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실험 프로토콜 6강. 세포독성 실험
추천글 : 【생물학】 세포배양 프로토콜 목차
가. 용출물 희석법 [본문]
가-Ⓐ. MTT assay [본문]
가-Ⓑ. WST assay [본문]
가-Ⓒ. XTT assay [본문]
가-Ⓓ. CCK-8 assay [본문]
나. 직접 접촉법 [본문]
다. 한천 확산법 [본문]
라. 여가지 확산법 [본문]
마. vital dye를 이용한 방법 [본문]
바. 기타 세포독성 실험 [본문]
가. 용출물 희석법 [목차]
용출물 희석법은 재료로부터 유리되어 나온 물질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확인방법이다. MTT assay, WST assay, XTT assay, CCK-8 assay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1. 세포 접종
2. 인큐베이션
3. 독성물질 주입
4. 인큐베이션
5. 세포 독성 측정 가능 시약 처리 : MTT, WST, XTT, CCK-8 등
6. 배지 제거 : MTT 시약에만 해당
7. DMSO 처리 : MTT 시약에만 해당
8. 흡광도 측정
가-Ⓐ. MTT assay [목차]
MTT assay는 아래에 나타낸 그림과 같으며 각 시료의 처리에 따른 세포의 생존율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ul-tetrazolium bromide) 시료를 사용한다.
Figure. 1. MTT assay 과정
1. 배양된 세포를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다.
2. 습윤, 5% CO2 조건에서 인큐베이터 내 보관한다.
⑴ 시간을 24시간으로 정해 놓거나 100% 꽉찼는지(Confluence)를 기준으로 한다.
3. 다양한 농도로 준비된 실험물질을 각 웰에 첨가한다.
4. 인슐린 배지로 교환한다.
5. 실험 조건에 맞게 적절한 시간 동안 인큐베이터에서 반응시킨다. (예: 6, 12, 24, 48시간)
6. 배지를 제거한 뒤 PBS로 세척한다.
⑴ 세척 시 배양 용기를 흔들어 주어야 한다.
7. 다시 배지를 넣고 MTT 용액을 배지의 양의 10%만큼 처리한다.
⑴ 6 웰 플레이트의 경우 200 ㎕를 처리한다.
⑵ 96 웰 플레이트의 경우 20 ㎕를 처리한다.
8. 2시간 정도 인큐베이터에서 반응시킨다.
9. 그 뒤 MTT 시약을 제거하고 DMSO를 2 ㎖ 처리한다.
10. 반응시킨 웰 플레이트에서 용액의 반 정도를 새 웰 플레이트에 옮긴다.
⑴ 거품은 흡광도에 큰 영향을 주므로 거품이 생기지 않도록 피펫 끝에 약간 남겨둔다.
⑵ 옮기기 전 농도가 골고루 분포하도록 다시 섞어주는 과정(re-suspension)도 중요하다.
11. 3번 정도 부드럽게 흔들어준다.
12. 그 후 ELISA 플레이트 리더(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 ㎚, 63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13. 630 ㎚ 흡광도 값에서 490 ㎚ 흡광도 값을 뺌으로써 흡광도 값을 보정한다.
⑴ 살아있는 세포는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에 의해 MTT tetrazolium을 청자색의 MTT formazan으로 환원
⑵ 죽은 세포는 미토콘드리아가 작동하지 못해 노란색 수용성 기질인 MTT tetrazolium만 관찰됨
⑶ MTT tetrazolium : 노란색 수용성 기질
⑷ MTT formazan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① 청자색 불용성 물질
② 540 nm에서 최대 흡광을 보이므로 굳이 63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할 필요는 없음
14. 비어-램버트 법칙 (Beer-Lambert Law)
⑴ 증명
① I : 빛의 세기
② d : 빛이 투과하는 경로의 길이
③ a : 매질에 따른 흡광계수
④ T : 투과율
⑤ A : 흡광도 (단위 : OD(optical density))
⑥ c : 몰농도
⑦ ε : 몰 흡광계수
⑵ 결론
① 흡광도는 흡광물질의 농도에 비례 → 세포의 양에 비례
② 흡광물질은 Tetrazolium을 지칭
가-Ⓑ. WST assay [목차]
WST assay는 좀 더 단순한 과정이다. MTT를 개선한 WST(Water Soluble Tetrazolium)를 사용한다.
1. 배양된 세포를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다.
2. 습윤, 5% CO2 조건에서 인큐베이터 내 보관한다.
⑴ 시간을 24시간으로 정해 놓거나 100% 꽉찼는지(Confluence)를 기준으로 한다.
3. 다양한 농도로 준비된 실험물질을 각 웰에 첨가한다.
4. 실험 조건에 맞게 적절한 시간 동안 인큐베이터에서 반응시킨다. (예: 6, 12, 24, 48시간)
5. 배지를 제거한 뒤 PBS로 세척한다.
⑴ 세척 시 배양 용기를 흔들어 주어야 한다.
6. 다시 배지를 넣고 WST 용액(ex. EZ-cytox)을 배지의 양의 10%만큼 처리한다.
⑴ 6 웰 플레이트의 경우 200 ㎕를 처리한다.
⑵ 96 웰 플레이트의 경우 20 ㎕를 처리한다.
7. 0.5 ~ 4 시간(대개 1시간) 정도 인큐베이터에서 반응시킨다.
8. 반응시킨 웰 플레이트에서 용액의 반 정도를 새 웰 플레이트에 옮긴다.
⑴ 거품은 흡광도에 큰 영향을 주므로 거품이 생기지 않도록 피펫 끝에 약간 남겨둔다.
⑵ 옮기기 전 농도가 골고루 분포하도록 다시 섞어주는 과정(Re-suspension)도 중요하다.
9. 3번 정도 부드럽게 흔들어 준다.
10. 그 후 ELISA 플레이트 리더(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⑴ 광학 기기라서 미리 1시간 정도 켜 두어야 한다.
⑵ 해당 프로그램에 들어가서 파장 등의 값을 세팅한다.
⑶ 웰을 올려 놓고 프로그램을 작동시킨다.
⑷ 흡광도를 표시한 엑셀 파일을 넘겨 받는다.
가-Ⓒ. XTT assay [목차]
가-Ⓓ. CCK-8 assay [목차]
나. 직접 접촉법 [목차]
1. 충분한 세포층이 형성될 때까지 세포주 플레이팅
2. 각 웰을 PBS로 세척
3. 웰에 각각 음성대조물질, 양성대조물질, 시험물질을 얹고 신선한 배지를 첨가
⑴ 음성대조물질 : HDPE, 알루미늄 옥사이드 세라믹 등
⑵ 양성대조물질 : PVC, ZDECfilm, 페놀희석액 등
4. 같은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PBS 세척
5. 0.2% crystal violet 염색시약으로 염색
6. 물질과 접촉된 주변으로 성장이 억제된 zone의 크기를 측정
7. zone index를 구하여 독성 정도를 평가
Zone Index | 설명 |
0 | 시료 아래 혹은 주변에 zone이 전혀 생기지 않은 경우 |
1 | 시료 아래 부분에만 한정되어 zone이 생기는 경우 |
2 | 시료로부터 0.5 cm 이내의 구역에 zone이 생기는 경우 |
3 | 시료로부터 0.5 cm ~ 1.0 cm의 구역에 zone이 생기는 경우 |
4 | 시료로부터 1.0 cm 밖의 구역에 zone이 생겼으나 전체에 zone이 생기지 않은 경우 |
5 | zone이 dish 전체에 걸쳐 생긴 경우 |
Table. 1. zone index 계산
다. 한천 확산법 [목차]
1. 충분히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층을 형성
2. 세포층에 고형의 한천층을 올림
3. 고형의 한천층 위에 세포층의 표면적의 1/10 정도가 되는 음성대조물질, 양성대조물질, 시험물질 배치
4. 24 ~ 72시간 동안 배양
5. 배양이 끝난 후 neutral red를 이용하여 세포층을 염색
6. 염색량을 비교하여 세포독성 평가
라. 여과지 확산법 [목차]
1. 계면활성제가 처리되지 않은 0.45 ㎛ 체공의 여과지 위에 세포 배양
2. 고형의 한천층 위에 여과지를 올려놓음 : 세포가 있는 면이 한천층에 닿도록 함
3. 여과지에서 세포가 없는 면에 음성대조물질, 양성대조물질, 시험물질을 배치하여 2시간 정도 배양
4. 배양 후 시료를 제거하고 여과지를 한천으로부터 분리
5. 여과지 상의 세포에 적절한 염색법으로 염색
6. 염색량을 비교하여 세포독성 평가
마. vital dye를 이용한 방법 [목차]
1. annexin-V staining : 인지질의 비대칭성이 깨진 세포막의 바깥쪽의 포스파티딜 세린에 대한 staining assay
2. TUNEL assay(terminal transferase dUTP nick-end labeling) : apoptosis로 분해되는 dsDNA를 측정하는 assay
3. γ-H2AX assay : DNA 이중나선 결합의 파괴 여부를 보여주는 assay
4. Calcein-AM assay : live cell이 많으면 신호가 크게 나옴
5. PI(propium assay) : dead cell이 많으면 신호가 크게 나옴
6. Ki-67 assay : Ki-67은 cell proliferation marker로 쓰임
7. DAPI : DNA 부홈의 AT region에 결합. apoptosis marker로도 사용
8. CD8-PD1 : 높을수록 apoptosis가 많이 일어남을 의미
9. caspase 3/7 : apoptosis marker
10. PARP cleavage : apoptosis marker
11. 8-OHdG (8-hydroxy-2’-deoxyguanosine) : DNA oxidative marker
12. CC3(cleaved caspase 3) staining : apoptosis assay
부록 : 생물학 실험에 사용되는 형광물질(dye) 종류
바. 기타 세포독성 실험 [목차]
1. intracellular protein
⑴ G6P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⑵ LHD (lactate dehydrogenase)
2. cellular metabolism
⑴ ATP
⑵ MTT
3. model organism
⑴ MMP
⑵ HMGB1
4. 미세세포 독성 실험
입력: 2016.06.23 18:18
수정: 2020.04.22 17:29
'▶ 자연과학 > ▷ 일반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물학】 세포실험 프로토콜 8강. 분화 유도 (0) | 2020.04.22 |
---|---|
【생물학】 세포실험 프로토콜 7강. 시료 처리 (0) | 2020.04.22 |
【생물학】 전하는 말 (0) | 2020.03.24 |
【생물학】 30강. 주요 미생물의 예 (0) | 2020.01.28 |
【생물학】 30-2강. 생물테러 대응체계 (0) | 2019.12.2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