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tal Category

【경제사】 경제사 목차 경제사 목차 추천글 : 【거시경제학】 거시경제학 목차최근 수정 내역맬서스 이론 보충 (24.02.21)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위를 취득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Ⅰ. 원시 농경사회 ~ 중세1강. 자본주의의 단계2강. 무역의 시작3강. 수확체감의 법칙4강. 수확체증의 법칙 Ⅱ. 산업혁명 이전5강. 총 요소 생산성과 쌍대이론6강. 제도의 출현 Ⅲ. 산업혁명 이후 ~ 근대7강. 산업혁명의 태동8강. 후발성의 이득9강. 금융위기의 출현10강. 보호무역의 출현11강. 국제통화체제의 출현 Ⅳ. 현대12강. 한국 거시경제 현황 13강. 세계 거시경제 현황 Ⅴ. 기타경제사 노트한국 경제사국제 금융위기글로벌 기업코로나19로 바뀔 미래, 뉴딜 정책경제사 탐구주제 리스트 입력: 2020.07.07 22:19
【경제사】 8강. 후발성의 이득 8강. 후발성의 이득 추천글 : 【경제사】 경제사 목차 1. 캐치업 [본문] 2. 독일은 왜 영국을 앞서는가 [본문] 1. 캐치업(catch-up) : 후발성의 이득으로 후진국이 선진국을 따라 잡는 것 [목차] ⑴ 그레이트 다이버젼스(great divergence) : 산업혁명 직후 선진국과 후진국의 경제적 격차가 벌어짐 ⑵ 그레이트 컨버젼스(great convergence) : 1990년대 중반 이후 선진국과 후진국의 경제적 수준이 수렴함 ⑶ 원인 1. 기술 이전 ① 1945년 이전 : 선진국들은 후진국 사람들이 기술을 배우러 오는 것에 대해 경계 ② 1945년 이후 : 선진국들이 후진국 사람들이 기술을 배우러 오는 것에 대해 우호적 ○ 계기 1. 마샬 플랜(Marshall plan) : 냉전 체계가 ..
【경제사】 11강. 국제통화체제의 출현 11강. 국제통화체제의 출현 추천글 : 【경제사】 경제사 목차 1. 개요 [본문] 2. 고전적 금본위제 [본문] 3. 브레튼 우즈 체제 [본문] 4. 포스트 브레튼 우즈 체제 [본문] 1. 개요 [목차] ⑴ 국제통화체제의 필요성 : 화폐의 필요성과 동일함. 즉, 욕망의 일치 ⑵ 국민소득 계정 항등식 ① Y : 국민생산 ② C : 민간소비 ③ I : 투자 ④ G : 정부소비 ⑤ NX : 순수출 ⑥ S : 국민저축 ⑦ 경상수지 적자 : 순수출이 음인 경우. I가 많으므로 해외로부터 투자 자금을 빌리고 있는 상태 ⑧ 경상수지 흑자 : 순수출이 양인 경우. I가 적으므로 해외에 투자하고 있는 상태 ⑨ (참고) 경상수지가 흑자인 게 반드시 좋은 상태라고는 할 수 없음 ⑩ 국제 통화제도가 없다면 국내투자는 국내저축..
【경제사】 10강. 보호무역의 출현 10강. 보호무역의 출현 추천글 : 【경제사】 경제사 목차 1. 무역의 이득을 설명하는 이론 [본문]2. 무역의 이득이 있음에도 보호주의가 출현했음을 설명하는 이론 [본문]3. 1870년대 보호주의의 출현과 전간기 국제무역의 붕괴 과정 [본문]4. 스톨퍼-사무엘슨 정리의 한계 [본문] 1. 무역의 이득을 설명하는 이론 [목차]⑴ 비교우위론(theory of comparative advantage) : 리카아도(David Ricardo) (1772-1823)가 제안① (참고) 리카아도는 성장의 원천이 자본이라고 생각② 전제 : 각 나라들이 자신의 비교우위의 이득을 얻기 위해 무역을 함○ 절대우위(absolute advantage) : 다른 생산자에 비해 같은 상품을 더 적은 양의 생산요소로 생산할 수 있는..
【경제사】 9강. 금융위기의 출현 9강. 금융위기의 출현 추천글 : 【경제사】 경제사 목차 1. 화폐제도 [본문] 2. 은행제도 [본문] 3. 뱅크런 [본문] 4. 중앙은행제도 [본문] 1. (참고) 화폐제도 [목차] ⑴ 화폐의 정의 ① 일반적 수용물 ② (참고) 하나프라는 독일의 학자는 국정화폐설을 주장함 ○ 국가가 화폐라고 정의해서 화폐가 됐다는 설 ○ 약간 안 맞음 (e.g., 원화와 달러) ③ 화폐의 조건 : 쉽게 상하는 상품은 화폐가 되기 어려움 ⑵ 화폐는 자생적으로 출현 ① 욕망의 일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화폐가 물물교환보다 우월함 ② 화폐로 인해 교환량 자체가 증가함 ⑶ 고대에서는 양화(good money)가 악화(bad money)를 부추김 ① 유일하게 좋은 하나의 은행만 은행권을 발행 ② 은행업이 출현하면서 최종 대부자들..
【경제사】 7강. 산업혁명의 태동 7강. 산업혁명의 태동 추천글 : 【경제사】 경제사 목차 1. 유럽은 언제부터 앞섰는가 [본문] 2. 최초의 근대 경제를 탄생시킨 네덜란드 [본문] 3. 영국 산업혁명 [본문] 1. 유럽은 언제부터 앞섰는가 [목차] ⑴ 캘리포니아 학파의 주장 : 케네스 포메란츠(Kenneth Pomeranz)가 대표적 ① 유럽은 18세기 말까지 중국이나 인도를 앞서지 않음 ② 18세기 말 발생한 토지 제약을 우연적인 요인에 의해 극복하여 산업혁명이 발생 ○ 석탄 소비지와 가까운 곳에 있었다는 우연 ○ 아메리카로부터 토지집약적인 식량과 농업 원재료를 수입 ○ (참고) 기본적으로 기술적 진보는 없었다는 맬서스적인 설명을 밑에 깔고 있음 ⑵ 실증적인 결과 : 인플레이션을 고려해야 하고 경제적 수준은 산업혁명 전부터 벌어지고 ..
【경제사】 6강. 제도의 출현 6강. 제도의 출현 추천글 : 【경제사】 경제사 목차 1. 개요 [본문]2. 사례 1. 노예제와 농노제 [본문]3. 사례 2. 길드 제도 [본문]4. 사례 3. 분익 소작계약 [본문]5. 사례 4. 스칸디나비아의 낙농 협동조합 [본문] 1. 개요 [목차]⑴ 제도 : 게임의 규칙① 제도를 유지시키는 힘 : 법, 구성원들의 동의, 특권층의 강제력② 비공식적인 제도 : 신뢰, commitment③ 공식적인 제도 : 유한 책임 회사 등⑵ 제도의 효율성의 척도⑶ 제도의 긍정적인 측면 ① 제도는 공공재이기 때문에 사회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② 예 1. 화폐와 은행③ 예 2. 복지 국가 제도 : 사적 보험과 자본시장에서의 잠재적인 시장 실패를 해소③ 예 3. 사적 소유권 : 공동적 소유권의 비효율성, 즉 공..
【미시경제학】 10강. 경매이론 10강. 경매이론 추천글 : 【미시경제학】 미시경제학 목차 1. 경매의 의미 [본문] 2. 경매의 방식 [본문] 3. 승자의 불행 [본문] 1. 경매의 의미 [목차] ⑴ 경매(auction) : 최고가를 부르는 사람에게 물건을 판매하는 공개판매방식 ⑵ 경매이론 : 정보가 완전히 갖춰지지 못한 상태에서의 전략적 행위를 연구. 2020년 노벨경제학상 주제 ⑶ 경매가 사용되는 경우 : 상품에 표준적인 가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부사업 입찰제도 등 2. 경매의 방식 [목차] ⑴ 공개경매방식(open-outcry bidding) ① 영국식 경매(English auction) : 가격을 계속 올리는 방식. 가장 전형적인 경매방식 ② 네덜란드식 경매(Dutch auction) : 가격을 계속 내리는 방식. 일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