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물학

【생물학】 32강. 발생학 32강. 발생학(embryology)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개요 [본문] 2. 유전적 동일성 [본문] 3. 발생 과정 [본문] a. 신경발생학 b. 초파리 발생학 c. 성게 발생학 d. 어류 발생학 e. 양서류 발생학 f. 조류 발생학 g. 포유류 발생학 h. 히드라의 재생 및 이식 1. 개요 [목차] ⑴ 발생 연구를 위한 모델 생명체 ①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 : 배아가 모체 밖에서 발생 ② 예쁜꼬마선충(C. elegans) ③ Xenopus laevis ④ Chick : 배아 과정 중 외과적 절제가 가능 ⑤ Mus musculus ⑥ Danio rerio : 속이 투명 ⑦ Arabidopsis thaliana ⑵ 주요 단백질 ① 피브로넥틴 ○ 세포외기질에..
【생물학】 25강. 식물학 25강. 식물학(botany)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식물계 [본문]2. 식물의 구조 공통 [본문]3. 식물의 구조 : 잎 [본문]4. 식물의 구조 : 줄기 [본문]5. 식물의 구조 : 뿌리 [본문]6. 식물생리학 [본문]7. 식물호르몬 [본문]8. 유성생식 [본문]9. 무성생식 [본문]a. 종자은행b. 수확공정 1. 식물계 [목차]⑴ 특징 : 모든 육상식물이 가지고 있는 형질① 광독립 영양 : 엽록소 a, b, 카로티노이드② 세포와 조직이 분화되어 있는 다세포성 진핵세포③ 세포벽의 주성분은 셀룰로오스○ 로제트형 셀룰로오스 합성효소 : 녹조류(차축조류)와 육상식물만 공유하는 특성 ④ 운동성 無⑤ 육상생활에 적응○ 육상은 건조함 : 표면에 방수능력이 높은 큐티클층이 발달○ 뿌리와 줄기, 잎..
【생물학】 22강. 골격계 22강. 골격계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개요 [본문] 2. 뼈의 구조와 생성 [본문] 3. 뼈의 기계적 연결 [본문] 4. 뼈의 역학적 특성 [본문] 5. 뼈의 질환 및 치료 [본문] 1. 개요 [목차] ⑴ 기능 ① 신체의 지지 ② 내부 기관 보호 ③ 운동 링크와 근 부착점 제공 ④ 무기질 저장 : 칼슘, 인 저장 ⑤ 골수에서 혈구 생산 ⑵ 골격의 분류 ① 유체골격 : 몸속에서 근육에 의해 빈 공간에 압축될 수 없는 유체가 들어가 만들어짐 ○ 예 : 강장동물(말미잘), 오징어와 문어(분사이동), 지렁이 이동 ○ 지렁이 이동 ○ 1st. 종주근의 수축과 환형근의 이완으로 머리 부분과 꼬리 부분의 체절은 짧고 굵어지며 강모로 지면에 고정, 나머지 체절들은 종주근의 이완과 환형근의 수축으로 길..
【생물학】 21강. 근육계 21강. 근육계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근육 [본문] 2. 골격근의 근수축 모형 [본문] 3. 평활근의 근수축 모형 [본문] 4. 심장근의 근수축 모형 [본문] 5. 운동 [본문] 6. 근육계 질환 [본문] 1. 근육 [목차] ⑴ 성분 : 동물의 근육은 다음과 같이 구성됨 ① 물 : 70% ② 미오신, 액틴, 미오글로빈 등의 단백질 : 20% ⑵ 근육과 골격의 상호작용 ① 근육계의 기능은 운동이며 골격과 상호작용 ② 근육은 관절을 사이에 두고 힘줄에 의해 뼈대에 연결 ③ 근육은 수축만 가능 → 협동근(같은 방향 수축)과 길항근(반대 방향 수축)이 함께 작용 ○ 수축만 가능하다는 것은 이완하는 방향으로 장력을 형성하는 메커니즘이 없다는 의미 ○ 수축된 근육은 자연스럽게 평형상태로 이완하려고..
【생물학】 20강. 내분비계 20강. 내분비계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내분비계 [본문] 2. 호르몬의 종류 [본문] 1. 내분비계 [목차] ⑴ 내분비 : 분비관 없이 진행되는 신호의 전달 ⑵ 내분비의 종류 ① 자가분비(autocrine) : 세포가 분비한 내분비물질이 자기 자신에게 영향을 주는 경우 ○ 예 : 종양세포와 생장요소, 활성화된 세포 도움 T 세포의 IL-2, 위세포의 성장인자 ② 측분비(주변분비, paracrine) : 이웃세포에게 분비 ○ 예 : 성장인자, 인터류킨,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 간에서 분비 ○ 프로스타글란딘 : 위의 뮤신 분비, 혈소판 방출반응 촉진, 면역활성, 자궁수축. 분자구조가 불안정하여 국소조절..
【생물학】 19강. 신경계 19강. 신경계(nervous system)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최근 수정 내역뇌과학이란 (23.07.15)뇌과학올림피아드 수상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1강. 뇌과학이란2강. 신경해부학3강. 신경생리학4강. 뇌의 부위별 기능5강. 뇌공학6강. 신경경로학7강. 신경발생학8강. 신경진화론9강. 기억과 뇌10강. 수면과 뇌11강. 심리학과 뇌과학12강. 신경계 이상 부록뇌과학 연구의 역사 입력: 2018.11.29 20:52
【생물학】 18강. 감각계 18강. 감각계(sensory system)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개요 [본문] 2. 감각기 종류 [본문] a. 광수용기 : 눈 b. 청각수용기 : 귀 c. 평형감각수용기 : 귀 d. 후각수용기 : 코 e. 미각수용기 : 혀 f. 피부감각수용기 1. 개요 [목차] ⑴ 자극(stimulus) ① 정의 : 주변 환경의 변화 ② 특성 : 종류(modality), 강도(intensity), 부위(location), 시간(timing) ⑵ 감각(sensation) : 자극으로 감각수용기가 활성화될 때 유발되는 주관적 경험 ① 메커니즘 : 감각 변환 → 증폭 → 전달 → 종합 → 의식 ○ 감각수용기 : 역치보다 큰 물리적 자극이 있으면 활동전압을 발생 ○ 감각변화 : 빛, 화학, 기계, 열 에너지..
【생물학】 17강. 배설계 17강. 배설계(excretory system) 추천글 : 【생물학】 생물학 목차 1. 삼투조절 [본문]2. 질소노폐물 [본문]3. 배설계의 종류 [본문]4. 신장의 구조 [본문]5. 신장의 작용 [본문]6. 신장의 조절 [본문]7. 신장의 이상 [본문]8. 땀 [본문] 1. 삼투조절 [목차]  2. 질소노폐물 [목차]⑴ 질소 노폐물의 생성① 아미노산 분해 : 아미노산을 대사할 때 아미노기를 떼는 반응으로 암모니아가 생성○ 간은 오르니틴 회로에 의해 암모니아를 CO2와 결합시켜 요소 합성○ 미토콘드리아와 세포질 경유○ 요소가 나오는 과정은 세포질에서 일어남○ 신장에서는 암모니아를 세뇨관으로 분비○ 아미노기 전달반응 (글루탐산, 아스파라긴) : 아미노기를 2-옥살산으로 옮기는 반응 Figure. 1. 오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