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제어이론】 6강. 근궤적

 

6강. 근궤적(root locus)

 

추천글 : 【제어이론】 제어이론 목차


1. 문제 상황 [본문]

2. 극점 조사 [본문]

3. 영점 조사 [본문]

4. 독립된 근궤적의 개수 [본문]

5. 근궤적의 대칭성 [본문]

6. 점근선의 각도 [본문]

7. 점근선의 교점 [본문]

8. 근궤적과 실수축의 교점 [본문]

9. 출발각 [본문]

10. 근궤적과 허수축의 교점 [본문]

11. 이탈점 [본문]

12. K의 값 계산 [본문]


a. 근궤적 연습문제


 

1. 문제 상황 [목차]

⑴ 다음과 같은 전달함수를 갖는 single-loop control system의 영점의 근궤적을 구하려고 함

 

 

G1, H1, P, Q의 도입하여 특성방정식 F를 표시함 : F는 특성방정식인 Δ(s)를 의미함

 

 

① G(s)H(s) 식에 K 항이 포함돼 있어야 함

② (주석) 만약 K 항이 포함돼 있지 않으면 생략된 것이라고 생각할 것

③ 근궤적이 근에 대해 조사하는 것인 만큼 F(s) = 0 ⇔ 1 + G(s)H(s) = 0인 s를 조사

⑶ (참고) 근궤적을 지로라고도 함

 

 

2. 극점 조사 [목차]

⑴ K = 0일 때 근궤적은 G(s)H(s)의 극점으로 이동

⑵ s-plane에서 X로 표시함

팁. 극점이 무한대일 수도 있음 : (주석) 분자의 차수가 더 높은 경우에만 해당하는 듯

 

Ks(s2+2s+2)/(s2+5s+1)의 근궤적
출처 : FARID GOLNARAGHI, BENJAMIN C,. KUO, Kuo의 자동제어

Figure. 1. Ks(s2+2s+2)/(s2+5s+1)의 근궤적]

(-, 0j)에도 극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3. 영점 조사 [목차]

⑴ K = 일 때 근궤적은 G(s)H(s)의 영점으로 이동함

⑵ s-plane에서 O로 표시함

 


4. 분리된 근궤적의 개수(number of separate root loci) [목차]

전체 근궤적의 개수는 F(s)의 차수와 같음 : n차 다항식의 근이 n개인 것과 관련

⑵ 예제 : 다음 s-plane에서 K = 0부터 K → 까지 총 세 개의 경로가 있음을 알 수 있음

 

G(s)H(s) = K(s+1)/[s2(s+a)]의 근궤적
출처 : FARID GOLNARAGHI, BENJAMIN C,. KUO, Kuo의 자동제어

Figure. 2. G(s)H(s) = K(s+1)/[s2(s+a)]의 근궤적

왼쪽은 a = 9이고 오른쪽은 a = 10임

 


5. 근궤적의 대칭성(symmetry of root loci) [목차]

근궤적의 대칭성은 G(s)H(s)의 극점, 영점 배치에 따라 결정됨

예 1. F(s) = s(s+1)(s+2) + K = 0의 경우 근 궤적은 σ = -1에 대해 대칭성을 가지고 있음

예 2. F(s) = s(s+2)(s+1+j)(s+1-j) + K = 0의 경우 σ = -1에 대해 대칭성을 가지고 있음

 


6. 점근선의 각도(angles of asymptotes) [목차]

n : G(s)H(s)의 유한한 극점의 개수. 중복된 근이 있어도 한 개가 아니라 똑같이 여러 개로 취급함

⑵ m : G(s)H(s)의 유한한 영점의 개수. 중복된 근이 있어도 한 개가 아니라 똑같이 여러 개로 취급함

⑶ K > 0

 

 

⑷ K < 0

 

 

팁. 근궤적은 점근선과 무관한 위치와 각도로 원이나 타원 같은 닫힌 궤적을 그릴 수 있음



7. 점근선의 교점(intersect of asymptotes) : 도심(centroid)이라고도 함 [목차]

점근선의 교점은 s-plane에서 실수축에 놓임 ( 실수축에 대한 대칭성)

⑵ 점근선의 교점 : 중복된 근이 있어도 한 개가 아니라 똑같이 여러 개로 취급함

 

 

예 1. F(s) = s(s+4)(s2+2s+2) + K(s+1) = 0의 경우 교차점의 좌표는 (σ1, 0) = (-5/3, 0)임

 

F(s) = s(s+4)(s2+2s+2) + K(s+1) = 0의 근궤적의 점근선과 교점
출처 : FARID GOLNARAGHI, BENJAMIN C,. KUO, Kuo의 자동제어

Figure. 3. F(s) = s(s+4)(s2+2s+2) + K(s+1) = 0의 근궤적의 점근선과 교점]

 

 


8. 근궤적과 실수축의 교점[목차]

⑴ s-plane의 실수축 전체는 모든 K값에 대한 근궤적 안에 포함됨

법칙 1. 실수축에서 오른쪽에 있는 극점과 영점의 개수의 합이 홀수이면 그 실수 부분은 K ≥ 0에 대한 근궤적의 일부

법칙 2. 실수축에서 오른쪽에 있는 극점과 영점의 개수의 합이 짝수이면 그 실수 부분은 K ≤ 0에 대한 근궤적의 일부

⑷ 극점과 영점을 중심으로 K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실수축 상에 화살표를 표시할 수 있음

⑸ 만일 실수축의 한 구간에서 두 화살표가 수렴하면 그 지점에서 이탈점(breakaway point)이 발생

⑹ 예시

 

s(s+2)(s+3) + K(s+1) = 0 (단, -∞ ≤ K ≤ ∞)의 근궤적
출처 : FARID GOLNARAGHI, BENJAMIN C,. KUO, Kuo의 자동제어


Figure. 4. s(s+2)(s+3) + K(s+1) = 0 (단, - ≤ K ≤ )의 근궤적

 


9. 출발각(angle of departure) : 도착각(angle of arrival)이라고도 함 [목차]

⑴ 정의 : 그 점 부근의 궤적에서 접선각. 기준은 양의 실수축

⑵ 공식 : 중복된 근이 있어도 개별적인 근인 것처럼 생각하고 계산

 

 

① 위 식은 s-plane 상의 모든 점에서 성립함

② 일반적으로 주요 영점과 극점에서만 σ1의 값을 계산함

⑶ 유도 : 다음과 같은 오일러 공식을 이용함

 

 

예제

F(s) = s(s+3)(s2+2s+2) + K = 0의 근 궤적
출처 : FARID GOLNARAGHI, BENJAMIN C,. KUO, Kuo의 자동제어

Figure. 5. F(s) = s(s+3)(s2+2s+2) + K = 0의 근 궤적

 

① s = -1+j로부터 시작한 근 궤적의 출발 각도 결정

 

 

② 비슷하게 s = -1-j, -3, 0에 대해서도 출발 각도를 결정할 수 있음

팁. 중근인 극점이나 영점에서도 출발극을 정의할 수 있음은 자명

팁. 실수축 표시 덕분에 실수축에 있는 영점, 극점에 대해서 출발극, 도착극을 표시하지 않아도 됨

팁. 출발각은 극점이나 영점에 국한되지 않음

 

 

10. 근궤적과 허수축의 교점 [목차]

Routh-Hurwitz criterion에서 marginally stable하게 되는 K의 값을 구함

팁. 안정성이 깨지는 최초의 K에만 관심이 있음

⑶ (주석) 허수축의 교점이 2개보다 많은 경우 어떤 Routh's tabulation이 그려질 지 조사해볼 필요가 있음

 


11. 이탈점(breakaway point) : 안장점이라고도 함 [목차]

⑴ 정의 : jω 성분을 가지는 근이 생기기 시작하는 지점

⑵ G1(s)H1(s)의 변화율이 0인 지점을 찾아야 함


 

이탈점이 복소수일 수도 있음을 유의

 

 

② 모든 복소수가 허용되는 것은 아님 ( K가 복소수를 취하는 조건일 수도 있기 때문)

 

 

⑶ 1 + KG1H1(s) = 0이므로 dK/ds = 0인 지점을 찾는 것과 필요충분조건

 

 

. 위 방식은 중근을 가지는 극점에서 이탈하는 경우를 설명하지 못함

① 이유 : 미분한 s에 대한 방정식에서 분모, 분자가 모두 0이 되어 특이점이 됨

근거 1. 실수축 상의 화살표 표시로 인해 중근을 가지는 실수축 상의 극점 또는 영점에서 이탈하는 것은 자명함

근거 2. 출발각을 표시하면 중근을 가지는 극점 또는 영점에서 이탈하는 것은 자명함 : 2θ의 관계식으로 표시됨

④ 제안 : P(s)에 중근이 있으면 극점에서 이탈하는 것으로 보자!



12. K의 값 계산 : 임의의 s1에 대하여, [목차]

 

 

입력: 2020.05.26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