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강. 선적분
추천글 : 【해석학】 해석학 목차
풀이가 궁금하시면 답변 바랍니다.
1. 매개화 [본문]
2. 선적분과 벡터적분 [본문]
3. 사인과 코사인 [본문]
4. 중적분과 푸비니정리 [본문]
5. 가우스 함수 [본문]
6. Cauchy-Goursat theorem [본문]
1. 매개화 [목차]
⑴ 함수 c : [a, b] → ℝ2가 연속인 단사함수일 때 c를 곡선 C = c([a, b])의 매개화라고 한다.
⑵ c : [a, b] → ℝ2가 곡선 C의 매개화일 때 함수 f : C → ℝ가 선적분
을 갖는다는 것은 각 ε > 0에 대해 [a, b]의 분할 ℙ가 있어 ℙ ⊆ {a = t0, ···, tn = b},
일 때마다 다음이 성립하는 것이다.
⑶ 예제 : 다음이 존재한다고 하자.
이때 d : [c, d] → ℝ2가 또다른 매개곡선으로 d([c, d]) = C이면
도 존재하고 다음과 같다.
2. 선적분과 벡터적분 [목차]
⑴ 다음과 같은 선적분이 곡선 C의 매개화 c에 의존하지 않는다.
⑵ 따라서 이 적분을 다음과 같이 쓴다.
⑶ 매개화를 갖는 곡선 C1, ···, Cm이 끝점에서 만나 새로운 곡선 C를 이룰 때 다음 선적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⑷ 다음과 같은 선적분이 존재할 경우 곡선 C의 길이는 존재한다고 하며 길이는 적분값이다.
⑸ c : [a, b] → ℝk가 연속이면 c(t) = (h1(t), ···, hk(t))라 쓸 때 벡터적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⑹ c가 미분가능할 때 c'(t) = (h1'(t), ···, hk'(t))라 쓰자.
⑺ 예제 : c : [a, b] → ℝ2가 곡선 C의 매개화로 연속인 c'(t)를 가지면 f : C → ℝ가 연속일 때 다음 선적분이 존재한다.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
3. 사인과 코사인 [목차]
⑴ 예제
① 전제 1. c : [0, 1) → ℝ2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② 전제 2. 그리고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③ 예제 1. 곡선 c([0, t])의 길이를 θ(t)라고 하면 다음을 보이시오.
④예제 2.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반원의 길이는 π임을 보이시오.
⑤ 예제 2-1. 여기서 x, y가 θ에 대해 미분가능한 함수가 되며 다음을 보이시오.
⑵ 예제 : 위의 함수 x, y : [0, π/2) → ℝ을 다음에 의해 x, y : ℝ→ ℝ로 확장하고 x(θ) = cos θ, y(θ) = sin θ로 쓰시오.
⑶ 예제 : sin θ : [-π/2, π/2] → [-1, 1]가 전단사함수이므로 역함수 φ : [-1, 1] → [-π/2, π/2]를 가짐을 보이시오.
① -1 < y < 1에 대해 다음을 보이시오.
4. 중적분과 푸비니정리 [목차]
⑴ D ⊆ ℝ2가 유계일 때 함수 f : D → ℝ가 적분가능하다는 것은 D ⊆ R = [a, b] × [c, d], f̂ : R → ℝ을 f의 확장으로 (x, y) ∉ D이면 f̂ (x, y) = 0이라 할 때, f̂ 이 적분 가능하다는 것이다.
⑵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⑶ 적분 ∫∫D 1 이 존재할 때 D가 넓이를 갖는다고 한다. 그 넓이는 ∫∫D 1이다.
⑷ D ⊆ ℝ2가 y-단순영역이라는 것은 연속함수 φ, ψ : [a, b] → ℝ가 있어 D = {(x, y) | a ≤ x ≤ b, φ(x) ≤ y ≤ ψ(x)}라는 것이다. x-단순영역도 비슷하게 정의된다. x-단순이거나 y-단순일 때 단순영역이라고 하자.
⑸ D ⊆ ℝ2가 기본영역이라는 것은 내부가 겹치지 않는 유한 개의 단순영역 D1, ···, Dn으로 분할되는 영역이라 하자.
⑹ 예제 : φ : [a, b] → [c, d]가 연속이다. 함수 f : [a, b] × [c, d] → ℝ를 유계인 함수로 φ(x) ≠ y이면 f(x, y) = 0이라 하자. 이때 f는 적분가능하고 적분값은 0임을 보이시오.
⑺ 예제 : D ⊆ ℝ2는 기본영역이고 f : D → ℝ는 유계인 함수이다. D가 단순영역 D1, ···, Dn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적분 ∫∫Di f가 존재하면 ∫∫D f도 존재하고 다음이 성립한다.
⑻ 예제 : D ⊆ ℝ2가 단순영역이고 f : D → ℝ는 연속이다. 이때 f가 적분가능함을 보이시오.
⑼ 예제 : φ, ψ : [a, b] → ℝ가 연속이고 φ ≤ ψ이며 D = {(x, y) | a ≤ x ≤ b, φ(x) ≤ y ≤ ψ(x)}이고 함수 f : D → ℝ가 연속이라고 하자.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
특히 D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⑽ 예제 : 0 ≤ θ1 < θ2 ≤ 2π와 0 ≤ r1 < r2에 대해 D = {(r cos θ, r sin θ) | θ1 ≤ θ ≤ θ2, r1 ≤ r ≤ r2}라 하면 D의 넓이는 다음과 같음을 보이시오. 참고로, 반지름이 r인 원의 넓이는 πr2이다.
5. 가우스 함수 [목차]
⑴ 함수 : f : ℝ → ℝ가 각 a < b에 대해 ∫ab f가 존재하면 f의 이상적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⑵ 예제 : D = {(x, y) | x2 + y2 ≤ R2}이고 f : D → ℝ가 연속이면 다음을 보이시오.
⑶ 예제 : 가우스 함수가 확률밀도함수의 성질을 만족함을 보이시오.
⑷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 : 가우스 함수를 확률분포함수로 하는 연속확률분포
6. Cauchy-Goursat theorem [목차]
⑴ 단순 폐곡선 C와 이를 둘러싸는 영역 D가 있을 때, 복소함수 f 가 영역 D에서 해석적(holomorphic)이면, C 위에서의 f의 선적분은 0이다.
⑵ 의의 : 복소평면에서 해석적인 함수는 특정 조건 하에서 적분값이 곡선의 형태와 무관하다는 것을 의미
입력: 2020.01.10 23:53
수정: 2024.10.01 14:07
'▶ 자연과학 > ▷ 해석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석학】 15강. 스토크스 정리 (0) | 2020.01.11 |
---|---|
【해석학】 14강. 그린정리 (0) | 2020.01.10 |
【해석학】 10강. 적분 (0) | 2020.01.07 |
【해석학】 9강. 라그랑주 승수법 (0) | 2020.01.06 |
【해석학】 8강. 미분과 편미분 (0) | 2020.01.0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