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과학

【물리학】 현대물리학 3강. 현대우주론 현대물리학 3강. 현대우주론 추천글 : 【물리학】 물리학 목차 1. 고대의 우주관 [본문]2. 중세의 우주관 [본문]3. 아인슈타인 우주론 [본문]4. 프리드만 우주론 [본문]5. 허블의 팽창우주론 [본문]6. 빅뱅우주론 [본문]7. 현대우주론 [본문]a. 우주  1. 고대의 우주관 [목차]⑴ 그리스 기하 모델(Greek geometric model)① 일식, 월식을 예측② (참고) 월식의 주기 : 사로스 주기 ⑵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모델① 반구형의 우주, 4원소설, 에테르② 지구는 중심이고 천상은 완벽해야 한다는 선입견이 작용○ 태양계는 원 운동(천동설)○ 다른 별은 운동하지 않는다고 봄③ 화성의 역행(retrograde motion)을 설명하기 힘듦⑶ 프톨레마이오스(Ptolemai..
【물리학】 현대물리학 1강. 양자역학 현대물리학 1강. 양자역학 추천글 : 【물리학】 물리학 목차 1. 뉴턴 패러다임 [본문]2. 양자역학 1부 [본문]3. 양자역학 2부 [본문]4. 양자역학 3부 [본문]5. 양자역학 4부 [본문]6. 양자광학 1부 [본문]7. 양자광학 2부 [본문] 1. 뉴턴 패러다임 [목차]⑴ 뉴턴의 1, 2, 3법칙은 거리, 시간, 힘, 에너지의 관계를 기술⑵ 뉴턴 패러다임 : 모든 현상을 뉴턴 법칙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믿음⑶ 1800년대 말 뉴턴역학으로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나타남① 굉장히 작은 스케일(ℓ ≪ 1)에서는 뉴턴역학을 적용할 수 없음 → 양자역학의 도입② 굉장히 큰 스케일(v ≫ 1)에서는 뉴턴역학을 적용할 수 없음 → 상대성이론의 도입  2. 양자역학 1부 - 물질파의 도입 [목차]⑴ 소립..
【전자기학】 5강. 맥스웰 제4법칙 5강. 맥스웰 제4법칙 추천글 : 【물리학】 물리학 목차 1. 렌츠의 법칙 [본문] 2. 패러데이의 법칙 [본문] 3. 맥스웰 제4법칙의 응용 [본문] a. 호흡정지감시기 1. 렌츠의 법칙(Lenz's law) [목차] ⑴ 정의 : 유도 기전력과 유도 전류는 자기장의 변화를 상쇄하려는 방향으로 작용 Figure. 1. 렌츠의 법칙] 2. 패러데이의 법칙(Faraday's law) [목차] ⑴ 개요 ① 정의 : 자기장이 변하면 그 자기선속의 변화율에 해당하는 전압이 유도됨 ② 1820년, 외르스테드가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하는 현상을 발견함 ③ 1831년, 영국의 과학자 패러데이가 패러데이 법칙을 발견함 ④ 패러데이가 패러데이 법칙을 제안한 이후 독일의 물리학자 렌츠는 렌츠의 법칙을 발표함 ⑵ 수식화 ..
【전자기학】 4강. 맥스웰 제3법칙 4강. 맥스웰 제3법칙 추천글 : 【물리학】 물리학 목차 1. 개요 [본문]2. 자기장의 결정 [본문]3. 로렌츠 힘 [본문]4. 응용 [본문]a. 전류천칭장치와 자기투자율 계산  1. 개요 [목차]⑴ 맥스웰 제3법칙 ① 외부 전류가 흐르면 기자력이 발생② 기자력과 자기저항 등에 의해 자기장의 세기(H)가 결정⑵ 자속 또는 자기선속(magnetic flux) : 임의의 단면적을 지나는 자기력선의 수① Φ로 표시② 단위 : 웨버 Wb⑶ 자속밀도(magnetization or magnetic flux density) : 단위 면적당 자속(즉, 자속밀도), 즉 B = Φ / A ① B로 표시② 단위 : Wb / m2 = T (테슬라) = 10,000 G (가우스, gauss)⑷ 자기장(자계, magnetic ..
【전자기학】 2강. 맥스웰 제1법칙 2강. 맥스웰 제1법칙 추천글 : 【물리학】 물리학 목차 1. 맥스웰 제1법칙 [본문]2. 쌍극자 [본문]a. 전기장에 대한 가우스 법칙 증명b. 등전위선 실험  1. 맥스웰 제1법칙(전기에 대한 가우스 법칙) [목차]⑴ 정의 : 전하가 있으면 전기장이 생성① (참고) 회로이론은 전기에 대한 가우스 법칙과 관련⑵ 수학적 표현 : 발산정리를 이용  ① D를 전속밀도(electric flux)라고 부름② 전하를 둘러싼 가우스면을 따라 전기장을 적분한 값은 전하량을 공간에서의 유전율로 나눈 값과 같음⑶ 예 1. 전하가 q인 점전하의 중심에서 거리 r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전기장 및 전위 (쿨롱의 법칙)  ⑷ 예 2. 선전하밀도가 λ (C/m)인 대전된 무한 직선 도체에서의 전기장 및 전위  ⑸ 예 3. 면전하..
【전자기학】 1강. 전자기학의 기초 1강. 전자기학의 기초 추천글 : 【물리학】 물리학 목차 1. 용어 [본문]2. 정전기 [본문]3. 전하보존의 법칙 [본문]4. 맥스웰 법칙 [본문] 1. 용어 [목차]⑴ 전하(charge)① 정의 : 전기현상의 원인이 되는 기본적인 성질② 전하의 종류 : 양전하와 음전하가 있으며, 같은 극끼리는 척력이, 다른 극끼리는 인력이 발생③ 전하량 : 전하의 크기를 측정하는 값○ 단위 : 쿨롱(C)○ 전자 1개 전하량 = -1.6 × 10-19 C ○ 1 C 전자의 개수 : 6.25 × 1018개○ 쿨롱(C)의 정의와 아보가드로수(NA)인 6.02 × 1023개는 전혀 관계 없음○ 전자 1 mol 전하량 = (6.02 × 1023) × (1.6 × 10-19) = 96,485 C  ○ 기본 전하의 크기가 굉장히..
【물리학】 광학 2강. 파동광학 광학 2강. 파동광학 추천글 : 【물리학】 물리학 목차  1. 호이겐스의 원리 [본문]2. 페르마 원리 [본문]3. 슬릿 실험 [본문]4. 전자기파 [본문] 1. 호이겐스의 원리(하위헌스의 원리, Huygen's principle) [목차]⑴ 원리 : 파면 상의 모든 점이 파원이 되어 새로운 파면을 만듦⑵ 직진의 원리① 현대 양자광학에서 원자들이 점파원이 됨② 의문 : 광자가 원자에게 흡수된 뒤 다시 방출된다면 빛은 왜 직진만 하는가? 왜 뒤로 안 가는가?③ 답변 : 마치 초음속 충격파처럼 전방은 모두 보강간섭이지만 다른 경로는 상쇄간섭을 함⑶ 반사의 법칙 ① 증명 Figure. 1. 호이겐스의 원리에 따른 반사의 법칙 증명] ○ 전제 1. 직진의 원리에 의해 O, P'', Q''은 동일한 위상을 가짐○..
【물리학】 광학 1강. 기하광학 광학 1강. 기하광학 추천글 : 【물리학】 물리학 목차  1. 페르마의 원리 [본문]2. 상 [본문]3. 광학기기 [본문] 1. 페르마의 원리 [목차]⑴ 페르마의 법칙(Fermat's principle)① 빛은 최소 시간이 걸리는 경로를 이동한다는 법칙② 직진의 법칙, 반사의 법칙, 굴절의 법칙을 포괄하는 이론③ 양자광학적 의의 : 광자는 끊임없이 쌍소멸·쌍생성을 반복하며 보강간섭이 이뤄지는 방향으로 빛이 이동하므로 최소 시간이 소요됨④ (참고) 호이겐스의 원리⑵ 법칙 1. 직진의 법칙⑶ 법칙 2. 반사의 법칙① 용어 설명○ 법선 : 경계면에서 빛이 반사할 때, 경계면과 수직한 직선○ 입사 : 빛이 경계면으로 다가가는 것○ 반사 : 빛이 경계면에서 되돌아 나오는 것② 법칙 1.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음③ ..