은 DNA 복제가 분산적(dispersive), 보존적(conservative), 반보존적(semiconservative) 방식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으로 일어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Meselson과 Stahl은 실험을 통해 DNA 복제가 반보존적(semiconservative) 방식으로 일어난다고 결론지었다. 위의 세 가지 DNA 복제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두 과학자가 이 가설들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한 실험과정, 결과 그리고 위의 결론을 추론한 근거를 논하시오. ⑴..
【분자생물학】 2010년 제47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2010년 제47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추천글 : 【분자생물학】 변리사 2차 분자생물학 기출문제 풀이 a. 중심학설 b. DNA 테크놀로지 문제 1. 세포에서 DNA 복제를 진행하는 DNA 중합효소는 진행성(processivity)이 매우 낮다. DNA 중합효소의 낮은 진행성은 활주 DNA 클램프(sliding DNA clamp) 단백질과 결합함으로써 1,000배 이상 향상된다. 활주 클램프 단백질의 구조는 생물체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으로 중앙에 통로가 있는 닫힌 원형 구조, 즉 도넛과 같은 형태를 가지며 이중나선 부위에 결합하고 있다. ⑴ 1-1. DNA 중합효소의 진행성을 정의하고, 활주 클램프 단백질이 어떻게 DNA 중합효소의 진행성을 높이는지 설명하시오. ○ DNA 중합효소의 진..
【분자생물학】 2011년 제48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2011년 제48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추천글 : 【분자생물학】 변리사 2차 분자생물학 기출문제 풀이 a. 중심학설 b. DNA 테크놀로지 문제 1. 최근 재생의학(regenerative medicine) 분야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가 새로운 세포치료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iPSC 기술을 정의하고, 이 기술의 장점과 현재 이 기술이 갖고 있는 문제점과 그 극복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⑴ iPSC 기술의 정의 ○ 체세포를 배아줄기 세포로 전환한 것을 말한다. 체세포에 다음과 같은 역분화 유전자를 전달한다. ○ Oct4 : 줄기세포 미분화 유지 관련 유전자 ○ Sox2 : Oct4에 영향을 받는 유전자 ○ c-Myc : 체외 배양 시, 표현..
【분자생물학】 2012년 제49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2012년 제49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추천글 : 【분자생물학】 변리사 2차 분자생물학 기출문제 풀이 a. 중심학설 b. DNA 테크놀로지 문제 1. 생식세포(germ cell)는 체세포(somatic cell)와 비교했을 때 매우 다른 특징을 갖는다. ⑴ 1-1. 생식세포가 만들어지는 감수분열 과정을 서술하시오. Figure. 1. 감수분열 과정 ○ 감수분열은 제1 감수분열과 제2 감수분열로 구분된다. 제1 감수분열은 두 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지는 과정으로 부계 염색체와 모계 염색체가 랜덤하게 각 딸세포에게 분배된다. 이론적으로 23쌍의 염색체를 갖는 사람의 경우 223개의 딸세포가 제1감수분열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제2 감수분열 전기에 있는 각 염색체 간 교차에 의해 자손으로 전해질 수 있는 ..
【분자생물학】 2013년 제50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2013년 제50회 변리사 2차 국가자격시험 추천글 : 【분자생물학】 변리사 2차 분자생물학 기출문제 풀이 a. 중심학설 b. DNA 테크놀로지 문제 1. bacteriophage λ는 대장균(E.coli) 세포 속에 들어가 용균(lysis) 또는 용원(lysogeny) 방식으로 번식할 수 있다.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⑴ 1-1. 용균성 번식(lytic growth)과 용원성 번식(lysogenic growth)을 각각 정의하시오. ○ 박테리오파지는 박테리아를 숙주 삼아 증식할 수 있다. ○ 용균성 번식이란, 박테리오파지가 숙주를 파괴하면서 증식하는 방식이다. ○ 용원성 번식이란, 박테리오파지의 DNA가 숙주 DNA 내부에 계속 남아 있으면서 증식하는 방식이다. ⑵ 1-2. 용균성 또는 용원성 번식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