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강. 신경경로학
추천글 : 【생물학】 뇌과학올림피아드 목차
1. 신경계의 분류 [본문]
2. 척수 [본문]
3. 내림척수로 [본문]
4. 소뇌경로학 [본문]
5. 피질경로학 [본문]
6. 백질경로학 [본문]
7. 커넥톰 프로젝트 [본문]
a. 시상-피질-기저핵 루프
1. 신경계의 분류 [목차]
⑴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 뇌 + 척수
① 뇌(Brain) : 머리뼈(Skull) 속의 공간인 머리뼈안(Cranial Cavity) 안에 들어 있음
○ 앞뇌(Forebrain) : 대뇌(Cerebrum), 간뇌(Diencephalon) 등
○ 중간뇌(Midbrain) : 대뇌다리, 중간뇌덮개 등
○ 뒤뇌(Hindbrain) : 소뇌(Cerebellum), 교뇌(Pons), 연수(Medulla Oblongata) 등
② 척수(Spinal Cord) : 척주(Vertebral Column) 속의 공간인 척주관(Vertebral Canal) 안에 들어 있음
③ 머리뼈안과 척주관은 연결된 공간이며, 뇌와 척수도 서로 이어져 있음
○ 이들은 큰구멍(Foramen Magnum)을 기준으로 나뉨
⑵ 말초신경계(PNS, Peripheral Nervous System)
① 뇌와 척수 외의 신경조직
② 체성신경계와 자율신경계로 구분
③ 감각신경계와 운동신경계로 구분
④ 뇌 신경과 척수 신경으로 구분
⑶ 분류 1.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
① 감각 및 운동신경. 수의적
⑷ 분류 2.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① 내적 체계. 불수의적. 내분비계를 조절함
②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 : 해결사 역할
③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 유지, 보수 역할
⑸ 분류 3. 감각신경계(Sensory Nervous System) : 수용기를 포함하고, 중추신경계로 신호를 전송
① 체성감각신경계(Somatic Sensory Nervous System)
○ 피부, 관절, 감각기관으로부터 감각정보를 받음
○ 절전신경과 절후신경으로 구분돼 있음
② 내장감각신경계(Visceral Sensory Nervous System)
○ 내장으로부터 감각정보를 받음
⑹ 분류 4. 운동신경계(Motor Nervous System) : 중추신경계로부터 정보를 받아 효과기로 운동 정보를 전송
① 체성운동신경계(Somatic Motor Nervous System)
○ 수의적 운동신경계, 골격근 등
○ 절전신경과 절후신경으로 구분돼 있지 않음
② 자율운동신경계(Autonomic Motor Nervous System)
○ 불수의적 운동신경계, 심장근, 평활근, 분비샘 등
⑺ 분류 5. 뇌신경(Cranial Nerve) : 12쌍 존재
Figure. 1. 시각신경(Optic Nerve)과 시신경교차(Optic Chiasm)
① 1번. 후각신경(Olfactory Nerve) : 감각신경
② 2번. 시각신경(Optic Nerve) : 감각신경
③ 3번. 눈돌림신경(동안신경, Ocluomotor Nerve) : 운동신경, 눈을 운동시킴
④ 4번. 도르래신경(활차신경, Trochlear Nerve) : 운동신경
○ 눈이 돌아가도록 하는 움직임에 관여
○ 0.5 mm로 1번 ~ 12번 중 가장 얇음
⑤ 5번.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 2개의 감각신경(Sensory Root, Portio Major)와 1개의 운동신경(Motor Root, Portio Minor)로 구성
○ 세 신경이 각각 V1(이마쪽), V2(위턱쪽), V3(턱쪽)에 관여
⑥ 6번. 갓돌림신경(외전신경, Abducent Nerve) : 운동신경, 눈을 바깥으로 돌릴 수 있게 하는 신경
⑦ 7번. 안면신경(Facial Nerve)
⑧ 8번. 속귀신경(전정와우신경, Vestibulocochlear Nerve) : 감각신경
○ 청각신경(Acoustic Nerve)과 전정신경(Vestibular Nerve)으로 구분
○ 평형감각 신경세포의 세포체가 모여있는 곳이 안뜰신경핵(Vestibular Nucleus)임
⑨ 9번. 혀인두신경(설인신경, Glossopharyngeal Nerve) : 감각신경, 미각에 관여
⑩ 10번. 미주신경(Vagus Nerve) : 몸 전체에 분포하며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 신경
⑪ 11번. 부신경(Accessory Nerve) : 뇌부신경(Cranial Accessory Nerve) + 척수부신경(Spinal Accessory Nerve)
⑫ 12번. 혀밑신경(설하신경, Hypoglossal Nerve) : 운동신경
○ 혀의 움직임에 관여
○ 혀밑신경의 세포체가 모여 있는 곳이 혀밑신경핵(Hypoglossal Nucleus)임
⑬ 1번부터 7번까지는 뇌교에 위치
⑭ 9번부터 12번까지는 연수에 위치
⑻ 분류 6. 척수신경(Spinal Nerve) : 31쌍 존재
① 목신경(경신경, Cervical Spinal Nerve) : 8쌍
② 가슴신경(흉신경, Thoracic Spinal Nerve) : 12쌍
③ 허리신경(요신경, Lumbar Spinal Nerve) : 5쌍
④ 엉치신경(천골신경, Sacral Spinal Nerve) : 5쌍
⑤ 꼬리신경(미저신경, Coccygeal Spinal Nerve) : 1쌍
2. 척수(Spinal Cord) [목차]
⑴ 척수의 구조
① 척수는 정보가 뇌로 들어가고 나오는 주 통로
② 척추골에 의해서 보호
③ 반사 중추로도 작용
⑵ 운동뉴런 : 중추신경계 → 척수의 흥분성 사이뉴런 → 운동뉴런
⑶ 척수반사(Spinal Reflex)
① 반사
○ 반사궁이라는 뉴런의 회로
○ 감각 뉴런과 직접 시냅스를 이루는 운동 뉴런으로 구성
○ 고차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작용
② 반사 회로
○ 종류 1. 단세포 반사 (예 : 시상하부에 삼투 자극 후 뇌하수체 후엽에 ADH 방출 뉴런)
○ 종류 2. 단일 시냅스 반사 : 구심성 뉴런(감각 뉴런)과 원심성 뉴런(운동 뉴런) 한 쌍이 구성
○ 종류 3. 복수 시냅스 반사
③ 신장반사 : 무릎반사(knee jerk reflex)가 대표적
○ 신장수용기(Stretch Receptor)가 관여하는 신장반사(Stretch Reflex)
○ 근육이 너무 늘어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
○ 열 반사와 유사
④ 그림 설명
○ A : 감각뉴런, 슈도단축신경세포
○ B : 억제성 사이뉴런
○ 단일연접반사(monosynaptic reflex) : A가 C가 아닌 운동 뉴런으로 연결, 신장수용기 작용시 근 수축
○ 다시냅스 반사(polysynaptic relfex) : A → B → C로 연결, 신장수용기 작용시 근 이완
⑷ 연수-척수 경로(medulla Spinal Tract)
① 배쪽(ventral) : 운동신경, 자율신경
② 등쪽(dorsal) : 감각신경, 내장신경
천골(Sacral), 요추(Lumbar), 흉추(Thoracic), 경추(Cervical)
⑸ 자율신경
① 교감신경 : 흉추, 요추에서 목적 기관까지 연결
② 부교감신경 : 연수, 천추에서 목적 기관까지 연결
3. 내림척수로(Descending Spinal Tract) : 대뇌피질에서 척수로 연결되는 신경로 [목차]
Figure. 5. 척수의 내림신경로(Descending Tracts)
⑴ 개요
① 여러 내림척수로가 있으나 피질척수로가 주로 관여
○ 팁. 피질척수로만 고려해서 문제를 풀자.
② 상행로 : 감각의 종류에 따라 교차 장소가 상이
○ 통증, 온도감각, light touch : 해당하는 척수 신경절에서 교차가 이루어짐
○ 고유감각, 촉각 : 연수 피라미드로에서 교차가 이루어짐
③ 하행로 : 연수 피라미드로에서 교차가 이루어짐
⑵ 외측경로(Lateral Pathway) : 자발적이고 정교한 운동에 관여, 대뇌피질로부터 제어
①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
○ 피질척수로에서 근신경접합부까지 2개의 뉴런만 있으므로 신경신호 전달시간이 굉장히 빠름
○ 일차운동피질에서 시작하여 Monosynaptic Pathway로 척수의 앞뿔(Anterior Horn)까지 이름
○ 척수의 앞뿔 세포로부터 나온 신경이 한번에 근신경접합부에 결합함으로써 근육을 움직임
○ 감각신경계 : 피질척수로의 1/3에 해당, 피라미드로(Pyramidal Tract)라고 부름, 체성감각 정보를 두정엽의 체성감각영역(Somatosensory Area)으로 전달
○ 피질척수섬유(Corticospinal Fiber) : 중간뇌의 대뇌섬유다리는 대뇌피질에서 나오는 신경섬유들로 구성
○ 전두교뇌섬유(Frontopontine Fiber) : 〈Coronal View〉 중간뇌 대뇌섬유다리의 가장 안쪽(Medial) 1/5을 지나는 섬유, 〈Sagittal View〉 전두엽에서 시작하여 속섬유막의 앞다리(Anterior Limb) 속을 지나 교뇌핵까지 이르는 신경섬유
○ 측두교뇌섬유(Temporopontine Fiber) : 〈Coronal View〉 중간뇌 대뇌섬유다리의 가장 외측(Lateral) 1/5을 지나는 섬유, 〈Sagittal View〉 대부분 측두엽에서 나와 속섬유막 맨 아래부분 및 뒤부분, 즉 시각로 바로 위를 지나 교뇌핵까지 이르는 신경섬유
○ 피질척수섬유(Corticospinal Fiber) : 〈Coronal View〉 중간뇌 대뇌섬유다리의 중간부위 3/5을 지나는 섬유, 〈Sagittal View〉 중심전이랑에서 나와 속섬유막 뒤다리(Posterior Limb)를 지나 교뇌핵까지 이르는 신경섬유
○ 〈Sagittal View〉 피질척수섬유 중 가장 뒷부분은 중심전이랑 위부분(Leg Portion)에서 내려옴
○ 〈Sagittal View〉 피질척수섬유 중 가장 앞부분은 중심전이랑 아래부분(Head Portion)에서 내려옴
○ 피라미드로 : 피라미드섬유(Pyramidal Fiber) → 대뇌섬유다리(Crus Cerebri) → 속섬유막(Internal Capsule) → 대뇌부챗살(Coronal Radiata) → 대뇌피질에서 나온 피질척수섬유(Corticospinal Fiber)
○ 피라미드교차(Pyramidal Decussation) : 〈Front View〉 피라미드섬유가 연수와 척수의 연결부분(ⅩII번 뇌신경과 첫째 목신경이 나오는 높이)에서 교차를 이루는 것, 전정중틈새(Anterior Median Fissure)가 얕아진 부위
Figure. 6. 뇌교와 연수의 오른쪽 절반에서 얇은 층을 제거하여 신경로를 노출한 모습
○ 운동신경계 : 피질척수로의 1/3에 해당, 운동영역인 브로드만 영역 4번, 6번에서부터 연결
② 적색척수로(Rubrospinal Tract) : 중간뇌의 적핵(Red Nucleus)에서 시작
○ 대뇌피질에서 시작하여 중간뇌의 적핵에서 멈춤(Polysynaptic Pathway), 적핵에서 시작하여 교뇌에서 교차
○ 적핵의 주요 입력은 전두엽 피질(Frontal Cortex)이 제공
○ 전두엽 피질은 피질척수로에도 기여
Figure. 7. 외측경로. ⒜ 피질척수로, ⒝ 적색척수로
⑶ 복내측경로(Ventromedial Pathway) : 위치와 균형 등 크고 정교하지 않은 움직임과 관련, 대뇌피질에서 시작하여 뇌간에서 멈춤(Polysynaptic Pathway), 뇌간에서 시작하여 척수사이신경세포(Spinal Interneuron) 사이에서 끝남
① 덮개척수로(Tectospinal Tract) : 중간뇌의 덮개(Tectum)에서 시작, 시청각 정보 이용, Tectal Plate와 함께 머리의 균형 조절
② 전정척수로(Vestibulospinal Tract) : 연수에서 시작, 전정기관의 중력정보·몸의 위치·시각정보 활용, 몸의 자세 유지
③ 다리뇌그물척수로(Pontine Reticulospinal Tract) : 교뇌에서 시작, 몸을 반중력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
④ 연수그물척수로(Medullary Reticulospinal Tract) : 연수에서 시작, 반중력으로 유지하던 몸의 근육을 풀어줌
Figure. 8. 복내측경로. ⒜ 전정척수로, ⒝ 덮개척수로.
Figure. 9. 복내측경로. 빨강은 교뇌그물척수로, 파랑은 연수그물척수로
4. 소뇌경로학 [목차]
⑴ 하소뇌다리(ICP; Inferior Cerebellar Peduncle)
① Ascending Pathway가 소뇌로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
② 경로 1. Inferior Olivery Nucleus → ICP → 소뇌
③ 경로 2. Clarke Column → Spinocerebellar Pathway(Mossy Fiber) → ICP → 소뇌
⑵ 중소뇌다리(MCP; Meddle Cerebellar Peduncle)
① Descending Pathway가 소뇌로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
② 경로 1. 운동피질 → 교뇌핵(Pontine Nuclei) → Mossy Fiber → MCP → 소뇌
⑶ 상소뇌다리(SCP; Superior Cerebellar Peduncle)
① 소뇌가 Ascending Pathway 및 Descending Pathway로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
② 경로 1. 충부(Vermis) : Fastigial Nuclei → 내측하강로(Medial Descending System); 운동 실행
③ 경로 2. Intermediate Hemisphere : Interposed Nuclei → 외측하강로(Lateral Descending System); 운동 실행
④ 경로 3. Cerebrocerebellum(Lateral Hemisphere) : Dentate Nuclei → 적핵 및 시상 → 운동앞피질(브로드만 영역 6) → 운동피질 (브로드만 영역 4); 운동계획 담당
⑤ 경로 4. Vestibulo-cerebellum : Vestibular Nuclei; 균형과 눈 운동
5. 피질경로학(Cortical Neurotractology) [목차]
⑴ 브로드만 영역(Brodmann Area) : 뉴런의 모양에 따라 분류한 뇌 지도, 뇌의 기능적 지도
① 뇌의 기능적 지도로 Foerster Map도 있음
② 세포구축학(Cytoarchitecture)에 의한 영역 구분은 현재 신경전달물질 연구를 통해 그 정확성이 검증됨
③ 주요 브로드만 영역
○ ■ (9번 등) : 전전두피질, 인지
○ ■ (4번, 6번)
○ 4번 영역 : 운동영역, 중심앞이랑의 뒤 반쪽
○ 6번 영역 : 앞운동영역, 중심앞이랑의 앞 반쪽, 몸운동신경(Somatomotor Nerve), 두정 체성감각 연합영역과 연결
○ ■ (8번) : 시각운동신경(Visuomotor Nerve, Frontal Eye Field), 두정·후두 시각 연합영역과 연결
○ (8번) : 청각운동신경(Audiomotor Nerve), 상측두 청각 연합영역과 연결, 연구가 잘 돼 있지 않음
○ ■ (1번, 2번, 3번, 5번 등) : 체성감각피질
○ ■ (17번 등) : 일차시각피질(17번), 이차시각피질(18번, 19번)
○ ■ (7번) : 연합영역(Associatoin Area)
○ ■ (22번) : 베르니케 영역
○ ■ (44번, 45번) : IFG의 뒷부분, 브로카 영역
○ (24번, 45번) : Limbic System, Paralimbic System
④ 감각영역 : 시상(Thalamus)과 협력
○ 1차 체성감각 피질(Primary Somatosensory Cortex) : 피부감각 등과 관련. 두정엽 상에 있는 브로드만 영역 5에 위치
○ 1차 시각피질(Primary Visual Cortex) : 시각과 관련. 후두엽 상에 위치, 시각 연합영역과 함께 위치
○ 1차 청각피질(Primary Auditory Cortex) : 청각과 관련. 측두엽 상에 위치, 청각 연합영역과 함께 위치
⑤ 운동영역 : 기저핵(Basal Ganglia, 조가비핵, 미상핵 등)과 협력
Figure. 11. 오른쪽 다리를 움직이기 위해 활성화되는 부위; 소뇌 등 다양한 부위가 관여
○ 1차 운동피질(Primary Motor Cortex, M1) : 브로드만 영역 4에 위치
○ 1차 운동피질의 조직학적 모습
○ Axonal Transport를 전담하므로 피라미드층(Pyramidal Layer)이 두꺼움 : 감각피질은 과립층이 두꺼움
○ Axonal Transport를 전담하므로 과립층(Granular Layer)이 굉장히 얇음 → Agranular Cortex의 어원
○ 속피라미드층은 뇌간을 통해 뇌 밖으로의 정보 전달에 관여
○ 바깥피라미드층은 반구 간의 연결에 관여
○ 전운동영역(Premotor Area)
○ 배쪽 전운동영역(PMv; Ventral Premotor Area) : 외측면의 브로드만 영역 6에 위치
○ 등쪽 전운동영역(PMd; Dorsal Premotor Area) : 외측면의 브로드만 영역 6에 위치
○ 보조운동영역(SMA; Supplementary Motor Area) : 내측면의 브로드만 영역 6에 위치
○ 입쪽 대상운동영역(CMAr; Rostral Cingulate Motor Area) : 내측면의 브로드만 영역 6, 23, 24에 위치
○ 등쪽 대상운동영역(CMAd; Dorsal Cingulate Motor Area) : 내측면의 브로드만 영역 6, 23, 24에 위치
○ 배쪽 대상운동영역(CMAv; Ventral Cingulate Motor Area) : 내측면의 브로드만 영역 6, 23, 24에 위치
Figure. 12. 자발적 운동 제어와 관련된 대뇌피질영역
⑥ 피질감각지도, 피질운동지도, 난쟁이, 호문쿨루스(Homunculus)
○ 관련 실험
○ 반대편 감각피질, 반대편 운동피질
○ 넓을수록 예민(예 : 감각지도에서 검지손가락이, 운동지도에서 엄지손가락이 큼)
Figure. 13. 운동 난쟁이(Motor Homunculus, Somatotopic Map)
⑦ 언어영역
○ 브로카 영역(Broca's Area) : 언어 표현(Motor Speech)에 관여, 전두-운동영역에서 연합
○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 : 언어 이해(Sensory Speech)에 관여, 측두-두정엽에서 연합
○ 실어증(Aphasia) : 브로카 영역이나 베르니케 영역이 손상되어 언어기능에 장애가 생긴 것
○ 전도성 실어증(Conduction Aphasia) : 브로카 영역 - 베르니케 영역 간 경로 단절로 발생, 단어를 이해시킨 뒤 그것을 반복해서 말하게 할 때 어려움을 보임
⑧ Temporal-Parietal-Occipital Junction : 고위중추 기능이 집합된 영역, 일차체성감각피질, 일차시각피질, 일차청각피질에서 제일 멀어 여러 감각 정보를 통합하여 분석
⑵ 감각영역의 위계와 연결
⑶ 운동영역의 위계와 연결
① 모식도
Figure. 14. 감각영역 및 운동영역의 위계와 연결
② 신체운동시스템(SM; Somatic Motor System)
○ 외부 환경과 무관하게 자신의 신체부위의 위치를 스스로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 연결 : 전두엽 상의 전운동영역(Premotor Area), 두정엽 상의 체성감각연합영역(Somatosensory Association Area)
③ 시각운동시스템(VM; Visual Motor System)
○ 외부 환경 속에서 자신의 신체를 인지
○ 연결 : 전두엽, 브로드만 영역 상의 전두안구영역(Frontal Eye Field), 두정엽·측두엽 상의 시각연합영역(Visual Association Area), 상측두이랑(STG) 상의 청각연합영역(Auditory Association Area)
④ 후두정피질(PPC; Posterior Parietal Cortex)
○ 기능 : 목표지향 운동에 필요한 공간 정보(SM, VM으로부터 전달받음)을 통합하고, 앞운동영역과 운동영역으로 전달
○ 연결 : 1차 체성감각피질(Primary Somatosensory Cortex), 시각피질(Visual Cortex), 고유감각(Proprioceptive) 영역
○ 후두정피질에서 브로드만 영역 5에 해당하는 영역 : 1차 체성감각피질인 브로드만 영역 3, 1, 2, 7로부터 입력을 받음
○ 후두정피질에서 브로드만 영역 7에 해당하는 영역 : 중측두이랑(MTG) 상에 있는 고차원 시각피질영역(Visual Cortical Area)으로부터 입력을 받음
⑤ 전전두영역(PFC; Prefrontal Cortex, Prefrontal Area)
○ 기능 : 후두정피질(PPC)과 함께 운동제어의 상위단계를 수행, 추상적 생각·의사결정·결과예측에 중요한 역할
○ 연결 : 두정엽 상의 감각영역과 연결
⑥ 앞운동영역(PMA; Premotor Area)
○ 기능 : 경험에 의해 형성된 운동 패턴 기억, 1차 운동영역(M1)의 작용 계획, 정교함을 요하지 않는 운동(예. 자세교정)에서 기저핵과 함께 관여
○ 연결 : 후두정피질의 감각피질, 시상, 소뇌, 기저핵으로부터 구심성 섬유를 받아들여 1차 운동영역(M1)으로 원심성 섬유를 내보냄
⑦ 보조운동영역(SMA; Supplementary Motor Area)
○ 보조운동영역 : 말단운동단위(Distal Motor Area)를 직접 연결
○ 앞운동영역 : 근위운동단위(Proximal Motor Area)를 연결
○ 앞운동영역은 이를 위해 그물척수로 통제
○ (참고) 척수사이신경세포 : 근위부 근육과 축성 근육 제어
⑧ 운동영역(1차 운동피질, M1; Primary Motor Center)
○ 기능 : 운동을 계획하지는 않고, 계획된 운동 프로그램을 순서대로 실행에 옮김
○ 연결 : 등쪽 전운동영역(PMd; Dorsal Premotor Area), 배쪽 전운동영역(PMv; Ventral Premotor Area), 보조운동영역(SMA), 대상운동영역(CMA), 감각피질(Sensory Cortex), 시상, 소뇌, 기저핵 등으로부터 구심성 섬유를 받아들임
⑷ 감각영역, 연합영역, 운동영역의 연결 : 시상-피질-기저핵 루프
⑸ 시각회로 : 시각영역의 위계와 연결
Figure. 15. 시각회로
⑹ 언어회로
Figure. 16. 대뇌 피질 상의 언어회로의 모식도
6. 백색질경로학(White Matter Neurotractology) [목차]
⑴ 연구 방법론
① 백색질해부(White Matter Dissection)
○ 1st. 회색질이 백색질보다 물 함량이 많음
○ 2nd. 얼리고 녹이는 것을 반복하면 물의 결빙이 세포막을 부수면서 백색질만 온전한 구조를 유지
○ 3rd. 백색질을 결따라 분리
② 전진성 추적(Anterograde Tracing) (↔ Retrograde Tracing)
○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세포체로부터 축삭을 따라 시냅스로 퍼져 나가는 것을 추적하는 연구방법
○ Orthogonal Virus : 액손 방향으로 가는 바이러스
○ Retrograde Virus : 액손 반대 방향으로 가는 바이러스
○ 광견병 바이러스, Dying Method 등을 이용
③ 뇌신호 추적 : 한 지점에 자극을 주었을 때 어디로 신호가 이동하는지 보는 방법
④ 병리학적 분석(Lesion Analysis)
○ 예 : 알츠하이머 병 환자는 해마의 부피가 굉장히 작음
⑤ 확산텐서영상(DTI; Diffusion Tensor Imaging)
Figure. 17. 확산텐서영상을 이용한 신경경로탐색
⑵ 신경섬유의 분류(참고. 연구방법에 따른 신경섬유의 분류)
① 개요 : 연구방법론에 따라 식별되는 백색질경로가 달라 여러 연구결과를 종합해야 함
② 연합섬유(Association Fiber) : 같은 쪽 대뇌반구의 서로 다른 부분을 연결해 주는 섬유
○ 짧은연합섬유(Short Association Fiber, U Fiber)
○ 위세로다발(궁상다발, Arcuate Fasciculus) : 피질 언어회로에서 등쪽 경로(Dorsal Pathway)를 담당
○ 아래세로다발(Inferior Longitudinal Fasciculus)
○ 상전두후두다발(Superior Fronto-occipital Fasciculus)
○ 하전두후두다발(Inferior Fronto-occipital Fasciculus) : 피질 언어회로에서 배쪽 경로(Ventral Pathway)를 담당
○ 갈고리다발(Uncinate Fasciculus) : 피질 언어회로에서 배쪽 경로(Ventral Pathway)의 간접경로를 담당
○ 띠다발(Cingulum)
③ 교차섬유(Commissural Fiber) : 양쪽 대뇌반구 부위를 서로 연결해 주는 섬유
○ 뇌량(CC; Corpus Callosum) : 교차섬유 중 가장 큼
○ 앞맞교차(AC; Anterior Commissure) : 교차섬유 중 두 번째로 큼
○ 뒤맞교차(PC; Posterior Commissure)
○ 고삐맞교차(Habenular Commissure)
④ 투사섬유(Projection Fiber) : 대뇌에서 시작되어 중간뇌, 교뇌 등 아래쪽 부위로 뻗어 나가는 섬유
○ 속섬유막(Internal Capsule)
○ 대뇌부챗살(Corona Radiata)
○ 시각부챗살(Optic Radiation)
○ 뇌궁(Fornix) : 변연엽(Limbic Lobe)에서 좀 더 오래된 구조를 연결
⑤ 선조체섬유(Striatal Fiber)
⑶ 변연계 신경경로
① 감각에 대한 정서를 처리하는 경로
② 감각에 대한 단순한 반응으로서가 아니라 정서적 처리까지 해줌으로써 뇌에 그 자극에 대한 장기기억을 저장해 이후 동일한 자극에 대해 대응할 수 있음
Figure. 19. Thalamolimbic 영역에서의 신경섬유의 연결 및 경로
⑷ Papez 회로 : 감정회로
7. 커넥톰 프로젝트(Connectome project) [목차]
⑴ 종류 1. 구조적 브레인 네트워크(structural brain network)
⑵ 종류 2. 기능적 브레인 네트워크(functional brain network)
⑶ 종류 3. 전사체적 브레인 네트워크(trancriptiomic brain network)
⑷ 통합적 브레인 네트워크 : 세 브레인 네트워크를 수학적 그래프 이론을 적용하여 통합
입력: 2018.09.23 22:41
'▶ 자연과학 > ▷ 뇌과학올림피아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과학올림피아드】 8강. 신경진화론 (0) | 2018.09.13 |
---|---|
【뇌과학올림피아드】 7강. 신경발생학 (0) | 2018.09.13 |
【뇌과학올림피아드】 6-2강. 뇌의 단면에서 나타나는 구조 (0) | 2018.09.13 |
【뇌과학올림피아드】 2-1강. 뇌간해부학 (0) | 2018.09.07 |
【뇌과학올림피아드】 2-3강. 척수해부학 (0) | 2018.09.0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