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과학/▷ 철학

【철학】 철학 목차 철학 목차 지식만은 평등해야 한다.최근 수정 내역끌림과 선택에 관하여 (25.04.10)직관에 관하여 (25.04.08)자연주의적 오류와 참견 가능성 (25.03.21)   Ⅰ. 과학철학1강. 지식이란 무엇인가2강. 과학이란 무엇인가3강. 자연이란 무엇인가4강. 인간은 특별한가5강. 왜 우리는 우주를 이해할 수 있는가6강. 과학적 방법론7강. 과학서술의 기본8강. 과학실험의 기본 Ⅱ. 정의론9강. 정의란 무엇인가 Ⅲ. 인공지능 철학인공지능 총론가설을 생성하는 AI, 그 아이디어의 시작AI는 어디로 가려고 하는가수학 문제를 푸는 AI인지의 지평선과 AI라는 돌파구 영원히 재미있는 세상을 위하여 베이지안 최적화가 적용되지 않는 Early Stopping 문제 Ⅳ. 부록자연과학 탐구주제 리스트사회과학 탐구주제..
【서적】 책 추천 책 추천추천글 : 【철학】 철학 목차   A. 철학 서적1. 총균쇠(Guns, Germs, and Steel) : 유라시아 문명이 다른 문명보다 힘이 강했던 것은 좌우로 긴 유라시아의 지리학적 구조에 기인하였다.2. 이기적 유전자(The Selfish Gene) : 자신의 유전자를 전파하려는 이기적 동기가 이타적 행동을 만들었다.3. 사피엔스(Sapiens)4.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 마이클 센델의 저서. 정의를 공리주의, 행복지상주의 등으로 설명 가능하나 제각기 모순이 있다.5. 죽음이란 무엇인가(Death)6. 과학 혁명의 구조 : 토마스 쿤의 저서. 칼 포퍼의 반증주의에 대한 반박. 과학이 인간의 행동이라는 선언. 정상과학, 패러다임 등을 주장7. 특이점이 온다8. 토머스 쿤 지음, 『..
【도덕】 중1 도덕 중간고사 정리(3) 국가 3대 요소 영토 : 국민들의 생활 공간, 각 나라의 영토의 경계를 국경이라고 함. 국민 : 한 나라의 국적을 가진 사람. 국민의 질이 국가 역량에 큰 영향을 미침. 주권 : 나라를 다스리는 최고의 권위와 권력, 대내적 최고성과 대외적 독립성을 의미함. 국민의식도 굳이 말하자면 여기에 포함됨. 국가의 기원 아리스토텔레스 : 인간은 원래부터 가지고 있는 사회적 본성에 따라 가정을 이루고, 이러한 가정들이 토대가 되어 국가를 이루게 된다. 국가는 옳고 그름을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인 정의를 실현해 주기 때문에 인간을 야만스러움과 무절제 상태에서 벗어나게 해 준다. 인간은 본성적으로 사회적 존재이다. 홉스의 계약론 : 인간이 자연 상태(국가가 생겨나기 이전 상태)에서 자신의 신체, 자유, 재산을 제대로 보호..
【도덕】 중1 도덕 중간고사 정리(2) 정보사회 : 다양한 정보 교류가 가능하며, 정보 통신 기술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는 사회 1. 우리의 삶이 시간과 공잔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 - 정보 통신망을 통해 현실의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어 언제 어디서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on-line) 공간을 사이버 공간 이라고 한다. *유비쿼터스 :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의 뜻으로서 시간과 장소, 기기 등에 제한 받지 않고 주변의 모든 것을 통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미래의 정보 기술 환경 사이버 공간에서 활동하는 사람들 : 네티즌 사이버 공간의 특성 1. 현실 공간이 갖는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 광역성 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2. 네티즌에 의해 전파되는 정보의 확산 범위가 광역성을 지닌다면, 그 속도는 신속성 을 지닌다. 3..
【자연과학】 역대 노벨상 리스트 역대 노벨상 리스트 추천글 : 【철학】 철학 목차 a. 역대 올해의 기술   개요○ 역대 노벨상 2회 이상 수상한 사람 : 5명 ○ 역대 노벨화학상 2회 이상 수상자 : 생어(Sanger), Sharpless   노벨 생리의학상○ 2024년 : microRNA ○ 2023년 : mRNA 백신 ○ 2022년 : 인류의 진화 ○ 2013년 : 단백질 신호서열 ○ 2012년 : iPSC ○ 2009년 : 텔로머레이스 ○ 1996년 : MHC restriction (Peter Doherty & Rolf Zinkernagel)○ 1993년 : PCR ○ 1980년 : MHC (Jean Dausset, George Snell & Baruj Benacerraf)○ 1977년 : radioimmunoassay○ 196..
【도덕】 중1 도덕 중간고사 정리(1) 이웃 : 이웃은 가족을 제외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나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사람들. 좁은 의미 : 지리적으로 인접해서 살고 있는 사람들. 넓은 의미 : 나의 삶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모든 사람. Q. 아프리카 사람들도 우리 이웃일까 ? A. 그렇다. 우리가 자금을 보내주거나 해서 도움을 주었다면 그 또한 자신의 이웃이 될 수 있다. 중요 인간은 일생을 통하여 주변 사람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간다. 우리가 혼자라고 생각할 수 있어도 우리 주변에는 항상 이웃이 존재하고 있다. 의식하든 의식하지 못하든 간에, 지금의 내 삶은 주변에 존재하는 수많은 이웃들과 도움을 주고받기에 가능한 것이다. 전통사회의 이웃1) 농업중심 : 전통사회에서 우리 조상들은 농경 생활을 ..
【도덕】 중1 도덕 기말고사(3) 1.도덕적 앎 우리의 양심 + 당위 + 도덕적 추론과 같은 도덕적 사고 → 도덕적인 행동의 이유와 근거를 제시해 줄 수 있다. 2.도덕적 행동 ※ 도덕적 앎을 통해 실현된 행동은 자율적인 행동이다. ※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일치하는 것 (지행일치)는 중요하다. ※ 도덕적 사고가 없는 행동은 맹목적인 행동이다. ※ 도덕적 행동에 이르지 않는 앎은 불완전한 지식이다. 3.도덕적 앎과 행동의 불일치 (1) 도덕적 관심의 부족-자신의 이익이나 즐거움에 더 큰 관심을 가짐. (2) 의지의 나약함 → 공감과 같은 감정 개발, 습관을 통한 도덕적 실천의지 기르기. (3) 또래집단이나 사회의 무질서한 분위기 때문에 → 용기가 필요. 4.도덕적 실천 동기 : 물질적 이익이나 명성을 얻기 위해 선하게 사는 것이 아니라,..
【도덕】 중1 도덕 기말고사(2) 1.가정 : 일반적으로 가족이란, 혼인, 혈연 또는 입양에 의해서 결합된 집단. (보통 혼인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부모와 자녀가 모여서 공동생활을 해 나가는 생활 공동체이다) -우리가 의식주를 비롯한 기본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일차적 욕구를 충족시키며, 우리에게 휴식처를 제공해 준다. -사회구성원을 낳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교육시킨다. -개개인이 생활하고 보호받는 기본 공동체인 동시에, 한 사회를 유지하고 존속하기 위한 최소 단위의 공동체. (1)가정의 변화 확대가족 => 핵가족 확대가족은 자녀가 결혼한 후에도 부모와 같이 사는 가족 형태, 주로 3대 이상 세대로 구성 -가족 수가 많기 때문에 가정 내에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가족 사이에 위계를 중시하였다. 핵가족은 부부와 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