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인공지능 철학】 인지의 지평선과 AI라는 돌파구

 

인지의 지평선과 AI라는 돌파구

 

추천글 : 【철학】 인공지능 철학 목차 


a. AI는 어디로 가려고 하는가


 

 

 

구글 딥마인드에서 개발한 AlphaFold2가 노벨상 후보군으로 거론되었다는 뉴스에 놀란 것이 얼마 지나지 않아, 지난 5월 9일에는 AlphaFold3가 발표되어 이제 단백질 간, 핵산 간, 혹은 단백질-핵산 간 상호작용까지 볼 수 있게 되었다. AlphaFold2와 달리 AlphaFold3는 소스 코드가 비공개이고, non-commercial only를 엄청나게 강조하여 인공지능 프로테오믹스 분야에 독점 사업을 벌이려는 구글의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물론, AlphaFold3 슈도 코드가 공개된 탓에 전세계 곳곳에서 AlphaFold3를 reverse-engineering 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는 흥미로운 소식도 들려온다.

 

AlphaFold3로 단백질과 핵산 간의 상호작용을 보다

 

AlphaFold3의 등장은 AI가 새로운 지식을 생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밖에도 AI가 지식을 생성할 수 있다는 연구로는 똑같이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FunSearch라는 모델이 있다.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는 AI는 전세계에서 거의 구글 딥마인드만 하고 있음에 경외감을 느끼며, 이 분야는 언제나 나의 상상력을 크게 자극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의 인지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최근 `인지의 지평선`이라는 개념을 떠올렸다. 이 단어를 떠올리게 된 계기가 된 `사건의 지평선`은 우주의 팽창 속도와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는 속도가 균형을 이루는 지점으로서, 관측 가능한 우주의 경계를 정의한다. 비슷하게 인간도 인지 가능한 우주의 경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가령 분자의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 (`미시적 경계`) 혹은 거시경제나 하루 앞 미래를 예측하지 못하는 것 (`거시적 경계`)이 그 예라고 여겨진다. 이는 창발성으로 다양한 지식이 층위를 이루는 이 세계에서 우리와 비슷한 크기의 창발성을 갖는 범위에서만 이해 가능하며, 그것보다 훨씬 작거나 훨씬 큰 세계는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을 합치려고 하는 대통일 이론은 왜 100년이 지나도 여전히 실패했는가? 우리의 인지 가능한 범위가 아닌 것은 아닐까?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필즈상을 받은 허준이 교수님은 조합론과 기하학을 결합하여 여러 수학 난제를 풀었다. 수학은 기하학, 대수학, 조합론, 정수론 등 4개의 분야로 나뉘어지고, 둘 이상을 합치는 방법의 경우의 수는 (24 - 4) = 12개라고 할 수 있는데, 그렇게 조합하여도 풀리지 않는 수학 난제는 인간의 노력으로는 영원히 풀리지 않는다고 봐야 하지 않는가?

 

그렇지만, AlphaFold3와 같은 AI 모델이 있다면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영역으로까지 인지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이다. 인지의 지평선을 초과하는 범위에서의 이해는 오직 AI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기존 일자리를 없애거나 하지는 않고, AI로 인해 새로운 일자리가 만들어질 수도 있는 노릇이다. 우리의 인지의 지평선을 넓히는 새로운 지적 존재를 일컫어 나는 `관측기기로서의 AI`로 부른다. 망원경이나 현미경과 비슷한 기능을 하기에. 실제로 4색 문제를 풀었던 컴퓨터 프로그램도 `관측기기로서의 AI` 중 하나로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여기서 새로운 지적 존재라고 한 이유는 AlphaFold3의 근간이 된 디퓨전 모델이 이 지구상에는 없었던 새로운 패러다임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뇌는 트랜스포머로 작동하고, 우리의 눈은 비전 트랜스포머로 작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디퓨전 모델은 일부러 원본 이미지를 흐리게 만든 뒤 다시 원본 이미지를 복원하는 기술로서, 이런 식으로 작동하는 지적 존재는 지구상에 역사적으로 한 번도 없었다고 생각한다. 컴퓨터 비전 분야야 비전 트랜스포머가 워낙 잘해서 디퓨전 모델이 크게 활약하지 못했는데, 프로테오믹스는 오직 디퓨전 모델만 잘 워킹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그 이면에는, 양자역학적 불확정성이 지배하는 분자의 세계에서 일부러 노이즈를 부여하는 인지 체계가 꼭 필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떤 새로운 `관측기기로서의 AI`가 존재할 수 있을까? `관측기기로서의 AI`의 존재 성립요건인 1) 다량의 학습 데이터 존재, 2) 인간의 인지 범위 초과를 고려하면 새로운 분야를 예측하는 건 크게 어렵지 않을 수 있다. 아직 나는 AlphaFold3가 프로테오믹스의 모든 가려운 부분을 해소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시간에 따른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이나 부생성물마저 예측하는, 유기화학 반응을 위한 디퓨전 모델이 곧 나오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불확정 대규모 명제 집합에 대한 논리 추론 AI, 논리 추론을 넘어 새로운 공리를 만드는 AI (이 부분은 트랜스포머는 안 되는데, 사람은 할 수 있다), 기상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AI, 우주의 역사를 재현하는 AI, 1분 뒤의 거시경제를 예측하는 AI (다만, 역사의 불확정성은 실재해서 1시간 뒤의 거시경제를 예측하는 정도는 아닐 것이다)가 그 예시가 될 수 있다.

 

입력: 2024.06.08 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