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ntact English

【유기화학】 7강. 할로젠화 알킬

 

7강. 할로젠화 알킬(알킬 할라이드, alkyl halide)

 

추천글 : 【유기화학】 유기화학 목차


1. 개요 [본문]

2. 친핵성 치환반응 [본문]

3. SN2 반응 [본문]

4. SN1 반응 [본문]

5. E2 반응 [본문]

6. E1 반응 [본문]

7. E1cB 반응 [본문]

8. Bredt's rule [본문]

9. SN2 반응 vs SN1 반응 [본문]

10. SN2, E2, SN1/E1 반응 비교 [본문]

11. 탄소-탄소 짝지음 반응 [본문]

12. 제법 [본문]


 

1. 개요 [목차]

⑴ 할로젠화 알킬(알킬할라이드) : R-X 형태의 화합물

① 예 : methyl halide, vinyl halide, aryl halide, allylic halide, benzylic halide

할로젠화 알킬은 굉장히 반응성이 큼 : 할로젠 원소의 전기음성도가 커서 할로젠기가 이탈되기 쉽기 때문

⑵ 구조에 따른 성질

① 탄소는 부분 양하전을 띠는 친전자체, 할로젠 원소는 부분 음하전 

② 상대 시약은 친핵체 또는 염기

용매 : H2O, ROH

⑶ 끓는점과 녹는점

① 탄소수가 같다면 할로젠화 알킬의 끓는점, 녹는점이 알케인보다 큼 : 할로젠화 알킬의 분자간 인력이 크기 때문

② R기가 클수록 할로젠화 알킬의 끓는점, 녹는점이 커짐 : R기가 클수록 표면적이 커져 분자간 인력이 크기 때문

③ X가 클수록 할로젠화 알킬의 끓는점, 녹는점이 커짐 : 편극성이 증가하여 분자간 인력이 크기 때문

⑷ 용해도

① 할로젠화 알킬은 유기용매에 용해

② 할로젠화 알킬은 물에 용해되지 않음

결합세기 : X가 클수록 결합세기 감소

⑹ 반응 일반

① 가열을 하면 제거반응이 주류

○ 예 : E1 제거반응, E2 제거반응, CO2 이탈, N2 이탈

 

 

2. 친핵성 치환반응 [목차]

⑴ 개요

 

친핵성 치환 반응

Figure. 1. 친핵성 치환 반응

 

R-X : 기질(S, substrate)

Nu: : 친핵체

R-Nu : 생성물(P, product)

X : 이탈기(L, leaving group)

메커니즘 예 1. 반응물 결합의 분해와 생성물 결합의 생성이 동시에 이뤄지는 경우 (SN2)

 

친핵성 치환반응 메커니즘 예 1

Figure. 2. 친핵성 치환반응 메커니즘 예 1

 

메커니즘 예 2. 반응물 결합이 분해되고 나서 생성물 결합이 생성되는 경우 (SN1)

 

친핵성 치환반응 메커니즘 예 2

Figure. 3. 친핵성 치환반응 메커니즘 예 2

 

메커니즘 예 3. 생성물 결합이 생성되고 나서 반응물 결합이 분해되는 경우 (불가능)

① 이유 : 2주기 원소 탄소는 최대 8개의 최외각 전자밖에 수용할 수 없으므로 불가능한 구조

중간체로는 존재할 수 없고, 전이상태로는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

 

친핵성 치환반응 메커니즘 예3

 

Figure. 4. 친핵성 치환반응 메커니즘 예 3

 

 

3. SN2 반응(bimolecular nucleophilic substitution) : 2차니까 동시 반응, 구슬치기 같이 반응 [목차]

⑴ 반응속도론

 

 

⑵ 메커니즘

 

SN2 반응의 메커니즘

Figure. 5. SN2 반응의 메커니즘

 

1단계 반응으로 이루어짐

② 강친핵체가 약친핵체를 대체하므로 비가역적 반응

③ MO 이론 : 중심 탄소의 σ* antibonding MO와 친핵체의 오비탈이 보강간섭을 일으켜서 새로운 결합이 형성됨 

⑶ 입체화학

① 전이상태 : 삼각쌍뿔(sp3d)

② 친핵체의 후면 공격(backside attack) : 친핵체는 이탈기가 결합된 방향의 뒤쪽을 공격

③ 카이랄 중심의 배위반전(inversion)

○ 배위반전이 일어나지만 RS 명명법의 판단은 독립적

○ 반응 전후로 RS 판단이 달라질 수도 달라지지 않을 수도 있음 : CIP 우선순위에 따라 다양한 경우가 나옴 

④ 일반적인 경우 라세미화가 일어나지 않음

○ 예외 : 아이오딘 이온의 가역성

반응속도 요인 : 기질

① 원칙 : 친전자체인 α 탄소가 플러스 성질을 많이 가질수록 반응속도가 큼

② 일반

경향성 1. 전이상태의 안정성이 올라간 경우

 

α-halo carbonyl > R-NH-CH2-X > R-O-CH2-X > Ph-CH2-X, R=C-CH2-X

 

 

α-halo carbonyl이 SN2 반응의 전이상태의 안정성을 높이는 메커니즘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6. α-halo carbonyl이 SN2 반응의 전이상태의 안정성을 높이는 메커니즘]

 

(참고) 친핵체가 접근하는 쪽으로 전자가 비어있는 오비탈이 형성되려면 π*와 σ*이 오버랩돼야 함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7. (참고) 친핵체가 접근하는 쪽으로 전자가 비어있는 오비탈이 형성되려면 π*와 σ*이 오버랩돼야 함]

 

○ α-halo carbonyl : π* (C=O) 오비탈과 σ* (C-X) 오비탈이 합쳐져서 더 낮은 에너지의 MO를 형성 → 친핵체가 카르보닐 탄소를 공격 → 분자 내 SN2 반응이 일어남

○ (주석) R-NH-CH2-X에 대한 레퍼런스를 찾지 못해 추후 번복될 수 있음

경향성 2. 할로젠화 알킬

 

> 메틸 RX > 1차 RX > 2차 RX > 3차 RX > norbornane halide

 

이유 : 입체효과로 인해 전이상태의 활성화 에너지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

경향성 3. sp2 탄소에 결합된 할로젠 원소

 

> aryl halide, vinyl halide

 

○ VSEPR 상으로 backside attack이 불가능함

○ C-X의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이 이탈시키기 쉽지 않음

반응속도 요인 : 친핵체

① 원칙 : 강한 친핵체일수록 SN2 반응의 속도가 빠름

비염기 친핵체(Nu:) : NaCN, KN3, RNH2, RCOONa. NaSR, NaBr, KI는 1, 2차 RX와 반응

염기 친핵체 : NaOR, KC≡CH, NaNH2 등, 1차 RX와 반응, 2차 RX는 E2 반응이 우세

단, 짝산의 pKa가 10 이상인 친핵체들을 염기친핵체라고 함

반응속도 요인 : 용매

극성 양성자성 용매 : 수소결합이 존재하는 용매

○ 예 : 물, EtOH, MeOH 등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 수소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용매

○ 예 : 아세톤, DMSO(dimethyl sulfoxide), DMF(dimethyl formamide) 등

비극성 용매 

4차 암모늄 염, 크라운 에터 등의 상전이 촉매가 필요할 수 있음

경우 1. 출발물질이 전하를 띠고 생성물이 중성인 경우

○ 극성 양성자성 용매는 출발물질의 SN2 반응성을 떨어트리므로 비극성 용매 또는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가 유리 

경우 2. 출발물질이 중성이고 생성물이 전하를 띠는 경우

○ 극성 양성자성 용매는 부분전하를 띠는 전이상태를 더 잘 안정화시키므로 극성 양성자성 용매에서 SN2 속도 ↑

반응속도 요인 : 이탈기

① SN2 반응은 이탈기가 떨어지는 게 반응속도에 포함되므로 이탈기가 반응속도 요인이 됨

 이탈기가 안정할수록, 즉 염기도가 낮을수록 반응속도 증가

③ C-F 결합은 너무 단단해서 잘 안 떨어짐

○ 이탈기 경향성 : C-F < C-Cl, C-Br < C-I 

○ 테프론(테트라 플루오린, teflon) : -(CF2-CF2)n-. 열을 가해도 분해되지 않음

○ 요오드는 큰 편극성으로 인해 C-I 결합 분해가 잘 일어남

⑻ 고급 이론

① 아이오딘 이온의 가역성

문제점 : 아이오딘 이온의 SN2 반응은 친핵체의 염기도와 이탈기의 염기도가 비슷하여 가역적이므로 반응물과 생성물이 공존 (예 : CH3Br + I- CH3I + Br-)

해결책 : 역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KBr이 용해되지 않는 아세톤에서 반응을 진행

alkyl iodide는 iodide ion과 끊임없이 반응하여 라세미 혼합물이 됨

 

alkyl iodide가 라세미 혼합물이 되는 과정

 

Figure. 8. alkyl iodide가 라세미 혼합물이 되는 과정

 

② fluoride 이온의 불용성

○ 문제점 : fluoride 이온은 이온성이 매우 강해 비양성자성 용매에 녹기 어려움

○ 그 결과 fluoride에 의한 SN2 반응은 일어나기 어려움

○ 해결책 : 크라운 에터와 같은 상전이 촉매를 이용하면 염소이온을 비양성자성 용매로 끌어들일 수 있음

SN2 반응의 분자 간 반응과 분자 내 반응

○ 분자 간 반응과 분자 내 반응은 경쟁적 관계

○ 일반적으로 분자 내 반응이 분자 간 반응보다 빠르게 진행함  

○ 고리를 형성하는 분자 내 반응은 오히려 엔트로피를 낮춤에도 반응속도는 여전히 더 빠름 

○ 분자 내 반응을 우세하게 만들기 위한 조건 : 분자 농도가 낮은 경우, 5각 고리 또는 6각 고리가 생성되는 경우

⑼ 결론 : SN2 반응은 입체장애가 적은 기질, 강친핵체,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에서 빠르게 반응

 

 

4. SN1 반응(unimolecular nucleophilic substitution) : 1차니까 떼어놓고 반응, 떼어놓으니까 카보양이온 [목차]

⑴ 메커니즘 도입 배경

① t-butyl bromide와 KOH 반응 : E2 반응이 일어남

 

t-butyl bromide와 KOH 반응

Figure. 9. t-butyl bromide와 KOH 반응

 

t-butyl bromide와 H2O 반응

 

t-butyl bromide와 H2O 반응

Figure. 10. t-butyl bromide와 H2O 반응

 

3차 RX는 입체 효과가 크기 때문에 SN2 친핵체 공격을 하기 힘듦

반응속도가 t-butyl bromide의 농도에만 비례하므로 SN2 반응으로 설명 불가 : 반응물의 결합이 분해되고 나서 생성물의 결합이 생성되는 경우에만 가능

⑵ 반응속도론

 

 

⑶ 메커니즘 : 2단계 반응

 

SN1 반응의 메커니즘

Figure. 11. SN1 반응의 메커니즘

 

① 카보양이온이 생성 : 즉, 가용매 분해반응(solvolysis)의 일종

속도결정단계 : 카보양이온이 형성되는 1단계

볼츠만 에너지 분포에 의해 용매들의 진동으로 C-Br 결합이 끊어질 수 있음

⑷ 입체화학

① 위 메커니즘에서 카보양이온의 앞쪽이나 뒤쪽으로 물이 첨가될 수 있어 카이랄 물질의 경우 라세미화가 가능

② 즉, 카이랄 분자가 비카이랄 중간체를 거쳐서 카이랄이 생성되는 라세미화

③ 단, 실제 반응은 배위 반전이 배위 보존보다 우세함 : 완벽한 SN1 반응은 없고 SN2 반응도 혼재하여 일어남

④ 탄소양이온을 경유하므로 더 안정한 탄소양이온으로의 자리옮김반응(rearrangement reaction)이 있을 수 있음

 

Figure. 12. 자리옮김반응으로 인해 고리확장반응을 수반한 SN1 반응 예시

 

반응속도 요인 : 기질

① CX의 탄소 차수 증가 → 카보양이온 안정 → 속도결정단계의 활성화에너지 감소 → 반응속도 증가

공명 안정화가 일어나는 양이온 중간체 생성시 같은 차수의 단순한 카보양이온에 비해 SN1 속도 빨라짐

③ 1차 할로젠화 알킬 : 카보양이온이 너무 불안정하여 SN1 반응이 일어나지 않음

반응속도 요인 : 친핵체

① 일반적인 SN1 반응 조건 : 일반적으로 아민을 제외한 H2O, ROH, RCOOH 등의 약친핵체와 3차 RX 간의 반응

② 강친핵체 조건 : 특히 3차 RX에서 E2 반응이 일어남

③ 2차 RX에서도 H2O, ROH(RCOOH는 제외)와 같은 약친핵체 조건에서 SN2 반응이 주반응 (ref)]

가용매 분해반응(solvolysis) : 일반적으로 친핵체로서 용매를 사용

반응속도 요인 : 용매

① 극성 양성자성 용매 : 탄소 양이온을 안정화하므로 반응속도 증가

반응속도 요인 : 이탈기

① 탄소와 이탈기 간의 결합이 약할수록, 또는 떨어져 나가는 음이온이 안정할수록 좋은 이탈기로 속도가 빠름

② 이탈기의 이탈성은 이탈기의 염기도에 반비례

반응속도 요인 : 촉매

① Ag+는 이탈기와 결합하여 이탈기의 해리를 촉진하여 SN1의 반응속도를 높임

 

 

5. E2 반응(bimolecular elimination) : 2차니까 동시반응 [목차]

⑴ 친핵성 치환반응과의 경쟁반응

 

E2 반응과 SN2 반응의 경쟁반응

Figure. 13. E2 반응과 SN2 반응의 경쟁반응

 

⑵ 반응속도론

 

 

⑶ 메커니즘 : 1단계 반응. 반응물의 결합이 분해되는 동시에 생성물의 결합이 생성

 

E2 반응의 메커니즘

Figure. 14. E2 반응의 메커니즘

 

염기가 베타 수소를 공격하여 중간체가 된 뒤 X-와 HB+가 이탈하는 반응

⑷ 입체화학

① 위치선택적 반응(regioselective reaction) : Saytzeff's rule (Zaitsev's rule)

 

Zaisev's rule의 예

Figure. 15. Zaisev's rule의 예

 

치환기가 많을수록 알켄은 보다 안정화됨

설명 1. 치환기가 있는 경우 hyperconjugation에 의해 anti-π(π*) 결합 오비탈과 인접한 σ 오비탈과 상호작용

설명 2.

○ sp2 혼성 탄소는 s-character가 크므로(33%) 전기음성도가 큼

○ sp3 혼성 탄소는 s-character가 작으므로(25%) 전기음성도가 작음

○ sp3 혼성 탄소는 sp2 혼성 탄소에게 전자를 주려고 하므로, 치환기가 많을수록 sp2 혼성 탄소들이 안정해짐

○ 하몬드 가설(Hammond's postulate)

○ 정의 : 전이상태의 구조는 에너지가 더 가까운 쪽의 구조를 닮음

○ 흡열반응의 경우 에너지 순서는 반응물 < 생성물 < 전이상태이므로 전이상태 구조는 생성물을 닮음

○ 발열반응의 경우 에너지 순서는 생성물 < 반응물 < 전이상태이므로 전이상태 구조는 반응물을 닮음

○ 응용 : 생성물의 치환기가 많을수록 제거반응의 반응속도가 증가함

○ 치환기가 많은 생성물의 경우 하몬드 가설에 따라 전이상태 에너지가 낮음

○ 반응물에서 시작하여 보다 안정한 생성물을 만드는 경로가 전이상태 에너지가 낮아 반응속도가 더 빠름

○ 하몬드 가설이 E2 반응 외에 다른 반응에서까지 적용되는 것은 아님

 

하몬드 가설이 적용되지 않는 다른 반응
출처 : 이미지 클릭

Figure. 16. 하몬드 가설이 적용되지 않는 다른 반응]

 

두 가지 이상의 알켄이 생성 시 주생성물의 판단 방법

○ 입체장애가 있는 할로젠화 알킬 혹은 염기 : 입체장애를 고려한 경로가 주생성물 생성

○ EtO-, OH-에 의한 E2 제거반응은 거의 대부분 Zaitsev's rule을 따름

예외

○ 치환기의 수보다 컨쥬게이션이 에너지 안정성에 더 중요하게 관여하는 경우 : 4-chloro-5-methyl-1-hexene 등

○ alkyl fluoride : 2-fluoropentane 등

○ 호프만 제거반응(Hofmann elimination reaction)

○ C-X 결합이 단단한 경우 

출처 : PEET 2022 16번

Figure. 17. C-X 결합에 따른 E2 반응의 위치선택적 반응

 

○ C-X 결합이 단단한 경우 (e.g., X = F) : 경로 ⒜를 따름. ㈎가 ㈏보다 더 안정함 ( 입체장애)

○ C-X 결합이 느슨한 경우 (e.g., X = I, OTs) : 경로 ⒝를 따름. 다치환 알켄의 중간체가 더 안정 ( 열역학적)

② 입체선택적 반응(stereoselective reaction) : 하나의 반응물에 대해서 입체구조가 선택적

 

E2 제거반응과 입체선택적 반응

Figure. 18. E2 제거반응과 입체선택적 반응

 

○ 특히, 베타 수소가 두 개인 경우 입체선택적 반응이 나올 수 있음

○ 예 : trans alkene이 주생성물, cis alkene이 부생성물임

③ 입체특이적 반응(stereospecific reaction)

 

E2반응의 anti-periplanar 규칙 (위 반응에서 X와 Ha가 이탈됨)

 

Figure. 19. E2반응의 anti-periplanar 규칙 (위 반응에서 X와 Ha가 이탈됨)

 

○ 준평면(periplanar) : 네 개의 원자가 한 평면상에 있는 기하 구조

경우 1. 안티 첨가(anti-addition) 

○ 안티 준평면(anti-periplanar) : 준평면 중 C-H와 C-L(L : 이탈기)가 0° 입체각을 가지는 경우

○ 즉, 이 경우 안티 준평면은 H와 X 원자가 분자의 반대 쪽에 배열되어 있는 기하 구조를 의미 

이탈기와 산성 수소가 180° 입체각(anti)을 가질 때 E2 제거반응을 할 수 있음

○ 안티 준평면은 staggered conformation이므로 안티 첨가는 자주 일어남

○ 175-179° 입체각도 충분히 안티 첨가를 할 수 있음

cyclohexane halide의 E2반응 : chair-form을 기준으로 안티 첨가가 일어나는 게 주생성물

경우 2. 첨가(syn-addition) 

신 준평면(syn-periplanar) : 준평면 중 C-H와 C-L(L : 이탈기)가 0° 입체각을 가지는 경우

○ 즉, 이 경우 신 준평면은 H와 X 원자가 분자의 같은 쪽에 배열되어 있는 기하 구조를 의미

이탈기와 산성 수소가 0° 입체각(eclipsed)을 가질 때 E2 제거반응을 할 수 있음

○ 신 준평면은 elipsed conformation이므로 신 첨가는 자주 일어나지 않음

○ cyclopentane halide와 관련된 E2 제거반응은 거의 대부분 신 첨가 

주의사항

○ anti-periplanar 규칙은 Saytzeff 규칙보다 우선

○ (주석) 어려운 문제는 십중팔구 입체특이적 반응을 응용

반응속도 요인

① 기질 : 기질의 차수가 클수록 반응속도가 빠름 ( Zaitsev's rule)

○ CH3-X < 1º RX < 2º RX < 3º RX

○ 이유 : 전이상태는 부분적인 2차 결합을 형성하여 치환기가 많아질수록 hyperconjugation에 따라 안정화됨

 

E2 반응에서 부분적인 2차 결합을 가지는 전이상태

Figure. 20. E2 반응에서 부분적인 2차 결합을 가지는 전이상태

 

② 친핵체 : 친핵성도가 클수록 반응속도 증가

③ 용매

○ 속도비교 : 극성 양성자성 용매 < 비극성 용매 <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 극성 양성자성 용매는 친핵체를 안정화시켜 반응속도를 떨어트림

④ 이탈기 : 이탈기가 안정할수록 반응속도 증가

⑤ 중수소 치환

○ 중수소는 무거워서 탄소-중수소 해리가 잘 안 된다고 생각하면 됨

○ E2 반응은 수소가 떨어지는 반응이 RDS이므로 중수소가 있으면 반응속도가 느려짐

⑥ 한 분자 내 E2 반응조건과 -OH기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강염기에 의한 -OH의 H+ 해리반응이 우선함

○ 이유 : 말단 산·염기 반응은 굉장히 빠른 반응이기 때문

 

 

6. E1 반응(unimolecular elimination) : 1차니까 떼어놓고 반응, 떼어놓으면서 카보양이온 [목차]

⑴ 반응속도론

 

 

⑵ 메커니즘 : 2단계 반응. 카보양이온이 형성되는 1단계가 속도결정단계

 

E1 반응의 메커니즘

Figure. 21. E1 반응의 메커니즘

 

① 카보양이온이 생성 : 즉, 가용매 분해반응(solvolysis)의 일종

속도결정단계 : 카보양이온이 형성되는 1단계

② 위 메커니즘에서 약염기로 작용하는 H2O가 C+에 붙는다면 SN1 반응이 됨

③ SN1 반응과 E1 반응은 유사 조건 하에 일어나므로 항상 동시에 경쟁적으로 일어남

⑶ 입체화학

① E1 반응도 E2 반응처럼 Zaitsev's rule을 따름

② 탄소양이온을 경유하므로 더 안정한 탄소양이온으로의 자리옮김반응(rearrangement reaction)이 있을 수 있음

⑷ 반응속도 요인

① 기질

○ 3차 벤질 ≃ 3차 알릴 > 2차 벤질 ≃ 2차 알릴 ≃ 3차 알킬 > 1차 벤질 ≃ 1차 알릴 ≃ 2차 알킬 > 1차 알킬 > 메틸 > 바이닐 양이온 

중간체인 탄소양이온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받음

○ 탄소양이온이 생성되는 반응이 속도 결정 단계 (rate-determining step)

○ 치환기가 많을수록 carbocation이 안정함

○ 전이상태의 에너지 차이는 중간체인 탄소양이온의 에너지 차이보다 작음

② 용매

○ 반응속도가 탄소 양이온을 안정화시키는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음

○ 비극성 용매 <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 극성 양성자성 용매

 

 

7. E1cB 반응(unimolecular elimination conjugate base) [목차]

⑴ 개요

① 정의 : 기질이 β-halo carbonyl이거나 β-haydroxy carbonyl일 때 일어나는 제거반응

조건 1. acidic H가 존재할 것

조건 2. poor leaving group이 존재할 것

⑵ 메커니즘

1 단계. 강염기가 acidic 수소를 제거

2 단계. 수소가 제거되면서 생긴 비공유전자쌍이 케톤기와 공명 → 산소 음이온 형성

3 단계. 산소 음이온은 다시 공명하면서 이탈기를 해리시켜 이중결합 형성

⑶ (참고) 카르보닐 알파 반응

 

 

8. Bredt's rule [목차]

⑴ Bredt's rule

법칙

  다리걸친 이중고리 화합물에서 다리목 탄소(bridge head)에 π결합, 즉 이중결합이 존재할 수 없음

다리걸친 이중고리 화합물에서 다리목 탄소가 탄소양이온이 될 수 없음

② 이유 

 구조상 sp2의 삼각평면 구조가 형성될 수 없음

다리목 탄소와 결합한 탄소 3개가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없으므로 p 오비탈 간 겹침이 없어 삼각평면이 불안정

③ 응용

 다리목 탄소에 대한 SN2 반응은 불가능 : backside attack이 불가능하므로

다리목 탄소에 대한 SN1 반응은 불가능 : 탄소양이온이 불가능하므로

다리목 탄소에 대한 E2, E1 반응은 불가능 : 이중결합이 불가능하므로

다른 탄소의 경우 SN2, SN1, E2, E1 반응 가능

○ 다른 탄소에서 일어나는 E2 제거반응의 경우 anti 제거반응이 아니라 syn 제거반응임을 유의

 

다리 이고리구조에서 다리목 탄소가 카보양이온이 된 경우 (불가능)

 

Figure. 22. 다리 이고리구조에서 다리목 탄소가 카보양이온이 된 경우 (불가능)

 

⑵ anti-Bredt's rule

① 법칙

8개 이상의 탄소를 갖는 고리가 발견되면 Bredt's rule 적용 불가

예 1. bicyclo[3.3.1]non-1-ene : normal condition에서 다리목 탄소에서 이중결합이 형성될 수 있는 가장 작은 화합물

② 이유

○ cycloalkene에서는 8각 고리부터 trans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③ 응용

 SN2 반응은 여전히 일어날 수 없음 ( backside attack이 불가능하므로)

SN1, E2, E1 반응이 일어날 수 있음

⑶ Bredt's rule이 적용될 수 있는 상황에서도 Grignard 시약 반응은 참가 가능

① 이유 : 다리목 탄소가 sp3인 탄소음이온이 되는 것이므로

 

 

9. SN2 반응 vs SN1 반응 [목차]

1단계 반응 vs 2단계 반응

2분자 반응 vs 1분자 반응

⑶ 기질

SN2 반응 : 입체장애가 덜 일어날수록 반응속도 증가. 메틸기 > 1차 > 2차

○ 3차 탄소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음

○ 예외 : neopentyl bromide의 경우 입체장애로 인해 1차이지만 2차보다 반응이 500배 가량 느림

SN1 반응 : 카보양이온이 안정할수록 반응속도 증가. 3차 > 2차

○ 메틸기와 1차 탄소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음

⑷ 친핵체

SN2 반응 : 강친핵체 유리

SN1 반응 : 친핵성도가 크게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반응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 약친핵체 조건

⑸ 입체화학

SN2 반응 : 배위반전

SN1 반응 : 배위반전과 배위보존 동시생성 → 라세미화

 

 

10. SN2, E2, SN1/E1반응 비교 [목차]

⑴ 메커니즘 판단 방법

 

RX \\ 친핵체 매우 약염기 약염기 강염기 + 입체장애 × 강염기 + 입체장애 O
methyl, 1차 반응없음 SN2 SN2 (+ E2) SN2 (+ E2)
1차 + 입체장애 느림 SN2 E2 (+ SN2) E2
2차 SN1/E1(느림) SN2 (+ SN1, E2) E2 E2
3차 SN1/E1 SN1/E1 E2 E2
β-halo carbonyl
또는
β-hydroxy -
E1cB E1cB E1cB E1cB

 

Table. 1. 메커니즘 판단 방법

E1cB 반응은 그 성격이 E2 제거반응과 가까움

 

① 매우 약염기 : H2O, ROH 등

② 약염기 : X-, SR-, CN-, N3-, RCO2-, NR3, PR3

○ 2차 RX에 SN2 반응이 우세

○ 중성친핵체(e.g., NR3, PR3)는 약염기이지만 암모니아, 아민은 강친핵체로 분류됨

염기 + 입체장애 × : OH-, RO-, NH2-

④ 강염기 + 입체장애 ○ : LDA, DBN, DBU, t-BuO-

○ 1차 RX에 E2 반응이 우세

○ DBN (1,5-diazabicyclo[4.3.0]non-5-ene)

○ DBU (1,8-diazabicyclo[5.4.0]undec-7-ene)

용매

⑶ 기질

① 1차 RX는 주로 SN2 반응이 진행되지만, 기질의 입체장애가 심하거나 비친핵적 강염기가 처리 시 E2 반응이 진행

② 2차 RX는 SN2 반응과 E2 반응의 경쟁적 반응

○ 짝산의 pKa가 약 12 이하에서는 SN2 생성물이 주생성물 : 단,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음

○ 짝산의 pKa가 약 12 이상에서는 E2 생성물이 주생성물: 단, 명확하게 구분되지는 않음

③ 2차 RX는 모든 메커니즘 생성물이 형성되므로 친핵체(또는 염기)의 세기를 고려해야 함

2-bromoheptane + NaOCH3 + CH3OH : 강친핵체가 존재. 따라서 SN2 반응, E2 반응

2-bromoheptane + CH3OH + 열(Δ) : 반응조건이 용매화 반응 조건. 따라서 SN1/E1 반응

④ 3차 RX는 강염기 조건에서 E2 반응, 약염기 조건에서 SN1/E1 반응이 일어남

⑷ 친핵체

① 중성친핵체인 암모니아, 아민은 강친핵체로 SN2 또는 E2 반응을 수행

SN2 선호 친핵체 : X-, SR-, CN-(중요), RCO2-(중요), NH3, Et3N

E2 선호 : OH-(중요), RO-, NH2-(중요), LDA, DBN, DBU, t-BuOK(중요)

○ Zaitsev's rule (Saytzeff's rule) :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알켄이 얻어짐

○ Hofmann rule : 속도론적으로 우세한 생성물이 얻어짐

○ Zaitsev's rule 우세 염기 : OH-, MeO-, EtO-

○ Hofmann rule 우세 염기 : t-BuOK, LHMDS, LDA, DBN, DBU 등 입체 장애가 큰 염기

⑸ 기타

SN1 반응과 E1 반응은 똑같이 카보양이온 중간체를 경유하므로 치환 생성물과 제거 생성물의 혼합물 형태로 생성

일반적으로 SN1이 E1보다 우세함

○ 예 : tert-Bu-Br + EtOH에서 SN1 생성물은 81%, E1 생성물은 19%를 차지함

② 약염기일수록 치환 반응이 우세하고, 강염기일수록 제거 반응이 우세함

③ 온도가 증가할수록 E1 제거반응이 우세하고, 온도가 감소할수록 SN1 치환반응이 우세해짐

○ ΔG = ΔH - TΔS에 의해 온도가 높아질수록 엔트로피 요소가 강화되므로 제거 반응이 선호됨 

○ SN1 치환반응

○ 탄소 양이온 중간체 + :Nu- → 생성물

반응물 2개, 생성물 1개

○ Δn = -1이므로 엔트로피 감소

○ E1 제거반응

○ 탄소 양이온 중간체 + :B → 생성물 + HB+

반응물 2개, 생성물 2개

○ Δn = 0이므로 엔트로피 변화는 미미함

SN1/E1 생성물의 주 생성물 판단시 온도가 고려되는 경우는 드묾

④ 질산은(AgNO3) 조건 : 이탈된 halide를 제거함

효과 1. SN1 반응 속도를 높임

효과 2. 1차 RX도 SN1 메커니즘을 따름

 

 

11. 탄소-탄소 짝지음 반응(유기시약 반응) [목차]

그리냐르 시약(Grignard reagent) : RMgX (예 : H3C-MgX)

① 제법 : R-X + Mg (용매 : 무수 ether 또는 무수 THF) → R-MgX

(공식) RMgX에서 Mg가 δ+가 되어 R은 강한 음하전을 띰. 친전자체 탄소를 찾아 R부터 연결하고 생각

 

에스테르의 그리냐르 시약 반응 예

Figure. 23. 에스테르의 그리냐르 시약 반응 예

 

③ 반응하는 경우 : 케톤, 알데하이드, 아실 클로라이드, 산 무수물, 에스터, 포스젠 

④ 반응하지 않는 경우 : 카르복실산 

알킬리튬 시약(alkyl lithium reagent) : RLi (예 : H3C-Li)

제법 : R-X + 2Li (용매 : 무수 ether) → R-Li + Li-X

(공식) RLi에서 Li가 δ+가 되어 R은 강한 음하전을 띰. 친전자체 탄소를 찾아 R부터 연결

③ 반응하는 경우 : 케톤, 알데하이드, 카르복실산 

길만 시(Gilman reagent) : R2CuLi (예 : (H3C)2CuLi)

① 제법 : 2RLi + CuI (용매 : 무수 ether) → R2CuLi + LiS(s) ↓

(공식) R2CuLi에서 CuLi가 δ+가 되어 R은 강한 음하전을 띰, 친전자체 탄소를 찾아 R 1개만 연결

③ 반응하는 경우 : 할로젠화 알킬 (SN2), 에논 (Michael addition), 아실 클로라이드 

④ 반응하지 않는 경우 : 케톤, 알데하이드

⑷ 요약

유기시약에 있는 알킬기는 δ-

② δ-의 탄소부분이 친전자체 탄소에 붙음

 

 

12. 제법 [목차]

알켄의 HX 첨가 반응에 의한 제법

알켄의 X2 첨가 반응에 의한 vic-dihalide 제법

알카인의 HX 첨가 반응에 의한 gem-dihalide 제법

알카인의 X2 첨가 반응에 의한 tetrahalide 제법

 알케인의 라디칼 치환 반응 

알릴자리 할로젠 라디칼 치환 반응

벤질자리 알킬의 라디칼 할로젠 치환 반응

알코올의 HX에 의한 치환 반응

알코올의 SOCl2, PBr3 등에 의한 치환 반응 

에터의 HX에 의한 분해 반응 

 

입력: 2019.01.10 15:12

수정: 2022.02.01 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