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과학/▷ 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명언】 유명한 어구 유명한 어구(famous quote) 추천글 : 【철학】 철학 목차1. 성공 [본문]2. 정치 [본문]3. 과학 [본문]4. 철학 [본문]5. 관계 [본문]6. 법률 [본문]7. 교육 [본문]8. 경제 [본문] 1. 성공 [목차]○ Gary Player : The harder I work, the luckier I get.○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 There is no passion to be found playing small and settling for a life that’s less than the one you’re capable of living. ○ 스티브 잡스(Steve Jobs)○ You can't connect the dots looking forward. You .. 【철학】 2강. 과학이란 무엇인가 2강. 과학이란 무엇인가 추천글 : 【철학】 철학 목차 1. 개요 [본문] 2. 반증으로서의 과학 [본문] 3. 진화로서의 과학 [본문] 4. 혁명으로서의 과학 [본문] 1. 개요 [목차] ⑴ 가설(hypothesis) ⑵ 이론(theory) : 가설 중 robust한 근거를 가지게 된 것 ① 이론의 역할 ○ data driven approach는 때때로 robust하지 않고 data-specific한 bias를 만듦 ○ 서로 다른 연구를 합쳐주는 역할 ○ 다른 연구자와 소통을 용이하게 함 ⑶ 법칙(law) : 이론 중 확신을 가지게 된 것 2. 반증으로서의 과학 [목차] ⑴ 개요 ① 칼 포퍼(Karl Popper)가 그의 저서 'LOGIK DER FORSCHUNG'에서 그의 이론을 집필 ② 'LOGIK.. 【철학】 8강. 과학실험의 기본 8강. 과학실험의 기본 추천글 : 【철학】 철학 목차 1. 용어 [본문] 2. 실험의 설계 [본문] 3. 실험 시 주의사항 [본문] 1. 용어 [목차] ⑴ 정확성(accuracy) : 표본평균이 모평균과 얼마나 가까운지. 바이어스와 관련 ① 바이어스(bias) : 시스템 오류(systemic error) 또는 비랜덤 오류(non-random error)라고도 함 ⑵ 정밀성(재현성, precision) : 표본의 분산이 얼마나 작은지. 우연적 오류와 관련 ① 우연적 오류(chance error) : 무작위성을 가짐. 우연적 오류의 분산이 중요함 Figure. 1. 정확성과 정밀성] ⑶ 민감성(sensitivity) : 입력의 변화에 대한 출력의 변화율 ⑷ 선택성(selectivity) : 다른 대상의 신호.. 【철학】 7강. 과학서술의 기본 (단위, 표기) 7강. 과학서술의 기본 (단위, 표기)] 추천글 : 【철학】 철학 목차 1. 유효숫자 [본문] 2. SI 단위계 [본문] 출처 : 이동현상의 응용과 해법, 이동현상 부문위원회(이현구), 한국화학공학회, 2002, 16 p 1. 유효숫자(significant digit) [목차] ⑴ 정의 : 측정값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것만 표기한 수로 정확성(accuracy)을 높임 ① 실험 데이터를 논문에 작성할 때 raw data의 유효숫자를 모두 표기함 ② 예 : 1.54 × 106 (3개) ③ 예 : 1.540 × 103 (4개) ⑵ 유효숫자 계산 규칙 ① 덧셈 또는 뺄셈 : 소수점 위치가 가장 작은 수를 따라 결과의 소수점 결정 ○ 예 : 145.23 + 22.6 = 167.83 → 167.8 ○ 예 : 145... 【철학】 6강. 과학적 방법론 6강. 과학적 방법론 추천글 : 【철학】 철학 목차 1. 과학적 방법론 [본문] 2. 가설검증의 방법 [본문] 3. 과학정보의 출처 [본문] 4. 비타민 C 일화 [본문] 1. 과학적 방법론 [목차] ⑴ 과학의 과정 ① 과학은 방대한 사실에 대한 기억이 아니라 지식체계(인과관계의 연결 등)임 ② 가설연역법(hypothetico-deductive method) ○ 1단계. 관찰(observation),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직관(intuition) ○ 2단계. 가설(hypothesis) 설정 ○ 3단계. 가설 검증 : 실험 결과와 비교 ○ 4단계. 실험 결과와 가설이 일관적인 경우 : 가설 유지 ○ 5단계. 실험 결과와 가설이 모순적인 경우 : 가설 폐기 및 새로운 가설 설정 .. 【철학】 5강. 왜 우리는 우주를 이해할 수 있는가 5강. 왜 우리는 우주를 이해할 수 있는가 추천글 : 【철학】 1강. 지식이란 무엇인가 A. 우리가 볼 수 있는 세상 밤에 하늘을 보면 우리의 태양과 다르지 않은 수천 개의 별을 볼 수 있다. 망원경으로 그들을 보면 더 많은 별들과 은하들을 관찰할 수 있다. 망원경을 통해 모은 데이터들을 통해 천문학자들은 우리의 태양이 대략 우리 은하(the Milky Way)에 있는 천억 개의 별들 중 하나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우리 은하 밖에는 최소 100억 광년 떨어진, 천억 개의 별들을 가진 또 다른 은하들이 천억 개 정도 존재한다. 그리고 이것은 그저 사건의 지평선까지 우리가 알아낸 정보이다. 현대 천문학적인 모델은 그 지평선 너머의 훨씬 더 광활한 크기의 우주를 보여주며, 이 모델은 다른 우주들까지 설명해 낼.. 【철학】 3강. How Nature Works 3강. 자연이란 무엇인가: 'How Nature Works'를 읽고 추천글 : 【철학】 철학 목차 How Nature Works - Per Bak 새로운 철학을 제시하는 사람은 누구나 틀림없이 반드시 알아내고 싶은, 인생을 압도했던 질문이 있고, 아무도 알려줄 수 없기에 자기만이 답을 찾아내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과학을 통한 새로운 세계관을 담아낸 《How Nature Works》은 Per Bak이 가진 하나의 의문에서 시작합니다. “왜 자연은 복잡한가?” 그가 보기에 분명히 이 세계는 Newton 법칙, Maxwell 법칙, 상대성 이론, 양자역 학이라는 비교적 단순한 원리가 지배하는 세상임에도 불구하고, 생명이 창조되고 역사가 형성되며 아름다운 자연경관이 만들어진다는 것.. 【철학】 4강. The Library of Babel 4강. 인간은 특별한가: 'The Library of Babel'를 읽고 추천글 : 【철학】 철학 목차 a. 관련 읽기 자료 The Library of Babel - by Jorge Luis Borges Borges의 에서 우주가 곧 하나의 도서관인 하나의 세계를 묘사하고 있다. 6각형의 책장 정도의 높이를 가진 공간이 무한하게 포개져 있고, 6각형의 영역을 모두 꿰뚫는 무한히 긴 나선형의 계단 길이 중앙에 위치한다. 6각형 공간의 두 쌍의 마주보는 변에는 각각 5개의 책장이 서 있고, 책장이 서 있지 않은 한 쌍의 변에는 나선형의 계단 길로 향하는 입구가 있다. 각 책장에는 35권의 책이 있고, 각 책은 410 page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페이지는 40개의 줄이 있고, 각 줄에는 80개의 글자.. 이전 1 2 3 4 다음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